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ICT 활용교육 관련 교사 연수 현황 및 개선 방향

        이옥화,임연욱 충북대학교 교육개발연구소 2003 한국교육논총 Vol.24 No.2

        정부는 2001년부터 전체 교사들이 3년 내에 최소한 한 번 이상 ICT 활용 연수를 받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나 실제 교사들의 연수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한 실증적 연구가 부족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ICT 활용 교원연수 현황을 분석하고 교원연수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ICT 활용 교원연수 현황을 알아보기 위해 충북지역의 중고등학교 교사 499명을 대상으로 2002년 7월과 8월에 설문조사하였다. 1. 교사들의 ICT 활용수준은 교과목별로 ICT 활용수업 시간이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났지만 전체적으로 ICT 활용수업은 일주일에 5시간 이하로 하고 있다가 41.9%, 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교사들이 37.8% 순이었다. ICT 활용교육을 하지 않는 이유로 ICT사용이 필요없다, 교육효과의 부족을 들었다. 2. 교사들의 ICT 관련 연수 경험은 최근 3년간 77.8%의 교사들이 1회 이상의 직무 혹은 자율 연수를 받았다고 하여 연수가 양적으로는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었다. 연수 횟수가 많아질수록 ICT 활용수업의 시간 수가 많아지는 것으로 보아 연수의 효과는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3. ICT 관련 연수 내용으로 교수-학습방법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ICT 이론 및 실제, 그리고 H/W와 S/W 작동기술 순이었다. 그리고 ICT 연수 횟수가 많아질수록 H/W와 S/W작동기술에 관한 교육의 비율이 작아짐을 알 수 있었다. 4. ICT 관련 연수 내용에 대해 과반수이상이(66.1%) 만족하였고 연수를 많이 받을수록 만족도는 전반적으로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들은 연수 시 실습의 부족(34.3%)과 연수 내용의 부적절(24.4%), 교사연수기회의 부족921.1%), 연수 시간의 불충분915/3%)의 순으로 연수의 장애요인을 꼽았다. 5. 교사연수에 포함할 내용으로 교수-학습 설계의 내용이 포함되기를 가장 원하였다. ICT 활용 교육관련 교사연수의 개선방안으로 실습중심의 교과목별 교사 연수, 연수 형태의 다양화, 교사의 전문성을 위한 연수, 연수내용의 질관리, 연수에 대한 인센티브 제시, 원격연수의 적극적 도입, 커뮤니티의 구축 등이 제시되었다. 저자는 ICT 활용 교원연수 모델로 목적, 계획, 실시, 평가 및 분석 피드백, 유지, 관리의 요소와 이들 간의 관계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current teacher training programs for instructional us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in secondary schools and identify new directions for their reform. Our study is based on a survey of 499 teachers in Chungbuk area of South Korea. We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level of ICT use in classrooms by teachers and its determinant variables; such factors include subject areas, the level of ICT training on the part of teachers, the content of teacher training programs for ICT education, and the level of satisfaction in the training programs on the part of the teachers. The survey also identifies the barriers to participation in the teacher training programs and the necessary elements of the training programs perceived by the teachers. 1. Level of instructional use of ICT in classrooms: More than 40% of the respondents use ICT in classrooms for less than 5 hours per week, whereas this exhibits a great deal of variation across subject areas. 2. The level of ICT training: More than three quarters of teachers . participated in one or more training programs for instructional use of ICT during the past three years. The training programs were mostly administered by the board of education or by the schools. 3. The content of the teacher training programs: The programs focused on the methodology of instruction and learning and the guidelines for the classroom use of ICT. 4. The level of satisfaction on the part of participating teachers: More than half of the respondents were satisfied with the training programs. 5. The necessary elements of the training programs: Teachers identified the instructional design for the use of ICT as a necessary element of the training program. Our recommendations for the reform of the teacher training programs are: separate practical training programs for each subject area, enhancement of teachers expertise, diversification of training providers. quality control, incentives, distance training, building a community. We also propose a model for teacher training programs.

      • KCI등재

        KISDI 전자정부 성과평가 모델에 기반한 교직원 그룹 및 학부모의 NEIS 활용 인식 분석

        이옥화 한국교원교육학회 2008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5 No.2

        교육분야의 대표적인 전자정부 사업으로 NEIS(National Education Information System)가 구축되었다. NEIS는 여러 우여곡절을 거치며 발전하여 2006년도부터 전국의 초중등학교 및 교육행정기관이 사용하는 대형 시스템이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NEIS를 전자정부의 평가모델인 KISDI성과평가 모델을 활용하여 사용자의 인식을 평가하고자 한다. 전국에서 교원, 교육행정가, 정보전문가, 학부모를 지역별 무선표집으로 2081명을 선정하여 설문지 조사 및 인터뷰를 수행하여 NEIS 활용에 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NEIS 사용자 구룹의 인식을 NEIS 평가 모델의 계층별(투입계층, 프로세스계층, 업무계층)로 분석하여, 변인들간의 상관관계 및 인과관계를 분석하였다. 대체로 변인들이 계층별로 정적인 인과관계를 보였으니, 개인정보보호 관련 변인들은 다음 단계 수행에 부적인 인관관계를 보이기도 하였다. 전반적으로 정보전문가, 교육행정가, 학부모, 교원의 순으로 NEIS 사용에 긍정적인 인식을 보였다. 교원들의 인식을 높이기 위해 NEIS 사용의 빈도 및 경험의 질을 혁신확산 모델의 단계별 전략에 따라 차별화하여 제공하는 교육 홍보전략을 사용할 것을 제안한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예비교사의 이러닝 인식 및 사용 교수,학습 전략 실태 분석

        이옥화,조미헌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04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7 No.6

        예비교사들의 이러닝 학습 경험은 이들이 졸업 후 이러닝을 학교 현장에 도입하는데 지대한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예비교사들의 이러닝 학습 실태를 파악하는 것은 중요하다. 이러닝의 특수 형태인 사이버 학습의 경험이 있는 전국의 예비 교사들(401명)을 대상으로 2004년도 5월과 6월에 이러닝에 관한 참여 실태를 조사·분석하였다. 설문 조사는 사이버교육 관련 일반 경험(학습 시간, 과제 및 평가, 만족도 및 학습 효과, 불편 사항, 개선 사항)과 사이버교육 관련 교수·.학습 방법(교수·.학습 활동, 상호작용 빈도, 상호작용 촉진을 위한 학습 전략, 사회적 관계 형성, 협동학습 활동, 그룹별 학습 활동, 지식 구축과 관련된 교수·학습 활동)으로 나누어 이루어졌다. 실태분석 결과, 예비교사들은 사이버 수업에 대해 전통적인 학습과 비슷하거나 다소 낮게 만족하고 느끼고 있으며, 학습 효과도 거의 비슷하거나 다소 낮게 느낀다. 특이하게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더 부정적이었다. 학습 내용의 논리적인 제시와 사이버 상에 맞는 학습 방법의 제시를 가장 큰 개선 사항으로 보았다. 이 메일과 자료실은 학생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이러닝 환경의 기능이었다. 온라인상에서의 과제의 성격이나 양에 학생들은 만족하고 있으나, 협동학습 방법으로 많이 사용하는 이러닝 환경의 기능이었다. 온라인상에서의 과제의 성격이나 양에 학생들은 만족하고 있으나, 협동학습 방법으로 많이 사용되는 온라인에서의 그룹 활동을 통해서는 자유로운 상호작용이 잘 안되고, 협동학습을 통해 많이 배웠다고 보지 않는다. 협동 학습을 하는 동안 학생들은 자신의 활동은 긍정적으로 보았으나, 다른 학습자의 참여는 부정적으로 보는 경향이 있다. 학생들은 주 1회의 상호작용을 가끔이라고 느끼고 있어 교수들의 부담감을 줄이고 상호작용을 높이는 기술적 지원을 제공해야 한다. 오프라인 미팅을 적극 권장하고 여러 가지 형태로 사회적 소속감을 느끼게 해 주어야 한다.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how pre-service teachers perceive e-learning because their prior-experience with e-learning will have a great impact on their teaching after the graduation. Pre-service teachers (401 students) with cyber learning experience, which is a form of e-learning, were selected in 2004 in May and June. Survey was conducted regarding the instructional experience (working hours, tasks and evaluation, satisfaction about cyber learning and its academic achievement, difficulties and suggestions) and instructional methods (instructional activities, frequencies of interaction, strategies of interaction, collaborative activities, behaviors in the group, instructional activities for knowledge development). The results are pre-service teachers tent to spend similar or slightly less working hours for cyber learning, similar or slightly less satisfaction level for the instruction and the academic achievement. It was interesting that female students were more negative than males students, considering female students have been more active in online discussion traditionally. Logical presentation of contents and instructional strategies for the cyber learning were the most wanting suggestions. E-mails and BBS for reference materials were the two most used functions in the online learning. The amount and types of tasks were satisfactory. Students did not interact freely during the group activities, they reported they did not learn much through the group activity. During the group work, they consider they do their roles with responsibility while they have slightly negative responses toward other members' contribution in the group activity. Off line meeting is strongly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