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지방공무원 역량강화 방안 연구 : 경기도 지방자치단체 공무원 중심으로

        이영의 경희대학교 공공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1855

        The world is experiencing acceleration of global competition and with this, different state governments including Korea are responding to complex policy demands by implementing new paradigm with the changes of administrative environment. In order to follow these changes of central government, local governments are striving to accomplish successful policy implementation of central government and completion of tasks given to local governments. Especially, with the actualization of democratic, matured local government in the era of intensifying competition, local officials are actively coping with the new era and are changing the direction to fulfill the frequently changing demands of residents. Therefore, capacity building is essential for local government officials. Public organizations are required to possess flexible responsiveness by adapting themselves to the changing environment. Such capacity is closely related to the capacity of human resource in public sectors. The objective of the research is to seek measures to build local government officials’ capacity in order to respond to complex administrative environment faced by local governments and also to propose policies accordingly. The research also seeks to conduct a differentiated research by considering that previous capacity building measures for local officials were focused on training and that recent trainings have been conducted through the Constant Learning System. Local administration is a comprehensive administration and therefore, local government officials are required to have four capacities as the following: first, local government officials have direct contact with residents to provide civil service. Therefore, a local government official is required to listen to the demands of residents and carry out administrative tasks for residents; second, a local government official is required to be a person of competence who can simultaneously organize and conduct government policies and complex tasks of local governments; third, a local government official is required to be an honest person who can build trust with residents, establish mutual relationship with local government officials, perform tasks by communicating with different departments and who does not lose integrity; lastly, a local government official needs to quickly adapt to changing environment not only to maintain and preserve the organization itself, but also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organization. The research is designed with capacity models on the basis of four capacities proposed above, namely, service government official, competent government official, honest government official and changing government official. The following categories were selected for each capacity: in terms of capacity index of service government official, accessibility of residents and vulnerable classes, responsiveness to residents, residents-/ beneficiary-orientation, residents’ benefit, service mind, language expression (usage) ability; in terms of capacity index of competent government official, professional recognition, strategic thinking, problem comprehension and recognition, adapting ability/ flexibility, management mind, policy implementation capacity; in terms of capacity index of honest government official, trust (responsibility), democracy, information sharing, communication, government official ethics (integrity), network establishing capacity (cooperation); in terms of capacity index of changing government official, training, creativity, leadership, innovation-driving and change management. Besides, an evaluation was carried out with government officials’ recognition on the importance and current status of each index and a portfolio was created to categorize them into highly recommended area, active supplementation area, re-examination area and status quo maintenance area. Then it proposes capacity building measures for capacity index in active supplementation area and re-examination area. Among the areas proposed in portfolio, an analysis was conducted on active supplementation area that was recognized with high importance and low status quo by officials and re-examination area that was recognized with low importance and status quo. The result of analysis shows that, in terms of capacity index of active supplementation, 7 capacities of accessibility of residents and vulnerable classes, residents’ benefit, policy implementation capacity, communication, leadership, innovation-driving and change management were revealed to be in priority of status quo supplementation compared to other capacity indices. The result shows that these are the targets to build officials’ capacity through training with concentrated investment and interest. In terms of capacity index of re-examination, 7 capacities of residents-/ beneficiary-orientation, strategic thinking, management mind, democracy, information sharing, network establishing capacity (cooperation) and creativity were evaluated with low level of importance and status recognition. However, the importance on these capacities is gradually increasing and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they need to be re-examined in order to be re-evaluated as important capacities. In order to enhance and build capacity of local government officials, the officials themselves should work hard to achieve self-development and they need to become the subjects of changes of recognition and behavior through their efforts. Besides, local governments need to put consistent investment and attention for government officials’ capacity building. It is because the capacity of local government officials become the basis of competitiveness reinforcement of local government. 전 세계는 글로벌 경쟁이 가속화 되고 있으며 그에 따라 우리나라를 포함한 각국 정부도 직면한 행정환경의 변화에 따라 전통적인 방식이 아닌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복잡 다양한 행정수요에 대응하여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중앙정부의 변화에 맞추어 지방정부도 중앙정부의 정책수행과 지방자치정부의 당면한 많은 과제를 성공적으로 이끌어 가기 위해 부단히 노력하고 있다. 특히 민주적이고 성숙한 지방자치의 실현과 날로 심화되는 경쟁시대에서 지방공무원은 새로운 시대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다양하고 복잡하게 변화하는 주민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새로운 방향으로 전환하고 있으며 따라서 지방공무원의 역량 강화는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공공조직은 변화하는 환경 속에서 스스로 적응하여 유연하게 대처하는 대응력을 갖추어야 한다. 이러한 능력은 공공부문의 인적자원의 역량과 무관하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지방정부가 직면하고 있는 복잡한 행정환경에 대응하여 지방공무원의 역량확보의 필요성에 따라 지방공무원의 역량강화 방안을 모색하고 정책제언을 하고자 하였으며 기존의 공무원 역량강화 방안이 교육훈련을 중심으로 연구된 점과 실질적으로 최근 교육훈련이 상시학습시간 등 다양하게 전개 되고 있는 점을 감안하여 이와는 차별화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하였다. 지방행정은 종합행정으로써 지방정부의 공무원은 다음과 같이 네가지의 역량을 갖추어야 한다. 첫째, 지방공무원은 주민을 직접 응대하며 민원서비스를 수행하는 공무원으로 항상 주민들의 요구사항이 무엇인지 귀를 기울이고 주민을 위한 행정을 펼치는 서비스 공무원이어야 한다. 둘째, 지방공무원은 정부의 정책과 다양하고 복잡한 지방자치단체의 업무를 동시에 기획하고 집행할 수 있는 일 잘하는 유능한 공무원이어야 한다. 셋째, 주민과의 신뢰를 유지하고 공무원 상호간의 관계를 정립하며 부서간 소통으로 업무를 수행하며 공무원으로서의 청렴을 준수하는 투명한 공무원이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지방공무원은 조직 그 자체의 유지와 존속뿐만 아니라 조직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 변화에 빠르게 적응하는 변화하는 공무원이어야 한다. 연구의 방향은 위에서 제시한 네가지의 요인 즉, 서비스 공무원, 유능한 공무원, 투명한 공무원, 변화하는 공무원을 역량군으로 하여 역량모델을 구성하였으며 서비스 공무원의 역량지표는 주민 및 취약계층 접근성 제고, 주민 대응성, 주민/수혜자 지향, 주민편익, 서비스마인드, 언어표현(사용)력으로, 유능한 공무원의 역량지표는 전문가 의식, 전략적 사고, 문제인식 및 이해, 적응력/유연성, 경영마인드, 정책집행력으로, 투명한 공무원의 역량지표는 신뢰(책임성), 민주성, 정보공유, 의사소통, 공무원 윤리의식(청렴도), 네트워크 구축력(협업)으로, 변화하는 공무원의 역량지표는 교육훈련, 창의성, 리더십, 혁신주도, 변화관리로 각각 선정하였다. 또한 각각의 지표들 마다 공무원이 인식하고 있는 중요도와 현수준을 평가하고 포트폴리오를 구성하여 적극권장 영역, 적극보강 영역, 재검토 영역, 현상유지 영역으로 분류하였으며, 적극보강 영역과 재검토 영역의 역량지표들에 대한 역량강화 방안을 밝혔다. 포트폴리오 구성 영역 중 공무원이 인식하는 중요도는 높은 반면에 현수준 평가가 낮은 영역으로 최우선적으로 보강해야 할 영역은 적극보강 영역이며, 중요도와 현수준 모두 낮게 평가한 재검토 영역은 더 이상의 투자는 필요치 않지만 재검토 대상으로 구분하였다. 분석의 결과 적극보강 역량지표는 주민 및 취약계층 접근성 제고, 주민편익, 정책집행력, 의사소통, 리더십, 혁신주도, 변화관리의 7개의 역량이 다른 역량지표에 비해 현수준을 최우선적으로 보강할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집중투자 또는 관심을 가지고 교육훈련 등을 통해 최우선적으로 역량을 강화해야 할 대상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재검토 영역은 주민/수혜자 지향, 전략적 사고, 경영마인드, 민주성, 정보공유, 네트워크 구축력(협업), 창의성과 같이 7개의 역량으로 중요도 및 현수준이 모두 낮게 평가된 부분이다. 그러나 이 부분에서도 차츰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는바 지방공무원에게 있어 중요한 역량으로 재평가 되도록 다시한번 검토하고 관심을 가져야 할 영역이라 판단된다. 지방공무원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공직자 스스로 자기개발에 부단히 노력해야 하며 스스로의 노력에 의한 의식과 행태의 변화의 주체가 되어야 한다. 또한 지방정부는 공무원들의 역량강화를 위해 끊임없는 투자와 관심을 아끼지 말아야 한다. 지방정부 공무원의 역량은 지방정부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기초가 되기 때문이다.

      • 대안학교의 국어교육 실태 연구

        이영의 서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1855

        1990년대 중반에 이르러 우리 사회는 기존 교육의 반성과 함께 교육권 회복운동이 활발히 전개되었다. 이미 오래 전부터 기존의 제도교육과는 다른 새로운 교육을 추구하는 교육 실천이 시도되어 왔지만 대안교육에 대한 본격적인 논의가 이루어진 것은 1990년대 이후부터였다. 이후 1997년 인성교육 중심의 특성화고등학교를 법제화하면서 대안교육이 제도권 안으로 들어가 활성화 되었고 제도권 곁과 밖에서도 다양한 대안학교가 활발히 운영되었다. 대안학교의 성격과 인식에도 많은 변화가 있었다. 처음 제도권 안으로 대안학교가 들어갔을 때 대부분의 특성화고등학교는 부적응 학생이나 문제아가 다니는 곳으로 인식되어 있었다. 하지만 다양한 형태의 대안교육이 실행되어 오면서 대안 교육은 좋은 환경과 교육내용, 학생의 적성과 진학을 위한 교육의 세 주체 즉 교사와 학생, 학부모의 최상의 선택이요 바람직한 교육을 원하는 사람들의 열망의 산물임을 깨닫게 되었다. 이제 사회적 필요에 의해 다양한 이념을 가진 대안학교들은 우후죽순처럼 곳곳으로 퍼져 나가고 있다. 이처럼 대안교육의 급속한 성장과 발전 속에 대안학교의 중요성이 부상하면서 태동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대안교육의 역사, 이념, 교육과정, 교육환경 등의 실태를 파악하는 광의의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대안학교에서 행해지는 교과교육에 대한 연구는 2000년이 되어서야 본격적인 논의가 시작되었다. 그나마 교과교육에 관한 연구는수학이나 예체능 관련 분야의 논문만 몇 편씩 나와 있고 타 교과목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그 중 국어나 국사와 같은 주요 과목에 관한 연구는 전무한 상황이다. 이러한 현실 속에서 본 연구는 현재 대안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국어교육에 대한 실태를 조사·분석하여 대안학교의 국어교육 내용을 공유하고 국어교육 본래의 이상과 이념을 실현함에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와 더불어 대안학교의 국어교육 실태를 파악해 부족하고 미흡한 점은 보충하고, 발견된 문제점은 대책을 마련해 발전 방향을 제시함에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2005년 현재 인가된 대안학교와 미인가 대안학교에 설문지를 E-mail로 의뢰하였다. 이 중 인가된 대안학교 7개교(간디고등학교, 경주화랑고등학교, 달구벌고등학교, 두레자연고등학교, 산마을고등학교, 지리산고등학교, 한빛고등학교)와 미인가 대안학교 4개교(꿈꾸는 아이들의 학교, 성미산 학교, 전원학교 새벽나래, 풀무농업고등기술학교)의 국어교사가 작성한 설문지를 회수(회수율 68.75%)해 문항별로 분석하여 정리하였다. 설문지 내용은 기초 자료 조사에 대한 문항이 3문항, 교사 현황에 대한 문항이 10문항, 근무 환경에 대한 문항이 6문항, 국어교육의 운용 체제에 대한 문항이 9문항으로 전체 28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체 28문항 중 단답형 문항은 11문항이며 서술형 문항은 17문항이다. 회수된 설문지 중 단답형 질문은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으며, 서술형 질문은 요약·정리해서 분석하였다. 이상의 연구 방법과 절차를 통해 분석된 자료를 종합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게 되었다. 첫째, 대안학교 국어 교사에 관한 것으로 국어교사 중 50% 이상이 5년 이상의 교육 경력을 가지고 있었고 대안학교에 근무하면서 93.3%의 교사가 교육 대학원이나 연수, 국어과 교사 모임, 기타 대안학교 관련 및 상담 관련의 다양한 강좌를 들은 경험이 있다고 응답해 대안학교 교사들이 끊임없이 자기 계발을 위해 노력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대안학교를 지원한 동기와 대안학교에 근무하면서 느끼는 자부심에 대한 교사들의 답변을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교사가 대안학교 교사로서의 자부심과 긍지를 가지고 있었고 대안학교의 이념과 철학에 부합된 가치관을 가지고 있었다. 이와 반대로 위기감과 자괴감을 묻는 질문에서는 자신의 열정이 식고 타성이나 매너리즘에 빠지는 것을 우려하는 자아 성찰 답변과 열악한 근무조건과 재정적인 어려움을 호소하는 답변이 주를 이루었다. 둘째, 교사의 근무 환경에 관한 답변을 분석한 결과 국어과를 담당하는 교사의 인적자원 지원의 확대를 원하는 답변이 많았고 대부분의 교사들이 국어과 외의 학교 제반 업무와 타 교과까지 지도해야 하는 현실 속에서 개인 연구 및 학생과 피드백 하는 시간이 부족하다는 것이 파악되었다. 이는 국어교육의 발전을 위해 꼭 필요한 보완책으로 과도한 업무 분산과 담당교사 보충이라는 응답이 61.5%로 집계되면서 교사들 자체적으로도 이러한 현실적 근무 환경의 개선을 희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국어교육의 운용 체계를 분석한 결과 보통교과로의 국어과목 중 선택과목으로 문학이나 독서, 작문과 같이 교과서 위주의 수업보다는 생활 속에 필요한 과목을 개설해 교육하고 있었다. 또한 국어 수업 시간이 많았고 선택과목 중 문학 과목은 기준단위보다 높은 단위를 학교 자체적으로 채택해 교육하고 있었다. 이는 국어 과목이 상당히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는 사실을 단적으로 보여 주었다. 국어와 관련된 특성화 교과는 매우 다양한 교과를 개설해 운영하고 있었는데 개설 과목을 종합해 분류한 결과 특성화 교과 대부분이 글쓰기, 독서, 발표력 향상에 관련된 과목임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대안학교에서 일상생활에 필요한 국어를 정확하게 이해하며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의 배양이라는 국어과 교육의 이상적 목표에 부합된 교육을 실현하고자 노력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끝으로 본 연구를 위해 조사하고 분석하면서 얻어진 결론을 통해 대안학교에서의 국어 교육의 발전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첫째는 대안학교의 인적 자원의 확대와 교육 환경을 안정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지속적인 재정 지원의 확보를 위한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교육청의 관심과 협조가 있어야 하겠다. 둘째로 대안학교 교사들과의 교류뿐만 아니라 일반 제도권 교사들과의 만남과 정보 교환의 장이 마련되어야 한다. 이는 국어교육에 국한된 요청이 아닌 대안교육 전반에 대한 확고한 인프라 구축과 발전을 위한 제언이다. 마지막으로 대안학교의 국어교육에 대한 다각도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야 하겠다. 특히 현재 대안학교에 관련된 모든 논문이 특성화고등학교만을 대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현실을 감안해 미인가 대안학교에 대한 연구가 활성화될 때 진정한 대안교육의 실체를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When it reached mid-1990s, in our society, the education-right recovery movement was actively developed with the reflection of existing education. Although a practice pursuing new education which wa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education system had already been tried long before, it was after 1990s that the real discussion about the alternative education started. When humanity oriented specialized high schools were legislated in 1997, the alternative education was activated in the systematic education and various alternative schools were actively operated as well out of the systematic education. There was a lot of change in the characteristic and recognition of the alternative education. When the alternative schools firstly entered into the systematic education most of the specialized high schools were recognized as a place for maladjustment or problem children. But having been practiced various forms of alternative education, it was realized that it was the product of ardent wish of the people who wanted desirable education, and the best selection of the tree subjects which are teacher, student and parents of the education, for entering upon studies and aptitude of the students, and good environment and contents. Now by a social necessity, alternative schools with various ideas have spread here and there like bamboo shoots after rain. Like this way, in the rapid growth and development of the alternative education from the fatal movement to present time, as the importance of the alternative schools rose to the surface, wide sense of researches which grasp history, idea, curriculum and environment of the alternative education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But the real discussion for the studies about the subject education done in the alternative schools barely began by 2000. Even so the studies about subject education were some part of thesis which related mathematics of physical education field and the actual condition on the studies about other subjects are hardly accomplished. Among them, studies about important subjects like Korean language or history are wholly lacking. In this present circumstance, this study set its purpose on sharing of the educational contents and realizing the original goal and the idea of the alternative schools by researching and analyzing the actual condition about Korean education which are done in present alternative schools. Together with this, it also set its purpose on making up for the weak points which were discovered during the study and guiding the applicable ways to develop the Korean education in the alternative schools. For this purpose, some questionnaires were requested to the approved and unapproved alternative schools as of 2005 through e-mail. Among them, the returned papers (collection ratio : 68.75%) from the Korean teachers of the approved 7 schools (Ghandi high school, Gyungju Hwarang high school, Dalgubeol high school, Dure natural high school, Sanmaul high school, Jirisan high school, Hanbit high school) and the unapproved 4 schools ( Dreaming kid's school, Sungmisan school, Awaken the dawn school, Poolmoo agricultural school ) were analyzed and arranged by the question item. The contents of the total 28 questionnaires are 3 items about basic data inquiry, 10 items about present condition of teachers, 6 items about working circumstances, 9 items about Korean education operating system. Among 28 items, short answer type is 11 and description type is 17. From the returned question papers, the short question type was arranged by frequency and percentage(%) and the description type is analyzed through summery and arrangement. The conclusion which acquired form the above research method and procedure is as below. First, regarding the Korean teachers of the alternative schools, more than 50% of the teachers have teaching experience over 5 years and 93.3% of them are member of master course, Korean teachers association or various lecturing program concerning alternative schools or consulting institutes, showing that most teachers are making effort to develop themselves at all times. And by analyzing the answers concerning the motive to volunteer and the pride that they have, most of the teachers have the pride of being teachers of the alternative schools and the sense of value that coincides the idea and philosophy of the alternative schools. On the contrary, regarding the questions about sense of crisis and shame, the main current of the answers were self-awareness worrying mannerism and diminishing passion and about bad working condition and unstable financial difficulties.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working conditions of the teachers, there are many schools that wanted more human resources of teachers in charge of Korean subject and it was realized that most teachers had not enough time for feedback from the students because of general affairs which are not connected to their subject. This shows that the most necessary supplement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education is break-up of the overwhelming work and recruiting more human resources, which was the 61.5% of the answers, and most of them hoped that their present working conditions to be improved. Thir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Korean education system, among the general Korean subjects, literature, reading or composition is preferred, which are necessary in common daily life. And not only that the classes are many but also literature subject is being taught more than the standard level. This shows that Korean subject takes a lot of proportion as a matter of fact. Specialized subject concerning Korean subject are operated in various ways which analyzed that they are connected to writing, reading and developing presentation. This shows that the alternative schools are practicing the education which complied with the object of the education law that try to strengthen the ability of appreciation and usage of Korean subject correctly in daily life. Finally, with the result of the research and analysis of this study, it produces a suggestion for the development of the alternative education. First, it requests cooperation for financial aid from the municipal governments and educational institutes for the use of human resources and renovation of educational circumstances. Second, it suggests that the informative exchange between the teachers of both schools is needed to construct stable infra structure. Finally, multi dimensional studies about Korean subject education of alternative schools are needed and as the thesis regarding Korean subject are mostly about the specialized high schools, it should be emphasized that the study include unapproved alternative schools.

      • 유기농산물 원산지표시제가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이영의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1855

        The national income increased and the standard of living improves according to and the consumer the foodstuffs purchase at the time of quality of quality which considers from price is converted with taste and stability. The craving of the consumer makes become larger about the agricultural products which are safe and interest suddenly is coming to be high about organic agricultural products. Authenticates but marks is disclosed and home in case with falsehood and the foreign product agricultural products is becoming known domestic buys with the etc. problem point which transforms. The consumers will be safe and from like this situation and quality will be good and for the distance selection which will eat important to confirm a agricultural products home indication. According to use type of organic agricultural products consumer there probably is a difference to organic agricultural products consuming propensity, examined from the research which tries to do so, the VIP who affects organic agricultural products re-purchase at the time of analyzed and also the hereafter consuming magnification plan presented. Th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data which is collected used SPSS 12.0 version and analyzed. Frequency analysis and ranking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range analysis and member arrangement analysis of variance, which executed a stick ear analysis with analytical method. When summarizes the research result which investigation and is analyzed like this with afterwards is same. First, according to demographics school register quality range analysis one resultant age, according to occupation and income level showed the difference which considers to a purchase frequency. The purchase frequency which follows but in the residence of choice the difference did not appear. Second, according to demographics school register quality range analysis one resultant occupation and income level, according to the residence of choice showed the difference which consider to a month average purchase misfortune. The month average purchase misfortune which follows but in age the difference did not appear. Third, according to purchase frequency in use type of the consumer member arrangement analysis of variance (One-Way ANOVA) one resultant home indication proposal important showed the difference this considers to reliability and re-purchase intention. According to month average purchase misfortune in use type of the consumer member arrangement analysis of variance (One-Way ANOVA) one resultant quality authentication proposal importance, showed the difference which considers to reliability and a re-purchase intention.

      • 웹 기반 TGT 협동학습 시스템

        이영의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1855

        TGT(Teams Games Tournaments)는 자신과 학습 성취 수준이 비슷한 학생들이 제시된 문제를 함께 풀고 점수를 얻는 보상이 강화된 협동학습이다. 이제까지의 웹 기반 TGT협동학습은 게임 형식인 순차적 답변 방식으로 구현함으로 단순하고 지루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성에 치우쳐 학습자의 학습 동기를 높이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원활한 게임 진행과 게임이 가지는 흥미로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학습자의 학습 동기를 높이는 웹 기반 TGT협동학습 시스템을 중등학교 컴퓨터교과에 적용하여 구현하였다. 본 연구에서 구현한 웹 기반 TGT 협동학습 시스템을 사용함으로써 교수자는 원활한 게임 진행과 학습 문제, 게임 결과 등을 데이터베이스로 관리하여 시간과 번거로움을 단축시킬 수 있고, 학습자는 게임이 가지는 흥미로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학습 동기를 유발하여 경쟁을 통해 개별학습 성취를 높이는 교육적 효과를 얻는데 목적이 있다. TGT(Teams Games Tournaments) is cooperative learning which reward is reinforced for individuals with the similar level of learning achievement to solve presented problems and make marks. So far, current web-based TGT cooperative learning has been implemented by the method of serial answer which is a form of games so that it is difficult to give rise to students' learning motive because current web-based TGT is leaned on simple and boring user interface implementation. Thus, in this study web-based TGT cooperative learning system, which has easy game proceeding and gives rise to students' learning motive through interesting user interface, is applied and implemented to a middle school computer education curriculum. Objectives of using web-based TGT cooperative learning system implemented in this study is firstly for teachers to reduce time and nuisance by managing game proceeding easily, learning problems, and result of games in a database. Secondly, as students use interesting user interface in TGT cooperative learning system which is one of features of games, not only can it give rise to students' learning achievement through competition, but also it can bring educational effect which helps individuals to gain learning achiev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