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용자 관점에서의 음식 레시피 분류 모델에 관한 연구

        이우행,최수연,Lee, Woo-Hang,Choi, Soo-Yeun 한국정보통신학회 2022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26 No.10

        현대인들은 음식 레시피에 대한 다양한 정보들을 인터넷이나 소셜 미디어 등에서 매우 쉽게 접할 수 있게 되었다. 음식 레시피를 제공하는 공급량이 많아지면서 범람하는 정보 안에서 사용자들이 각자에 맞는 레시피를 찾기에는 수고로움이 따르게 된다. 이처럼 사용자들의 요구사항을 반영하여 정보를 제공할 필요성이 높아졌고, 음식 레시피와 요리 추천에 관련 연구가 활발해지고 있다. 또한, 이를 활용한 인터넷, 영상 및 어플리케이션 시장 역시 급속도로 활성화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음식 레시피 사용자들의 관점에서 레시피를 분류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리뷰 데이터를 비지도학습인 K-평균 군집화 기법을 적용하였으며, 이를 통해 "음식 레시피 분류 모델"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특정 목적, 조리 단계 등 많은 사용자들이 필요한 정보를 포함한 총 25개의 군집으로 분류하였다. Modern people can access various information about food recipes very easily on the Internet or social media. As the supply of food recipes increases, it is difficult to find a suitable recipe for each user in the overflowing information. As such, the need to provide information by reflecting users' requirements has increased, and research related to food recipes and cooking recommendations is becoming active. In addition, the Internet, video, and application markets using this are also rapidly activating. In this study, in order to classify recipes from the user's perspective of food recipe users, the user's review data was applied with the k-mean clustering technique, which is unsupervised learning, and a "food recipe classification model" was derived. As a result, it was classified into a total of 25 clusters including information needed by many users, such as specific purposes and cooking stages.

      • KCI등재

        용매에 따른 팽이버섯(Flammulina velutipes) 추출물의 생리활성 효과

        이우행(Woo-Haeng Lee),한소라(So-Ra Han),유상철(Sang-Cheol Yu),오태진(Tae-Jin Oh)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8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7 No.1

        본 연구에서는 식용버섯으로 사용되는 팽이버섯을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및 에탄올로 추출하여 팽이버섯 각각의 용매 추출물에 따른 항산화 및 항균 활성을 확인하였다. 항산화 활성은 총폴리페놀 함량, 총플라보노이드 함량, DPPH 라디칼 소거능 및 ABTS 라디칼 소거능 등을 이용하여 조사하였으며, 또한 한천배지확산법을 이용하여 6종 균주에 대한 항균 활성을 탐색하였다. 팽이버섯의 총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한 결과에서는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이 다른 용매 추출물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조사되었으며,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 에탄올 추출물> 아세톤 추출물 순으로 나타났다.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에서도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이 다른 용매 추출물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결과를 보였다.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능은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및 에탄올 추출물 모두 항산화제로 잘 알려진 ascorbic acid보다 높은 소거능을 보였다. DPPH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에서는 에탄올 추출물이 다른 용매들보다 높은 소거능을 보였으며, ABTS 라디칼 소거능의 경우에는 아세톤과 에탄올 추출물이 유의적으로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팽이버섯의 다제내성 균주에 대한 항균 활성은 에탄올 추출물의 Ent. cloacae에 대한 활성을 제외하고, 3종의 용매 추출물 모두에서 B. subtilis, S. aureus, M. luteus, E. coli, P. aeruginosa 및 Ent. cloacae 등 6종의 모든 균주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나타냈다. 특히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의 경우에는 E. coli와 M. luteus 등에서 가장 높은 항균 활성을 보였으며, B. subtilis와 S. aureus에 대해서는 아세톤 추출물에서 가장 강한 생육저해환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항산화 성분인 총폴리페놀 함량 및 총플라보노이드 함량과 항산화 활성인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능 사이에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팽이버섯의 항산화 활성에 주된 기여를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양한 균주에 대한 팽이버섯의 항균 활성에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강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여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이 팽이버섯의 항균 활성에 기여하는 화합물인 것으로 생각한다. 지금까지 본 연구에서 확인한 결과처럼 팽이버섯 추출물의 항산화 및 다양한 균주에 대한 항균성 등 관련 기능성을 확인함으로써 결과적으로 팽이버섯은 천연 기능성 소재로써 활용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 vitro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acetone, ethanol, and ethyl acetate extracts from Flammulina velutipes. Antioxidant activity was evaluated based on total contents of polyphenols and flavonoids,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otal contents of polyphenols and flavonoids were the highest in ethyl acetate extracts.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these extracts were in the order of ethanol (82.3%)> ethyl acetate (79.6%)> acetone (78.4%)> ascorbic acid (76.8%). Ethanol extract showed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compared with other extracts. ABTS radical scavenging effects were 74.7% and 73.0% for acetone and ethanol extracts, respectively. Antimicrobial activities of F. velutipes extracts were evaluated by the paper disk diffusion method against six strains of microbes, including Bacillus subtilis, Staphylococcus aureus, Micrococcus luteus, Escherichia coli, Pseudomonas aeruginosa, and Enterobacter cloacae. Acetone and ethyl acetate extracts showed antimicrobial effects against all tested strains, and especially ethyl acetate extract had strong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M. luteus and E. coli. Antioxidant activitie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contents of total polyphenols (−0.192 with DPPH and −0.953 with ABTS) and total flavonoids (−0.717 with DPPH and −0.704 with ABTS). A positive relationship was established among total flavonoid contents and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This study confirms positive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for F. velutipes.

      • KCI등재

        Characterization of Two Self-Sufficient Monooxygenases, CYP102A15 and CYP102A170, as Long-Chain Fatty Acid Hydroxylases

        Hemraj Rimal,이우행,김기화,박현,오태진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2020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Vol.30 No.5

        Self-sufficient P450s, due to their fused nature, are the most effective tools for electron transfer to activate C-H bonds. They catalyze the oxygenation of fatty acids at different omega positions. Here, two new, self-sufficient cytochrome P450s, named ‘CYP102A15 and CYP102A170,’ from polar Bacillus sp. PAMC 25034 and Paenibacillus sp. PAMC 22724, respectively, were cloned and expressed in E. coli. The genes are homologues of CYP102A1 from Bacillus megaterium. They catalyzed the hydroxylation of both saturated and unsaturated fatty acids ranging in length from C12–C20, with a moderately diverse profile compared to other members of the CYP102A subfamily. CYP102A15 exhibited the highest activity toward linoleic acid with Km 15.3 μM, and CYP102A170 showed higher activity toward myristic acid with Km 17.4 μM. CYP10A170 also hydroxylated the Eicosapentaenoic acid at ω-1 position only. Various kinetic parameters of both monooxygenases were also determin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