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주 4·3과 기억서사-당본풀이와 연유닦음, 영개울림을 중심으로-

        이소윤 한국무속학회 2022 한국무속학 Vol.- No.45

        본고는 당본풀이와 연유닦음, 영개울림 사설에 나타난 제주 4·3 기억서사의 양상과 의미를 고찰하는 데 목표를 두었다. 당본풀이는 마을굿에서 해당 마을 신당 혹은 당신의 내력을 구송하는 신화다. 그런데 신당 혹은 당신의 내력을 구술하는 가운데 4·3이 언급되고 있다는 사실은 주목을 요한다. 즉 마을 신당에는 4·3을 기억하고 해명해야 하는 책무가 있었던 것이다. 4·3에 대한 마을 신당의 목소리가 단일하지 않다는 것은 결국 신화가 특정한 내용의 이데올로기를 담는 형식임을 증명한다. 한편 2008년 4·3유족회가 주도한 행방불명인 진혼굿의 연유닦음과 영개울림 사설은 실체가 없는 익명의 죽음들에 실체를 부여하려는 목적을 지닌다. 연유닦음의 ‘추상성’과 영개울림의 ‘(범박한) 구체성’이라는 사설 상의 특성은 심방이 제장에 모인 영혼들과 후손들을 모두 종합하려는 의도를 지니기 때문에 생겨난다. 그중에서도 영개울림은 죽은 자가 산 자에게 자신이 어떻게 죽었는지에 관해 들려주는 것이다. 그 이유는 죽은 자의 미완된 죽음이 산 자에게도 미완의 삶을 안기기 때문이다. 어딘가 구멍이 난 것만 같은 삶을 지속하지 않기 위해서라도 죽음은 꼭 종지부를 맺어야 한다.

      • KCI우수등재

        무연고사망자의 ‘상주 되기’를 통해 본 사후(死後)의 가족정치

        이소윤 한국여성학회 2023 한국여성학 Vol.39 No.1

        This article argues that the increasing number of unclaimed dead in Korean society is not a natural result of isolated deaths but the ramification of family politics. This is because the meaning of the unclaimed body in funeral regulation is defined by whether the deceased had a‘relative’ before dying. However, only the spouse and blood ties of the deceased can be recognized as a ‘relative’, according to this regulation. For this reason, this article conducted field work and analyzed public funerals for unclaimed dead in Seoul. According to the findings, the term ‘relative’ in the Korean funeral regulation is supported not only by patriarchal family laws but also by medical and social welfare systems. While public funerals for the unclaimed dead provide a physical and socio-cultural basis for ‘Becoming Sang-ju,’ there were still struggles to take over ashes of the deceased. In conclusion, what underlies the increasing number of the unclaimed dead is the normal family ideology that calls out only the blood ties and spouse as the caregivers throughout one’s course of life. In this regard, guaranteeing the rights of ‘Sang-ju’ should transcend merely adding non-blood/ non-marriage relationships to the funeral regulation, ultimately leading to a society of ‘promiscuous’ care that goes beyond the boundaries of caring relations established by the state. 본고는 무연고라는 죽음이 혈연과 혼인에 기초한 연고자의 존재여부에 의해 규정되고 있음에 주목하여, ‘증가하는 무연고사망자’라는 현상을 한국의 가족정치가 초래한 사건으로 위치 짓고자 했다. 이를 위해 본고가 선택한 연구방법은 질적연구방법이며, 서울시 무연고공영장례식의 현장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장사법상 연고자 개념은 한국의 가부장적 법담론에 근거하여 제사를 주재하는 장손이라는 의미를 부여받고 있었으며, 의료와 복지시스템을 넘나들며 체계적으로 뒷받침되고 있었다. 지자체별로 도입 중인 공영장례조례는 무연고사망자의 장례지원을 위한 유일한 법적근거로서 무연고 ‘상주 되기’를 위한 물리적, 사회적 조건을 마련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렇게 공영장례를 통해 ‘상주 되기’를 수행하였더라도 고인의 유골을 인수받는 과정에는 제약이 존재했으며, ‘사실상 시신을 관리하는 자’라는 범주는 계속적으로 주변화ㆍ잔여화 되었다. 결론적으로, 무연고사망자의 증가라는 현상 이면에는 가족돌봄을 기대하는 것이 불가능한 상황에서조차 부양의무의 주체로서 원가족만을 호명하는 정상가족주의가 자리한다. 이 점에서 무연고 상주들의 권리를 보장한다는 것은 단순히 장사법 상으로 비혈연ㆍ비혼인 관계를 ‘추가’하는 것 이상이 되어야 하며, 궁극적으로는 국가가 허락하는 돌봄의 단위를 넘어선 ‘난잡한 돌봄’의 사회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영웅의 눈물과 전쟁의 기억들 ― 칼미크 오이라드 민중의 구비서사시 「장가르」를 중심으로

        이소윤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9 人文論叢 Vol.76 No.4

        In the epic Jangar of the people of Kalmyk Oirad, Jangar, Hongor, and Mingyan, all shed tears from time to time. Jangar builds Ar Bomba, an ideal nation, through the conquest wars that began at the age of three. He who can foresee the future sheds the tears after he senses Ar Bomba’s crisis. At this time, Jangar is preemptively saddened about the future threats he does not face yet. Hongor sheds tears with the gloomy imagination that if he enters in front of the enemy, he will be killed by the enemy. Otherwise, if he returns, Jangar will do not want to greet him. His self-esteem is severely damaged in front of the enemy. Mingyan speaks out for the difficulties of leaving his homeland and living alone in Ar Bomba after Jangar orders an attack. The focal point here is the loneliness of longing for home after fighting in a war. They can be all referred to as “melancholic heroes” because they are mourning over the loss that has not been lost yet. Jangar is the one who determines the state of exception. In this respect, the tears he shed are the tears of the sovereign. Even though he is a sovereign, Jangar has no choice but to shed tears because Ar Bomba is the result of the war of conquest; and this makes his position always highly vulnerable. Mingyan’s tears have the opposite meaning of the tears of sovereign Jangar. His tears remind him that Ar Bomba is a tribal confederation. Interestingly, Mingyan’s tears expose the Ar Bomba’s birth crisis originated from the tribal federation system. Hongor’s tears for when facing the enemy, on the other hand, seem to reflect the emotions of the people of Kalmyk Oirad, who had historically had to stand alone before the enemy in the turbulence of war. The fact that the Kalmyk Oirad people had actually heard of the Jangar spear before the war led to the possibility of projecting their position in Hongor. In 1943, the people of the Kalmyk Autonomous Republic were deported to Siberia for 13 years, accused of serving in Germany during World War II. The Kalmyks socially eradicated the memory of forced deportation until the end of the 1980s. Nevertheless,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Jangar has been remembered in various ways. Considering their national history, which is remembered as “loss,” the hero’s tears in anticipation of “loss” in front of the mighty enemy are a condensation of the history which is resulted from the loss of the Kalmyks. In addition, when the memory of socially abolished loss, that is, the memory of forced deportation, is struck, it is possible that Jangar was a memorial narrative that comforted them in that they were talking about the loss that had not yet been lost. This is why Jangar has been constantly reflected as a memorial narrative even in the social abolition of memory. 칼미크 오이라드 민중의 영웅서사시 「장가르」에서 장가르를 비롯한홍고르, 밍얀은 모두 시시때때로 눈물을 흘린다. 장가르는 그의 나이세 살 때부터 시작된 정복 전쟁을 통해 이상 국가 아르 봄바를 건설한다. 앞을 내다볼 줄 아는 그는 아르 봄바의 위기를 감지하고 눈물을 흘린다. 이때 장가르는 당면하지 않은 미래의 위협에 대해 선제적으로 슬퍼하고 있다. 홍고르는 적의 위세 앞에서 앞으로 들어가면 적한테 죽임당할 것이고 뒤로 돌아가면 장가르가 자신을 창피해 할 것이라는 우울한 상상을 하며 눈물을 흘린다. 적 앞에서 그의 자존감이 무너지고 있는 것이다. 밍얀은 장가르가 출격 명령을 내리자 고국을 떠나 아르 봄바에서 홀로 살아가는 어려움에 대해 토로한다. 여기서 초점이 되는 것은 홀로 외방에 질주해갔을 때의 외로움이다. 이들은 모두 아직 상실되지 않은 상실에 대해 애도를 표하고 있다는 점에서 ‘우울한 영웅’이라고 할 수 있다. 장가르는 예외상태를 결정하는 자이다. 이 점에서 그가 흘리는 눈물은 주권자의 눈물이라고 할 수 있다. 주권자임에도 장가르가 눈물을 흘릴 수밖에 없는 이유는 아르 봄바가 정복 전쟁의 결과로 얻어진 산물이며 그로 인해 그의 위치가 내외부로부터 끊임없이 흔들리고 있기 때문이다. 밍얀의 눈물은 주권자 장가르의 눈물에 반하는 의미를 지닌다. 그의 눈물은 아르 봄바가 부족 연맹 체제임을 환기하는 역할을 한다. 흥미로운 점은 밍얀의 눈물이 부족 연맹 체제에서 비롯된 아르 봄바의태생적 위기를 폭로하고 있다는 것이다. 한편, 적과 마주한 상황에서흘리는 홍고르의 눈물은 역사적으로 전쟁의 격랑 속에서 대적 앞에 단신으로 서야 했던 칼미크 오이라드 민중의 감정을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전쟁에 나가기에 앞서 칼미크 오이라드 민중이 실제로 「장가르」 연창을 들었었다는 사실을 통해 그들이 자신들의 처지를 홍고르에 이입했을 가능성에 대해 생각해볼 수 있다. 1943년 칼미크 자치공화국은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독일에 부역했다는 혐의를 받고 시베리아로 13년 동안 강제 추방당한다. 이에 칼미크인은 1980년대 말까지 강제 추방의 기억을 사회적으로 폐제시킨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장가르」가 계속해서 다양한 방식으로 기억되어 왔다는점은 유념할 필요가 있다. 기실 ‘상실’로 점철된 그들의 민족사를 고려할 때 외부의 강대한 적 앞에서 ‘상실’을 예감하며 흘리는 영웅의 눈물은 칼미크인이 겪은 상실의 역사의 응축물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사회적으로 폐제된 상실의 기억, 곧 강제 추방에 대한 기억이 그들에게 엄습할 때 「장가르」는 아직 상실되지 않은 상실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들에게 위안을 준 기억서사였을 가능성이 있다. 이것이「장가르」가 기억의 사회적 폐제 속에서도 기억서사로서 끊임없이 반추되어 온 이유이다.

      • KCI등재

        신화 공동체의 기억서사와 부랴트 몽골의 <게세르> 연구

        이소윤 한국몽골학회 2018 몽골학 Vol.0 No.52

        “Geser” is an Central Asian heroic myth and epic poem that narrates the life of Geser, who is a battlefield hero and a heroic conqueror. The early research on this myth focused on the origin and spreading route. Although several historical identities were cited as the origin of Geser, Chingiz Khan routed interest to the political area. This issue was propagated politically in the process of preparing for the Buryat Mongolian art ten-day event. Pope, a Russian scholar specialized in Mongolian studies, proposed the 600th Anniversary of “Geser” and publish this myth in conjunction with the Buryat Mongolian art ten-day event. Numerous memorandum and related correspondences does not only associate Chingiz Khan to Buryat Mongol and the neighboring minorities people, but also demonstrates that this was a “memorial narrative” to inspire national spirit. What would be the role of “Geser” as “memoral narrative” to Buryat Mongol? The protagonist Geser maintains the stability of communal unity by forgiving the enemy and establishes his status through self-sacrifice. The fact that this myth can be inferred as a narrative embedded in the Central Asia as background gives importance to communal unity in “Geser”. Because of the external threats of enemies, the inner community had to erase the seed of dispute and creative a united atmosphere. On the one hand, it is interesting to see that the matter “memory” is significant in relation to the establishment of the community in this literature. The narrative portrays and warns of the heavy cost for neglecting the sense of community. Perhaps Buryat Mongolians wished to remind of the community through the publication and the 600th Anniversary of “Geser”. Buryat Mongolians in the early 20th century intended to “remember” their fate in front of the enemy, The Soviet Union, that menaces the establishment of the community through “Geser.” <게세르>의 초기 연구사는 주로 <게세르>의 기원과 전파 경로에 대한 관심과 역사적 실존 인물에 대한 탐구가 집중적으로 이루어졌다. 특히 1940년 부랴트 몽골 예술 10일 주간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후자의 문제가 정치적으로 불거졌다. 러시아의 몽골학자 포페가 이때에 맞춰 <게세르> 600주년 기념일을 지정하고 <게세르>를 출판하자고 제안한 것이다. 이와 관련한 다수의 자료는 소련의 입장에서 <게세르>가 부랴트 몽골족에게 칭기즈 칸을 환기시킬 뿐 아니라 이를 통해 결국 그들의 민족의식을 고취시킬 수 있는 일종의 ‘기억서사’였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그렇다면 부랴트 몽골이라는 신화 공동체에게 <게세르>는 어떠한 ‘기억서사’였는가? 주인공 게세르는 내부의 적을 용서함으로써 공동체의 결속을 안정적으로 유지한다. <게세르>에서 공동체의 결속이 중요한 이유는 <게세르>가 중앙아시아라는 공간을 배경으로 배태된 서사이기 때문이다. 공동체 외부에 적들이 산적한 상황에서 공동체 내부는 가능한 분쟁의 씨앗을 없애고 굳건하게 결속해야 했던 것이다. 한편 <게세르>에서 ‘기억’의 문제가 공동체의 존립과 관련하여 중요하게 제기된다는 점은 흥미롭다. 20세기 초반, 부랴트 몽골족은 공동체의 존립을 위태롭게 하는 소련이라는 외부의 적 앞에서 <게세르>를 통해 게세르와 같은 자신들의 숙명, 곧 공동체를 절대로 망각해서는 안 된다는 숙명을 ‘기억’하고 싶었던 것이다.

      • KCI등재

        중년기 여성의 자기효능감과 노후준비의 관계에서 사회적자본의 매개효과

        이소윤,황인옥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2022 상담심리교육복지 Vol.9 No.1

        본 연구는 중년기 여성의 자기효능감과 노후준비의 관계에서 사회적 자본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B광역시와 K도에 거주하고 있는 만 40세에서 만 59세의 중년기 여성 316명을 대상으로 모바일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년기 여성의 자기효능감, 사회적 자본, 노후준비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모든 하위변인에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나타났다. 둘째, 중년기 여성의 자기효능감과 노후준비의 관계에서 사회적 자본의 부분매개효과가확인되었다. 즉, 중년기 여성의 자기효능감에서 노후준비로 가는 직접경로와 자기효능감이 사회적자본을 매개로 하여 노후준비로 가는 간접경로가 모두 유의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중년기 여성의 노후준비를 높이기 위해서는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자본을 높일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이형상의 신당 철폐와 본풀이의 대응 방식 -<김녕괴뇌깃당본풀이>, <영천이목사본풀이>, <두리빌렛당본풀이>를 중심으로

        이소윤 한국무속학회 2022 한국무속학 Vol.- No.44

        This paper examined the abolition of Lee Hyung-sang’s shrine and how to Bonpuri respond to it for “Kimnyeongdang Bonpuri”, “Yeongcheon Lee-Moksa Bonpuri”, and “Duribiletdang Bonpuri.” “Kimnyeongdang Bonpuri” and “Yeongcheon Lee-Moksa Bonpuri” are interested in the activities of Lee Hyung-sang in Jeju Island after he was appointed as a moksa of Jeju Island. The former has long focused on the revenge of the Dangshin who murdered Lee Hyung-sang with the Bonpuri of a village shrine in a region with strong shamanism. On the other hand, the latter is the Bonpuri belonging to a part of the teaching book for the younger generation’s shaman, and in addition, it aims to convey the specific circumstances of the abolition of Lee Hyung-sang’s shrine. In particular, Lee Hyung-sang’s eradication of Kimnyeong snake is meaningful as a declaration of war on the shaman of Jeju Island. Therefore, it is focusing on drawing Lee Hyung-sang more inferiorly by adding new motifs that were not in the Bonpuri with other legends. On the other hand, “Duribiletdang Bonpuri” focuses on reminiscences after Lee Hyung-sang returns to land. The appearance of Park Dong-ji and Kim Dong-ji, who benefit from Lee Hyung-sang’s participation, resembles the appearance of indigenous officials who voluntarily abolished the shrine after receiving political and economic benefits from Lee Hyung-sang at the records. However, Dangshin in “Duribiletdang Bonpuri” do not turn a blind eye to them, but rather embrace them. And choose ‘coexistence’ with them. This phase of “Duribiletdang Bonpuri” can be summarized as clearly illustrating one aspect of the value of ‘coexistence’ implied in Jeju mythology. 본고는 <김녕괴뇌깃당본풀이>, <영천이목사본풀이>, <두리빌렛당본풀이>를 대상으로 이형상의 신당 철폐와 그에 대한 본풀이의 대응 방식에 대해 고찰하였다. <김녕괴뇌깃당본풀이>와 <영천이목사본풀이>는 이형상이 제주 목사로 부임한 후 제주도에서 벌였던 행적에 관심을 두고 있다. 전자는 예로부터 무속이 강한 지역의 마을 신당 본풀이로 이형상을 살해하는 당귀신의 복수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반면 후자는 후배 심방을 위한 교습서 일부분에 속하는 본풀이로 그에 더하여 이형상의 신당 철폐의 구체적 정황을 전달하려는 목적을 지니고 있다. 특히 이형상의 김녕뱀 퇴치를 제주도 심방에 대한 선전포고로 의미화한다. 따라서 여타 전설과 본풀이에 없던 새로운 화소를 추가함으로써 이형상을 보다 열등하게 그려내는 데 주력하고 있다. 한편, <두리빌렛당본풀이>는 이형상이 육지로 돌아간 뒤의 후일담에 방점을 둔다. 이형상의 출도를 대가로 이익을 얻는 박동지 영감과 김동지 영감의 모습은 『남환박물』에서 이형상으로부터 정치적·경제적 혜택을 얻고 자발적으로 신당 철폐에 나선 토착 관리들의 형상과 닮아있다. 그러나 <두리빌렛당본풀이>의 당신은 이들을 외면하지 않고 오히려 포용한다. 그리고 이들과의 ‘공존’을 선택한다. <두리빌렛당본풀이>의 이러한 국면은 제주 신화에 내포된 ‘공존’이라는 가치의 일면을 여실히 예증한다고 정리할 수 있다.

      • KCI등재

        Analysis of Dysphagia Patterns Using a Modified Barium Swallowing Test Following Treatment of Head and Neck Cancer

        이소윤,박영학,김보환 연세대학교의과대학 2015 Yonsei medical journal Vol.56 No.5

        Purpos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specific dysphagia patterns and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dysphagia, especially aspiration, following treatment of head and neck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A retrospective analysis of 57 patients was performed. Dysphagia was evaluated using a modified bariumswallow (MBS) test. The MBS results were rated on the 8-point penetration-aspiration scale (PAS) and swallowing performancestatus (SPS) score. Results: Reduced base of the tongue (BOT) retraction (64.9%), reduced laryngeal elevation (57.9%), and cricopharyngeus (CP) dysfunction (47.4%) were found. Reduced BOT retraction was correlated with clinical stage (p=0.011) and treatment modality (p=0.001). Aspiration in 42.1% and penetration in 33.3% of patients were observed. Twenty-four patients had PAS values over 6, implying aspiration. Forty-one patients had a SPS score of more than 3, 25 patients had a score greater than 5, and 13 patients had a SPS score of more than 7. Aspiration was found more often in patients with penetration (p=0.002) and in older patients (p=0.026). In older patients, abnormal swallowing caused aspiration even in those with a SPS score of more than 3, irrespective of stage or treatment, contrary to younger patients. Tube feeders (n=20) exhibited older age (65.0%), dysphagia/aspiration related structures (DARS) primaries (75.0%), higher stage disease (66.7%), and a history of radiotherapy (68.8%). Conclusion: Reduced BOT retraction was the most common dysphagia pattern and was correlated with clinical stage and treatmentregimens including radiotherapy. Aspiration was more frequent in patients who had penetration and in older patients. In contrast to younger patients, older patients showed greater risk of aspiration even with a single abnormal swallowing irrespective of stage or treatment.

      • KCI등재

        리좀사유를 바탕으로 한 부산 보수동 책방골목 활성화 계획

        이소윤,정하남,최장순,강훈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3

        Today, as a digital center, accessing and acquiring data through digital devices is gradually pushing the value of analog data out. As a result, the concept of libraries, bookstores, and bookbinding books has changed naturally. In the case of second-hand bookstores, analog data is the main subject, but because the data is not organized, it is hard to find the book that people want. Here, you need to digitize and catalog the inventory of each store and make it easy for people to find the book they want. However, the elderly people who are hard to acquire and utilize this information maintain their stores, and as a result, many old bookbinders are closed, and the long - standing history of Bosu-dong bookstore is also decli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data systemization education to merchants as a non-architectural part in order to solve the essential problem of Bosu-dong bookstore alley, and to promote mutual communication between merchants, residents and tourists I want to be smooth. To do this, we want to apply the concept of a Rhizome. In other words, as an architectural method for the activation of bookstore alleys. We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present spatial and programmatic solutions that apply the derived results. In addition, we propose a new library proposal that incorporates Rhizome theory into the Bosu-dong bookstore alley. 디지털 중심사회가 된 현재, 디지털 기기를 통한 자료 접근과 습득으로 아날로그 자료의 가치는 점차 관심 밖으로 밀려나고 있다. 이 때문에 도서관과 서점, 헌책방의 개념이 자연스럽게 바뀌게 되었다. 헌책방의 경우 아날로그 자료가 주를 이루고 있으나 자료정리가 되어있지 않아 사람들이 원하는 책을 쉽게 찾기 힘든 상황이다. 여기에 각 상점이 보유하고 있는 자료 목록을 디지털화하여 정리하고 사람들이 원하는 헌책을 쉽게 찾아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러나 실상 이러한 정보 습득과 활용이 어려운 노인 계층이 상점을 유지하고 있고, 이 때문에 많은 헌책방 들이 폐점하면서 오랜 역사를 가진 보수동 책방골목 또한 쇠퇴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보수동 책방골목의 본질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비 건축적인 부분으로 상인들에게 자료 시스템화 교육을 도입하고, 보수동 책방골목의 활성화를 위해 건축적인 부분으로 상인과 주민 그리고 관광객 사이의 상호소통을 원활하게 하고자 한다. 이렇게 하기 위해 리좀개념을 적용시키고자 한다. 즉 책방골목의 활성화를 위한 건축적인 방법으로 리좀이론을 사례를 통해 그 특성을 분석하고 도출해 낸 것을 적용한 공간적, 프로그램적 해결방안을 제시하고 아울러 보수동 책방골목에 리좀 이론을 접목시킨 새로운 도서관계획안을 제안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