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日帝時代 親族慣習의 변화와 朝鮮民事令 개정에 관한 연구

        이승일 漢陽大學校 大學院 1998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논문은 조선민사령 제 11조의 성립과 개정을 조선의 친족관습의 변화라는 관점에서 접근한 것이다. 일제가 1912년의 조선민사령을 통해 친족·상속에 관해 관습법주의를 표명한 것은 조선사회의 독자성을 인정한 결과였다. 조선총독부는 1906년부터 조선의 관습에 대한 체계적인 조사작업을 실시하였고, 1910년에는 관습조사결과를 보고서의 형태로 발간하였다. 이 때 발간된 ‘慣習調査報告書’를 통해 일제는 조선관습과 일본민법과의 차이를 인식했던 것이다. 그러나 관습조사보고서를 통해 확인된 조선의 관습은 매우 불안정한 상태에 놓여 있었기 때문에 많은 문제를 야기하였다. 그것은 조선관습의 실체를 둘러싼 조선총독부 내부의 갈등으로 표출되었다. 조선관습의 불안정성은 조선총독부 내부에 그대로 투영되어 지방장관·지방법원과 조선총독부간의 조선관습의 실체를 둘러싼 回答이 속출했다. 그 회답의 주된 내용은 첫째는 조선 재래의 관습의 실체에 대한 것이었고, 둘째는 조선의 관습에 존재하지 않았던 새로운 관습을 어떻게 처리할 것인가였다. 이와 같은 새로운 관습의 출현은 한말 이래의 조선사회의 변화의 결과였다. 서양열강과 일본의 침투와 조선사회의 자체 변화는 상호영향을 주면서 조선의 관습을 변형시켜 나갔다. 조선관습의 변형의 방향은 구관습이 신관습에 의해 부정되는 쪽으로 진행되고 있었다. 조선총독부가 법적으로 인정했던 관습은 조선 재래의 구관습과 한말·일제시대에 새롭게 형성된 신관습으로 구성되어 있었지만, 한일합병 이전에 이미 조선의 관습은 근대적 모습을 갖추고 있었다. 이러한 조선관습의 근대화는 한일합병이라는 외부적 충격에 의해서도 좌절되지 않고 오히려 더욱 급속한 발전을 하였다. 바로 이러한 조선관습의 근대적 변화가 일제의 조선관습에 대한 접근태도를 변경시켰다. 그 결과 조선민사령 제 11조 제 2차 개정이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조선민사령 개정도 조선관습의 근대적 변화가 이끌어낸 법률의 변화로 보아야 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언급하면 협의이혼은 1900년대 중반경에 관행으로 성립하기 시작해서 1915년에 관습법으로 인정받았고, 재판상 이혼은 1909년에 최초로 확정판결을 받은 이래 1910년대 중후반경에 관습법으로 인정받았다. 庶子가 있는 경우의 入養不可 관습은 1917년에 관습법으로 정립됐고, 협의이연은 1915년경에, 재판상 이연은 1922년에 관습법으로 성립하였다. 이와 같이 친족에 관한 중요한 관습들은 1910년대 중후반경에 이미 구관습을 탈피해서 신관습으로 확고히 자리잡았던 것이다. 그리고 사회의 변화에 따라 관습의 변화가 뚜렷해지고, 신관습이 사회의 전면에 등장하자 일제는 1922년 12월에 조선민사령 제 11조 제 2차 개정을 하였던 것이다. 따라서 조선민사령 개정도 조선관습의 변화가 이끌어낸 법률의 변화로 보아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은 연장선상에서 일제시대 연구방향이 조선사회의 연속성과 독자성을 강조하는 쪽으로 전환되기를 바란다. 이러한 노력이 일제시대의 역사를 식민통치사가 아닌 조선의 사회사로 돌려 놓을 수 있기 때문이다.

      • 朝鮮總督府의 法制政策에 대한 硏究 : 朝鮮民事令 第11條 '慣習'의 成文法化를 중심으로

        이승일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legislative policy of the Joseon Government General during the colonial period from the viewpoint of 'codification of Joseon customary law. The colonial Joseon's legal system was legislated under a cooperative arrangement between the Japanese government and the Joseon Government General. Specifically, the biggest challenge to establishing Japanese colonial policy in Korea was how to make the Japanese legal system comply with Joseon customs while legislating Joseon's civil laws. After the Japanese government annexed Korea, it didn't completely impose its legal system on the Joseon people; rather, it allowed the Joseon Government General the right to legislate and enact various pieces of legislation. Therefore, the Joseon and the Japanese were governed by two different legal systems, both in content and form. The Joseon Government General and the Japanese government established legal systems concerning civil matters through promulgation of the Joseon Civil General Act in 1912. The Joseon Civil General Act of 1912 stipulated that 23 Japanese laws and regulations including the Japanese Civil Code would be applied to all civil cases throughout the Joseon area, Joseon customs would be applied to cases related to relatives, succession, and immovable property. Accordingly, the Joseon Civil General Act was woven with two different structures: the continuum of the Japanese Civil Code vs. the remainder of Joseon customs; statute law vs. customary law. The conflicts of these contradictory principles became important factors, which caused changes in the legal systems of the colonial government. The changes in the legal system in the colonial government were attempted by both the Joseon Government General and the Japanese government. From the beginning of the colonial period, the Joseon Government General had been criticized for the fact that the judicial system had been operated based on customary laws. Therefore, to legislate statute law in cases of relatives and succession, it tried to amend Article 11 of the Joseon Civil General Act and to enact a law on a family register system. Then, by enacting common law in 1918, the Japanese government tried to continue its legal influence between Japan and the colony. In the midst of this process, an objective change of the civil legislation system in Joseon was required. However, regarding the Joseon Government General󰡑s policy of 'custom codification', the Japanese government insisted that Japanese civil code should be applied to Joseon instead of Joseon customary law. The Japanese government acknowledged customary law in the colonial legal system, but did not want to allow its codification. Eventually, the Joseon Government General acceded to the pressure of the Japanese government and was forced to downsize the scope of the amendment of the Joseon Civil General Act. The insistence by the Japanese government of uniformity with Japanese Civil Code was not meant to take precedence over the entire legal system in Joseon; rather it meant a passive uniformity of the legal system, to which the Japanese Civil Code was applied only when codifying of the customary law, while the customary law in the colony was allowed. Having accepted the assertion by the Japanese government of the uniformity of the legal system, the Joseon Government General completed the codification of customary law in Joseon by applying the Japanese Civil Code, but didn't give up the plan to codify special customary law in Joseon. However, the codification policy of customary law of the Joseon Government General after the 1920s was bound to be under the strong influence of the uniformity of the legal system by the Japanese government. During this process, the codification of customary law in Joseon was changed to a situation where, in principle, the Japanese Civil Code was applied. While the codification of customary law in Joseon was a major focus in the 1910s, the application of the Japanese Civil Code was emphasized in the 1930s. These changes were caused by the following two factors first, during the amendment of Article 11 of the Joseon Civil General Act in 1921 and 1922, the Joseon Government General accepted the principle of uniformity of the legal system asserted by the Japanese government. Second, among officials in the Joseon Government, there was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those who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he uniformity of the legal system, rather than the codification of customary law in Joseon. According to this tendency of the time, the Joseon Government General introduced the Japanese Relatives Act, including the naming and adoption system, through the amendment of Article 11 of the Joseon Civil General Act in 1939. The Joseon Government General continued to attempt to codify customary law in Joseon until the early 1940s, after which time changes in the colonial government system by the Japanese led to colonial legislative activities being restricted. After the Pacific war broke out in 1941, the Japanese government tried to govern the colonies directly. During this process, regarding the legal system in the colonies, the Japanese government changed its policy from a 'passive uniformity of legal system' to an 'active consolidation of legal application'. In 1912, the Joseon Civil General Act adapted the principle of old customary law in Joseon, which was recognized by the Japanese government and the Joseon Government General; after the middle of the 1940s, customary law in the colony lost its application when the colonial policy of the Japanese government transitioned into the policy of consolidation of legal application. The Japanese government tried not only to deprive of the colony of customary law, but also to abolish the colonial administration and to deprive the people of the right to legislation by the Joseon Government General. As you can see from the above, the legal system of colonial Joseon was formed from a contradictory relationship: the principle of Japanese Civil Code vs. the principle of Joseon customary law; statute law vs. customary law. And legislation by the Joseon Government General to codify of custom of the principle of Joseon old customary law in Joseon Civil General Act was transformed and came to naught as the colonial policy of the Japanese government had changed. 이 논문의 목적은 식민지 시기 조선총독부의 법제정책을 ‘조선관습의 成文化’라는 관점에서 분석하는 것에 있다. 식민지 조선의 법제는 일본정부와 조선총독부간의 상호 협상과 갈등을 통하여 제정되었고, 조선관습의 특수성을 일본본국의 법 체제 속에서 어떻게 수용할 것인가 하는 점이 법제정책의 최대 과제였다. 일본정부는 한국을 병합하였지만 일본본국의 ‘法律’과 ‘勅令’을 조선에 그대로 연장․시행하지 않고, 조선총독에게 입법권을 부여하여 각종 법안을 제정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조선과 內地는 서로 법령의 내용과 형식을 달리하는 異法地域을 형성하였다. 조선총독부와 일본정부는 1912년에 조선민사령을 공포하여 조선의 민사법제를 확립하였다. 1912년 조선민사령을 계기로 당시까지 일본정부가 취하고 있었던 舊慣主義的 식민지 민사법제가 부정되고, 일본민법 依用을 원칙으로 하는 ‘朝鮮型 民事體制’가 확립되었다. 1912년 조선민사령은 조선지역의 모든 민사사건에 관해서 일본민법을 비롯한 총23개의 일본법령을 依用할 것을 천명하였고, 친족․상속․부동산물권 등에 관해서는 조선관습을 적용하기로 하였다. 따라서 조선민사령은 ‘日本民法(延長)主義-朝鮮舊慣(溫存)主義’, ‘成文法-慣習法’의 다중적 구조로 형성되었고, 상호 모순적 원리들의 대립과 갈등은 식민지 민사체제를 변화시키는 요인이었다. 식민지 법제의 변화는 조선총독부와 일본정부가 모두 모색하였다. 조선총독부는 친족 및 상속에 관해서 조선관습에 법적 효력을 부여하였으나 관습법은 법적 안정성을 결여하였기 때문에, 식민초기부터 관습법으로 司法을 운용하는 것에 비판적이었다. 따라서 조선총독부는 친족 및 상속에 관해서 成文法制를 제정하기 위해서 조선민사령 제11조 개정과 호적제도 제정을 추진하였다. 조선총독부는 식민지 초기 ‘慣習 法認化’ 정책에서 1910년대 후반 ‘慣習 成文化’ 정책으로 이행하고 있었던 것이다. 그리고 일본정부는 1918년에 공통법을 제정하여 식민본국과 식민지간의 법률적 효력을 延長시키려 하였는데, 이 과정에서 조선의 민사법제의 변화도 객관적으로 요청되었다. 그러나 조선총독부의 慣習 成文化 정책에 대해서 일본정부는 조선관습의 일본민법으로의 통일을 주장하였다. 일본정부는 식민지 법제에서 관습법을 法認하기는 하였지만 成文法化에는 반대하였다. 일본정부의 반대에 직면한 조선총독부는 근대법 운용의 기초가 되는 ‘能力’과 1910년대 이미 新慣習法으로 확립된 것만을 골라서 1921․22년에 조선민사령 제11조를 개정하고 조선호적령을 제정하였다. 결국 조선총독부는 일본정부의 法制一元化 주장을 수용하는 대신 조선민사령 개정의 범위를 크게 축소하여 수용하는 방식으로 대응하였다. 일본정부의 法制一元化 주장은 조선법제 전영역에 대해서 요구했던 것이 아니라, 식민지 慣習法을 인정하면서 만약에 成文法令化할 경우에는 일본민법으로 통일하라는 ‘소극적 法制一元化’를 의미하였다. 조선총독부는 일본정부의 法制一元化 주장을 수용하여 일본민법 依用 방식으로 조선관습의 成文法化를 완료하였으나, 조선의 특수한 관습을 成文法化하려는 계획도 포기하지 않았다. 그러나 1920년대 이후 조선총독부의 관습 成文化 정책은, 일본정부가 주장했던 法制一元化 주장에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없었다. 이 과정에서 조선관습의 成文化는 일본민법 依用을 원칙으로 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1910년대에는 조선관습의 成文化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으나, 1930년대에는 일본민법 依用이 강조되었다. 이와 같은 변화는 첫째, 1921․22년 조선민사령 제11조 개정 과정에서 일본정부가 주장한 法制一元化 원칙을 조선총독부가 수용한 결과이고 둘째, 조선총독부 내부에서도 조선관습의 成文法化보다는 法制一元化를 강조하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는 것과 관련이 있었다. 이와 같은 시대적 흐름에 맞추어 조선총독부는 1939년에 조선민사령 제11조를 개정하여 創氏改名을 비롯한 壻養子 제도 등 일본의 친족제도를 도입하였다. 조선총독부는 1940년대까지 조선관습의 成文法化를 추진하였으나, 일본정부에 의해서 식민통치기구의 변화가 일어나면서 식민지 입법은 제약받기 시작하였다. 1941년 태평양전쟁이 발발하면서 일본정부는 內外地行政一元化 정책을 추진하여 일본정부가 식민지들을 직접 통치하려 하였다. 이 과정에서 일본정부도 식민지 법제에 관해 ‘소극적인 法制一元化’ 입장에서 ‘적극적인 法域 統合化’ 정책으로 입장을 전환하였다. 1912년 조선민사령의 朝鮮舊慣主義는 일본정부와 조선총독부가 法認하고 있었으나 1940년대 중반 이후 일본정부의 식민정책이 法域 統合化 정책으로 이행하면서 식민지 관습법의 존립의 근거가 상실되었다. 일본정부는 식민지 관습법 뿐만 아니라, 식민지 통치기관의 폐지와 조선총독의 입법권 박탈을 추진하였다. 이상에서 알 수 있듯이, 식민지 조선의 법제는 朝鮮舊慣主義와 日本民法主義간, 慣習法과 成文法간의 대립관계 속에서 형성․유지되고 있었고, 조선민사령 내부의 朝鮮舊慣主義를 成文法 형태로 완성하려는 조선총독부의 특수입법화 노력은 일본정부의 식민정책상의 전환에 따라서 변형․좌절되었다.

      • 소규모학교 통폐합의 효과·비용 분석과 대안 모색 : 전라북도 농산어촌 초등학교 중심으로

        이승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소규모학교 통폐합에 관한 이론적 고찰과 적정규모 학교에 대한 선행연구 검토를 통하여 농어촌학교의 최소 적정규모를 산출해 보았고, 통폐합 이론을 정리하였다. 특히 외국의 통폐합 정책은 농어촌 소규모학교에 대한 획일적 통폐합을 지양하고, 학생과 학부모의 학습권을 보장하기 위한 학생 통학여건을 세심하게 고려하는 등 통폐합과 관련된 우리의 정책에 시사하는 점이 있었다. 이러한 이론적 고찰 결과를 기초로 하여 전라북도 농어촌 소규모학교와 통폐합 실태에 대한 효과와 비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통폐합 효과를 검토하였는데, 통폐합의 부정적 효과로써 소규모학교를 소규모학교에 통폐합 할 경우 그 통합학교가 다시 소규모화 되는 통폐합의 소규모 프랙탈 현상을 발견할 수 있었고, 또한 통폐합은 학생 전출 및 이탈에 크게 영향을 주고 있음이 조사결과 분석되었으며, 통폐합 후 폐지학교 학생들의 스쿨버스를 이용한 통학여건이 불안정하여 외국의 통폐합 후 사후관리와 비교되었다. 그러나 통폐합의 긍정적 효과도 있었다. 경제적 측면에서 학교운영비 및 교직원 인건비 등 예산절감 효과가 있었다. 둘째, 통폐합에 따른 비용분석을 통하여 통폐합에 따라 발생되는 통학버스 구입비, 운영비 및 운전원 인건비 등 통폐합 원가(cost)를 중앙정부의 재정 보전 없이 통폐합을 시행한 지방교육청에서 모두 부담하고 있는 모순을 발견하였다. 셋째, 이와 관련하여 제도적 문제점으로써 통폐합으로 발생한 큰 재정절감효과에도 불구하고 통폐합에 따라 발생되고 있는 인적·물적 비용을 고려하지 않는 재정 배분제도 및 지방공무원 정원관리 제도의 문제점, 그리고 농어촌 교육활성화를 위한 기초자치단체의 교육경비 지원 제도의 현실성 없는 문제점을 리얼리티 분석을 통하여 입증하였다. 이에 대하여 대안을 모색하였는데 첫째, 획일적 가이드라인을 통한 톱다운 방식의 통폐합 정책을 지양하고 선별적 통폐합 정책으로 가기위한 합리적 통폐합 모드를 제시하였고, 둘째, 통폐합 대상이 아닌 농어촌 작은학교를 살리는 방안으로 가장 시급한 복식수업 해소를 위한 계약제 교원 임용 비용을 교육청과 자치단체가 matching fund 방식으로 확보하는 공조체제가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왜냐하면 농어촌이 살아나기 위해선 농어촌학교가 활성화 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셋째, 농어촌 교육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통폐합에 따른 인적·물적 비용을 보전하는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 시행규칙과 지방공무원 정원의 배정방식 등 제도개선의 필요성과 시·군 및 자치구의 교육경비 보조에 관한 규정을 현실성 있게 개선하여야 한다고 제언하였다. 그리고 농어촌 학교 살리기를 위한 사회운동으로써 도·농 학교 교류 프로그램 등으로 농어촌 학교도 amenity 자원화가 가능함을 사례를 들어 강조하였으며, 낙후한 농어촌학교 살리기에 도시와 기업이 동참하는 1사 1촌 운동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왜냐하면 농어촌은 도시인의 휴식과 여가의 공간인 동시에 사회전체의 환경 공간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저출산과 이촌향도에 따른 극심한 인구의 축소로 농어촌이 더욱 왜소해져, 극히 소규모화 될 위기에 처해 있음에도 불구하고 교육소외의 해소 또는 사회적 격차 해소 차원에서 농어촌 교육을 살려야 한다는 논리를 제언하였다.

      • 熱分解 가스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都市 大氣 粒子狀物質 中 黃酸化物의 分析 및 擧動

        이승일 建國大學校 大學院 1996 국내박사

        RANK : 247631

        In this study, aerosols were collected by Hi-volume air sampler, Low-volume air sampler and Andersen air sampler, and measurements of concentration and size distribution of aerosol and inorganic ions were conducted from March, 1991. to June, 1992 at one sampling site in Seoul. An analytical method was investigated to determine volatile sulfate on 400℃ by curie-point pyrorolysis gas chromatography in aerosol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ose obtained by spectrophotometer(water-soluble sulfates). A curie-point pyrolyzer was attached directly to a GC equipped with a flame photometric detector. This method is based on the detection of SO₂ generated by pyrolysis of sulfate. Separating analysis of ammonium sulfate was possible and about 50% of the sulfate was converted to SO₂ when pyrolysis was conducted with a 400℃ pyrofoil on standard ammonium sulfate reagent. However, this method has some advantages such as small size of samples required, rapid analysis of 3 min per sample, simplicity of handling and a low detection limit of 10ng. The analytical results showed a correlation between this method the and spectrophotometer mothod. The this correlation coefficient was 0.34 on TSP and 0.88 on PM10. The concentration of 18 components(SO_(4)^(2-), NO_(4)^(-), NH_(4)^(+), Cl^(-), Al, Ba, Ca, Cu, Fe, K, Mg, Mn, Na, Ni, Pb, Si, Ti, Zn,) on TSP and 10 components(SO^(2-)_(4), NO_(3)^(-), NH_(4)^(+), Cl , Al, Ca, Cu, Fe, Mg, Pb, Zn,) on PM10 were Measured. And monthly and seasonal variation were examined and principal component analysis(PCA) was carried out with respect to the pollutants and minimum of visibility. The total amount of soluble ions in water had the following order SO_(4)^(2-) > NO_(3)^(-) > NH_(4)^(+) > Cl^(-) and metal ions as follows Na > Ca > Si > Fe > Al > K > Mg > Zn > Pb > Cu > Ti > Mn > Ba > Ni on TSP. And There was seasonal variation the concentrations for SO_(4)^(2-) , NH_(4)^(+), Cl^(-), Na, Al, Ca, K, Mg, Fe and Si. It is believed that the components of the highest concentration in April were depend ant on yellow sand and wind velocity and direction. From the results of PCA, the pollution components were characterized with two principal components(Z_(1), Z_(2)). The first principal component Z_(1) was considered to be a factor representing the pollutants, origin and the second principal component Z_(2) was considered to be a factor representing the pollutants, concentration. The monthly concentration of pollutants in TSP, minimum of visibility and radiation on the horizontal surface was evaluated by the use of these two principal components, Z_(1) and Z_(2). The seasonal variation of concentration and the size distribution of aerosols were also been investigated. Aerosols were collected and size-fractionated by Andersen air sampler. Size classified samples were extracted with deionized water and analyzed for ammonium, nitrate and sulfate by ion chromatography. Form the results, the averages of concentration and MMAD(mass median aerodynamic diameter) were 118.58㎍/㎥ and 2.77㎛ for TSP, 1.92㎍/㎥ and 1.35㎛ for ammonium, 1.34㎍/㎥ and 1.58㎛ for nitrate, 8.52㎍/㎥ and 2.15㎛ for sulfate, respectively. The seasonal varaition of concentration and size distribution were observed for ammonium, nitrate and sulfate. The concentration peak of TSP was observed in coarse particles in spring and in fine particles in winter. The concentration distribution of aerosol, ammonium, nitrate and sulfate was observed to be bimodal during all seasons.

      • 한국산 줄반날개아과(딱정벌레목 : 반날개과)의 분류학적 연구

        이승일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한국산 줄반날개아과(Oxytelinae)의 분류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충남대학교 생물학과 곤충표본실[(Chungnam National University Insect Collection (CNUIC, Daejeon)]과 한남대학교 자연사박물관[(Hannam University Natural History Museum (HUNHM, Daejeon)]의 소장표본, 그리고 2005년 4월부터 2006년 9월까지 본인이 채집한 표본 2,054개체를 사용하였다. 정확한 동정을 위하여 미국 시카고 필드 자연사박물관[Field Museum of Natural History (FMNH, Chicago)], 독일 곤충연구소[Deutsches Entomologisches Institut (DEI, Muncheberg)], 독일 훔볼트대학 자연사박물관[Museum fur Naturkunde der Humboldt-Universitat zu Berlin (MNHUB, Berlin)], 일본 도쿄농업대학 곤충자원연구실[Laboratory of Insect Resources, Tokyo University of Agriculture (TUA, Kanagawa)], 그리고 영국 자연사박물관[Natural History Museum (NHM, London)]으로부터 대여한 정기준표본(holotype), 측기준표본(paratype), 선정기준표본(lectotype), 등기준표본(syntype), 증거표본(voucher)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한국산 줄반날개아과는 총 3족[뿔반날개족(Coprophilini), 굽은줄반날개족(Thinobiini), 줄반날개족(Oxytelini)], 9속[통반날개속(Coprophilus Latreille), 산줄반날개속(Aploderus Stephens), 긴뿔반날개속(Bledius Leach), 어리굽은줄반날개속(Carpelimus Leach), 긴줄반날개속(Ochthephilus Mulsant and Rey), 굽은줄반날개속(Thinodromus Kraatz), 주름뿔반날개속(Anotylus Thomson), 줄반날개속(Oxytelus Gravenhorst), 강변반날개속(Platystethus Mannerheim)], 31종이 되었으며, 이 중 3종의 신종[Coprophilus (Zonyptilus) koreanus, Aploderus jejuensis, Thinodromus (Thinodromus) koreanus]을 포함하여 1족 2속 15종이 국내에 처음으로 보고된다. Anotylus amicus (Bernhauer)는 A. lewisius (Sharp)의 동종이명으로 정리하였고, Bledius yemenicus Coiffait는 국내에 분포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각 속과 종의 형태적 특징에 대한 기재문을 그림과 함께 작성하였으며, 한국산 줄반날개아과의 총 목록은 다음과 같다: Tribe Coprophilini Heer, 1839 뿔반날개뿔반날개족 Genus Coprophilus Latreille, 1829 통반날개속(신칭) Subgenus Coprophilus Latreille, 1829 * adachii (Watanabe and Shibata, 1961) 주홍통반날개(신칭) Subgenus Zonyptilus Motschulsky, 1845 ** koreanus new species 우리통반날개(신칭) Tribe Thinobiini Sahlberg, 1876 굽은줄반날개족(신칭) Genus Aploderus Stephens, 1833 산줄반날개속(신칭) ** jejuensis new species 제주산줄반날개(신칭) Genus Bledius Leach, 1819 긴뿔반날개속 Subgenus Bledius Leach, 1819 salsus Miyatake, 1963 긴뿔반날개 Subgenus Hesperophilus Stephens, 1829 * lucidus Sharp, 1874 노랑긴뿔반날개(신칭) sellatus Sharp, 1889 염전긴뿔반날개 yezoensis Nakane, 1963 북방긴뿔반날개 Subgenus Pucerus Mulsant and Rey, 1878 curvicornis Sharp, 1889 돌기수염긴뿔반날개 Genus Carpelimus Leach, 1819 어리굽은줄반날개속 Subgenus Carpelimus Leach, 1819 vagus (Sharp, 1889) 어리굽은줄반날개 Genus Ochthephilus Mulsant and Rey, 1856 긴줄반날개긴줄반날개속(신칭) Subgenus Ochthephilus Mulsant and Rey, 1856 * antennatus (Watanabe and Shibata, 1961) 갈색긴줄반날개(신칭) * vulgaris (Watanabe and Shibata, 1961) 긴줄반날개(신칭) Genus Thinodromus Kraatz, 1857 굽은줄반날개속 Subgenus Amisammus Gozis, 1886 japonicus (Cameron, 1930) 제주굽은줄반날개(신칭) Subgenus Thinodromus Kraatz, 1857 * deceptor (Sharp, 1889) 붉은점굽은줄반날개(신칭) ** koreanus new species 우리굽은줄반날개(신칭) sericatus (Sharp, 1889) 굽은줄반날개 Tribe Oxytelini Thomson, 1858 줄반날개족 Genus Anotylus Thomson, 1859 주름뿔반날개속 cognatus (Sharp, 1874) 주름뿔반날개 crassicornis (Sharp, 1874) 바수염주름뿔반날개 * japonicus (Cameron, 1930) 세모주름뿔반날개(신칭) * latiusculus (Kraatz, 1859) 애주름뿔반날개(신칭) lewisius (Sharp, 1874) 좁쌀줄반날개 mimulus (Sharp, 1874) 딱지주름뿔반날개 * pusillimus (Kraatz, 1859) 꼬마주름뿔반날개(신칭) Genus Oxytelus Gravenhorst, 1802 줄반날개속 Subgenus Oxytelus Gravenhorst, 1802 bengalensis Erichson, 1840 인도줄반날개 * incisus Motschulsky, 1857 붉은줄반날개(신칭) * migrator Fauvel, 1904 작은줄반날개(신칭) nigriceps Kraatz, 1859 검은머리줄반날개 piceus (Linnaeus, 1767) 노랑딱지줄반날개 Subgenus Tanycraerus Thomson, 1859 * takahashii Ito, 1994 설악산줄반날개(신칭) varipennis Kraatz, 1859 태백산줄반날개 Genus Platystethus Mannerheim, 1830 강변반날개강변반날개속 Subgenus Craetopycrus Tottenham, 1939 * japonicus Bernhauer, 1907 반짝강변반날개(신칭) operosus Sharp, 1874 강변반날개 Taxonomy of the Korean Oxytelinae Fleming is presented. A Total of 2,054 specimens deposited i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Insect Collection (CNUIC, Daejeon)], [(Hannam University Natural History Museum (HUNHM, Daejeon)], and personal collections during Apr. 2005 to Sep. 2006 were used for this study. Holotype, paratype, lectotype, syntype, voucher loaned from [Field Museum of Natural History (FMNH, Chicago)], [Deutsches Entomologisches Institut (DEI, Muncheberg)], [Museum fur Naturkunde der Humboldt-Universitat zu Berlin (MNHUB, Berlin)], [Laboratory of Insect Resources, Tokyo University of Agriculture (TUA, Kanagawa)], and [Natural History Museum (NHM, London)] were used for correctidentification. As a result, thirty one species in nine genera (Coprophilus Latreille, Aploderus Stephens, Bledius Leach, Carpelimus Leach, Ochthephilus Mulsant and Rey, Thinodromus Kraatz, Anotylus Thomson, Oxytelus Gravenhorst, Platystethus Mannerheim) and three tribes (Coprophilini, Thinobiini, Oxytelini) are recognized, three of which are described as new species [Coprophilus (Zonyptilus) koreanus, Aploderus jejuensis, Thinodromus (Thinodromus) koreanus]. Anotylus amicus (Bernhauer) was synonymized under A. lewisius (Sharp). Bledius yemenicus Coiffait was incorrect record from Korea. Keys to the genera and species are provided. Illustrations of habitus and line drawings of diagnostic characters are presented. The checklist of the Korean Oxytelinae as follows: Tribe Coprophilini Heer, 1839 Genus Coprophilus Latreille, 1829 Subgenus Coprophilus Latreille, 1829 * adachii (Watanabe and Shibata, 1961) Subgenus Zonyptilus Motschulsky, 1845 ** koreanus new species Tribe Thinobiini Sahlberg, 1876 Genus Aploderus Stephens, 1833 ** jejuensis new species Genus Bledius Leach, 1819 Subgenus Bledius Leach, 1819 salsus Miyatake, 1963 Subgenus Hesperophilus Stephens, 1829 * lucidus Sharp, 1874 sellatus Sharp, 1889 yezoensis Nakane, 1963 Subgenus Pucerus Mulsant and Rey, 1878 curvicornis Sharp, 1889 Genus Carpelimus Leach, 1819 Subgenus Carpelimus Leach, 1819 vagus (Sharp, 1889) Genus Ochthephilus Mulsant and Rey, 1856 Subgenus Ochthephilus Mulsant and Rey, 1856 * antennatus (Watanabe and Shibata, 1961) * vulgaris (Watanabe and Shibata, 1961) Genus Thinodromus Kraatz, 1857 Subgenus Amisammus Gozis, 1886 japonicus (Cameron, 1930) Subgenus Thinodromus Kraatz, 1857 * deceptor (Sharp, 1889) ** koreanus new species sericatus (Sharp, 1889) Tribe Oxytelini Thomson, 1858 Genus Anotylus Thomson, 1859 cognatus (Sharp, 1874) crassicornis (Sharp, 1874) * japonicus (Cameron, 1930) * latiusculus (Kraatz, 1859) lewisius (Sharp, 1874) mimulus (Sharp, 1874) * pusillimus (Kraatz, 1859) Genus Oxytelus Gravenhorst, 1802 Subgenus Oxytelus Gravenhorst, 1802 bengalensis Erichson, 1840 * incisus Motschulsky, 1857 * migrator Fauvel, 1904 nigriceps Kraatz, 1859 piceus (Linnaeus, 1767) Subgenus Tanycraerus Thomson, 1859 * takahashii Ito, 1994 varipennis Kraatz, 1859 Genus Platystethus Mannerheim, 1830 Subgenus Craetopycrus Tottenham, 1939 * japonicus Bernhauer, 1907 operosus Sharp, 1874

      • CYEF(Case Yonsei End Free) 중공사막 모듈의 여과특성과 수리학적 연구

        이승일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침지형 시스템과 외압형 시스템의 장점을 모두 취하여 개발된 CYEF 모듈을 이용하여 막여과 공정의 정수처리 적용 시 걸림돌이 되는 입자성 물질에 의한 케?오염 경향을 조사하였다. 막여과 공정에서 분리막 오염은 운전과정에서 막 표면에 입자성 또는 용해성 물질이 부착 또는 흡착되어 투과도의 감소와 운전 압력 상승의 원인이 된다. 막오염이 빠르게 진행될 경우 물리적 또는 화학적 세정주기가 짧아지게 되고, 막의 사용기간 단축과 운전효율 감소의 원인이 된다. 국내 원수 특성상 대부분 정수장 취수원수가 되는 하천수나 호소수는 고탁도로 유입될 경우 분리막 정수 처리 공정에 커다란 문제를 야기한다. 분리막 오염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정수처리 공정에 사용되는 정밀여과나 한외여과에서는 케?오염이 빠르게 진행된다. 분리막의 여과 성능을 지속적으로 유지시켜 주기위해 입자성 물질로 인한 케?오염의 효율적인 제거방안에 대하여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의해 개발된 CYEF 모듈을 사용하여 정수처리공정에서 입자성 부유물질을 대표하는 물질인 카올린(Kaolin)현탁액의 여과특성을 살펴보았다. 카올린 현탁액의 투과 실험에서 20,000 mg/L의 농도에서만 40LMH 이상의 투과유속으로 30분의 여과 후에 10%가량의 투과도 감소가 일어났다. 이것은 80 L/min (0.145 m3/m2·hr)으로 유지시켜준 연속산기 방식에서는 40LMH 미만의 투과유속에서 임계플럭스가 나타남을 확인했다. 또한 흡착공정과의 연계 시 분말활성탄에 의한 분리막 오염경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CYEF 모듈에 고농도 분말활성탄을 이용한 여과특성을 살펴보았다. 분말활성탄의 투과도의 변화는 카올린과 비슷한 경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한계 압력이상의 조건에서 오염 된 분리막은 꾸준히 투과도가 감소되었다. 감소된 투과도는 산기 세척에 의해서 회복 되지 않았다. 이어서 각기 다른 산기 방식을 CYEF 모듈에 적용하여 각각의 오염 특성을 살폈다. 20,000 mg/L의 고농도 분말활성탄에서의 여과 후 연속 산기 방식이나 계단식 산기 방식에 의한 여과 후에는 고농도 분말 활성탄에 의한 분리막 오염이 회복되지 못하여 여과 압력이 회복되지 않았고 간헐 산기 방식에 의한 운전방식만이 여과 후 산기세척에 의해 여과 압력이 회복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것은 한계압력에서 장시간 운전시 간헐 산기 방식에 의한 운전을 이용하여 분리막 오염을 막을 수 있음을 암시한다. 고농도의 카올린과 분말 활성탄 혼합 현탁액에서도 간헐 산기 방식에 의한 투과 실험으로 여과특성을 살핀 결과 안정적인 운전을 확인하였고, 간헐 산기 시간 최적화에 의해 에너지 비용을 최대한 줄일 수 있었다. 무기물 입자로 형성된 카올린과 분말 활성탄은 막표면에 케이크를 형성하여 투과율을 감소시키지만, 공기세정에 의하여 쉽게 제거되는 가역적인 오염 특성을 보였다. 그러나, 넓은 입자 분포를 가지고 있어 분리막의 큰 세공들을 막아 공기세척과 역세척으로도 투과율이 회복되지 않았다. 간헐 산기 방식에 의한 분리막 오염은 운전 초기 강한 산기와 함께 진행된 여과시간 동안에는 Cake filtration이 주된 메커니즘으로 작용했으며, 이후 산기를 멈추고 여과만 진행되는 동안에는 Intermediate pore blocking에 의한 오염이 진행됐다. 본 실험을 통해 기존의 상용화된 모듈에 비해 CYEF 모듈의 뛰어난 케?오염 제거 성능을 확인할 수 있었고, 정수 처리 공정에 CYEF 모듈 적용 시에도 안정적인 운전을 할 수 있음을 확인 했다.

      • 動다짐工法의 打擊에너지에 따른 改良深度에 관한 硏究

        이승일 昌原大學校 産業情報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performed to decide suitable an empirical coefficient at our country field using the results of dynamic compaction on six sites. The coefficient is distinguished and determined according to 3 kinds of soil of silty sand, waste and rubber. The coefficient is presented suitable at our country field through the comparison and analysis of this results and existing results. I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1) An empirical coefficient must be distinguished and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oil types. (2) In silty sand ground an empirical coefficient must be distinguished and determined according to the material to be containing at this soil. The case which the gravel is contained a=0.60 is suitable, the case which the clay is contained a=0.45 is suitable and the case to be genuine silty sand a=0.50 is suitable. (3) The case of the waste ground a=0.50 is suitable. (4) The case of the rubber ground a=0.75 is suitable but this result must be supply according to the research products to be the appe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