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선택적 함묵증을 가진 아동을 위한 근거기반 놀이치료 사례연구

        이소연 ( So Yean Lee ) 한국놀이치료학회 2014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Vol.17 No.4

        본 연구는 사회적 상황에서 말하는 것을 거부하는 선택적 함묵증 증상을 보이는 초등학교 2학년 남아 아이에 대한 놀이치료 사례연구이다. 총 51회 동안의 놀이치료 과정에는 인지행동치료, 모래놀이치료, 약물치료 접근이 포함되었다. 주 치료접근으로 사용된 인지행동치료 기법에는 심리교육, 노출, 행동형성, 유관성 관리, 정서 표현과 조절, 인지적 재구조화가 포함되어졌다. 선택적 함묵증을 보인 본 사례 아동에게 절충적이고 병행적인 치료를 적용한 것은 선택적 함묵증 치료에 대한 선행연구, 아동의 발달수준, 특성, 치료과정에서의 변화 등을 고려했기 때문이다. 이는 치료의 효과성에 대한 실증적 근거, 치료자의 전문성, 내담자의 가치를 통합적으로 고려하는 근거기반실천적 맥락에서 결정된 것이다. 종결 시 상담소에서의 아동의 행동상의 변화, 아동의 보고, 부모와 교사의 보고를 종합해 봤을 때 아동은 주호소 문제였던 함묵 증상이 크게 완화된 것으로 관찰, 보고되었다. 구체적으로 아동은 다른 사람과 자발적으로 혹은 말하기를 기대 받는 사회적 상황에서도 자유롭게 의사소통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놀이성과 즉흥적인 면이 증가하고 예기치 못한 상황에 대한 대처능력이 증가한 모습을 보였다. This study is a case study of play therapy for a second-grader with selective mutism. The treatment consisted of 51 sessions and included cognitive-behavioral therapy techniques, sandplay therapy, and medication. Cognitive-behavioral therapy techniques, used in this case, included psychoeducation, exposure, shaping, contingency management, affective expression and modulation, and cognitive restructuring. Integrative psychotherapy and combined treatment of psychotherapy and medication were applied to this client after reviewing the literature regarding effective treatments for selective mutism and after taking account of this child’s developmental status, characteristics, and the change process in therapy. This decision was made in the context of evidence-based practice(EBP) which is the synthesis of empirical evidence, clinical expertise, and patient values in implementing treatments. The child’s symptoms were greatly improved by the end of the treatment process, and this assessment was based on the child’s behaviors in therapy, self-reports, and reports from parents and teachers. Specifically, the child was able to communicate with others in social situations, became more spontaneous and playful, and accepted unexpected changes more easily.

      • KCI등재후보

        아동청소년을 위한 근거기반치료와 근거기반 놀이치료

        이소연 ( So Yean Lee ) 한국놀이치료학회 2014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Vol.17 No.3

        근거기반치료는 치료의 구성요소에 대해 명시하고 과학적 연구에 의해 지지된 치료적 접근을 일컫는다. 근거기반치료는 치료의 효과성에 대한 실증적 근거, 치료자의 전문성, 내담자의 가치를 통합적으로 고려하는 근거기반실천의 맥락에서 이해할 수도 있다. 근거기반치료는 아동과 청소년이 받게 될 치료의 질 보장, 내담자의 복지를 최상으로 고려하는 윤리적 측면에 대한 제고, 치료의 효과성을 입증할 수 있는 과학적 근거에 대한 사회적 기대 충족, 정신건강서비스에 대한 욕구와 이를 이용하는 비율간의 격차를 감소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내의 많은 아동청소년 치료자들과 연구자들은 근거기반치료에 대한 명확한 정의와 구성요소를 알지 못하고 이를 임상현장이나 연구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근거기반치료에 대한 아동상담자의 인식과 이해를 도모하고 근거기반치료에 기반을 둔 치료와 연구를 활성화시키는데 있다. 이를 위해 근거기반치료와 근거기반실천의 정의와 구성요소, 특정장애에 효과성이 입증된 근거기반치료들, 근거기반치료의 맥락에서 바라본 놀이치료의 현황을 소개하였다. 또한, 근거기반치료를 둘러싼 일반적인 비판들과 이를 보완하기 위한 후속 노력들을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국내에서의 근거기반치료 관련 연구와 치료의 향후방향이 제시되었다. Evidence-based treatments(EBT) specify the ingredients of the treatment and have been supported by scientific research. EBT can be adapted in the context of evidence-based practice(EBP) which is the synthesis of empirical evidence, clinical expertise, and patient values in the implementation of treatments. EBT is important in the practice of child and adolescent therapy in order to ensure the quality of the treatments. The importance of EBT is related to certain ethical concerns, meeting society s expectations about the scientific support for the effectiveness of the treatment, and reducing the disparity between mental health needs and services. Nevertheless, many therapists and researchers in Korea are not aware of the clear definition and components of EBT and the importance of utilizing EBT in their practice and stud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mote a better understanding of EBT and to facilitate future research and EBT treatments. The definition and components of EBP and EBT options for specific disorders were introduced. Also, the effectiveness of play therapy in the context of EBT and common criticisms of EBT and subsequent changes were discussed. Finally, the future directions of EBT studies and treatments in Korea were suggested.

      • KCI등재

        영유아 부모의 놀이참여태도 척도 타당화 연구

        이소연 ( Lee So-yean ),위영희 ( Wui Yeong-hee ),유재령 ( Yoo Jae-ryoung ),정윤주 ( Chyung Yun-joo ),이영애 ( Lee Young-ae ),김리진 ( Kim Lee-jin ) 한국놀이치료학회 2018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Vol.21 No.4

        본 연구는 영유아 부모를 위한 놀이참여태도 척도의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질문지는 영유아 자녀의 놀이에 대한 부모의 참여태도를 측정하기 위해, 본 연구자들이 델파이 조사를 통해 개발한 33개 자기보고식 질문지를 사용하였고, 예비조사를 거쳐 문항의 가독성과 의미전달 정도를 파악하였다. 본 조사는 서울 및 인천 지역에 위치한 9곳의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영유아 부모 447명을 대상으로 수행되었으며, 최종적으로 339명의 자료를 이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유아 부모를 위한 놀이참여태도 척도의 구인타당도를 검증한 결과, ‘민감하게 놀기(7문항),’ ‘반응적으로 놀기(6문항),’ 그리고 ‘즐겁게 놀기(7문항)’의 3개 요인 총 20문항으로 정리되었고, 3요인 모형의 적합도는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영유아 부모를 위한 놀이참여태도 척도의 내적일관성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영유아 부모를 위한 놀이참여태도 척도의 공인타당도를 검증한 결과, 본 척도와 부모의 놀이성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나타내어 공인타당도가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영유아 부모를 위한 놀이참여태도 척도는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을 예측하는 준거타당도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타당화된 영유아부모를 위한 놀이참여태도 척도는 자녀의 놀이에 참여하는데 있어 부모의 어떠한 태도가 적합한지를 제안하는 부모교육자료로 활용되거나 자녀와의 놀이 참여 태도 개선 및 향상을 위한 부모교육프로그램이나 놀이치료의 효과성을 평가하는 지표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alidate the Play Participation Attitude Scale for parents of preschoolers, which was developed by the Delphi survey. 447 parents of 9 daycare centers in Seoul and Incheon were recruited for this study and, finally, data from 339 parents were used to perform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factor analyses revealed that the global fit of the sensitively play (7 items), responsively play (6 items), and delightfully play(7 items) three-factor model was good. Second, the internal consistency of the Play Participation Attitude Scale was good. Thir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current scale and the parents’ playfulness scale, indicating concurrent validity. Finally, higher scores of the Play Participation Attitude Scale and its three factors significantly predicted lower scores of parenting stress and higher scores of the preschoolers’ self-control ability. These findings revealed that this new measure to be both valid and reliable and specifically suggests what kind of attitude is appropriate for parents to adopt when participating in preschoolers’ play.

      • KCI등재

        부모의 공동양육과 초등학생의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이혜진 ( Lee¸ Heajin ),이소연 ( Lee¸ So-yean ) 한국초등교육학회 2021 초등교육연구 Vol.34 No.1

        본 연구는 부모의 공동양육과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 9차년 도에 조사된 838가구의 설문자료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25.0과 Amos25.0을 사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통해 연구모형에 포함된 경로가 유의한지 분석한 후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하기 위해 Bootstrapping-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보면 첫째,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가 학교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의 공동양육이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의 공동양육이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아동의 자아존중감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살펴본 결과, 아동의 자아존중감은 두 변인사이에서 매개변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아동의 학교적응에 자아존중감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부모의 공동양육에 대한 인식과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between Co-parenting and school Adjustment. For this research, this study used a questionnaire survey of 838 households in 9th-year data from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For data analysis, SPSS25.0 and Amos25.0 were used to analyze whether the route included in the study model was significant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and then Bootstrapping-test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Looking at the research results, First, it was revealed that the Co-parenting did not directly affect school Adjustment. Second, it was revealed that Co-parenting has an effect on children's self-esteem.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whether the child's self-esteem plays a mediating role in the process of Co-parenting affecting school Adjustment, it was revealed that the child's self-esteem plays a role as a mediating variable between the two variables.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ortance of self-esteem for Elementary school Adjustment was emphasized, and the recognition and necessity of Co-parenting were discussed.

      • KCI등재

        델파이조사를 활용한 영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놀이참여태도 척도 문항 개발

        김리진 ( Kim Lee-jin ),이소연 ( Lee So-yean ) 한국놀이치료학회 2018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Vol.21 No.3

        본 연구는 델파이조사 방법을 활용하여 영유아 부모를 위한 놀이참여태도 척도 문항을 개발하고 내용타당도와 문항의 양호도를 조사하는데 목적이 있다. 영유아 부모를 위한 놀이참여태도 척도 문항 개발을 위해 영유아와 주양육자 간 놀이 관찰 및 상담경험이 있는 현장 및 학계 전문가 23명을 대상으로 3차에 걸친 델파이조사를 실시하였고,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차 델파이조사에서는 부모놀이참여태도 척도 개발의 방향과 하위요인, 하위요인에 적합한 문항탐색 등 척도의 기초적인 틀을 마련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2차 조사는 1차 조사 결과와 선행연구 및 기존척도 고찰을 바탕으로, 영유아 부모가 자녀와의 놀이에서 나타내는 놀이행동의 개념적 정의, 4개의 하위요인 명칭과 개념의 적합도, 하위요인에 해당하는 51개 문항의 적합도에 대해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2차 조사결과를 통해 ‘민감하게 놀기’, ‘반응적으로 놀기’, ‘자발적으로 집중해서 놀기’, ‘즐겁게 놀기’ 4개 하위요인의 36개 문항이 개발되었다. 3차 조사는 문항의 재수정 및 문항별 적절성을 검증하는 것 뿐만 아니라, 최종적으로 전문가 패널의 합의를 도출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그 결과 33개 문항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33개 문항에 대한 양호도를 검토한 결과, 각 문항과 총점 간의 상관이 .44~.87 이였고, 신뢰도 계수는 전체 .95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최종적으로 33문항의 영유아 부모를 위한 놀이참여태도 척도 문항이 타당하고 적합한 것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items of a Play Participation Attitude Scale for parents of preschoolers and to identify any relevant factors by means of a Delphi Survey. The panel included 23 experts who have expertise on the interactions between parents and their child through play. A Delphi survey was conducted three times on to the expert panel in order to reach an agreement on the definition and structure of factors and items for each factor of the scale. The results showed that four factors and 33 items were identified: 10 items for Sensitively play, 10 items for Responsively play, 5 items for Willingly and Attentively play, and 8 items for Delightfully play. When the adequacy and reliability of the scale factors and its items were examined, four factors and their finalized items were found to be both adequate and reliable. Based on these findings, the considerations and implica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proposed.

      • KCI등재

        아동·청소년의 사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에 관한 메타분석

        석지은 ( Seok Ji Eun ),이소연 ( Lee So Yean )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구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018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4 No.3

        본 연구는 아동 및 청소년의 여러 정서·행동장애 중 사회불안장애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에 대해 연구해온 축적된 연구물을 종합하여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을 분류하고 각 요인 내에서의 주요 변인들을 확인하고 상대적 중요성을 알아보며, 연구마다 이질적인 효과크기의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에 따라 아동, 청소년의 사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주제로 2002년부터 2017년까지 국내에서 수행된 석·박사 학위논문 및 학술지 논문 127편에 대해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N=286).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을 나누어 변인군별(개인, 가족, 또래) 효과크기를 산출 및 비교하였으며, 산출된 효과크기의 이질성 검증을 위해 메타 ANOVA 분석을 실시하였다. 변인군 별로 사회불안에 대한 효과크기를 비교한 결과, 위험요인과 보호요인 모두 개인 관련 변인군이 가장 효과크기가 컸으며, 그 다음으로 또래 관련 변인, 가족 관련 변인 순으로 효과크기가 컸다. 변인 별 분석 결과, 개인 관련 위험변인군에서는 내현적 자기애가 가장 큰 효과크기를 보였으며, 개인 관련 보호변인군에서는 자기수용이 가장 큰 효과크기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위험요인 및 보호요인 내 관련 변인군의 효과크기의 높은 이질성에 대한 원인을 파악하기 위한 조절효과 검증 결과, 가족 관련 보호변인군의 효과크기가 연구대상자의 연령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또래 관련 위험변인군의 효과크기는 측정도구와 척도형태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This study aggregated the studies that had been conducted on relevant variables affecting social anxiety disorder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Risk factors and protective factors were grouped, the main variants within each factor were identified, the relative importance was identified, an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cause of the different effect sizes which appeared in each study. To do this, this study is a metaanalysis of 127 studies published in korea between 2002 and 2017 on a topic of risk factors and protection factors for social anxiety in children and adolescents. This study divided risk factors and protection factors to calculate and compare the effect size by variable group (individual, family, peer) and conducted a meta-ANOVA analysis to verify the heterogeneity of the calculated effect size. Comparing the effect sizes on social anxiety by groups showed that individual variables had the greatest effect size, followed by peer - related variables and family-related variables. Comparing the effect sizes by variable groups showed that covert narcissism had the greatest effect size in individual - related variables within risk factors and self acception had the greatest effect size in individual - related variables within protective factors. Lastly, as a result of the moderating effect test to identify the cause of the high heterogeneity with effect size of the related variable group in the risk factor and the protective factor, the effect size of the protective variable group related family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age of the study subjects. Also, the effect size of the risk variable related peer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tools and the scale type.

      • KCI등재

        청소년의 공동반추와 우울증상의 관계에서 정서인식 명확성의 조절효과

        박지은 ( Park¸ Ji-eun ),이소연 ( Lee¸ So-yean ) 한국놀이치료학회 2021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Vol.24 No.3

        본 연구는 청소년의 공동반추의 하위요인과 우울증상의 관계를 검증하고, 청소년의 공동반추의 하위요인과 우울증상의 관계에서 정서인식 명확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고등학교 1-2학년에 재학 중인 남녀 학생 170명을 대상으로 ‘공동반추 척도(CRQ)’, ‘특질 초기분 척도(TMMS)의 정서인식 명확성 문항’, ‘우울척도(CES-D)’를 사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우울증상은 공동반추의 하위요인인 ‘문제에 대한 반추적 토의’와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정서인식 명확성과는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둘째, 청소년의 공동반추 하위요인이 우울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문제에 대한 반추적 토의’만이 우울증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의 ‘문제에 대한 반추적 토의’와 우울증상의 관계에서 정서인식 명확성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유의한 조절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공동반추의 하위요인이 우울증상에 미치는 영향과 ‘문제에 대한 반추적 토의’와 우울증상의 관계에서 정서인식 명확성의 조절효과를 규명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따라서 청소년의 우울증상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정서인식 명확성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개입이 효과적일 수 있으며, 공동반추의 속성 중 ‘문제에 대한 반추적 토의’와 정서인식 명확성을 함께 고려할 필요성이 시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sub factors of co-rumination on depressive symptoms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emotional clarity between the sub factors of co-rumination and depressive symptoms in adolescents. The subjects comprised 170 high school studen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depressive symptoms reveale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an adolescent’s ‘ruminative discussion on a problem’ an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emotional clarity. Second, only adolescent’s ‘ruminative discussion on a problem’ was seen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depressive symptoms. Third, emotional clarity proved to have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n adolescent’s ‘ruminative discussion on a problem’ and depressive symptoms. Thus, this study confirmed the importance of taking emotional clarity into account when examining the relation between an adolescent’s ‘ruminative discussion on a problem’ and depressive symptoms.

      • KCI등재

        청소년 및 대학생의 부모화가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성유선 ( Sung Yu-sun ),이소연 ( Lee So-yean ) 한국놀이치료학회 2020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Vol.23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 및 대학생의 부모화가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심리 관련 변인과 사회 관련 변인으로 분류하고 효과크기를 종합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03년부터 2019년 8월까지의 국내 석·박사 학위논문과 학술지 게재 논문 중 청소년과 대학생의 부모화가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변인을 주제로 한 총 52편의 연구물을 메타분석 하였다(k=260). 부모화(물리적 부모화, 정서적 부모화, 불공평)가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심리적 변인군과 사회적 변인군으로 분류하여 변인군별 효과크기를 산출하고 비교하였으며, 산출된 효과크기의 이질성을 검증하기 위해 메타 ANOVA 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부모화의 하위요인별 심리·사회적 변인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의 전체 효과크기는 불공평, 정서적 부모화, 물리적 부모화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화가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변인군의 ‘부적응적 정서조절 및 정서표현’, ‘부정적 자기’, ‘부정정서 경험’에서 불공평, 정서적 부모화, 물리적 부모화 순으로 중간효과크기가 나타났다. 둘째, 부모화가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변인군의 ‘대인관계 문제’에서 불공평, 정서적 부모화, 물리적 부모화 순으로 중간 효과크기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조절효과검증 결과, 청소년 및 대학생의 물리적 부모화가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변인군에서의 효과크기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는 부모화가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체계적,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통합적으로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추후 부모화와 관련된 연구의 방향과 목표를 제안하고, 효과적인 치료적 개입을 모색하는데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he psychological and social variables which have negative effects during the parentification of adolescents and college students, and to undertake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ir effect sizes. To do this, this study conducted a meta-analysis of 52 studies published in Korea between 2003 and 2019 on the topic of the negative effect of parentification in adolescents and college students in terms of psychological and social variables(k=260). The effect size of each variable group was calculated and compared by classifying the variables negatively affected by parentification into psychological and social variable groups, and then meta-ANOVA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heterogeneity of the calculated effect size. Our results showed that, firstly, the overall effect size of the negative effects on psychological and social variables according to the sub-factor of parentification had the following effect sizes, respectively, Unfairness, Emotional Parentification and Physical Parentification. Second, the middle effect size appeared in the order of Unfairness, Emotional Parentification, and Physical Parentification in the Psychological variable group’s “Negative Self-Image”, “Maladaptive Emotion Regulation and Expression”, “Experience of Negative Emotions”. Third, The middle effect size appeared in the order of Unfairness, Emotional Parentification, and Physical Parentification in the Social variable group’s “Interpersonal Problem”. Lastly, as a result of the moderating effect test we conducted, the age of the study subjec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nly in the psychological variable group of which Physical Parentification had a negative effect. This study systematically and comprehensively analyzed and presented the variables which parentification have a negative impact upon. Through this, the direction and goals of further research related to parentification were proposed and basic data were also provided in order to advance effective therapeutic interventions.

      • KCI등재

        아동상담자의 역전이 관리능력이 부모와의 작업동맹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모상담에서 경험하는 어려움의 병렬다중매개효과

        고한빛 ( Ko Han-bit ),이소연 ( Lee So-yean ) 한국놀이치료학회 2024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Vol.27 No.1

        본 연구는 아동상담자의 역전이 관리능력이 부모와의 작업동맹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모상담에서 경험하는 어려움의 병렬다중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아동상담자 123명으로 아동상담자가 경험한 부모상담에 관한 질문지, 역전이 관리능력 척도, 부모상담에서 경험하는 어려움 척도, 작업동맹 척도를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에는 SPSS 25.0 통계프로그램과 Hayes(2013)의 PROCESS macro Model 4 분석법을 활용하였고,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부트스트랩(Bootstrap)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아동상담자의 역전이 관리능력은 부모와의 작업동맹과 정적 상관관계를, 부모상담에서 경험하는 어려움(부모 요인, 상담자 요인)과는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부모와의 작업동맹은 부모상담에서 경험하는 어려움(부모 요인, 상담자 요인)과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아동상담자의 역전이 관리능력과 부모와의 작업동맹의 관계에서 부모상담에서 경험하는 어려움의 하위요인인 부모 요인과 상담자 요인이 유의한 병렬다중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아동상담자의 역전이 관리능력이 부모상담에서 경험하는 어려움 중 부모와 상담자 요인에 영향을 미침으로, 부모와의 작업동맹에 영향을 미친다는 병렬다중매개효과 경로를 규명하였음에 의의가 있다. 이러한 결과는 부모상담 시 아동상담자가 부모와의 작업동맹 수준을 높이는 방안을 모색함에 있어, 아동상담자의 역전이 관리능력과 부모상담에서 경험하는 어려움 중 부모와 상담자 요인을 함께 고려함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arallel Multi-mediating Effect of child counselor’s struggles in parent consultation between countertransference management abilities of child counselors and the working alliance with parents. The subjects were 123 child counselors and participants completed a questionnair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 25.0 and Hayes’ PROCESS macro Model 4. The results indicated as follows: First, the child counselor's countertransference management ability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working alliance with the client's parents an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child counselor’s struggles in parent consultation. The working alliance with parents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child counselor’s struggles in parent consult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ild counselor's countertransference management ability and the working alliance with parents, parent and counselor factors were shown to have a significant parallel multi-mediating effect among the child counselor’s struggles in parent consultation. In particula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in that they specifically verified a parallel multiple mediation effect path in which the child counselor's countertransference management ability affects the working alliance with the parents by influencing parent factors and counselor factors among the struggles in parent consultation. It also suggests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not only the child counselor’s countertransference management abilities but also the counselor’s struggles in parent consultation when identifying factors that affect the working alliance with parents.

      • KCI우수등재

        모의 과보호가 중학생 자녀의 우울증상에 미치는 영향

        백미영(Mi Young Baek),이소연(So Yean Lee) 한국아동학회 2017 아동학회지 Vol.38 No.3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male and female adolescents’ basic psychological needs (i.e.,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overprotection and adolescents’ depressive symptoms. Methods: The participants included 292 middle school students (52.7% girls) living in Gyeonggi. Correlation analysis, t -test, and PROCESS macro by Hayes (2013)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22.0 software. Results: Adolescents’ autonomy and relatedness showed a significant mediating role between mothers’ overprotection and depressive symptoms in all adolescents. In the case of male adolescents, only autonomy showed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between mothers’ overprotection and depressive symptoms. Conclusion: Both mothers overprotection and adolescents’ autonomy and relatedness should be considered to understand the development of depressive symptoms. The result also indicated that gender is an important factor when understanding the mediating role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between mothers’ overprotection and adolescents’ depressive sympto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