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구취발생에 영향을 주는 구강환경요인

        이수옥 충북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erform factor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to see the effects of oral environment factors on halitosis and also comparatively analyze the degree of halitosis before and after scaling. To attain the goal, 35 women in their 20’s who had good oral conditions and also understood the purpose of this study and method of its experiment properly were selected and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from March, 2014 till May, 2014. The paired t-test was employed to analyze how halitosis changed before, right after, and one hour after scaling, and to examine correlation between oral environment factors and halitosis, the researcher conducted correlation analysi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reby drawing the following conclusions: 1. Both in OG and EG, halitosis reduced more right after and one hour after scaling than before scaling. In OG, halitosis reduc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right after scaling from before scaling (p=0.001), and the change of halitosis one hour after scaling from before scaling was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p<0.001). 2. According to correlation analysis on the tongue plaque and halitosis, OG(p<0.001) and EG(p=0.008) were both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Pearson’s coefficient was found to be 0.643 and 0.441. 3. Oral glucose residence time ha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OG among the types of halitosis(r=0.424, p=0.011). 4. According to the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secretion of saliva flow and halitosis, there was inverse correlation, and both OG(p=0.004) and EG(p=0.003)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5. The secretion of saliva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buffer capacity of saliva(p=0.004), and also, the dental plaque index and cavities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p=0.011). 6. According to the results of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on oral environment factors and halitosis, the ratio of the secretion of saliva flow and dental plaque ,tongue plaque were both statistically significant OG and EG to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the significant level of (p<0.05). In brief, to control halitosis, it is needed to increase the secretion of saliva flow, and since there is much correlation between the tongue plaque and halitosis,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amount of tongue plaque through tongue brushing. In addition, it will be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else to manage halitosis when oral conditions are good by eliminating dental plaque or scale through scaling.

      • 초등 과학 수업에 있어서 질문생성전략의 적용 효과

        이수옥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질문생성전략이 과학과 학습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질문생성전략이란 학습자 스스로 여러 가지 질문을 제기하고 대답하는 과정에서 학습자가 학습 내용을 쉽게 이해하고, 추론하고, 통합하도록 유도하는 전략을 말한다. 이러한 질문생성전략이 학업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연구는 주로 국어과의 독해학습 과정에서 수행되어 왔으며 그 결과는 대체로 긍정적이었다. 그러나 질문생성전략의 효과를 검증한 연구들에서 보면 학습형태 또는 학습자의 학업수준에 따라 그 효과가 다르게 나타나고 있어 일치점을 찾기는 어렵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질문생성전략을 학습자 상호 간 질문생성전략과 자기 질문생성전략으로 나누어 과학과 학습에 적용해 봄으로써 과학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또한 그 효과를 학업수준별로 검증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였고, 과학 1학기 3단원 우리 몸의 생김새를 학습 내용으로 선정하였다. 분석 방법으로는 학습형태에 따른 집단 간의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일원 변량 분석을 하였고, 학습 집단의 학업수준에 따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이원 변량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얻어진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과 학습에 있어서 학습자 상호 간 질문생성전략과 자기 질문생성전략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특히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점수의 평균과 표준편차의 차이를 비교집단과 비교해 본 결과 학습자 상호 간 질문생성전략과 자기 질문생성전략은 학업성취도의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둘째, 과학과 학습에 있어서 학습자 상호 간 질문생성전략 집단과 자기 질문생성전략 집단 모두에서 학습자의 학업수준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학업수준이 상위인 집단은 자기 질문생성전략이 효과적이었으나, 학습자 상호 간 질문생성전략은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중위인 집단 역시 자기 질문생성전략은 효과적이었으나, 학습자 상호 간 질문생성전략은 효과가 없었다. 한편, 하위인 집단의 경우는 학습자 상호 간 질문생성전략과 자기 질문생성전략이 모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과학과 학습에 있어서 질문생성전략을 사용하기 전과 후의 질문 수준 변화는 사용 전보다 후에 회상과 재구성의 질문 빈도수는 다소 낮아지고 적용과 확장의 빈도수가 늘어났으며 질문의 형태도 복잡하고 다양해졌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질문생성전략이 초등 과학 학습에 있어서 긍정적인 효과가 있으며, 실제 학교 수업과정에서 질문을 생성하고 스스로 또는 학습자 간에 답해보는 기회를 학습자에게 제공한다면 학습자의 학업성취도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다양한 유형의 질문을 할 수 있도록 훈련을 한다면 좀 더 수준 높은 질문을 생성해 낼 수 있을 것임을 예상케 해준다. 그리고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학업성취 수준에 따른 집단 간 효과 차이는 학습 프로그램을 수업에 투입할 경우에 학습자의 학업수준을 고려해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보여준다.

      • 베넷 리머의 심미적 경험의 의미 및 교육적 가치 탐색

        이수옥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cretely understand the meaning of ‘aesthetic experience’ which is, since Bennett Reimer’s ‘Philosophy of Aesthetic Music Education’ or so-called MEAE(Music Education as Aesthetic Education) has been embraced by Korean music educational theorists and educators, consistently influencing on music education as a central goal. By microscopic approach to the concept, this study is intended to offer a deepened music education philosophical discussion, and contribute to its possibilities for applications to actual education. To achieve this goal, Chapter Ⅱ discusses three dimensions - which is historical·aethetical·philosophical - for understanding of Reimer’s philosophy of music education. His philosophy was influenced by demands for the justification through immanent values of the subject in American society. To meet the demands he chooses the ‘Absolute Expressionism’ by L. B. Meyer for his theoretical basis. Furthermore, he improved on it to S. K. Langer and J. Dewey’s thoughts. Through these approaches, it could be grasped that the nature of music he said is the ‘expressive form’ which shares similarities between the form and the way of perceiving of feelings which is permeating all of human experience. So, for him music is values not only of its form but also the relation to the actual life of human, in that music allows experiencing more the feelings. Chapter Ⅲ proposes that the aesthetic experience should be regarded as a process, in which aesthetic attitude, aesthetic sensitivity, and aesthetic instinct are the generative conditions, and aesthetic perception and aesthetic reaction are the central components. In analyzing the relations of these components, I argue based on Mikel Dufrenne that the relation between aesthetic perception and aesthetic objective is mutual-regulative. And following Reimer’s description, it is asserted that the relation between aesthetic perception and aesthetic reaction is unseparable. This allows presenting five characteristics of aesthetic experience by followings. First, aesthetic experience is a experience by first-hand aquaintance, that is occurred by active interaction between perceiver and object. Second, it is non-conceptual experience, because in this process aesthetic perception does not prescribe aesthetic object, but react aesthetically. Third, since in the limits constructed by expressiveness of aesthetic object all the way of perceptions and reactions are accepted as valuable, it is the experience of successful achivements. Fourth, aesthetic perception is disposed to escaping from private interests and psychological dimensions by aesthetic attitude and aesthetic sensitivity. Thus, it has the possibility of sharing and communication with others. Lastly, it is cyclical, creative experience, in that aesthetic reaction, whose generalized emotion is a sense of wonder, motivates consistent occurrence of aesthetic perception and in this process, new expressiveness of the object can be discovered and searched. Additionall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aesthetic perception, it could be said that when it would have extended to all things of the world, the aesthetic-world could be turned up. Unlikely current life-world, namely bourgeois, instrumental world, where all things are evaluated by the exchange value, in the aesthetic-world one can have true experience by active interactions with objects. Thus, for it is opened by aesthetic experience that one can acquire object purposive discernment, it has significant educational value. Furthermore, in chapter Ⅳ, in order to minimize mis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aesthetic experience, it is attempted that Reimer’s imprecise concepts using is clarified by distinguishing the terms he used: Listening he said as essential behavior in music should be substituted by ‘appreciation’ which is inseparable from all of musical behavior such as creating and performing; ‘the judging’, which is considered the obstructive factor in aesthetic experience by Reimer, should be called mere ‘liking’ rather ‘judging’, which actually helps improve the quality of aesthetic experience, as he presents ‘evaluation’ - the making of judgments about the quality of music – do so, in that it focuses on expressiveness of music itself. These can function as explanations for the critiques by the praxial aspect: the aesthetic experience is neither listening-central nor impractical – that is, it is not irrelevant to musical skills or its actual practices. My thesis discusses aesthetic experience itself in depth, which has been approached in the light of the vast prospect of Reimer’s philosophy of music education. While my discussion doesn’t deal with all the problems which can arise in application to actual education – they call for more follow-up studies -, it has significance in that it offers a rich understanding of the aesthetic experience involved concepts and opens possibilities for even newer and more challenging interpretation of Reimer’s philosophy of music edu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리머(Bennett Reimer, 1932-2013)의 심미적 음악교육철학이 주창된 이래로 음악교육의 핵심적 목표로서 지속적인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 ‘심미적 경험’의 의미를 그 발생적 조건과 구성 요소를 고찰함으로써 구체적으로 이해하는 데에 있다. 즉, 심미적 경험을 리머가 명시한 의미에 의존하여 설명하기보다는 관련된 세부적 개념들을 미학적·철학적 접근을 통해 해석함으로써 심화된 음악교육철학적 논의를 제공함과 동시에 심미적 경험의 교육 실제에의 적용 가능성에 기여하고자 한다. 리머의 음악교육철학은 1950년대 이후 미국 사회에서 요구된 교과의 내재적 가치로부터의 정당화에 직면하여 발생한 것으로, 미학이라는 이론적 기초 위에 세워졌다. 리머는 마이어(L. B. Meyer)에 의해 제시된 절대표현주의적 관점을 수용하는 한편, 이를 랭거(S. K. Langer)와 듀이(J. Dewey)의 예술 철학을 통해 심화시켜 음악의 본질을 설명하고, 그 본질로부터 음악교육의 본질과 가치를 확보하려 하였다. 그가 제시하는 음악의 본질은 우리의 삶을 가득 채우고 있는 성장과 쇠퇴, 긴장과 이완 등의 역동적 형식으로 된‘느낌’과 형식적 유사성, 인식 방식의 유사성을 공유하는 ‘표현적 형식’이다. 이를 지각함으로써 우리는 그 ‘느낌’, 즉 인간 경험에 만연한 주관성을 더 많이 경험하게 된다. 따라서 리머에게 음악은 그 자체의 형식적 측면에서 가치 있을 뿐만 아니라, 인간의 실제 삶과의 관련을 가지고 ‘느낌의 교육’을 가능하게 한다는 교육적 가치를 부여받는다. 이처럼 역동성을 특징으로 하는 ‘느낌’과 질적 유사성을 띤 것으로 규정된 음악의 본질로부터 알 수 있는 것은 심미적 경험을 하나의 과정으로 간주해야 한다는 것과, 심미적 경험을 관련 개념들과의 연관성을 바탕으로 고찰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즉, 미적 태도, 미적 감수성, 미적 본능은 그 발생적 조건이며, 미적 지각, 미적 대상, 미적 반응은 핵심적 구성 요소라고 할 수 있다. 리머의 심미적 경험에서 미적 태도는 미적 지각을 가능하게 하는 결정적 역할을 하는 것으로, 칸트(Immanuel Kant), 벌로프(Edward Bullough), 스톨니츠(Jerome Stolnitz), 올드리치(Virgil Aldrich) 등의 미적 태도 이론을 바탕으로 구축되었다. 이로써 심미적 경험은 ‘무관심적’인 것이자 미적 대상, 즉 예술 자체에는 ‘몰입적’인 특징을 가진다. 이러한 미적 태도는 대상을 교환가치에 입각하여 판단하는 우리 일상에 흔히 퍼져있는 자본주의적 세계 의식으로부터 탈피하여 미적 세계의 현출 가능성이라는 교육적 가치를 갖는다. 미적 감수성은 미적 태도에 상응하는 인간의 선천적 능력으로, 미적 지각과 미적 반응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근본적으로 이 두 발생적 조건을 작동시키는 것은 인간의 본능 중 하나인 미적 본능이라고 할 수 있다. 심미적 경험의 핵심적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는 미적 지각과 미적 대상, 그리고 미적 지각과 미적 반응 사이의 관계가 가지는 특징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뒤프렌느(Mikel Dufrenne)의 논의를 바탕으로 볼 때, 전자는 미적 대상은 자신을 표현적 특질들로 지각할 규범을 미적 지각에게 부과하고 미적 지각은 그 요구를 승인함으로써 미적 대상을 완성시키는 양상을 특징으로 한다. 후자는 미적 지각에 의해 수다한 느낌으로서 미적 반응이 항상 수반되는 한편, 미적 반응 일반의 감정인 경이감이 미적 지각을 계속해서 추동하는 분리 불가능한 관계라고 할 수 있다. 즉, 미적 지각과 미적 대상은 상호 규정적 관계에, 미적 지각과 미적 반응은 불가분의 관계, 상호 영향을 주고 받는 관계에 있다. 이러한 관계들을 바탕으로 볼 때, 심미적 경험이 가지는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심미적 경험은 ‘직접적 대면의 경험’으로, 지각의 주체와 대상 간의 적극적인 상호작용으로 일어나는 것이다. 둘째, 심미적 경험은 ‘비(非) 개념적 경험’으로, 경험의 과정에서 미적 지각은 개념에 의해 대상을 규정하지 않고 그것의 표현성에 주목하여 미적으로 반응하는 양상으로 작동된다. 셋째, 심미적 경험은 미적 대상의 드러냄에 의해 구축되는 경계 내에서 일어나는 경험이므로, 그 안에서 모든 지각과 반응이 인정되는 항상 ‘성공적인 경험’이다. 넷째, 심미적 경험은 모든 인간이 가지고 있는 미적 감수성이라는 능력과 사적인 이해관계에서 벗어난 미적 태도에 의한 미적 지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타인과의 공유 및 소통의 가능성을 가지는 경험, 즉 ‘소통·공유되는 경험’이다. 마지막으로, 심미적 경험은 구성요소로서 미적 반응의 일반적인 감정인 ‘경이감’에 의해 미적 지각이 계속적으로 동기부여되어 순환적인 연쇄가 일어나고, 그 과정에서 대상의 표현성을 찾아내고 발견한다는 점에서 ‘순환적·창조적 경험’이다. 이에 더하여 실제 교육적 적용을 위해 리머가 제시한 일반 음악교육 프로그램을 위한 진술, 특히 ‘수단 행동’에서 비롯된 오해를 살펴봄으로써 심미적 경험의 더욱 명료한 이해에 도달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리머가 말하는 본질적 행동으로서 감상(listening)은 사실상 모든 음악 활동과 분리 불가능한 ‘감상’(appreciation)으로 이해되는 것이 적절하며, 심미적 경험을 방해하는 것은 예술의 표현성에 관심을 기울이는 ‘판단’ 및 ‘평가’가 아니라, 단순한 ‘선호’로 분명히 구분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심미적 경험이 ‘감상 중심적’인 편협한 이론이라거나 음악의 기술적인 면과 무관한 비현실적인 이론이라는 비판에 대한 다소간의 해명을 제공하였다고 할 수 있다. 심미적 경험은 모든 음악 활동 가운데 발생하는 과정적 특성을 지닌 것이며, 경험의 주체와 대상 간의 적극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일어나는 ‘느낌’으로 특징지어지지만, 음악 개념·음악의 기술적인 측면이 이것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요인으로서 관련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심미적 경험을 이론적 수준에서 그 의미를 가능한 한 명확하게 이해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기 때문에 교육 상황에 적용을 위한 구체적인 교수·학습 방법이나 평가 문제 등의 구체적인 사안들은 후속 연구를 통해 보충되어야 한다는 과제를 내포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주로 심미적 음악교육철학이라는 방대한 지평에서 논의되었던 심미적 경험 그 자체에 대한 심도 있는 이해를 시도하고 보다 구체적인 논의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미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종전까지 리머 연구에 거의 언급되지 않았던 다양한 미학적·예술 철학적 견해들을 참고하여 심미적 경험과 그와 관련된 제반 개념들의 보다 풍부한 해석을 제시하는 한편 리머의 음악교육철학에 대한 보다 새롭고 도전적인 해석의 가능성을 열어주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 제시된 심미적 경험의 이해는 보다 다양한 교육 실제적 적용을 위한 실천적 성격의 연구를 비롯하여 더욱 심화된 이론적 논의들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 토사사면의 안정성 및 보강대책에 관한 사례연구

        이수옥 조선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39

        A Case Study on the Stability and Reinforcement Method of Slope with Soil Lee, Suok Advisor : Prof. Kim, Daehyeon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Graduate School of Chosun University In the process of development of the national land, the utilization of mountains and hills is incresed. In this case, the stability of a natural slope problem has been investigated. Recently, due to changes of the summer weather pattern, damage caused by debris flows is occurring in the mountainous area frequently. In this thesis, a case study on reinforcement for a failed cut slope is introduced. An extensive field investigations and analyses were performed and the most effective way of stabilizing the slope was suggested. When the soil-nailing is applied to the upper part of the slope, constructability, economical efficiency and stability are satisfactory, and safety factors of dry season and rainy season are satisfactory. This study could be a good example for similar situations in which a natural slope failure occurred.

      • 청소년의 공격성향에 따른 동적가족화(KFD) 반응특성 연구

        이수옥 평택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청소년의 공격성향에 따른 동적가족화에 나타난 반응특성을 암아보고, 청소년의 공격성향과 동적가족화의 반응특성 관계연구를 통해 청소년의 공격성을 진단하는 도구로서 활용 가능성을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대상은 경기도에 소재한 1 개의 일반 고등학교 1, 2 학년 124 명으로 K-YSR 공격성척도 점수를 기준으로 하여 상위 25% 공격성이 높은 집단과 하위 25% 공격성이 낮은 집단으로 분류하여 본 연구의 자료로 사용하였다. 연구도구는 Achenbach (1991) 가 제작한 청소년 자기행동 평가척도(Youth Self Report: YSR) 를 오경자 등(1997) 에 의해 국내 설정에 맞게 번안,표준화한 K-YSR 공격성적도를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공격성이 높은 집단과 공격성이 낮은 집단 간의 그림반응에서 나타나는 두 집단 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t-test를 하였고,청소년의 공격성향과 동적가족화 간의 상관관계를 암아보기 위하여 Pearson 적률상관계수를 구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동적가족화에 나타난 활동차원에서 공격성이 높은 청소년집단과 공격성이 낮은 청소년집단 간에 차이가 있는가를 살펴본 결과,어머니,아버지 자신 그럼에서 활동수준y 상호작용수준,협력수준,양육수준과 자신 그림의 자기도취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자기 학대수준,상대방 학대수준 긴장수준에서는 공격성이 낮은 집단과 공격성이 높은 집단 간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동적가족화에 나타난 그림특성차원에서 공격성이 높은 청소년 집단과 공격성이 낮은 청소년집단 간에 차이가 있는가를 살펴본 결과,아버지 그럼에서는 통계적인 유의성을 찾을 수 없었지만,어머니와 자신 그럼에서 열굴의 표정 필압이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어머니와 자신의 그럼에서 팔의 길이,몸,눈,얼굴,발,치아,펼압,그리지 않은 인물에서는 두 청소년 집단 간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동적가족화에 나타난 위치·거리·장벽차원에서 공격성이 높은 청소년집단과 공격성이 낮은 청소년집단 간에 차이가 있는가를 살펴본 결과,어머니,아버지,자신 그럼에서 우윌성,인물상 간의 방향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장애물에서는 아버지와 자신 그람에서만 차이가 나타났으며,자신 그림의 거리에서 공격성이 높은 집단과 공격성이 낮은 청소년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를 가져왔다. 넷째,청소년 공격성향과 동적가족화 간의 상관관계를 삼펴본 결과,활동수준,상호작용수준,협력수준,자기도취수준,양육수준,얼굴,치아,팔암,우윌성,인물간의 방향,장애물 수 등 전체 하위항목 21 개 중 11개의 항목에서 공격성향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동적가족화가 청소년의 공격성향을 선별하는 도구로써의 활용 가능성을 검증함과 동시에 청소년들의 공격성을 예방하고 치료적 조기개입을 통해 청소년들에게 도움을 주는데 의의를 두고 있다.

      • 양적형질유전자의 연관성분석을 위한 가계자료의 정보충분성 연구

        이수옥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639

        We study pedigree selection to raise power and reduce time and expense in quantitative trait locus(QTL) linkage analysis. The method allocates a quantitative index of potential informativeness to each pedigree on the basis of observed trait scores and an assumed true QTL model. Therefore any sample of phenotypically screened pedigrees can be easily rank-ordered for genotyping. This index represents the weighted sum of test statistics that would be obtained given the observed trait value over all possible pedigree genotypic configurations. Each configuration is weighted by the likelihood of it occurring given the assumed true genetic model. We applied our methods to the data from a cardiovascular genome center and calculated informativeness index at every pedigree. And the pedigree that have high index of informativeness have more possibility of detection in QTL linkage analysis. 본 논문은 연관성 분석에 있어 검정력을 높이고 시간비용적인 절감을 위한 방법의 하나로 정보충분성을 이용한 가족자료 선택에 대해 연구하였다. 양적형질이 조사된 경우 가정된 모형이 실제모형을 잘 반영한다는 가정을 바탕으로 각 가계의 잠재적 정보충분성을 양적 지표로 표현하였다. 이를 통해 양적형질이 조사된 가계자료를 이용하여 정보충분성 지표를 기준으로 순위를 주어 유전자 판독시 정보력 있는 가계를 선택하는 기준이 될 수 있다. 정보충분성 지표는 양적형질이 조사된 각 가계에서 나올 수 있는 모든 가능한 유전적 구성에서 실제 유전모형이 가정되었을 때 그 유전적 구성이 일어날 확률로 가중을 주어 계산한 검정통계량의 합을 의미하게 된다. 본 방법을 이용하여 일 병원 심장혈관유전체연구센터의 실제자료에 적용하여 가계별 정보충분성 지표를 얻을 수 있었으며, 지표의 상위에 속하는 가계가 그렇지 않은 가계에 비해 연관성을 발견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임파워먼트(Empowerment)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 공정성 지각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수옥 전북대학교 경영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39

        In today's rapidly changing business environments, where information-driven and globalization enter at once, enterprises should develop competitive power through renovation to maintain growth. To make this possible, the needs of securing talented people and applying new methods of administration has become embossed. Also, fresh changes through self-controlling acts of constituents has become a grave issue for the development of the businesses. 'Empowerment' is one of the concept which indicates self-control and creativeness as a means for modifying organizations.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First, to examining the influences of Empowermen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econd, to check whether Empowerment has a greater influence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hen justice is recognized.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 investigated the existing researches mainly on formation background and concept. In explaining the process of Empowerment, I chos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members as dependent variables to analyze relative influences between the variables. Also I have designed a study model to verify the adjusting role of justice recognition between Empowerment and organization effectiveness. In that order I set up a hypothesis and probated the overall theoretical formality. As a detailed studying method, first of all, I collected and examined materials such as thesis and journals written by many researchers around the world in several fields to design a study model and hypothesis. Through this process I arranged the preceeding studies of 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uch a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s an actual proof analysing method, I practiced frequency analysis to arrange population statistics variables, and to examine the inner consistency of questionnaires about each variables, I performed reliability investigation. Also, to inspect the propriety of each variable's construct I practiced Factor analysis. By practicing Correlation Analysis I checked the similarity between each variables. For probating the hypothesis I attempted Multiple regression to find out the influence of the moderator variable and relation between dependent and independent variables. Broad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 found out that Empowerment has a positive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hich has coherence with the preceeding studies. So to speak Empowerment increases an individual'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hich effectively influences the organization. Second, It is verified that for an enterprise's steady growth, Empowerment has a greater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hen justice recognition is highly understood.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show the relationship between Empowerment (preceeding variable)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job satisfactory, organizational commitment; outcome variable) which were estimated to have direct corelation hitherto, can be fruitful to organization's steady growth when justice recognition (moderator variable) is appreciated through changing the constituents. With the study model and actual proofs which were presented with such intention I could acquire several suggestion points. To maintain an enterprise's steady growth, capital, technology, human resources and many other different factors are important. But above all human resource is the most important thing. So to speak, the continuous circulation of Empowerment among the constituents seems to be an alternative plan for a company's steady growth. To actualize it, enterprises should seek after organizational reform by presenting visions and goals to the members. 정보화와 글로벌화가 동시에 진입하는, 급격히 변화하는 오늘날의 기업 환경 속에서 기업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기업의 혁신을 통한 경쟁력 또한 지속적으로 갖추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뛰어난 인재들의 확보와 더불어 새로운 관리방식에 대한 필요성이 부각되었고, 기업에서는 구성원의 자율적 행위를 통한 새로운 변화가 기업발전을 위한 커다란 이슈로 논의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조직의 변화를 위한 자율과 창의를 하나의 방법으로서 제시되고 있는 개념이 임파워먼트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임파워먼트가 조직유효성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둘째로, 공정성을 지각했을 때 임파워먼트가 조직유효성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임파워먼트의 형성배경과 개념을 중심으로 기존의 연구를 검토하였으며, 임파워먼트의 과정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조직유효성으로 구성원들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을 종속변수로 선정하여 변수간의 상대적 영향력 정도를 분석하여 보았고, 임파워먼트와 조직유효성 간의 관계에 조절변수인 공정성지각의 조절역할을 검증하기 위한 연구모형을 설계하고 가설을 수립하여 전체적인 이론적 틀을 검증하여 보았다. 세부적인 연구방법으로 우선 연구의 모형과 연구의 가설을 설계하기 위한 문헌적인 연구로 국내외의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 연구된 각 분야의 논문과 학술지 등의 자료를 수집, 분석하고, 이 과정을 통해 임파워먼트의 선행연구와 조직유효성인 직무만족, 조직몰입에 관한 연구들을 정리하였다. 실증분석방법으로는 인구통계학 변수를 정리하기 위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실시하였고, 각 변수들에 대한 설문문항의 내적 일관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신뢰도 검증(reliability)을 실시하였다. 또한 각 변수들의 구성개념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요인분석(Factor analysis)을 실시하였으며, 각 변수들의 관계 유의성을 살펴보기 위해서 상관관계 분석(Correlation Analysis)을 하였으며, 가설검증을 위한 분석으로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와의 관계와 조절변수의 영향을 알아보는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개략적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임파워먼트는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선행연구들과 일관성이 있는 결과이다. 즉, 임파워먼트는 개인으로 하여금 직무만족 및 조직 몰입도를 높혀 줌으로써 조직에 유효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임파워먼트가 개인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조절변수인 공정성지각을 높게 인식했을 때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더 큰 영향력을 주어 조직의 지속적인 성장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종래 직접적인 상관관계가 있다고 판단되었던 선행변수인 임파워먼트와 결과변수인 조직유효성(직무만족, 조직몰입) 사이를 조절변수인 공정성 지각이 인식되었을 때 구성원을 변화시킴으로써, 조직의 지속적인 성장에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고자 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의도에서 제시한 본 연구모형 및 그 실증분석의 결과 몇 가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기업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자본, 기술, 인적 자원 등 많은 것들이 중요하지만, 그 중에서도 제일 중요한 것은 인적 자원이라고 본다. 즉, 구성원들의 끊임없는 임파워먼트의 순환이 조직의 지속적인 성장을 유지시켜 줄 대안이라고 생각되며, 이를 위해 기업들은 구성원들이 공유할 수 있는 미래의 비젼 및 목표를 제시함으로써 조직의 변화를 계속 추구하여야 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 대인관계 중심 집단상담이 주부들의 자아분화 수준에 미치는 효과

        이수옥 가톨릭대학교 심리상담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의 목적은 대인관계 중심 집단상담을 주부들에게 실시하여 자아분화의 수준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려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대인관계 중심 집단상담에 자발적으로 참가한 주부들 36명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18명씩 배치하여 구성하고, 실험집단에는 1주일에 1회, 한 회기에 2시간씩 총 20시간에 걸쳐, 비구조화된 대인관계 중심 집단상담을 본 연구자가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에는 아무런 처치도 가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측정도구는 Bowen의 자아분화 이론의 구성개념을 근거로 한 자아분화검사를 사용하였다. 실험집단의 경우에는 프로그램의 실시 전후에 자아분화 검사를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의 경우도 실험집단과 같은 시기에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수집된 자료는 SPSS/PC^(+)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 집단별, 전체 및 하위요인별 득점에 대한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그리고 대인관계 중심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t-test를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인관계 중심 집단상담을 경험한 집단은 자아분화도의 총득점에 있어서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변화를 나타냈다(t=2.74, p< .05). 둘째, 대인관계 중심 집단상담을 경험한 집단은 자아분화의 하위척도 중 정신내적 분화(t=2.25, p< .05)와 대인관계적 분화(t=2.76, p< .05)에서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증가하였음을 나타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s of interpersonal group therapy on the degree of Self-differenciation in house-wives. For this study, 36 housewives, who participated voluntarily in interpersonal group therapy, were placed in equal number in an experimental group or a comparative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was treated in an intensive interpersonal group therapy regular and continually for total 20 hours - 2 hours each session, once a week, through 10 weeks. The comparative group was not treated and simply waited for a future therapy. The change in Self-differenciation was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therapy or the wait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First , the group treated by the interpersonal group therapy showed sigificant positive change in total score of self-differenciation, whereas the waited comparative group showed no such change. Second , the group taken the interpersonal group therapy showed significant increase especially in intrapsychic differenci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differenciation which are the subareas of self-differenci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