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조 윤음언해의 시작, 『효유윤음』에 대하여

        이영경 ( Lee Yeong-gyeong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0 한국학연구 Vol.0 No.59

        본 연구는 정조대의 첫 윤음언해인 『효유윤음』의 국어사적 가치와 그 언어적 특징에 대해 조명해 보는 데 목적이 있다. 『효유윤음』은 정조 즉위년(1777)에 위조 윤음이 유포되자 혼란된 민심을 수습하기 위해 내린 윤음으로, 한문과, 순한글로 된 언해문을 독립된 텍스트로 나란히 싣는 형태로 간행되었다. 이 책은 정조 초기의 윤음인 만큼 전형적인 윤음언해에 비해 다소 과도기적이고 독특한 모습을 보인다. 가장 큰 특징은 윤음언해의 일반적인 번역과는 달리 원문에 얽매이지 않는 강한 의역의 번역을 보여준다는 것이다. 또한 언어적으로는 18세기 후반 국어의 모습을 잘 보여주지만 先代인 영조대의 한글윤음들에 비해 전반적으로 균질성이 떨어지고 정제되지 않은 모습을 보인다. 윤음의 언해에 대한 체계가 갖추어지지 않은 시기에 제작되었기 때문이라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Korean historical value and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Hyoyu-yuneum which was the beginning of King Jeong-jo’s Yuneum-eonhae. Hyoyu-yuneum, which was made in King Jeong-jo’ year of accession, was yuneum to retrieve confused public sentiment because of spreading fake yuneum. This was published a single volume of each text in the original written in Chinese character and the Korean translation written in pure Hangeul. This book appeared to be a transitional and unusual form compared to the typical yuneum-eonhae because this was a initial King Jeong-jo’ yuneum-eonhae. The best feature of this book showed a strong free translation, which was not bound by the original text, in contrast with general translations of Yuneum-eonhae. Although this book showed well a form of Korean in the late 18<sup>th</sup> century, this was generally uneven and unrefined compared to hangeul yuneum in the period of King Yeong-jo. The reason was that the book was published in the incomplete period about a system of yuneum -eonhae.

      • 나눔으로 고객과 하나되는 KIHA - 마음을 돌보는 진찰 서울산업보건센터의 다운회 무료검진

        이영경,Lee, Yeong-Gyeong 대한산업보건협회 2018 산업보건 Vol.2018 No.-

        살면서 한두 번 경험해본 것도 아니건만, 병원 방문은 언제나 두렵다. 차가운 의료기기들과 그중에서도 가장 외면하고 싶은 주사기 등은 해마다 열심히 먹은 나이를 무색하게 만든다. 일반인들도 긴장하는 건강검진에 한바탕 울고불고 난리가 벌어질 것 같지만, 예상외로 다운증후군 장애인들은 얌전히 앉아 자신의 차례를 기다리고 있다. 찬바람이 아직 오기를 부리던 2월 말의 어느 날, 공릉동에 위치한 다운복지관에서는 서울산업보건센터의 무료 건강검진이 진행됐다.

      • 산업보건기관 탐방기 - 요람에서 무덤까지, 국민을 건강하게 만드는 가천대 길병원 국민검진센터

        이영경,Lee, Yeong-Gyeong 대한산업보건협회 2018 산업보건 Vol.2018 No.-

        건강하게 오래 살고 싶은 것은 인류의 오랜 소망이다. 의학의 발달로 수명이 늘어나면서 인간의 관심은 '얼마나 오래 살 수 있는가'의 문제에서 '어떻게 오래 살 것인가'로 변했다. 치료보다 예방이 중요하게 인식되는 오늘날, 가천대 길병원 국민검진센터는 모든 연령대의 사람들이 쾌적하고 편리하게 법적인 건강진단을 받을 수 있는 최상의 검진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 KCI등재

        조선 후기 순한글본 『소학언해』와 그 언어·문화적 가치

        이영경 ( Lee Yeong-gyeong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7 한국학연구 Vol.0 No.47

        이 연구는 조선 후기에 제작된 순한글 표기의 『소학언해』 필사본을 소개하고, 그 언어·문화적 가치를 조명해 보고자 한 논의이다. 이 책은 조선시대에 간행되어 나온 『소학』의 여러 언해 본들의 일반적인 체제와는 달리 언해문은 물론이고 원문인 『소학』의 大文까지 순한글로 표기되어 있어, 비록 필사본이지만 이른바 “순한글본 『소학언해』”라 할 만한 책이다. 원래 4책으로 되어 있었던 듯하나 마지막 1책이 전하지 않아 정확한 필사 연대를 확인할 수 없는바, 우리는 그 번역 양상과 언어 사실을 통해 이 책이 18세기 중후반 경에 필사된 것으로 추정한다. 이 책의 형태는 책의 용도와 독자에 대한 암시를 준다는 점에서 보다 특별한 의미가 있다. 이 책은 한글 사용 계층인 여성이나 아동을 대상으로 이들이 유교 윤리나 규범 등을 쉽게 습득하여 생활 속에서 실천할 수 있도록 하는 실용적인 목적으로 제작된 것이라 판단된다. 나아가이 책의 모습은 다이글로시아, 즉 한문과 언문이 위계적 구도를 형성하던 조선의 문자 생활에서 언문 사용 계층이 자신의 공식문자인 한글로 고전 텍스트를 수용하는 특별한 방식을 보여줌과 동시에, 조선 후기에 이 다이글로시아의 양상이 새로운 방향으로 전개됨을 알려준다. This study introduces a manuscript version of 『Sohak-eonhae』 written in pure Han-geul, which was made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discusses its linguistic and cultural value. This book, although it is a manuscript version, is a pure Han-geul version of 『Sohak-eonhae』 because it is written in pure Han-geul not only Korean annotation sentences of Chinese classics but also original 『Sohak』 text. This is a big difference compared to other translations of original 『Sohak』. It is presumed that this book was transcribed in the mid or late 18th century, considering translation patterns and language aspects, although I cannot confirm an accurate period of transcription because one book has not yet been found in all four books. The form of this book has a special meaning in terms of giving a hint to readers and uses of this book. The aim of this book was practical that women and children who used Han-geul easily learned Confucian ethics and were able to practice in their lives. Furthermore, this book shows a new direction of diglossia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is means that a class who uses Han-geul accepted classic texts as their official letters, Han-geul in the literacy life of Joseon dynasty forming the hierarchical order between Chinese character and Korean character.

      • KCI등재

        형용사 ‘싸다’의 통사(統辭)ㆍ의미(意味)에 대한 사적(史的) 고찰(考察)

        이영경 ( Lee Yeong-gyeong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8 어문연구(語文硏究) Vol.36 No.3

        本稿는 형용사 ‘싸다’가 경험한 統辭ㆍ意味的 변화의 과정과 원인을 糾明해 보고자 하였다. ‘싸다’ 句文은 中世 이래로 ‘NP이 NP이 □다’ 형식을 유지해 오다가 19세기 말부터 변화를 보인다. 주어는 사람이나 사람의 행위로 限定되고, 보어는 주어의 행위에 대한 報償的ㆍ結果를 내용으로 하면서 형식적으로 動名詞도 올 수 있게 된 것이다. 이를 토대로 20세기 초에 ‘-아/어(도) 싸다’ 구문이 등장하게 되는 한편 전통적인 純粹 價値 評價의 ‘□다’ 구문은 급격히 쇠퇴하고 慣用的 表現으로만 그 사용이 한정되게 된다. ‘싸다’는 19세기 들어 한자리 서술어에서부터 그 의미 변화가 시작된다. ‘□다’의 意味 顚倒는 ‘□다’와 ‘빋□다’가 同義語로 사용되다가 ‘빋□다’의 ‘빋’의 의미 변화로 그 形態·意味的 관련성을 상실하면서 類義 競爭을 한 결과로 보인다. 이 변화는 ‘-아/어(도) 싸다’ 구문으로 파급되어 否定的 의미만을 나타내는 것으로 의미가 축소되었다. I considered in the process and cause of syntactic-semantic changes on an adjective “ssada” from a historical point of view in this paper. A change of “ssada” construction has been started in the late of 19th. A subject was qualified to human and it's behavior, and verbal noun has been used as a complement in the ‘NP-i NP-i ssada(NP이 NP이 싸다)' form. On the basis of its changes, ‘-a/?(do) ssada(-아/어(도) 싸다)' construction has made an appearance in the beginning of 20th. And “ssada” construction's usage that had have gotten a function to judge purely value before has been enervated dramatically and “ssada” construction has been in use as idiomatic expression. “Ssada” that has been a polysemy originally has made a change of meaning in condition of one valency predicate in 19th. In my opinion, a synonymy clash of ‘ssada' and ‘bitssada' owing to loss of a relation in its word form and meaning has led to a meaning inversion of ‘ssada'. The change had an effect on ‘-a/?(do) ssada(-아/어(도) 싸다)' construction and ‘-a/?(do) ssada(-아/어(도) 싸다)' construction represented only the negative meaning.

      • KCI등재

        『소학(小學)』의 학습과 조선(朝鮮)의 다이글로시아 - 조선 후기 『소학언해(小學諺解)』의 상이(相異)한 두 필사본(筆寫本)을 중심으로 -

        이영경 ( Lee Yeong-gyeong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8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6 No.3

        본 연구에서는 조선 후기에 제작된 『소학언해』의 두 필사본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계층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나는 『소학』의 수용 양상 및 학습법, 그리고 그것이 드러내는 조선 사회의 다이글로시아의 실상을 조명해 보고자 하였다. 두 책은 모두 간본 『소학언해』를 저본으로 하되, 하나는 한문 원문이 대폭 축약된 것이고 또 하나는 언해문은 물론 원문도 모두 한글로 표기해 놓은 것으로, 본고에서는 전자를 ‘축약본’, 후자를 ‘순한글본’이라 하였다. 축약본은 구결 중심의 원문 축약과 학습자의 주석 첨기 등을 통해 궁극적으로 『소학』 원문의 정확하고 충실한 이해에 목표를 둔 사대부 계층의 『소학』 학습의 양상을, 반면 순한글본은 생활속에서의 유교 가치관 및 규범 함양과 같은 실용적 목적을 위해 언해문만을 활용하여 내용을 쉽게 습득하고자 한 여성들의 『소학』 학습의 양상을 보여준다. 또한 한자와 한문을 학습에 적극 활용하는 축약본과, 온전히 한글을 통해 내용을 수용하는 순한글본의 모습에서 한문과 언문의 위계적 사용이라는 조선 사회의 다이글로시아의 실상이 여실히 드러난다. In this article, I examines empirically the learning methods of Sohak (Elementary learning) which appear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class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two manuscripts of the Sohak-eonhae (Korean Translation of Sohak) transcribed in the late Joseon period from the printed version of Sohak-eonhae published in 1588. With these comparison and analysis, I show the reality of diglossia in the late Joseon society. The two manuscripts Sohak-eonhae are all written in Korean alphabet, Hangeul, which are transcribed from the same printed version. The one is the ‘retrenched version’ by retrenching many of the Chinese original text, the other is the ’Hangeul version’ written only with Korean alphabet by inscribing all the Chinese original texts with Hangeul. The retrenched version shows the pattern of learning Sohak of literati class that aimed ultimately at the accurate and faithful understanding and studying of the original Sohak text through the method of retrenchment of the original sentences, learner's conciliation, and adding annotation arbitrarily. On the other hand, the Hangeul version shows the practical purpose of the women who wanted to acquire contents of Confucian values and cultivation of norms in the daily life with the learning Sohak-eonhae easily by using the vernacular sentences written only with Korean alphabet rather than academic acceptance of Sohak studies. In addition, the literati class seeks to learn deeply about the original text of Sohak by actively utilizing Chinese character and Chinese sentences that are familiar to them, while women accepted Confucian contents of value in their lives using ‘their sole character Hangeul’. This show the characteristic situation of hierarchical use of Chinese characters and Eonmun Hangeul, that is to say, the shape of diglossia in the late Joseon period.

      • KCI등재

        사서삼경(四書三經)의 언해 양상과 표기상의 특징

        이영경(Lee, Yeong-gyeong) 우리말글학회 2013 우리말 글 Vol.57 No.-

        이 연구는 사서삼경언해가 보여주는 독특한 언해 양상과 표기상의 특징에 대해 논의하였다. 사서삼경의 언해는 극단적인 직역의 모습을 보인다. 원문의 한자나 통사 구조를 국어화하기보다는 이들을 언해문에 그대로 반영하려는 경향이 강하여 언해문이 그 자체로 의미 이해가 어려운 경우가 많다. 이는 사서삼경의 언해가 번역 자체의 완성도보다는 원문의 이해를 위한 효용성에 주안점을 두었기 때문이다. 특히 원문 한자 가져오기에 의한 불완전한 번역은 원전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학습하려는 목적을 가진, 이미 한문과 경서에 익숙한 이 책의 독자들에게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의도된 번역이었다. 사서삼경언해는 표기에 있어서도 다른 문헌에 비해 규칙성과 통일성을 강하게 보여준다. 이는 ‘?-’의 동명사형이 ‘홈’으로 통일되어 거의 예외 없이 분철 표기로 나타나거나, 선어말어미 ‘-?-’ 앞에서 어간 말음 ‘ㄷ, ㅅ, ㅈ, ㅊ’이 ‘ㄴ’으로 표기되는 비음화 현상의 반영이나, 각자병서에 의한 ‘ㄹ’ 말음 뒤의 경음화 현상의 반영 등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이들은 사서삼경언해의 규범적 성격을 드러내주는 예라 할 수 있다. This paper aims to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translation and orthography in Saseosamgyeong-eonhae. Saseosamgyeong-eonhae show the tendency of extreme literal translation. The tendency was very strong that Chinese words and syntax structure of the original text were used intactly in the translated sentence instead of changing them into Korean. Therefore, it was difficult for reader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translated sentences in itself. The translators of Saseosamgyeong placed more emphasis on making learn the original text rather than translating to Korean completely. They performed incomplete translation intentionally by using the original Chinese words intactly in the translated sentences. They intended the readers who were used to Chinese characters and the Confucian classics could learn the original text exactly. Saseosamgyeongeonhae shows regularity and unity in orthography compared to other literatures. These characteristics appears in syllabication spelling (‘Buncheol’) of a gerundial form ‘-hom’ and the reflection of nasalization and glottalization in specific conditions. I think that these examples show normativity of Saseosamgyeong-eonhae.

      • KCI등재

        『소학언해』의 한 필사본에 대하여 -궁유한사(窮儒寒士)의 『소학』 학습과 그 언어 사용 양상-

        이영경 ( Lee Yeong-gyeong ) 국어학회 2016 국어학 Vol.80 No.-

        이 논문은 『소학언해』의 특별한 한 필사본을 소개하고 그 자료적 가치를 조명해 보고자 한 논의이다. 이 책은 한문 원문을 각 구절의 끝 글자만 취하여 이어지는 구결과 함께 제시하는 방법으로 축약하고 언해문은 온전히 제시하는 체제로 되어 있어, 17세기 개인 출판의 이른바 “궁유한사본” 사서언해와 완전히 동일한 모습을 보인다. 따라서 이 책은 비록 필사본이지만 아직 알려지지 않은 『소학언해』의 궁유한사본이라 할 만한 것으로서 그 자체로 자료적 가치가 크다. 이 책의 또 다른 가치는 권말에 이 필사본의 저본으로 여겨지는 간본에 대한 간기가 적혀 있고 이어서 필사기가 붙어 있는 것인데, 이 간기는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은 『소학언해』의 또 다른 지방 번각본의 존재를 알려준다. 한편 이 책은 필사본으로는 드물게 필사 연대와 필사자에 대한 명확한 기록이 있어 당시의 언어 사실을 확인할 수 있는 국어학적 자료로도 활용할 수 있다. 나아가 이 책은 그 필사자인 “궁유한사”가 실제 이 책을 가지고 학습한 흔적을 생생하게 담고 있다는 점에서 보다 특별한 가치를 지닌다. It is focused on introducing a special manuscript version and illuminating value of this text < Sohak-eonhae > in this paper. It makes us find the special style omitting the original text but being left on translating wholly in Korean. It is the same style to “Gungyuhansabon” Saseo-eonhae to be published by someone for sale as Xerographic version in 17th century. For this reason, it is a very interesting manuscript version of “Gungyuhansabon” Sohakeonhae that we have ever not found, on aspect of a form of translation style that is different to some of published < Sohakeonhae > before. Another value in this book tells us the existence of reprint copy of previously unknown < Sohak-eonhae > in other areas through the imprint of the end of this book. Moreover, this book is useful for researchers who want to examine real language at that time as Korean linguistic resources because there was an obvious record about the year of manuscript version and transcriber. Finally, this book has an exceptional value because of the real trace that “Gunguhansa”, who was a transcriber, studied this book.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