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춤추는 괴수, 조절가능한 핵: <대괴수 용가리>와 한국에서의 핵의 사유

        이영재 ( Youngjae Yi ) 한국비교문학회 2022 比較文學 Vol.- No.87

        1967년 영화 <대괴수 용가리>는 이 영화가 구성해내고 있는 지정학적 상상력 내에서 오랫동안 한국전쟁과 그 결과 형성된 이 분단국가의 강렬한 냉전적 상상력의 우화로서 읽혀왔다. 그런데 이 괴수는 한국영화사 안에서 예외적 형상이지만, 피폭괴수물이라고 할 수 있을 일종의 ‘공통’ 장르의 소산이기도 하다. 1950년대 미국 SF영화에는 수많은 피폭 뮤턴트들이 횡행하였다. 이 장르의 가장 위대한 ‘캐릭터’로 등재될 <고지라>는 1954년 일본에서 등장한 이래 1960년대 캐릭터의 극적인 전환을 거친 채 계속해서 명맥을 이어갔다. 한편, 피폭괴수는 두 개의 테크놀로지컬한 계보를 가지고 있다. 미국의 괴수들이 스톱모션 애니메이션으로 만들어졌다면 일본의 경우, 모형을 만들고 이를 사람이 뒤집어씀으로써 해결하는 방식, 즉 수트형 괴수로 이를 구현하고자 했다. 이들은 각각의 테크놀로지의 전통에 기반에서 이와 같은 피폭괴수의 테크놀로지적 계보라고 할만한 것을 만들어냈으며, 이로써 일본 피폭괴수와 미국 피폭괴수를 결정적으로 차이지운 핵심 표상이 형성되었다. 그렇다면 1967년의 순간에 일본 ‘특촬’의 기술진을 초빙하여 만들어진 <대괴수 용가리>가 지닌 형상의 공통성과 특수성은 무엇이며 그것은 각각 어떤 것을 의미하는 것인가? 이 글에서는 1945년의 해방과 1950-1953년의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성립된 한국에서의 핵에 관한 태도를 추적해나가며, <대괴수 용가리>가 보여주고 있는 피폭괴수라는 한국영화사 안에서의 이 예외적 형상의 의미를 해명하고자 한다. 이 형상은 냉전의 최전선 국가의 호전성 속에서 미국의 핵우산 아래 원전국가로 나아가고 있던 1967년 한국의 핵에 관한 ‘비전’과 어떤 관련이 있는 것은 아닐까? <대괴수 용가리>는 피폭괴수의 계보 속에서 무기로서의 핵의 파괴성을 일별하는 한편, 그럼에도 그것이 능히 조절가능하다는 믿음을 설파한다. 과학입국을 선언한 한국의 어린 남자아이는 빛이 나오는 기구로 용가리를 춤추게 한다. 그리고 이 믿음 위에서 알다시피 이제 곧 한국 역시 원전국가로 이동해갔다. 일본과 마찬가지로 한국은 풍요와 번영의 핵 이미지를 그 어떤 의심도 없이 수용하였다. Long interpreted from the film’s own geopolitical imagination, the 1967 picture Yongary, Monster from the Deep has been read as a fable of the Korean War and the Cold-War-era imagination of a county divided as a result. Despite being an exception in the history of Korean film, the monster can also be seen as the outcome of a certain common genre featuring creatures exposed to radiation. During the 1950s, numerous mutants exposed to radiation flooded the SF film scene in the United States and Japan. The figure of Godzilla, which may well be ranked as the greatest character of this genre, has continued to exist even after first appearing in Japan in 1954 and undergoing dramatic changes in character during the 1960s. Meanwhile, two technical lineages exist in terms of monsters exposed to radiation. While American monsters were made using stop motion, Japanese monsters were brought to life by humans wearing monster suits created for the purpose. Such technical traditions produced what can be seen as a genealogy of monsters exposed to radiation, thus creating the defining features distinguishing Japanese monsters from their American counterparts. What then are the universal and particular features of the image created by Yongary, Monster from the Deep in 1967, produced after inviting the tokusatsu (lit. “special effects”) film specialists from Japan, and what are their significance? By tracing the attitude Korea takes towards nuclear power as the country undergoes liberation in 1945 and the Korean War between 1950 and 1953, this article seeks to reveal the meaning of this monster formed by radiation exposure―an aberrant figure in the history of Korean film―that Yongary, Monster from the Deep shows us. Perhaps this figure was related to the vision Korea had of nuclear power in 1967, when the country, under the nuclear umbrella cast by the United States, was exploring the utilization of atomic energy as it stood along the front lines of the Cold War. Yongary, Monster from the Deep glances at the destructive side of nuclear power as a weapon while at the same time preaching the faith that it can surely be controlled. The Korean young boy, whose country declared the establishment of a state through the advancement of scientific technology (gwahak ipguk), used emitting light to make Yongary dance. Upon this faith, Korea, as we know well, went on to become a country of atomic energy. Korea accepted nuclear power’s image of abundance and prosperity without any suspicion, just like Japan.

      • KCI등재

        데이비드 흄의 `공감` 개념에 관한 연구

        이영재(YI Youngjae) 한국정치학회 2014 한국정치학회보 Vol.48 No.4

        데이비드 흄은 ?공감(sympathy)?을 중심으로 인간 본성적 도덕론의 새로운 전기를 마련한 것으로 평가된다. 공감 개념은 흄의 공감도덕론 전반을 좌우하는 핵심 개념이다. 최근까지도 흄의 ?공감? 개념을 둘러싼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그 쟁점은 공감이 ?작용?의 측면과 ?감정?의 측면으로 상이하게 쓰이는지, 과연 흄에게서 ?공감? 원리의 메커니즘적 성격이 후기 저작에서 사라지는지 여부에 있다. 이 글은 이 쟁점의 검토를 위한 방편으로 먼저 흄의 공감 개념이 섀프츠베리나 허치슨의 도덕감각론을 어떻게 계승하고, 공감도덕론으로 발전해 왔는지 여부를 살펴보았다. 검토 결과 후기 저술에서 흄은 『논고』에서 차별화하려고 시도했던 섀프츠베리와 허치슨의 ?감정작용?으로서의 공감 개념과 상당히 유사한 방향으로 선회하고 있었다. 흄이 공감의 작동원리로 주장했던 ?상상력?의 철회는 흄에 내재하는 공감 개념의 표면적 차이를 발생시킨 본질적 문제라 할 수 있다. 섀프츠베리와 허치슨의 도덕감각 또는 내감이론이 인간에게 보편적으로 내재하는 도덕적 감각의 차원을 조명함으로써 인간본성적 도덕론의 진전에 기여했다면, 흄은 이러한 스코틀랜드 도덕철학의 성과를 바탕으로 감정의 작용원리로서 공감 개념에 천착함으로써 도덕적 판단의 보편적 토대를 확장하는데 기여했다. It is well-known that sympathy is the important notion to explain the moral instinct ever since the philosophy of scottish enlightenment. This research is an introduction to the modern debate on the subject of ?moral sense? and ?sympathy?, since the 18th century scottish enlightenment philosophy. The individualism of the eighteenth century owed its distinctive character to the fact that is was based on a logic derived from the exact sciences. But striking change is the ethical or moral theory of Hume based on a sympathy. The concept of sympathy plays a central role in Hume?s moral philosophy. Sympathy has been most thoroughly analyzed as the central construct in his moral sense theory of ethics, following Shaftesbury and Hutchson. Shaftesbury and Hutchson insisted that the ?other-regarding? impulse - including, of course, pity, compassion, sympathy - are an essential part of human nature. Hutchson developed Shaftesbury?s concept of the ?moral sense? and made it a natural sense on the same level with the other five senses. Throughout Hume?s account of sympathy is not a passion, it is merely the conversion of an idea of another?s passion into the passion itself. The important point is that Hume conceives of sympathy as a principle of feeling-communication. This study emphasizes on interrelationship between Hume’s ‘Sympathy’ and Shaftesbury & Hutchson’s ‘Moral Sense’.

      • KCI등재

        5·18민주화운동과 이행기 정의: 전두환 노태우 정권의 포섭과 배제 전략 비판을 중심으로

        이영재(Yi, Youngjae) 서강대학교 현대정치연구소 2021 현대정치연구 Vol.14 No.3

        이 연구는 5·18민주화운동의 이행기 정의가 정착되지 못하고 여전히 도전에 직면하고 있는 원인을 분석하고자 했다. 이행기 정의 개념은 민주주의 파괴를 경험한 국가가 민주화 이행의 정치적 전환 과정에서 어떻게 과거의 부정의를 극복하고 민주적 정통성을 형성하는지에 관한 실천적 필요에 의해서 대두되었다. 테이텔(Teitel)의 이행기 정의 논의에 따르면 20세기 말부터 시작되는 제3국면에서는 이행기 정의의 안정적 관철, 즉 이행기 정의의 확장과 규범화 문제가 핵심적 문제로 부상한다. 이행기 정의의 차원에서 본다면, 배상적 정의는 미래 정치공동체를 향한 시작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그런데 전두환 정권은 5·18 피해자들에게 경제적 보상을 하면서 선별적 포섭과 배제 전략을 사용했다. 신군부의 선별에 따라 지급대상자와 지급대상에서 제외된 피해자들 사이에 균열과 괴리가 발생했고 5·18 민주화운동의 이행기 정의 관철에 심각한 한계가 초래되고 있다. 5·18 이행기 정의는 이제 피해자 개인에 대한 사법적·교정적 정의를 벗어나 보다 넓은 차원의 정치적·사회적 인정과 신뢰, 연대 등과 결합할 수 있는 정치적 프로젝트로 전환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tried to analyze the cause of the May 18 Democratization Movement"s transitional justice not being settled and still facing challenges. The discussion of transitional justice has emerged as a practical necessity to explain how a country that has experienced the destruction of democracy in the past overcomes past injustices and forms democratic legitimacy in the process of political transformation of the transition to democracy. According to Teitel"s discussion of transitional justice, the expansion and standardization of transitional justice, emerges as a key issue in the third phase that begins at the end of the 20th century. In terms of transitional justice, reparative justice is meaningful in that it is the starting point for the realization of justice for the future political community. However, the Chun Doo-hwan administration used a strategy of selective inclusion and exclusion while providing economic compensation to the May 18 victims.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military regime, there was a crack and a gap between the beneficiaries and the victims who were excluded from compensation. The May 18 transitional justice needs to be transformed into a political project that can be combine political and social recognition, trust, and solidarity on a wider level, beyond the judicial and corrective justice of the individual victim.

      • KCI등재

        협(俠)과 액션, 동아시아 액션영화의 역사적 기원 - 정기탁의 〈애국혼〉과 상하이 무협영화

        이영재(Yi, Youngjae),홍지영(Hong, Jiyoung) 한국현대문학회 2020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61

        이 글은 〈애국혼〉 관련 중국어 신문, 잡지 기사 자료를 바탕으로 동아시아 액션영화의 한 기원으로서의 무협영화가 어떻게 한중간의 연대와 전통적 무협의 서사 및 사상과 연동하며 틀 지워져갔는지를 검토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1920년대 후반부터 일군의 조선인 망명자들이 상하이 영화계에서 활동하였다. 정기탁과 당시 그의 파트너였던 김일송, 이경손, 전창근 등으로 이루어진 이들의 활동은 1928년 안중근의 이토 히로부미 저격사건을 다룬 〈애국혼 愛國魂〉(정기탁, 대중화백합영화사)에서 시작되었다. 이 영화를 시작으로 정기탁은 1928년~1929년 약 1년 반 동안 대중화백합(大中華百合影片公司)에서 11편의 영화에 감독/배우로 관여하였다. 같은 시기 상하이 영화를 대표하는 것은 무협영화였다 ‘무(武)’와 ‘협(俠)’의 이 새로운 연결은 당시 대중의 열광적인 반응을 이끌어냈다. 20세기 초 일본에서 만들어진 조어 ‘무협’은 1910년대 중반 일본유학을 경험한 중국의 작가들과 학생들에 의해 중국으로 유입된 이후 1920년대 초반 무협소설의 본격적인 등장에 이어 1920년대 후반에 이르면 소위 ‘미친 물결(狂濤)’이라고 불려졌던 무협 영화 붐을 만들어냈다. 계층별, 인종별, 지역별로 위계화된 상하이의 영화관 질서의 맨 아래에서 상영된 이 ‘싸구려’ 영화의 주된 관객층은 이 도시로 대거 유입된 하층계급 노동자들이었다. 이 장르는 종종 대중에 영합하는 과도한 ‘상업성’으로 비난 받았으며, 너무 폭력적이라는 이유로 식자들과 국민당 정부의 우환의 대상이 되었다. 전통적인 문의 강조로부터 무로의 이동이 20세기 초 이 지역에서 사유되었던 근대적 국가 성립에의 열정과 이를 떠받치는 근대적 신체의 문제와 관련 있다면(근대국가라는 새로운 질서를 상상하는 ‘상무’와 ‘체육’) ‘법을 범하는 무(俠以武犯禁)’로서의 협은 반식민지상태의 중국과 식민지 조선에서 상상되었던 아나키한 힘에의 열정과 관련있다. 동시에 수중의 폭력을 자유롭게 구사하는 자, 협객은 〈애국혼〉에서 국가 간 교전이라는 주권적 행위를 수행하는 자와 겹쳐진다. 요컨대 〈애국혼〉은 ‘협’과 관계된 무협영화와 교전과 관련된 전쟁영화가 아직 미분화된 어떤 형태로서 파악된다. This aricle examines how martial arts films as an origin of East Asian action films were formed in connection with the solidarity between Korea and China, and the traditional concepts of violence(武) and chivalry(俠). To clarify this, we examine articles in Chinese newspapers and magazines related to Patriotic Spirit(Chong Kitak, 1928). Since the late 1920s, a group of Koreans have been active in the Shanghai film industry. Their activities, consisting of Chong Kitak and his partner Kim Il-song, Lee Gyeong-son, Jeon Chang-geun, began in 1928 in Patriotic Spirit, which deals with Korean anticolonial activist An Chunggun’s assassination of Japanese prime minister Itō Hirobumi (1909). At the same time, it was the martial arts film that represented the Shanghai film. This new connection between “violence” and “chivalry” drew an enthusiastic response from the spectator at the time. But this genre has often been criticized by intellectuals and the KMT for being too commercial and too violent. The shift from the emphasis on traditional wen(文) to the reverence of wu(武) is related to the passion for the establishment of a modern state in the early 20th century. In addition, the concept of chivalry as a law-breaking violence is related to the pursuit of anarchy power that was envisioned in semi-colonial China and colonial Korea. At the same time, the knight errant as a person who freely uses private violence overlaps with the person who performs the sovereign act of inter-state war in Patriotic Spiri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