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몽골 학습자 대상 한국어 말하기교육의 개선 방향

        바트체첵 한국몽골학회 2016 몽골학 Vol.0 No.4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ogres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its changes and define the compatibility of teaching approaches in order to improve Korean language speaking instruction best-suited for characteristics of Mongolian students based on the need analysis from stake-holders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study provides the present state of Korean language speaking instruction in Mongolia, the needs and demands from teachers related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key factors necessary for making progres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particularly in speaking instruction. The study has examined the present process of Korean language speaking instruction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changes in Mongolia. Moreover, teachers and students who are learning and teaching Korean language, Korean workers who are related to Korean institutions in Mongolia were participated in need analysis regarding Korean language speaking instruction. Based on the findings, two external and internal factors were extracted from the study. 몽골에서의 한국어교육은 1990년대 즈음부터 시작하여 현재까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몽골 내 한국어교육 연구자와 교사들은 그동안 몽골에서의 한국어교육이 발전하기 위한 논의와 연구를 수행해 왔고 적지 않은 연구 성과를 축적해 왔다. 몽골 지역 한국어교육이 양적․질적으로 발전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출발점은 크게 두 가지이다. 그 첫 번째는 몽골 학습자 대상 한국어말하기교육에 대한 연구가 미약한 수준에 머무르고 있는 것에 대한 문제제기에서 출발하였다. 즉, 몽골 지역 한국어교육의 연구는 다양한 영역에서 다루어지고있는데 필자는 몽골 내 한국어교육 연구 가운데 말하기교육에 대한 연구와 논의가 얼마나 차지하고 진행되었는지를 선행 연구를 통해서 살필 것이다. 몽골 지역 한국어교육을 다룬 연구는 2016년 현재 약 140편 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 중 몽골 한국어교육에 대한 학위 논문은 87편, 학술지 논문은 53편이었다. 학위 논문 중에서 한국어 말하기교육을 다룬 연구는 담화, 요청 화행, 거절화행을 다룬 3편의 논문이 있고, 학술지 논문에서 몽골 지역 한국어 말하기교육을 다룬 논문은 비판이론적 평가론과 관련지어 말하기교육을 언급한 지현숙(2012)가 유일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처럼 몽골 지역의 한국어 말하기교육을본격적으로 다룬 연구는 매우 적다고 할 수 있다. 교통수단의 혁신과 다양한 소통매체의 발달로 구어 의사소통이 그 어느 때보다 활발한 이 시대에 몽골 학습자 대상 한국어 말하기교육을 다룬 연구는 본격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크다. 몽골 지역 한국어교육이 더 활성화되고 발전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영역의 연구들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고 말하기교육을 다룬 연구도 보다 적극적이고 깊이 있게 이루어져야 한다. 연구의 출발점 두 번째는 몽골 지역 현장에서 한국어를 가르치는 교사나 학습자 모두 한국어를 교수-학습할 때 가장 난감하고 어려움이 큰 영역이 말하기교육이라는 인식에서 비롯되었다. 이는 필자가 몽골에서 한국어 학습을 한 후 한국에유학 와서 한국어교육을 전공하고 있는 몽골인 학문 목적 학습자인 것이 근간이되었으며 동료 연구생과의 비판과 반성, 토론 등으로 축적된 학술 활동 경험이 기초가 되었다. ‘지금, 몽골 지역’을 염두에 두고 한국어 말하기교육을 실제적이고심도 있게 다룬 연구가 보다 활성화되어서 수월성 있는 학습자 중심의 한국어 말하기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한다는 생각에서 본 연구는 시작되었다. 본 연구는 몽골 지역 한국어교육의 흐름과 변화를 살피고 한국어교육의 이해관련자(stake-holders)를 대상으로 한국어 말하기교육에 관한 요구 분석을 한 후몽골 학습자 대상 한국어 말하기교육의 개선을 위한 실천 방안을 모색하는 것으로 진행할 것이다. 이러한 연구를 성공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필자는 다음의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몽골 지역 한국어 말하기교육은 현재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가? 둘째, 한국어 교사와 학습자는 한국어 말하기교육에 대해 어떠한 요구를 가지고 있는가? 셋째, 한국어 말하기교육이 수월성 있게 이루어지기 위한 개선과 실천방안은무엇인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필자는 문헌연구와 방문 조사를 통해 몽골 지역 한국어교육의 변화와 몽골 대학의 말하기교육의 현황을 살필 것이다. 또한 조사연구법이라는 연구방법을 통 ...

      • KCI등재

        한·몽 수교 20년간 음악문화 교류

        박소현 한국몽골학회 2010 몽골학 Vol.0 No.29

        본 연구는 한국과 몽골의 수교 20주년을 기념하여, 과거 일 천년전 그리고 현재, 수교이후 20년간의 음악 문화 교류 현황을 검토한 것이다. 첫째, 일 천년전 한국과 몽골의 음악문화의 교류를 음악사학적 측면에서 검토 하였다. 고대로부터 전하는 몽골의 제사가인 <한 우라싼 쏭(汗·乌拉山 颂)>과 한국민요 <도라지>의 음악적 유사성에 대하여, 같은 민족의 노래가 역사적 시간의 흐름 속에서 변형되어 계승된 점을 주목하게 된다. 또한, 원과 고려의 국가적 음악문화 교류를 통해 고려의 집단 가무인 <징지리(井即梨)>, 타악기인 장구를 치며 추는 고려의 춤 <장고무(杖鼓舞)> 혹은 <편고무(鞭鼓舞)>, 고려가요 <동동가(動動歌)>가 원 나라에서 유행했음을 알 수 있다. 나아가 몽골의 야탁, 한국의 가야금과 같은 종류의 악기들을 보다 확대하여 음악사(音樂史)적으로 연구할 필요성이 있다. 이러한 연구는 양국의 음악학자들이 함께 연구할 과제일 것이다. 둘째, 수교이후 한국내 몽골음악 연구 현황이다. 한국은 몽골과 수교이후, 몽골음악학 연구는 전반기 10년 동안 권오성에 의해 조사 및 발굴 연구되어 왔으며, 이후 10년은 그의 제자인 본인에 의해 연구되고 있다. 연구초기에는 주로 몽골음악 전반을 소개한 것이고, 이후의 연구는 한국과 몽골의 음악문화를 비교한 것이 대부분이다. 앞으로 몽골음악학의 풍성한 발전을 위하여 국내 동학(同學)들이 다수 배출되기를 기대한다. 하나의 비전을 본다면, 소중한 몽골음악학의 인재들이 한국으로 유학 중이거나, 유학을 예정하고 있어 향후 국내 몽골음악학에 또 하나의 가능성을 예측해 본다. 셋째, 수교이후 한국내 몽골음악 활동의 주요 쟁점이다. 몽골의 음악가들은 수교 초기, 경기도 남양주에 조성된 ‘몽골문화촌’에서 몽골전통음악을 공연하여, 몽골전통음악을 한국인에게 소개했다. 이후 2000년대부터 한국 음악학자들은 아시아권의 음악문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이에 몽골의 명인 음악가들이 초청되어 몽골전통음악의 정수를 알리기 시작했다. 이로 인하여 몽골음악에 대한 관심이 급상승하게 되었으며, 젊은 몽골 연주자들의 한국내 활약이 왕성해졌다. 아울러 한국에 유학 온 몽골음악가들은 실내악 단체를 결성하고, 아시아권의 음악가들과 한국 내에서 공동으로 세계를 향한 음악적 도약을 추구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지난날 거대한 역사 속에 묻어둔 근원은 양국의 음악문화 저변에서 살아 숨 쉬고 있다. 때문에 앞으로 한국과 몽골 음악학자들의 보다 적극적인 공동연구가 추진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realities in bilateral exchanges of musical culture between Korea and Mongol deep in the past (about 1 thousand years ago) and over last 20 years of friendly relationships between two countries after their bilateral treaty of amity. First, this study took an approach of East Asian musical history to investigating such bilateral exchanges of musical culture as made between Korea and Mongol about 1 thousand years ago. It focused on the musical similarity of “Doraji”, a Korean traditional folk song to “Han Urassan Ssong(汗·乌拉山 颂)”, a Mongol traditional ritual song originated from the ancient days. Here, it was found that one song of a nation has been modified and inherited into two kinds in a stream of historical time.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Jingjiri(井即梨, a collective singing and dancing popularized in the Koryeo Dynasty)”, “Jang-gomu(杖鼓舞) or Pyeon-gomu(鞭鼓舞, a dynamic dancing accompanied with percussion like Jang-gu)” and “Dongdong-ga(動動歌, a popularized ballad of Koryeo Dynasty)” were all popularized among peoples in Mongol owing to international exchanges of musical culture between Koryeo and Mongol. However, this study suggested that it would be necessary for follow- up studies to extend their scope of investigation into other instruments like Mongol's Jatag and Korea's Gayageum from the perspective of bilateral musical history for comparison. And these studies will possibly involve the musical scholars in Korea and Mongol. Secondly, this study discussed a history of existing investigations into Mongol traditional music in Korean academic world after bilateral treaty of amity between Korea and Mongol. After the treaty of amity between two countries, it is Kwon Oh-seong that played his leading role in investigating and discovering academic aspects of Mongol traditional music over the first decade, but the author of this paper - as the disciple of Kwon - has focused upon investigating them over the next decade till now. Their early studies focused primarily on introducing general aspects of Mongol traditional music, and their follow-up studies focused mostly on comparison of musical culture between Korea and Mongol. It is expected that many Korean companions, apart from the author of this paper, will be fostered for prosperous development of domestic investigations into Mongol traditional music in the future. As a part of the vision, for instance, many precious Mongol talents are studying or plan to study Mongol traditional music in Korean universities, so it is expected that they will be another possibility of Mongol traditional music studies in Korea. Thirdly, this study focused on major issues in Mongol traditional music activities in Korea after the treaty of amity between two countries. In the early bilateral friendship after the treaty, Mongol traditional musical artists performed their national traditional music at ‘Mongol Cultural Town’ established in Namyangju, Gyeonggi province to introduce it - as a kind of strange and exotic music - to Korean people. And Korean traditional music specialists have been more interested in Asian music since 2000. That is why reputed Mongol traditional music masters have been invited by Korean academic world to propagate the choice of Mongol traditional music into Korea. Then, there have been rapidly increasing interests in Mongol traditional music among Korean people, and the young generation of Mongol traditional music performers has begun to energetically roll out their performance activities in Korea. Moreover, Mongol musicians studying in Korea form their own traditional chamber music groups, and collaborate with Asian traditional musicians in Korea to pursue a leap of musical propagation from Asia into the world. Summing up, the essential source hidden in a vast depth of history is alive in the very foundation of bilateral musical culture between Korea and Mongol. That is wh...

      • KCI등재

        한국어와 몽골어의 종결어미 대조 연구

        바야르마 한국몽골학회 2023 몽골학 Vol.- No.74

        본고에서는 한국어와 몽골어의 종결어미 체계를 대조하여 개별 종결어미의 의미와 기능에 따른 대응 양상을 살펴본다. 두 언어의 종결어미 체계를 대조하여 체계의 특징을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한국어와 몽골어의 어미 체계의 경우, 한국어에서는 종결어미의 분류 기준은 문체법과 상대높임법 체계 두 가지이다. 한국어의 종결어미는 문장을 종결하므로 문체법이 기준이 되고, 종결어미가 상대를 대하므로 높임법이 하나의 중요한 기준이 된다. 반면에 몽골어에서는 종결어미를 시제와 인칭의 수에 따라 분류한다. 다음으로 한국어의 종결어미 분류 체계 중심으로 몽골어의 종결어미와 대조하여 유사점과 차이점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몽골어의 명령형어미가 한국어의 상대높임의 체계별 어미 형태와 제일 일치하게 대응되는데 그외 청유형, 약속형, 허락형과 경계형의 경우 각각 상대높임법 체계가 따로 나타나지 않고 한 형태와 대응된다. 또한 몽골어의 ‘-ya/ye/yo’형태가 화자의 의지를 나타낼 때 한국어의 약속형어미와 대응되고, 청자에게 공동 참여를 제안할 때 한국어의 청유형어미와 각각 대응되는 것을 봤을 때 한 형태소가 두 가지의 의미를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평서형어미, 감탄형어미와 의문형어미의 경우 동사와 형용사에 따라서 각각 대응되는 형태들이 다르다. 그렇지만 한국어의 한 형태에 대응되는 몽골어의 어미가 평서형의 경우 4개, 의문형의 경우 2개이다. 한국어의 종결어미는 상대높임법 체계에 따라서 형태들이 달라지고 모음조화규칙에 따른 이형태들이 있고 활용할 때에도 앞의 용언 어간이 모음이냐 자음이냐에 따른 이형태가 있어서 불규칙 활용도 유의해야 한다. 반면에 몽골어에서는 모음조화교칙에 따른 이형태가 있는데 불규칙 활용에 따른 이형태가 없다. 또한 한국어에 대응되지 않는 몽골어의 종결어미도 있다. 즉 몽골어의 축복 기원 ‘-tygai/tugei, 희망 -aasai4, -sygai/sugei, -g’ 어미는 한국어에서 대응되는 종결어미가 없다. 그렇지만 각각 기능과 의미 면에서 대응시킬 수 있는 문법 표현들이 있는데, 본고에서는 몽골어의 축복 기원 ‘-tygai/tugei’를 한국어의 ‘-기를 바란다’ 문법 표현과 대응시키고, 몽골어의 희망 ‘-aasai4’ 형태를 한국어의 ‘-었/았/였으면 한다’ 문법 표현, ‘-sygai/sugei’를 ‘-ㅁ’ 전성어미로, ‘-g’ 어미를 ‘-도 좋다, -도록 하다’ 문법 표현에 대응된다고 보았다. 이러한 종결어미의 체계 분류 및 기능적 대조 연구를 통해서 그간 이루어지지 않은 부분에 대해 밝힌다는 언어학적 의의도 있으며 이와 더불어 한국어-몽골어 번역이나 외국어교육 등에서 활용할 수 있는 기초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paper examines the response patterns according to the meaning and function of individual termination endings by comparing the termination endings system of Korean and Mongolia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ystem are summarized as follows by comparing the termination ending system of the two languages. First of all, in the case of the Korean and Mongolian ending systems, there are two criteria for classifying the terminating endings in Korean: the sentence style and the Korean relative honorifics system. The ending of the Korean language ends the sentence, so the sentence style is the standard. In addition, Korean relative honorifics system becomes an important criterion because the ending end treats the opponent. On the other hand, in Mongolian, the ending i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tense and number of personal names. Next,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were examined in contrast to the end of Mongolian, focusing on the end of Korean. As a result, the imperative ending of Mongolian was most consistent with the ending form of each Korean relative honorifics system.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request ending, the promised ending, the permitted ending, and the boundary ending, respectively, it was Korean relative honorifics system did not appear separately and correspond to one form. In addition, when the Mongolian form of '-ya/ye/yo' indicates the speaker's will, it corresponds to the promised ending of the Korean language. When suggesting joint participation to listeners, it corresponds to the request ending of the Korean language, respectively. Looking at this, it can be seen that one morpheme represents two meanings. In the case of declarative, exclamatory, and interrogative endings, the corresponding forms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verb and adjective. However, there are four Mongolian declarative endings corresponding to one form of Korean, and two for the interrogative endings. The final ending of the Korean language varies according to the Korean relative honorifics system, and there are these forms according to the vowel harmony rule. In addition, when conjugation it, there is a form depending on whether the previous word stem is a vowel or a consonant, so irregular use should be noted. On the other hand, in Mongolian, there is a form according to the rules of vowel harmony, but there is no form according to irregular use. There is also an end to Mongolian that does not correspond to Korean. In other words, the Mongolian blessing origin '-tygai/tugei, hope -aasai4, -sygai/sugei, -g' does not have a termination ending corresponding to the Korean language. However, there are grammatical expressions that can correspond to each other in terms of function and meaning. In this paper, the Mongolian blessing origin ‘-tygai/tugei is corresponding to the Korean ‘-기를 바란다’ grammatical form, and the Mongolian hope ‘-aasai4’ is expressed in the Korean grammar form ‘-었/았/였으면 한다’, ‘-sygai/sugei’ as a "-m" genitive ending, and the "-g" ending is corresponding to the Korean ‘-도 좋다, -도록 하다’ grammatical forms. There will also be linguistic significance in revealing parts that have not been made through system classification and functional contrast studies of these termination ends. In addition, it is expected to be a basic material that can be used in Korean-Mongolian translation and foreign language education.

      • KCI등재

        한국 몽골학의 현재와 미래

        이성규 한국몽골학회 2021 몽골학 Vol.- No.65

        When an organization begins to form, the corresponding people and countries are created accordingly. Our ancestors, who are located in the east of Eurasia, have been protecting and cultivating their language, history, and culture with the national identity of the Korean people for long time. On the other hand, in the northwest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central part of the Eurasian continent, the Mongols based on nomadic life have established their own culture and interacted with the surrounding people and countries. Geographically adjacent Koreans and Mongolians were inevitably in contact and had to know each other for mutual benefit. An area studies is the study to know the other person, and Mongolian studies fall into that category. As Korea has long been neighboring and interacting with Mongolia, it has a high understanding of Mongolia, and several uncomfortable relations have raised interest in Mongolia. Specifically, even after 100 years of Mongolian interference at the end of the Goryeo Dynasty, Joseon Dynasty still learned Mongolian in consideration of its relations with Mongolia, and this tradition continued until 1894 when the ministry of foreign was abolished. The tradition of Korean Mongolian studies, which was cut off for 100 years due to foreign power and ideology, was restored in 1990 when the Republic of Korea established diplomatic ties with Mongolia, and Korean Mongolian studies returned to previous direct research. Korean Mongolian studies, which have missed the time to lay the foundation for modern academic research, have filled the gap through explosive interest and research over the past 30 years, and at the center were the “Korean Association for Mongolian Studies” and a number of research institutes. Korean Mongolian studies have continued to make efforts to restore the tradition that has been cut off, and have achieved considerable results. However, Korean Mongolian studies are still lacking in many areas, especially in basic research. In order to expand the base of Mongolian studies in Korea, more Mongolian original text should be translated and high-level annotations should also be made. A long tradition of Korean Mongolian studies and frequent contact with Mongolia, there are Mongolian-related materials in Korea and have been treated as a central research material for Korean Mongolian studies. In recent years, through joint research with Mongolia, we have also been collecting data that we have investigated in Mongolia. However, we should consider the fact that we are not fully utilizing hard-earned data or materials we have. Mongolian studies are no exception at this time when convergence is a major academic trend. Only joint research in various fields is a shortcut to understanding Mongolia correctly. In addition, joint research with local institutions and scholars in Mongolia is essential, and exchanges and joint research with Mongolian scholars from various countries around the world will also serve as an opportunity to develop Korean Mongolian studies. 민족이나 국가란 조직이 형성되기 시작하면 그에 상응하여 민족과 국가도 만들어진다. 유라시아 대륙의 동쪽에 자리 잡은 우리 조상들은 꽤 오랜 시간 한민족이란 민족 정체성을 가지고 자신들의 언어와 역사, 문화를 지키고 가꾸어 왔다. 반면 한반도의 북서부와 유라시아 대륙의 중앙부에는 유목 생활을 기반으로 하는 몽골족이 독자적인 문화를 구축하고 주변의 민족이나 국가와 교류하여왔다. 지리적으로 인접한 한민족과 몽골족은 필연적으로 접촉할 수밖에 없었고 상호 간의 이익을 위하여 상대방을 알아야만 했다. 지역학은 상대방을 알기 위한 학문이고 몽골학도 그 범주에 속한다. 한국은 몽골과 오랫동안 이웃하면서 교류하여왔기 때문에 몽골에 대한 이해도가 높으며 몇 차례의 불편한 관계는 더욱 몽골에 대한 관심도를 높였다. 구체적으로 고려말 100년간의 몽골 간섭기 이후에도 조선에서는 몽골과의 관계를 고려하여 여전히 몽골어를 학습하였고 이 전통은 1894년 사역원이 폐지될 때까지 이어졌다. 외세와 이념으로 100년간 끊어진 한국 몽골학의 전통은 1990년 대한민국이 몽골과 수교함으로써 다시 복원되었고 한국의 몽골학은 이전의 직접적 연구로 돌아갔다. 근대적인 학문연구의 기초를 다지는 시기를 놓쳐버린 한국 몽골학은 지난 30년간 폭발적인 관심과 연구를 통하여 공백을 메꾸어왔으며 그 중심에는 <한국몽골학회>와 다수의 연구기관이 있었다. 한국 몽골학은 그동안 단절된 전통을 복원하기 위하여 끊임없는 노력을 해 왔으며 상당한 성과를 거두었다. 그러나 아직 한국 몽골학은 여러 분야에서 부족한 점이 많으며 특히 기초연구에서 미진한 점이 많다. 국내 몽골학의 저변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몽골 원전들이 번역되어야 하고 높은 수준의 주석서도 나와야 한다. 한국 몽골학의 오랜 전통과 몽골과의 빈번한 접촉으로 국내에는 몽골 관련 자료들이 있으며 한국 몽골학의 중심 연구 자료로 다루어져 왔다. 그리고 최근에는 몽골과의 공동연구를 통하여 몽골 현지에서 조사한 자료들도 확보해 나가고 있다. 그러나 어렵게 확보한 자료나 가지고 있는 자료들을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점은 고민해보아야 한다. 융복합이 학문의 대세인 지금 몽골학도 예외일 수는 없다. 다양한 분야의 공동연구만이 몽골을 올바르게 이해하는 지름길이다. 또 몽골 현지의 기관이나 학자들과의 공동연구는 필수적이며 세계 여러 나라의 몽골학자들과의 교류와 공동연구도 한국 몽골학을 발전시키는 계기가 될 것이다.

      • KCI등재

        The Analysis of the Role of Mongolia among the Korea, Mongol, North Korean Sociocultural Relationship

        김선호 한국몽골학회 2013 몽골학 Vol.0 No.34

        2012년 한국과 몽골은 수교 22주년을 맞이하였다. 이 시점에서 한국과 몽골은 전통적인 국제관계의 틀 안에서의 정치 분야와 기존의 경제 협력분야와는 달리 사회경제 분야에서의 협력과 남북 문화교류에서의 몽골의 역할이 기대되어지고 있다. 바로 이러한 관점으로 본 연구는 한국과 몽골의 녹색에너지 분야에서의 협력과 몽골인들의 한국 이주에 관한 문제 그리고 중간자로서 몽골이 남북한의 사회문화교류에서의 역할을 진단하고 분석 하는 데에 그 목적을 두었다. 먼저 녹색에너지 분야에 있어서는 2010년 한·몽 전략대화 제1차 회의에 참석하였던 몽골측 대표단이 한국의 경기도 안산 누에섬 풍력 발전소 현장을 견학하고, 몽골의 쏨(우리의 군)마다 필요한 규모라는 실용성을 강조하면서 남한의 자본과 기술, 북한의 노동력, 몽골의 자연환경의 적극적인 협력을 긍정적으로 피력하였다. 두 번째로 본 연구에서는 몽골인들의 한국이주에서 나타나는 갈등의 현상을 몽골에서 사회문제로 집중적으로 다룬 자료를 토대로 화해의 길로 이끌어야 한다는 것을 진단하였다. 특히 몽골인의 노동 및 결혼 이주를 단순 Migration 으로 간주하지 말고 한국과 몽골사회에 도움이 되는 사회경제적 교류로 평가하여야 한다. 다행이 한국 법무부의 전향적인 정책 전환이 나타나고 있다는 것을 분석하였다. 한반도의 남북한 문제를 몽골은 동시 수교국가로서 특별히 사회문화교류에 주도적 역할을 분석한다. 분야별로는 학문 분야에서 중국의 역사왜곡에 대하여 몽골이 남북한의 학자들과 같이 정기적인 심포지엄을 주도할 수 있는 역할의 기대치를 분석한다. 언어 연구에서도 역시 몽골은 남북한 학자들과의 공동연구를 주도하여 남북한 학술교류에서 중간자적인 역할을 하여야 한다. 그리고 종교에 있어서 라마교에 대한 공동 학술연구, 아울러 예술 분야에서의 몽골, 한국, 북한의 교류, 스포츠 분야에 있어서 레슬링과 태권도등의 공통분모가 있는 종목에서의 몽골 그리고 남북한의 교류가 필요하다. 이제 몽골과 한반도의 관계 발전은 기존의 전통적인 국제관계의 틀에서 벗어나 한반도 사회문화교류에서의 주도적인 중간자 역할을 삼각관계의 틀 안에서 주목해야 한다. 특히 먼저 협력이 가능한 특별한 분야에서의 적극적인 형태가 몽골의 주도로 이루어져야 한다.

      • KCI등재

        세계화 시대 한국 내몽골고학력자 취업이민에 대한 사례 연구

        신난딩 한국몽골학회 2023 몽골학 Vol.- No.73

        오늘날 세계화의 영향으로 인해 고학력자들이 취업이민을 함에 따라 두뇌유출과 두뇌유입에 의해 한국과 몽골 양국 사이에 학술적 교류 네트워크가 활발하게 형성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국내에 체류하고 있는 몽골고학력자들에 대한 몽골어 심층면접조사를 시행함으로써 몽골 출신 고학력 인력이 한국에 유입되어 활동하는 현상에 대해 몽골사회와 한국사회에 걸쳐 초국적 관점에서 그 원인을 분석한다. 첫째, 몽골고학력자들의 국내 유입은 한국·몽골 정부의 장학금 제도를 통한 유학, 출신국 직장 사직 후 유학, 고등학교 졸업 후 개인적 유학 등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몽골고학력자의 유학은 취업이민으로 이어지면서 한국에서의 거주가 장기화되는 경우가 많다. 몽골사회에서는 해외 유학한 고학력자의 두뇌활용도가 낮기 때문에 한국으로의 두뇌유출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몽골사회에는 해외 유학 고학력자의 전공에 맞는 일자리가 부재하고, 과학기술 분야 고학력자에 대한 노동시장의 수요가 낮고, 지식노동에 대한 경제적 가치를 저평가하는 것과 관련되어 있다. 둘째, 한국사회는 학령인구 부족 현상으로 인해 많은 대학교가 해외에서 유학생을 적극적으로 유치하고 있으며, 국가에서는 졸업 후 외국인 고학력자의 취업이민을 허용하는 이민정책을 적극적으로 시행함으로써 두뇌유입을 장려하고 있다. 한국사회에서 몽골고학력자들은 주로 대학교 연구직이나 행정직에 종사하거나 본인 전공과 관련한 개인사업에 종사하고 있다. 셋째, 한국 내 몽골고학력자들은 개인적 수준의 취업이민을 넘어서 양국의 대학교 간 전공 분야 교류를 추진하고, 연구협력을 선도하는데 기여하고, 문화적·사회적 교류를 지속적으로 발전시키면서 국제적인 두뇌네트워크를 활성화시키고 있다. 이와 같이 한국과 몽골 간 고학력자 유출입은 두 사회에 필요한 두뇌네트워크를 초국적 차원에서 강화하고 있다.

      • KCI등재

        현대몽골어 정서법의 문장부호 분석연구

        김기성 한국몽골학회 2022 몽골학 Vol.- No.68

        This article analyzed the contents of the ‘orthography(Зөв бичгийн дүрэм)’ in the new revision of the 『Mongolian Orthography Regulation Dictionary』 published in 2018 in terms of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and summarized and introduced this in order to improve understanding of the newly revised Mongolian orthography which is newly enforced. For lack of space, we focused on ‘Punctuation marks to be used Mongolian script(Монгол бичигт хэрэглэх цэг цэглэл)’ corresponding to Chapters 8 of the contents of the ‘orthography(Зөв бичгийн дүрэм)’. Chapters 8 have not changed in terms of the contents from the previous 1983 version, but there is a slight difference in that the subheadings are given so that some headings of each chapter and the contents of each provision can be understood at once by making the most of the beauty of editing. Since the specific and overall contents about the Mongolian orthography have not been introduced in Korean, it can be said that the analysis, summary, and introduction of this are of great significance not only academically, but also practically in terms of promoting the understanding of the new revision of Mongolian orthography. In other words, it is important in terms of providing basic data necessary for majors of Mongolian and Mongolian studies and other related scholars. 이 연구는 2018년에 출판된 신 개정 『몽골어 정서법 규정 사전(Монгол хэлний зөв бичих дүрмийн журамласан толь)』의 ‘정서법(Зөв бичгийн дүрэм)’ 내용 중, 제8장 ‘몽골문자에 사용하는 문장부호(Монгол бичигт хэрэглэх цэг цэглэл)’ 규정의 체계, 의미, 기능, 용법 등을 정리, 분석한 연구이다. 그 결과 제8장 역시 기존의 1983년본과 비교해 내용 면에서 크게 달라진 점은 없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최근 현대인의 눈에 익숙한 글자 모양과 글꼴 크기 조정 등 편집상의 변화, ‘몽골 문자 규범(1983)’에서 규정했던 따옴표 „ ”가 ‘정서법(2018)’에서는 큰따옴표 " "(“ ”) 형태로 개정된 점 등만이 조금 달라졌다고 할 수 있다. 몽골어와 한국어, 양 언어 모두 물음표, 느낌표 등과 같은 일부 문장부호는 사용에 있어서 특별히 차이 나는 독특한 항목이나 규정은 찾아볼 수 없다. 다만 한국어 규정의 경우 몽골어 규정보다 상대적으로 자세한 해설과 함께 그 용례를 들고 있으며, 몽골어의 경우 해설 부분이 다소 소략한 감이 없지 않아 있다. 앞으로 좀 더 자세한 해설의 보충과 용례 제시가 필요해 보인다. 한편, 문장부호와 관련한 여러 조항에서 볼 수 있듯이 양 언어 모두 서로 유사하게 쓰이고 있는 조항도 많지만, 각국 언어의 표기 특성상 차이가 나는 부분도 상당수 존재한다. 하나의 예로 몽골어에서는 이름을 표시할 때 성에 해당하는 앞부분의 이름을 줄여서 마침표를 사용하기도 하지만, 한국어의 경우 성 다음에 마침표 등을 사용해 이름을 표시하는 경우는 없다. 몽골어 ‘정서법(2018)’ 규정을 ‘몽골 문자 규범(1983)’에서 그대로 가져와 사용하고 있으므로 그 당시의 사회적 환경을 반영한 예문이 대부분이다. 2018년 현재 몽골은 자유민주주의 국가이지만 정서법의 많은 예문은 옛 사회주의 색채를 띠고 있는 경우를 많이 볼 수 있다. 현대 자유민주주의, 자본주의, 시장경제 사회의 급속한 시대적 사회상을 반영한 예문들로 조속한 개정이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분명한 수정이 필요한 규정 항목 부분임에도 전혀 수정을 가하지 않고, 예전 1983년본과 똑같이 옮겨서 규정하고 있다는 점, 따라서 급속한 현대 사회의 언어, 어문 생활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 등은 크게 잘못된 점이라 여겨진다. 급속한 사회 변화에 발맞춘 현대 몽골인의 언어, 어문 생활을 반영하는 구체적이고 세밀한 정서법이 여러 번의 개정 과정을 거치게 되더라도 조속히 개정되어 시행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한국내에서 수행된 몽골의 교육관련 연구 동향 분석

        간치멕,임현주,차희영 한국몽골학회 2021 몽골학 Vol.- No.66

        This study as an analysis of trends in pedagogical studies related Mongolian education in Korea. By grasping Mongolia's education-related research in Korea, I would like to suggest areas for future research. To achieve this goal, Mongolia's education-related papers were collected from the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riss.kr), and 55 papers in the journal, 21 doctoral dissertations, and 76 papers in total were analyzed. Was analyzed by classifying by topic. As a result of the main research, firstly, Mongolian education related research in Korea could be classified into five subjects: 'education system', 'Korean education', 'multicultural education', 'curricular education', and 'other' research. Second, among the five classified subjects, the study related to 'Korean education' was the most frequent, and the study related to 'multicultural education' was found to be insufficient compared to other formulations. Lastly, this tendency was also shown in the results of quantitative analysis through text mining analysis or word cloud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used as basic research data in the exchange of educational fields between Mongolia and Korea. In addition, it can be used to understand various problems related to education of Mongolians living in Korea, such as Mongolian international students and multicultural students from Mongolia, and to identify research areas that need to be carried out in the future. 본 연구는 한국에서 발표된 몽골의 교육 관련 교육학 연구들의 연구 동향을 파악하여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한 제언을 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를 위해 한국교육학술정보원(riss.kr)에서 몽골의 교육 관련 교육학 논문을 검색하여 학술지 게재 논문 55편과 박사학위 논문 21편, 총 76편의 논문을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수집된 논문을 주제별 분류하여 질적 분석하였고, 빅데이터 분석 기법인 텍스트마이닝을 통해 단어 빈도수 양적 분석과 워드클라우드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로는 첫째, 한국에서 발표된 몽골의 교육 관련 연구 논문들은 ‘교육 정책 및 행정’, ‘한국어 교육’, 그리고 ‘교육과정 및 교과교육’ 관련 연구 등 3개의 주제로 분류할 수 있었다. 둘째, 분류된 3개의 주제 중에서 ‘교육 정책 및 행정’ 관련 연구가 가장 많았고, ‘한국어 교육’과 ‘교육과정 및 교과교육’ 관련 연구가 많이 진행되었다. 셋째, 이런 경향성은 텍스트마이닝 분석을 통한 양적 분석이나 워드클라우드 분석 결과에서도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몽골과 한국의 교육 분야의 교류에 있어서 기초 연구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몽골 유학생, 몽골 출신 다문화 학생 등 한국 거주 몽골인 교육 관련 여러 문제를 이해하고 향후 수행이 필요한 연구 영역을 파악하는 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한국내 학부 몽골어 통번역 교육과정 고찰 및 개선 방안

        오윤게렐(Ch.Oyungerel) 한국몽골학회 2022 몽골학 Vol.- No.69

        올해는 한국과 몽골이 수교를 맺은 지 32주년이 되는 해이다. 두 나라의 관계는 사회 전반에서 양적으로 또는 질적으로 확대 발전하고 있는 반면에 두 나라의 기업들이나 통번역 인력을 필요로 하는 기관들은 전문 통번역사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내 학부 몽골어 통번역 교육과정 현황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몽골어 전공자를 위한 보다 효과적인 몽골어 통번역 교육과정이 개발되는데 있어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학부 몽골어 통번역 교육과정이 일반 외국어 계열의 학부 및 학과에서 개설되어 있는 통번역 수업의 성격에서 통번역의 기본 이론 및 방법론을 반영한 더 나아가 통번역의 훈련과 실습을 실시하는 몽골어 통번역 능력을 향상하는 방향으로 개선되어야 한다. This year is the 32nd anniversary of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ties between Korea and Mongolia. Relations between the two countries are expanding and developing both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but there is a shortage of professional interpreters and translators in companies or institutions that require interpreting personnel. This article tried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of the Mongolian language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curriculum for undergraduates in Korea, and to suggest ways to improve the development of a more effective Mongolian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curriculum for Mongolian majors. The undergraduate Mongolian language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curriculum needs to be improved. This needs to be improved in the direction of improving the Mongolian language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ability, which reflects the basic theory and methodology of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beyond the nature of the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classes offered by faculties and departments of general foreign language departments, and further training and practice of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 KCI등재

        현대몽골어와 한국어의 ‘기본수사(基本數詞)’, ‘순서수사(順序數詞)’ 대조 연구

        김기성 한국몽골학회 2016 몽골학 Vol.0 No.47

        In this study I summarized the morphology, composition, its meaning and the function of modern Mongolian numerals and did contrastive analysis of having relevance to between Korean numerals and Mongolian one based on the study of this. Numerals of modern Mongolian language and Korean have a difference as follows. 1. Modern Mongolian language traditionally divides numeral into 7~9 systems according to form and semantic function in sentence, but Korean usually divides it into divided systems such as ‘Cardinal Numerals’ and ‘Ordinal Numerals’. 2. ‘Cardinal Numerals’ and ‘Ordinal Numerals’ of modern Mongolian language are not used by dividing into ‘native tongue system(native words)’ and ‘Sino-Korean word system’ as Korean. 3. When combining numeral(combining form) is made, front positional number(native tongue, Sino-Korean word) and back positional number (native tongue, Sino-Korean word) are apposed and used without change in Korean, but stem formation ‘н(hiding н)’ suffix with a function limiting back positional number is connected to front positional number in modern Mongolian language. 4. Most numerals play a role of modifier and are located in front of a noun in Mongolian language, but in Korean, it is unnatural for numeral to be in front of a noun and it is natural for numeral to be back of a noun. Numerals of modern Mongolian language and Korean have a point of similarity as follows. Both Mongolian language and Korean take charge of functions and roles such as modifier(adnominal phrase), object, predicate and subject according to what postposition follows or where it is used in sentence. 본 연구는 현대몽골어의 ‘수사(數詞)’1)에 대한 형태 및 구성, 그의 의미, 기능, 용법 등을 정리해 살펴보고, 이후 이를 기준으로 대응 가능한 한국어 ‘수사(數詞)’2) 와 서로 대조 분석해 보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이러한 대조 분석을 통해 이들이 서로 어떠한 유사점과 차이점 등을 갖고 있는지 살펴보며, 양 언어의학습자들에게 담화, 문맥 등의 상황에서 중요하게 나타나는 수사의 올바른 사용법과 이를 위한 기초자료 등을 함께 제시해 보고자 한다.3) 언어생활에 있어서 높은 빈도의 사용과 더불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수사의 올바른 사용은 양국 언어의 학습자들에게 서로의 의사소통 능력을 더욱향상시키는 데에 크게 이바지 할 수 있다. 더욱이 한국어의 수사는 고유어(토박이말) 계열의 수사와 한자어 계열의 수사두 가지가 있어서 다양한 언어 상황에 따라 서로 다른 계열의 수사를 혼용해 사용하고 있다. 때문에 이러한 점들은 한국어를 습득하는 몽골인 학습자들에게 크나 큰 혼란과 함께 잘못된 사용을 불러일으키기도 한다. 따라서 이러한 혼란과 잘못된 사용을 바로 잡기 위해서라도 이들 간의 대조 연구는 반드시 필요하다. 뿐만 아니라 각 개별 언어의 수사에 대한 소개, 연구들은 쉽게 찾아 볼 수 있지만,4) 현대몽골어와 한국어 간의 수사에 대한 비교, 대조 연구는 너무나 빈약한 실정이므로 이에 대한 대조 연구는 반드시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5) 필자는 우선 현대몽골어의 일부 문법서에 소개되고 있는 수사와 그의 체계, 의미, 기능 등을 종합, 정리해 이를 논의의 기준으로 삼고, 그 다음 여기에 대응 가능한 유사 의미, 기능의 한국어 수사들을 순차적으로 대조 분석해 보는 방법으로 논의를 전개해 나가기로 한다. 본고에서는 양 언어의 ‘기본수사(基本數詞)’와 ‘순서수사(順序數詞)’에 초점을 맞추기로 한다. 본 연구의 구성은 대략 다음과 같다. 1장 서론을 포함해 2장에서는 현대몽골어의 일부 문법서에 소개되고 있는 수사와 그의 체계, 의미, 기능 등을 종합, 정리해이를 논의 대상의 기준으로 삼고, 3장에서는 여기에 일차적으로 대응 가능한 한국어의 ‘기본수사’와 ‘순서수사’를 형태․통사적 측면에서 상호 대조해 보기로 한다.6) 4장에서는 2장, 3장의 내용들을 요약해 결론짓기로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