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명대(明代) "신화(新話)"류(類) 소설의 소설사적 의미

        이시찬 ( Si Chan Lee ) 동방한문학회 2008 東方漢文學 Vol.0 No.36

        본 논문은 『전등신화』를 비롯하여 명대에 유행한 `新話`類 소설들의 소설사적 의미를 되짚어보는 것을 주요한 내용으로 삼고 있다. `新話`類 소설은 대체로 전기소설의 전통을 계승한 것으로 백화소설의 발전과는 분명 다른 궤적을 밟고 있다. 즉 소위 문언소설을 주로 향유하는 계층인 사대부 문인들의 글쓰기 방식과 문학작품 속에 구현된 주제의식은 통속적인 것을 지향하는 백화소설과 비교해 보았을 때, 해당 시기의 전반적인 사회상을 표현하기보다는 사대부 문인들의 소일거리가 될 만한 기이한 내용들이 주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명대의 `新話`類 소설들은 이러한 주제의식을 탈피하여 당시 사회에 벌어지고 있는 다양한 문제들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는 공통점을 지니고 있다. 조금 더 시대를 거슬러 올라가면 元代의 「嬌紅記」가 작품을 통해 시대의 아픈 단면을 보여주려는 시도가 있었다. 瞿佑를 비롯한 일련의 명대 소설가들은 개별 작품으로서가 아니라 다수의 창작물을 책으로 엮어 `新話`類 소설의 전통을 계승해 나갔다. 또한 이러한 소설쓰기 방식은 조선의 소설계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는데, 김시습의 깊은 철학적 사고와 더불어 『金鰲新話』에 구현된 사회비판적인 주제의식은 소설이 단순히 오락적인 기능을 뛰어 넘어 그 사회에 문제의식을 던지고 반향을 불러일으킬 정도로 성숙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唐宋 傳奇小說의 관심이 주로 `기이한 것을 전한다`라는 것에 집중되어 있었다면 명대에 본격적으로 유행한 `神話`類 소설들은 `기이함`에서 한 발 더 나아가 사회와 현실의 문제점을 함께 지적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실로 크다고 하겠다. This thesis is for the emphasizing of significance of `XinHua` in Chinese novel history. `XinHua` type novels include Luchuangxinhua(綠窓新話)·Jiandengxinhua(剪燈新話)·Jiandengyuhua(剪燈餘話)·Jinaoxinhua(金鰲新話)etc. `XinHua` type novels had been published the middle and later period of Ming Dynasty, and they are very important material showing a transitional stage of novels forms from romance in the Dang Dynasty to the classical tales of East-Asia in the 15-17 century. We can see not only every period `XinHua` type novels has new paradigm but also aspects of East-Asia novel system. Especially, in the social mood of rejection of novels in Chosun, the publishment of a glossary for a novel really was an accident in the history of novels. Considering the fact that along with Kin Si-seup`s Jinaoxinhua(金鰲新話), Chuanqimanlu(傳奇漫錄) in Vietnam and Jiabeizi(伽婢子) in Japan were influenced by Jiandengxinhua, its influence should not be regarded as a peculiarity of Chosun. However, Jiandengxinhua received such interest and affection even in Chosun scholars and officials` trend to reject novels that it was very special on the sides of literature and theme.

      • KCI등재
      • KCI등재

        『대당삼장취경시화』연구

        이시찬(Lee, Si-Chan) 중국문화연구학회 2018 중국문화연구 Vol.0 No.40

        This paper focuses on the narrative structure & content analysis of Datang San Zang Buddhist Scriptures text. We can see the value and character of this book from this study. The first is mostly the morphologic theory associated with the format and genre of the epic tale. I have made a clear analysis of the difference between poetry as a style generally referred to in Chinese literature. And I analyzed where the ‘說经’ belongs among the ‘說話四家’ classified by the storytellers of the Song Dynasty. In particular, I argued my opinion on the problems raised by ‘李時人’ ‘蔡鏡浩’ two scholars by referring to related papers and previous research. Second, I attempted a structural analysis of how the narrative of this book evolved. This book consists of 17 chapters. Chapters 1 through 6 are mainly two characters, ‘Monk Tang’ and ‘Monkey King’. And the story is that Monk Tang overcame his first tribulation with the help of Monkey King. The most notable of the chapters 7 to 13 is that ‘Monk Sha’ appears. ‘Monk Sha’ had an inevitable connection with ‘Monk Tang’ in his previous life. He had eaten Monk Tang in his previous life, and put on a necklace made of skulls. Chapters 14 through 17 primarily describe the process of the monk’s arrival in India and obtaining Buddhist books. In particular, this novel emphasizes the process of obtaining the Original Text of ‘Prajnaparamita-hrdaya-sutra’. I expect that the analysis in this paper will be a good reference for researchers especially in ‘Journey to the West’.

      • KCI등재

        송원시기(宋元時期) 고려(高麗)의 서적 수입과 그 역사적 의미

        이시찬 ( Si Chan Lee ) 東方漢文學會 2009 東方漢文學 Vol.0 No.39

        본 논문은 고려가 당시 중국의 宋·元 왕조로부터 주로 어떤 책들을 수입하였으며, 그러한 서적의 수입으로 인해 중국과 고려의 문화는 서로 어떤 영향을 주로 받게 되었으며, 또한 송과 원의 지식인들은 고려와의 서적 교류에 대해 어떤 시각을 가지고 있었는가를 주로 살펴보아 그 역사적 의미를 되새겨보는 것이다. 본고는 바로 민족문화의 초석을 세우고 오늘날까지도 고려인(Korean)으로 정체성을 지켜나갈 수 있게 된 원동력을 고려시대의 서적을 중심으로 한 선진 문물의 적극적인 수입과 그것을 토대로 구축한 사상과 문화적 시스템으로 인식한 것에서 비롯되었다. 필자는 우선 고려인이 주로 수입한 서적의 양상을 과거제도와 불교의 중흥이라는 두 가지 관점에서 개괄적으로 살펴보았다. 당시 과거를 통해 새로운 인재를 발굴하고 고려의 정치적, 문화적 기초를 굳건히 하고자 했던 지배층은 특히 과거에 초점을 맞추어 적극적으로 서적을 들여왔고, 이는 훗날 고려의 사회가 점진적으로 유교적 질서를 갖춘 국가로 재편되어가는 것을 예고했다. 그 반면에 불교는 여전히 사상적, 종교적 버팀목으로 특히 원대에 국가적 위기를 맞았을 때, 주변국으로부터 불경을 적극적으로 수집하고, 이를 토대로 `고려대장경`을 완성한 것은 오늘날까지도 우리의 자부심으로 남을 만큼 그 의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두 번째는 이러한 서적 교류에 대해서 송과 원의 지배층이 바라보던 몇 가지 시각을 살펴보고, 그 역사적 의미를 재조명해보았다. 소식을 대표로하는 일련의 한족 지식인들은 고려가 중국의 서적을 대량으로 구입해가는 것에 상당부분 경계를 했다. 이는 당시 동아시아의 정세를 고려할 때 고려가 문명국으로 도약해 중국을 위협할 수도 있다는 불안감을 반영한 것인 즉, 고려가 물리적인 힘뿐만 아니라 정치와 문화적으로도 토대를 굳건하게 하고자 한 의지가 함축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몽고에 의해 세워진 원제국은 힘에 의해 동아시아를 제패했으나 문화적으로는 비교적 관대한 정책을 폈다. 때문에 고려는 문화교류에 더욱 박차를 가할 수 있었고, 이는 훗날 유학을 비롯한 불교사상이 진일보 발전할 수 있었던 토대가 되었다. This thesis is for the emphasizing of significance of the books exchange between Korea and Song-Yuan Dynasty. In this paper, what are books include Confucianism scriptures, Buddhist scriptures, The literary etc. In This paper, I tried to explain that books exchange affects the development of culture in Korea Dynasty. Koreans paid special attention to import books from China, because How Korea Dynasty succeeds in leaping to a powerful country in East-Asia depends on how to construct culture system. 『TaiPingGuangJI』·『TaiPingYuLan』·『CeFuYuanGUi』·『a collection of all the sacred writings of Buddhism』 had been published in Song Dynasty, and they were very important and took lead to East-Asia study and culture. We can see not only『the Tripitaka Koreana』has new paradigm but also aspects of Korea publish system. SuShi objected as a typical intellectual of Song Dynastythat the Korean was too dangerous to export books to Korea. Because he remain wary of a nation which appears to harbor imperialist ambitions. But, the intellectual of Yuan Dynasty expected to exchange in culture and study between two countries. Especially, the exchange of books and scholars promote cultural exchange among nation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소설《서유기》형성과정 연구

        이시찬 청주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6 人文科學論集 Vol.53 No.-

        歷代硏究者對《西遊記》的詮釋和硏究多得不可勝數, 往往仁者見仁, 智者見智, 甚至有些問題, 聚訟紛紜, 迄無定論. 基於此, 本文試圖以槪括形式對《西遊記》形成過程進行整理和分析,主要內容如何: 其一, 西遊故事的胎動問題.《西遊記》作爲一部世代累積而成的作品, 在史實開始到完成一部小說的過程中, 從唐僧玄奘所作的《大唐西域記》繼承了基本地理的背景.其二, 西遊故事的脚色問題.《西遊記》人物的塑造, 不是吳承恩一人筆下而成, 而是從唐變文, 宋元話本,《大唐三藏法師取經詩話》,《西遊記》雜劇等各種形式前代文學作品脚色而成的. 其三, 小說《西遊記》版本問題.《西遊記》的版本非常豐富. 其中, 邱處機《西遊證道書》、楊致和《西遊記傳》、朱鼎臣《唐三藏西遊釋厄傳》、吳承恩《西遊記》爲最重要. 筆者簡單地整理其來龍去脈.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