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체외수정 및 배아이식술 후 발생한 병합임신 1예

        이유석 ( Yoo Seock Ree ),김성희 ( Seong Hee Kim ),김승룡 ( Seung Ryong Kim ),이정한 ( Chung Han Lee ),박문일 ( Moon Il Park ),조삼현 ( Sam Hyun Cho ),정성로 ( Sung Ro Chung ) 대한주산의학회 2003 大韓周産醫學會雜誌 Vol.14 No.2

        병합임신의 자연발생은 극히 드문 경우로 30,000 임신당 1예로 알려져 있으나 보조 생식술의 발달로 그 빈도가 100예 혹은 500예 중에 1예로 증가되어 왔다. 병합임신은 임상적인 특성상 조기 발견이 어렵고 진단의 지연과 부적절한 처치는 산모와 자궁내 임신의 유지가 어렵게 된다. 따라서 즉각적인 진단과 적절한 처치가 산모와 더불어 태아 손실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이에 저자들은 개인병원에서 체외수정 및 배아이식술 후 난관 임신 파열과 동반된 병합임신 1예를 임신 8주에 난관적출술을 시행한 후, 산전 진찰 중 특이소견 없이 자궁내 임신을 만삭까지 지속하여 건강한 여아를 분만 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Heterotopic pregnancy is a rare event, occurring less than 1:30,000 pregnancies in natural conception cycles. With assisted reproduction techniques, however, this incidence increase to between 1:100 and 1:500. It is known to present with a variety of symptoms and signs after leading to a delay in establishing the correct diagnosis. Delay in diagnosing and surgery can jeopardize both maternal well-being and survival of the intrauterine fetus. Prompt diagnosis and appropriate surgery contribute to the favorable outcome for the mother and surviving infant. We experienced a case of heterotopic pregnancy after in vitro fertilization and embryo transfer, which carried the intrauterine pregnancy to term delivery following rupture of the tubal pregnancy, with hypovolemic shock. So we report this case with review of literatures.

      • KCI등재

        임신성 융모성 질환에서 혈청 β-hCG의 소실기간과 양상에 관한 연구

        강정권,구인상,차진영,김현희,김영재,이유석,배은경,나영정,김경태,조수현,조삼현,문형,조헌영,황윤영 대한산부인과학회 200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5 No.4

        목적 : 혈청 융모성 성선자극 호르몬 (hCG)은 임신성 융모성 질환에서 종양 활성도를 반영하는 가장 보편적인 지표로 사용되고 있으며 연속적 혈청 β-hCG 소퇴양상의 분석은 이 질환의 경과를 평가하는데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임신성 융모성 질환을 포상기태와 악성 융모성 질환으로 나누어 혈청 β-hCG 소실기간을 분석하고 그 값들의 소퇴양상을 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 1990년 1월초부터 2000년 12월말까지 한양대학병원 산부인과에서 병리조직학적으로 임신성 융모성 질환으로 진단 받고 치료받은 46예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비교분석을 위하여 19예의 포상기태군과 27예의 악성 융모성 질환군, 두 군으로 대별하였으며 후자를 다시 비전이성군 17예와 전이성군 10예로 나누었다. 이들은 혈청 β-hCG가 음성 (<3 mIU/ml)이 될 때까지 1주일 간격으로 추적 검사를 하였으며 3회 연속 혈청 β-hCG 값이 음성이 나온 경우 1달 간격으로 1년간 추적 검사를 시행하였다. 혈청 β-hCG 정량은 이중접합 면역측정법 (Chiron Diagnostics Automated Chemoiluminescence System 180)으로 측정하였으며 통계학적 분석은 SPSS에 의한 t-test와 ANOVA test를 이용하였다. 결과 : 임신성 융모성 질환의 빈도는 182.7분만수당 1건이었다. 포상기태에서 혈청 β-hCG의 소실기간은 평균 12.8±1.1 (SEM)주 (7-26주) 이었으나, 악성 융모성 질환에서는 평균 17.9±1.4 (SEM)주 (8-34주) 이었다. 혈청 β-hCG 평균 소실기간은 악성 융모성 질환보다는 포상기태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짧았다 (P<0.01). 그러나 비전이성군 (18.0주)과 전이성군 (17.8주)간의 혈청 β-hCG 평균 소실기간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0.946). 포상기태군과 악성 융모성 질환군의 혈청 β-hCG 평균 측정값은 로그지수 소퇴곡선을 따라 감소하는 양상이었다. 결론 : 본 연구에서의 혈청 β-hCG 값의 소퇴양상은 서구의 혈청 β-hCG 값의 소퇴양상과 비슷하였으며, 또한 1980년대 우리나라의 혈청 β-hCG 값의 소퇴곡선과도 비슷하였다. 또한 개개인의 연속적 혈청 β-hCG 값의 소퇴양상은 향후 치료방침 결정과 악성 융모성 질환 진단을 용이하게 하는데 그 효용성이 있음을 유추할 수 있었다. Objectives : It is now conventional practice to use human chorionic gonadotropin (hCG) as the marker of tumor activity in gestational trophoblastic disease (GTD). The interpretation of serial serum β-hCG regression patterns is important in monitoring the course of the disea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a regression time and pattern of the serum β-hCG in which GTD is divided into hydatidiform mole and malignant trophoblastic disease. Materials & Methods : During the period from January 1990 through December 2000, 46 patients with GTD were histopathologically diagnosed and treated at the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in Hanyang University Hospital. For the purpose of analysis and comparison, patients were divided into 19 cases of hydatidiform mole and 27 cases of malignant trophoblastic disease which was subdivided into nonmetastatic (17) and metastatic (10). Patients were followed clinically and by weekly estimations of quantitative serum β-hCG until negative (<3 mIU/ml). After three consecutive negative β-hCG, serum β-hCG were drawn monthly in all patients for one year. The level of serum β-hCG was detected by two-site sandwich immunoassay (Chiron Diagnostics Automated Chemiluminescence System 180). The obtained data were analyzed using t test and ANOVA test by SPSS. Results : The incidence of the GTD compared with delivery was one per 182.7 deliveries. The mean value of serum β-hCG regression time in hydatidiform mole was 12.8±1.1 (SEM) weeks (7.0-26.0 weeks) and 17.9±1.4 (SEM) weeks (8.0-34.0 weeks) in malignant trophoblastic disease. The regression time was significantly shorter in hydatidiform mole than that of malignant trophoblastic disease (P<0.01). The differences of mean value of serum β-hCG regression time between the groups with nonmetastatic (18.0 weeks) and metastatic (17.8 week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P =0.946). The mean values of serum β-hCG in both hydatidiform mole and malignant trophoblastic disease declined following a log-normal distribution. Conclusions : The regression pattern of serum β-hCG in present study was similar to that of which in Western and also similar to that of which in Korea in 1980s. The present study supports the continued use of individual patients serum β-hCG regression curve to make treatment decision and to recognize malignant trophoblastic disease prompt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