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통일신라시대 비로자나불상의 신라적 변용과 특성

        이숙희(Lee Sukhui) 한국미술사학회 2006 美術史學硏究 Vol.- No.250·251

        통일신라시대의 비로자나불상은 8세기 중엽에 출현하기 시작하여 9세기 중엽 이후의 통일신라 후기에 크게 유행하였던 불상형식이다. 그 연원은 인도와 중국에 두고 있는 것으로 원래 대승불교 경전인 『화엄경』의 법신불에서 발전한 개념이나 지권인의 수인은 중기밀교의 경전인 『금강정경』에서 채용하여 형상화된 것으로 밀교의 양계만다라 중에서 금강계의 본존불인 대일여래와 관련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금강계 대일여래의 도상이 화엄의 비로자니불상에 수용되어 통일신라시대에 널리 신앙되었다는 점은 화엄사상과 밀교가 융합되는 당시 불교사적인 배경에 따른 것으로 신라적인 변용의 한 예로 해석된다. 통일신라시대 비로자나불상은 766년명의 석남사상에서 처음 등장한 이래 대부분 독존의 여래형 지권인상으로 표현되었다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며 현재 약 50점이 알려져 있다. 그중 조성연대를 알 수 있는 조상기를 가지고 있는 상으로는 859년명의 보림사 비로자나불상과 865년명의 도피안사 비로자나불상 2구밖에 없었으나 최근에 불상 복장물에서 발견된 묵서명에 의해 883년의 조성연대가 밝혀진 해인사 목조비로자나불상 2구가 있다. 반면에 불상의 대좌나 석탑에서 발견된 사리호의 명문에 의해 간접적으로 조성시기를 알 수 있는 예는 766년의 석납사 비로자나불상을 비롯하여 863년경의 동화사 비로암 비로자나불상 및 금동사리함의 비로자나불상, 867년경의 취서사 비로자나불상등이 있다. 또 드물지만 법수사와 불국사의 삼존불상이나 동화사 비로암 삼층석탑에서 발견된 금동사리함과 청암사 수도암 삼층석탑의 초층탑신에서 볼 수 있듯이, 五方佛의 하나로 등장하는 예도 있다. 통일신라시대 비로자나불상은 법의를 통견 또는 우견편단으로 입었든지 간에 지권인상이 좌권인상보다 많이 나타나고 있어 법의의 착의법이 수인의 형태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았던 것 같다. 결가부좌한 두 다리 사이에 표현된 부채꼴 모양의 옷주름은 석굴암 본존불의 양식을 따른 것으로 통일신라 후기의 비로자나불좌장에 대부분 나타나고 있을 뿐 아니라 항마촉지인 불좌상에서도 흔히 발견되는 시대적인 특정이다. 입상의 경우는 그 예가 매우 적지만 예외 없이 통견의 법의에 지권인을 하고 있다. 통일신라시대 비로자나불상은 지권인의 형태에 따라 크게 4가지 유형별로 나누어 살펴본 결과, 경전상의 의궤를 기본적으로 따르면서 시기에 따라 유행하는 형식이 있어 시대적인 변화를 보여준다. 오른손으로 왼손의 둘째손가락 끝부분만 쥐고 곧바로 세운 것으로 두 손 사이의 간격이 많이 벌어진 지권인을 Ⅰ형식으로 하고, Ⅱ형식은 Ⅰ형식과 기본적으로 같으나 두 손 사이의 간격이 좁아진 지권인, Ⅲ형식은 오른손과 왼손을 맞붙여서 비스듬히 쥐고 있는 지권인, Ⅳ형식은 두 손의 손바닥을 모두 밖으로 향한 채 지권인을 하고 있는 형태 등으로 구분된다. 예를 들어, Ⅰ형식은 석남사상과 불국사 불상 등 8세기의 여래형 지권인상에서 볼 수 있는 반면에 보관여래형의 지권인상에는 나타나지 않는 것은 여래형보다 늦게 출현하였음을 말해준다. Ⅱ형식과 Ⅲ형식은 8세기 후반부터 나타나기 시작하여 9세기 중엽 이후의 통일신라 후기 비로자나불상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볼 수 있는데 특히 동화사 비로암 불상과 취서사 불상 계통의 지권인상은 법의의 옷주름 표현에서 약간의 차이가 있을 뿐, 양식적으로 매우 유사함을 보여준다. Ⅳ형식은 약간 변형된 지권인 형태로 9세기 후반에서 10세기 초의 불상에 주로 나타나고 있어 시대가 내려가는 요소가 있다. 이와 같이 4가지 유형의 지권인은 대체로 Ⅰ형식에서 Ⅱ, Ⅲ형식으로 변하면서 함께 공존하였으며 Ⅳ형식과 같은 변형을 거쳐 전개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경향은 고려, 조선 시대에 이르면 오른손으로 왼손 전체를 감싸면서 합장하고 있듯이 오른손 둘째손가락을 약간 구부리고 있거나 양쪽 둘째손가락만 곧추 세우고 있는 지권인 형태로 변형되면서 이어졌다. 현존하는 유물을 보면, 보살형과 보관여래형의 지권인상의 예가 매우 적은 데 반하여 여래형의 비로자나불상이 통일신라 후기에 크게 유행하게 되는 데에는 당시의 불교정책이나 불교신앙의 흐름에서 그 요인을 찾아볼 수 있다. 7세기 신라 때부터 왕실이나 귀족세력에 기반을 두고 있던 華嚴이나 瑜伽, 戒律 등을 비롯한 대승불교가 크게 성행함에 따라 8세기 중엽에 전해진 중기밀교와 그 도상이 독립된 하나의 종파로서의 이론적인 체계와 형태를 갖추지 못하고 화엄사상에 자연스럽게 수용되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9세기 중엽에 이르러 경문왕대의 왕권강화 정책과 함께 화엄 사상을 비롯한 대승불교를 재정비하는 과정에서 비로자나불이 집중적으로 조성되면서 통일신라 후기에 유행하게 된 것으로 해석된다. 중기밀교는 화엄사상과 교리적인 면에서 유사정이 많을 뿐 아니라 통일신라 후기에 전래된 선사상에 화엄적인 경향이 강했던 것으로 고려한다면, 중기밀교와 교학불교로서의 대승불교 사상은 쉽게 융화할 수 있는 사상적 기반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융화현상에 따라 통일신라시대의 비로자나불상은 화엄종과 선종 사찰의 본존으로 예배되었던 것이다. 이는 통일신라 비로자나불상이 법신불의 개념으로 종파를 초월한 새로운 신앙의 대상으로 등장하여 비록 지권인을 취하고 있더라도 밀교의 금강계 대일여래로 발전하지는 않았다는 해석을 뒷받침한다. 이렇듯, 통일신라시대의 비로자나불상은 불교신앙의 시대별 추이에 따라 화엄사장과 융화하면서 그 성격과 의미가 신라적으로 변용된 것으로 볼 수 있다. Icons of Vairocana started to appear in the middle of the 8th century and became vastly popular and long remained so in the later half of the Unified Silla that was after the middle of the 9th century. Its origin lay in India and China. The concept of Vairocana originally developed from Dharmakaya of "Avatamska Sutra", the Buddhist Scripture of Mahayana Buddhism. The mudra of 'wisdom fist' (jigwonin), however, was formed by a dopting Vairocana' hand gesture from Vajrasekhara Sutra', the Buddhist Scripture of the Middle Esoteric Buddhism and was related to the Maha - Vairocana, me principal image of Vajradharma among me Mandalas of me Two Worlds in Esoteric Buddhism. The Iconography of the Maha-Vairocana had been adopted in me images of Huayen Vairocana and was widely worshiped in the Unified Silla period. This was in accordance with the phenomenon of those days mat Huayen School and Esoteric Buddhism were fused into one and can be interpreted as examples of Silla style modification. Since its first appearance from statues of Seoknamsa Temple in 766, the biggest characteristic of Vairocana of me Unified Silla Dynasty was mat it was mostly expressed as Yorae type jigwonin. At present, about 50 pieces are known. Among them, as statues whose period of formation was known, mere were only two pieces such as Vairocana of Borimsa Temple in 859 and Vairocana of Dopiansa Temple in 865. But there were two more pieces of wooden Vairocana of Haeinsa Temple whose year of formation was known to be 883 by literary reference being recently found in the center of the chest of Buddhist statutes. On the contrary, as examples whose formation period can be assumed indirectly through expressed provisions of sarira case being found at a pedestal or a stone pagoda of Buddhist statues, there are Vairocana of Seoknamsa Temple in 766, Biroam Vairocana of Donghwasa Temple and Vairocana of a gilt-bronze sarira case around 863, and Vairocana of Choiseosa Temple around 867, etc. In addition, though rare, as we can see from a gilt-bronze sarira case found in Buddha Triad of Beopjusa Temple and Bulguksa Temple or Biroam three stories' stone pagoda of Donghwasa Temple and on the first floor of three stories' stone pagoda of Cheongamsa Temple, there are also examples appearing as one of the Five Directional Buddhas (Obangbul). Icons of Vairocana in the Unified Silla Dynasty have curled the fingers of the left hand instead of right hand in some cases being baring right shoulder. So we could consider that method of wearing sacerdotal rode didn't give great influence on the types of mudra. Fan-shape's clothes folds expressed between two legs when sitting with one's legs completely crossed was made by following the form of the central Buddha of Seokguram cave. Such forms appeared in most of Vairocana at the later half of the Unified Sillla Dynasty and they were also epochal characters being frequently found in bhumi-sparsa Budda. Although there are only rare examples of standing statues, vairocana show jigwonin with the doth which is cover up both shoulders without exception. As the result of examining Vairocana of the Unified Silla Dynasty in 4 different types on the basis of the types of their jigwonin, the researcher found that they were basically following scriptural ceremony and also reflected popular forms at the concerned period, showing epochal changes They can be distinguished into the following 4 forms: form I jigwonin is standing straightly with one's right hand holding only tip of the second finger of one's left hand where interval between two hands are separated much: form Ⅱ is basically same as form Ⅰ but it had jigwonin with doser interval between two hands: form Ⅲ had jigwonin folding the right and the left hand slightly slantingly: and form Ⅳ jigwonin had palms of both hands turning toward the outside direction. Form Ⅱ and form Ⅲ could be most generally seen in Vairocana in the later period of the Unified Silla Dynasty after the middl

      • 대한민국 서남해 갯벌내 유기탄소 저장량 및 연간 탄소침적률 산정

        이종민(Jongmin Lee),권봉오(Bong-Oh Kwon),류종성(Jongseong Ryu),박진순(Jinsoon Park),홍성진(Seongjin Hong),이숙희(Sukhui Lee),김성길(Seong-Gil Kim),손수진(Sujin Son),윤훈주(Hoon Joo Yoon),남정호(Jungho Nam),최경식(Kyungsik Choi),김종성(J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2021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5

        블루카본 연구에서 퇴적물 내 유기탄소 저장량과 연간 유기탄소 침적률의 산정은 필수적이나, 현재 한국 갯벌에서의 국가적 규모의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현장조사 자료와 원격탐사기법을 이용하여 서남해 갯벌의 유기탄소 저장량과 연간 유기탄소 침적률을 추산하였다. 조사지역은 서남해 6개 시도(경기, 인천, 충남, 전북, 전남, 경남)내 20개 지역이었으며, 2017년부터 2019년까지 총 289개의 코어퇴적물(깊이=0.6-1.0m)을 채취 및 분석하였다. 그리고 원격탐사기법을 통해 서남해 갯벌의 퇴적물 성상과 면적을 추산하였다. 코어퇴적물 분석결과, 니질함량은 전 지역에 걸쳐 퇴적물 내 유기탄소 함량을 예측하는 주요한 환경 변수였으며, 총 유기탄소 함량과 양의 상관관계(p < 0.05)를 나타냈다. 염습지에서는 염생식물의 일차생산을 통한 높은 탄소고정 능력으로 인해, 비식생 갯벌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유기탄소 저장량을 보였다. 또한, 인공위성 영상분석을 통한 퇴적물 성상분류는 니질함량 분석에 의한 퇴적물 성상분류 결과와 대체적으로 유사하였다(p < 0.05). 현장조사와 인공위성 분석을 통해 서남해 갯벌의 총 유기탄소 저장량 13,939,020 Mg C, 연간 유기탄소 침적률 75,367 Mg C yr<sup>-1</sup>을 추산하였다. 본 자료는 처음으로 한국 서남해 갯벌의 블루카본 잠재량을 국가 규모로 조사하였으며, 향후 한국 조간대 퇴적물 내 탄소순환 연구에 대한 중요한 기초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Blue carbon studies require estimates of organic carbon stocks and sequestration rates; however, holistic data analyses remain limited in South Korea, particularly at national scale. The present study reports current organic carbon stocks and sequestration rates in the coastal areas of Korea, encompassing the entire tidal flats, by long-term field survey combined with remote sensing approach. Target areas included 20 intertidal flats across five provinces in South Korea (Gyeonggi, Chungnam, Jeonbuk, Jeonnam, Gyeongnam). Out of the evaluated environmental parameters, mud content represented a significant factor controlling sedimentary organic carbon stocks across target areas, and was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to total organic carbon (p < 0.05). Organic carbon stocks measured in the salt marshes, say upper intertidal zone, reflected the high carbon fixation capacity of halophytes through primary production. Sediment textural types were classified using remotely sensed imagery, and was closely correlated with the experimental classification results (p < 0.05). Using field and satellite measurements, we could estimate total organic carbon stocks (13,939,020 Mg C) and sequestration rates (75,637 Mg C yr<sup>-1</sup>) in South Korea at national scale. The present study first report the blue carbon potentials of the Korean tidal flats at national scale and provides baseline information on the carbon dynamics of intertidal sediments in Korea and elsewhere.

      • KCI등재

        연안도시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법제도적 고찰

        최충익(Choi, Choongik),임월시(Yim, Wolshi),이숙희(Lee, Sukhui),김준형(Kim, Jun-Hyung) 한국도시행정학회 2012 도시 행정 학보 Vol.25 No.1

        A climate change driven by global warming will increase risks to settlements, industries, and natural ecosystems within Korea’s coastal zone. Coastal cities are likely to be more vulnerable to many kinds of disasters triggered by climate change compared to inland cities. Coastal communities generally have less adaptive capacity than inland communities and may therefore be more adversely affected climate change impacts. In this respect, it stands to reason that coastal cities should be prepared to alleviate the vulnerability and risks caused by climate change with setting up adaptation policy in coastal area. This research aims to suggest coastal cities’guidelines for adaptation policy of climate change in its early stage, which helps coastal communities to adapt themselves to any situations under climate change threats and to effectively respond to the extreme events of climate change. This study tackles coastal cities’ adaptation policy issues with two stages. At the first stage, current institutional system for coastal cities’adaptation of climate change in Korea would be reviewed with the perspective of law, specifications and guidelines for spatial planning. At the second stage, we attempt to suggest some implications for adaptation strategies for the coastal cities against climate change in terms of architecture, urban planning and social overhead capit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