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유니버설 디자인개념을 도입한 도심형 복합노인주거시설 계획에 관한 연구

        이소라(Lee SoRa),박재승(Park JaeSeung) 한양대학교 고령사회연구원 2011 한양고령사회논집 Vol.2 No.1

        우리나라는 2000년 65세 이상 노인인구가 전체인구의 7% 이상인 고령화사회에 진입하였고, 2018년에는 14% 이상인 고령사회, 2026년에는 20% 이상인 초고령사회가 될 전망이다. 이와 같은 모습은 다른 선진국이 경험하지 못한 빠른 속도로 이러한 변화에 노인주거의 필요성과 그에 따른 연계체계에 대한 관심이 필요한 시기이다. 고령화 사회는 노인개인의 문제이자 사회전체의 문제로써 사회·경제적인 구조에 있어서도 많은 변화를 수반하므로 노인들의 적극적인 사회 참여와 새로운 노인문화, 사회복지 수요증대로 활성화 되어진다. 근래의 노인주거시설은 도시근교형의 형태를 선호하여 계획되어지고 있지만 이러한 선호와는 다르게 노인들은 사회와 더욱더 격리되어 가족과 사회로 소외되어 또 다른 노인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이것은 노인들만의 문제로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각 세대 간의 갈등을 자아내어 경제적, 사회적 관계를 저하시키게 되는 것이다. 또한, 노인주거시설은 노화현상에 따른 제반의 신체적 조건과 활동능력 등을 고려해야만 한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 이러한 측면에 대한 배려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유니버설 디자인의 도입의 필요성을 고찰하고 디자인의 원리를 적극적으로 도입하면 노인주거시설에서 노인들이 신체적 불편함을 극복하고 안전성과 심미성까지 추구할 수 있는 바람직한 노인주거시설이 될 것이다. 본 계획은 기존의 노인주거 문제점에서 지적되는 노인들의 사회적 소외를 극복하기위해 지역사회와의 통합을 고려하며 유니버설 디자인을 도입하여 노인과 다른 세대의 원활한 교류를 도모하기위해 지역커뮤니케이션센터로 주민이 이용 가능한 근린생활시설과 노인주거시설을 통합하여 계획한 새로운 도심형 복합노인주거시설의 제안이 될 것이다. Recently, there is an increase of old people in need of community care as the society faces the problem of old people’s aging. Our country has entered into an aging society with the population of the elderly over 65 years old is over 7% of the entire population as of 2000, and it is expected to become an aging society with over 14% in 2019. Such fast increase hasn’t been experienced in other advanced nations With that in mind, I concluded that applying the examples of abroad to domestic housing facilities is desirable, and the following were examined and we are in the time of needing residences for the elderly and the interest on the linking system accordingly. Age, physical handicap, and health condition were not taken into account when existing buildings were built which means there is a need for a new paradigm for the physically handicapped people. Moreover, when building a silver town, we must take into account various physical condition and activity abilities. But these aspects of care are missing within the country and it can be meaningful to look for a solution in the examples of abroad. With that in mind, I concluded that applying the examples of abroad to domestic housing facilities is desirable, and the following were examined. First, old people’s special characters were studied. Among the characters, physiology and aging disease understood to extract considerations for designing for the handicapped. Secondly, to analyze the current condition of domestic housing facilities, the Guide of Welfare of the old people was examined and an investigation of the current condition of such housing was carried out. Now there are new paradigms coming into existence for human lives here and there. We must adopt a new concept in which all the handicapped, the old and the young can live equally. And we should build appropriate facilities for them. Therefore, the import of universal design concept is a required reality for housing facilities for the old.

      • KCI등재

        기업의 외부 평판이 직원의 조직시민행동과 불량행동에 미치는 영향: 스트레스 요인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이소라(Sora Lee),이호영(Hoyoung Lee),유재원(Jaewon Yoo) 한국유통학회 2020 流通硏究 Vol.25 No.1

        오늘날 많은 기업들은 조직의 외부 평판을 관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를 위해 기업 이미지에 대한 광고나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등을 하고 있다. 이러한 평판이 기업의 전반적인 성과와 관련되어 있다고 믿기 때문이다. 많은 선행연구를 통해 직원에게 지각된 외부 평판이 직원의 행동과 자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유추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각된 외부 평판이 직무 자원이 아니라, 직무 요구(스트레스)로 작용하여 스트레스와 연관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하고자 한다. 상담심리학 분야에서는 공적자의식을 통해 직원이 느끼는 회사의 평판이 스트레스요인으로 작용한다고 설명하고 있다. 한편, 직무 스트레스는 직원의 태도와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도전적 스트레스와 성장을 방해하고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방해적 스트레스로 구분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직원의 지각된 외부 평판이 도전적 스트레스와 방해적 스트레스에 어떤 영향이 주는지를 확인하고 이를 조직시민행동과 불량행동이라는 행동적 요인에까지 연결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서비스 접점에서 근무하는 근로자 184명의 설문 결과를 바탕으로 실증 분석한 결과, 지각된 외부 평판은 도전적 스트레스요인에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이후 조직시민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반면, 방해적 스트레스요인은 조직시민행동을 약화시킬 뿐 아니라, 불량행동을 높이는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는 기존의 긍정적인 요인으로 여겨지던 외부 평판이 직원들에게 부담으로 작용하여 스트레스요인과 연관이 될 수 있으나 긍정적인 행동을 야기할 수 있는 도전적 스트레스요인과 연관됨을 확인하였다. 즉, 지각된 외부 평판이 직무요구로서 작용하지만 긍정적인 요인이 있다는 점에서 향후 연구방향에 큰 시사점을 주고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변화민감도 문항 모수의 능력 검사에서의 적용 가능성 탐색

        이소라(Sora Lee) 한국교육평가학회 2021 교육평가연구 Vol.34 No.2

        학생 능력의 변화를 측정하는 검사를 개발할 때, 문항이 변화/성장을 얼마나 잘 감지하는지 확인하는 것은 검사 목적의 타당성을 높이기 위해 중요하다. 본 연구는 종단 데이터에 적용된 다차원 문항반응모형의 모수가 변화에 민감한 정도를 나타낼 수 있음을 소개하고, 모수 추정의 정확성을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1년의 시간 간격을 두고 시행된 능력검사 데이터를 이용하여 변별도와 변화에 민감한 정도를 나타내는 모수가 별개의 특성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세 가지 조건(요인 간 상관, 기울기 모수 간 차이, 피험자 수)을 고려한 모의 데이터를 생성하여, 두 문항 특성이 안정적으로 분리되어 추정되는지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문항 모수는 대체로 안정적으로 추정되었으나, 요인 간 상관이 부적일 때와 사례수가 적을 때는 추정성이 떨어졌다. 두 문항 모수 간의 차이가 클수록 문항 모수의 추정성은 높아지나, 잠재특성 모수의 추정성은 낮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When developing test items that measure changes in student abilities over time, it is important to increase the validity of the test objectives to determine how well the items detect changes/growth. In this study, three conditions of the multidimensional item response model (correlation between factors, difference between slope parameters, and the number of subjects) are considered for simulation study by referr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actual longitudinal ability test data used to grasp how much students have grown at a time interval of one year. First, we introduced that the item parameter of the multi-dimensional item response model can provide information about the degree of sensitivity to ability change, and examined its function through the accuracy of parameter estima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latent trait parameter and the item parameter were generally estimated to be stable, but the accuracy was poor whe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wo latent factors was negatively related and the number of cases was small. The greater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slope parameters, the higher the accuracy of the item parameter, but the lower the accuracy of the latent trait parameter.

      • KCI우수등재

        Exploring the Stability of the Immediate Achievement-Level Results on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즉각적인 성취수준 판별의 안정성 탐색

        이소라(Lee, Sora),박찬호(Park, Chanho),서민희(Seo, Minhee) 한국교육학회 2022 敎育學硏究 Vol.60 No.3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는 지금까지 지필평가 방식으로 시행되어 왔고, 평가 시행 후 약 2개월이 지난 시점에 학생들에게 평가 결과(4단계 학업 성취수준)가 제공되었다. 평가결과표가 제공되는 시점에는 학생들의 평가에 대한 관심과 기억이 감소하여 평가 결과에 대한 유용성이 매우 낮았다. 2022년부터 학업성취도 평가에 컴퓨터 기반 검사로 전환됨에 따라 학교 현장의 요구 사항을 수렴한 결과, 평가 시행 직후의 즉각적인 결과 산출에 대한 요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컴퓨터 기반 검사 시행 시, 문항모수가 이미 확보되어 있는 연도간 공통문항과 자동채점이 가능한 선다형 및 단답형 문항들을 이용하여 즉각적인 성취수준 결과를 산출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 결과의 안정성을 탐색하기 위한 모의실험을 수행하였다. 자료 생성을 위해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실제 문항모수를 활용하였으며, 모의실험을 위한 조건은 (1) 공통문항의 수, (2) 공통문항의 선정 방법, (3) 피험자 수 등 세 가지를 고려하였다. 그 결과 6개 내외의 공통문항을 문항 정보함수를 활용하여 선정하고, 피험자 수는 검사 유형 당 최소 1000명이 확보될 때 즉각적 결과 산출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현 학업성취도 평가의 문항난이도 분포를 고려할 때 1수준과 2수준의 학생들을 변별하는 기능이 상당히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즉각적인 결과 산출을 위해서 1수준과 2수준 구분에 적합한 저난이도 문항이 추가적으로 확보되어야 함을 시사하였다. Previously, the evaluation results (four levels of academic achievement) for the paper-based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NAEA) were available only two months after the assessment was conducted. At that time, the usefulness of the evaluation results was very low because the students interest and memory of the evaluation had already decreased. While surveying school sites for their input on the introduction of computer-based tests for the NAEA in 2022, the demand for immediate results was found to be high.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a method to immediately produce achievement level results using common items taught throughout the year for which an item s parameters can be secured, and employing multiple-choice and short-answer test items that can be scored automatically. A simulation was performed to explore the stability of the results. For data generation, the actual item parameters from the NAEA were used, and three conditions were considered for simulation: (a) the number of common items, (b) the selection method of common items, and (c) the number of participants. Findings show that calculation of immediate results is possible when at least six common items are selected using the item information function, and at least 1,000 participants are required for each test type. However, considering the distribution of item difficulty on the current NAEA, the ability to discriminate between Level 1 and 2 students was found to be insufficient.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a large number of low-difficulty items suitable for discriminating between Level 1 and 2 should be provided for immediate and stable results.

      • KCI등재

        혼합형 가교문항 구성 방법이 혼합형 검사 동등화에 미치는 영향

        이소라(Sora Lee),상경아(Kyongah Sang),정태순(Tai Sun Jeong),심준식(Jun Sik Sim) 한국교육평가학회 2023 교육평가연구 Vol.36 No.1

        2022년 도입된 컴퓨터 기반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에서는 일부 구성형 문항에 대해 혁신문항(innovative item) 개발을 도입하였다. 최근 역량 기반의 구성형 문항의 비율이 꾸준히 늘어났고, 혁신문항 도입으로 문항 유형 간 다차원성이 증가할 만한 상황에서, 선택형 문항에서만 가교문항을 선정하는 기존 동등화 방식으로 적정 수준의 동등화 정확성을 유지할 수 있는지 점검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를 위해 선택형뿐만 아니라 구성형 문항도 포함하는 혼합형 가교문항 구성 방식이 검사 동등화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모의실험을 통해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 가교문항의 선택형 단일 구성과 혼합 구성 간 동등화 오차는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구성형 문항의 비율을 높일 때 오차가 줄어들었다. 전체 검사에서 혼합형 가교문항의 구성 비율에 따른 결과를 보면, 20% 내외일 때는 동등화 결과에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항 유형에 따른 다차원성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일차원성 검사에 비해 동등화 오차가 확연히 증가하였으며, 특히 혼합형 가교문항을 활용할 때 동등화 오차의 증가가 두드러져 다차원 검사에서는 구성형 가교문항의 활용에 신중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With the introduction of innovative items in the computer-based NAEA, the item format became diversified, and the current method of selecting anchor items from multiple-choice (MC) items became burdensome for test develop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a mixed-format anchor items including both MC and constructed-response (CR) items could hold the stability of equating in the NAEA, and give desirable direction to expand the range of anchor items and to make test construct flexible. A simulation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a common-item non-equivalent group design with the test conditions of the Korean subject in the NAEA. The treatment conditions include (1) a type of anchor item set (a single MC or a mixed), (2) a composition type of mixed anchor item (MC:CR = 1:1, 3:2, or 3:4), (3) a length of mixed anchor items within a test (25%, 22%, or 19%), and (4) the presence of multidimensionality according to the item format were assumed. The main result is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quating error between the single MC and the mixed anchor item condition. Specifically the equating error of the single MC was smaller than that of the mixed-format cases where the ratios between MC and CR were 1:1 and 3:2. In the 3:4-ratio mixed condition, the equating error was smaller than that of the single MC condition. A length of mixed anchor items within a test showed somewhat mixed results, probably because there was not much variation between the conditions in the composition ratio, about 20% in test. When there was multidimensionality according to the item format in the test, the equating error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mixed anchor items compared to that of unidimensional test condition. In sum, about 20% of the mixed anchor items with slightly higher CR ratio was found to be suitable in the unidimensional test and caution was called for in using mixed anchor items in multidimensional test.

      • 온실 참외 과실 인식을 위한 개체분할 모델의 적용

        이소라 ( Sora Lee ),김용현 ( Yong-hyun Kim ),홍영기 ( Youngki Hong ),김경철 ( Kyoung-chul Kim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2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2

        인공지능과 센싱 등의 기술이 고도화되면서 지능형 농업이 발전함에 따라 온실에서 로봇 기반 수확 및 모니터링을 위한 작물 영상 기반 인식 기술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또한 최근 참외의 시설 및 수경재배 증가에 따른 생력화 가능성이 대두되었으나, 참외는 덩굴성 줄기로 인해 토마토, 파프리카와 같은 수직형 수형이 아닌 수평형 수형을 지니고 있고 잎이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과실 인식이 어렵다. 본 연구는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알고리즘 중 real-time 개체분할(instance segmentation) 방식인 YOLACT를 이용해 RGB 영상 기반 온실 참외 과실에 대한 인식 기술 개발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또한 검출된 참외 과실의 수확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숙성 완료한 과실과 그렇지 않은 과실을 두 클래스로 나누어 학습하여 과실의 숙도 선별도 동시에 이루어졌다. 카메라를 통해 획득한 참외 영상에서 참외 영역을 구분하기 위해 Labelme 프로그램을 이용해 참외 과실을 Polygon 방식으로 labeling 하여 개체분할을 위한 데이터 전처리를 수행했다. 수확 과실 인식을 위해 YOLACT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학습시켰고, 학습된 모델을 실제 촬영한 동영상을 이용하여 검증했다. 학습을 위해 사용된 이미지 수는 총 493장이며 해당 이미지에서 labeling 된 총 과실수는 2,450개였고, 에포크와 배치 사이즈, 학습률은 각각 1000, 16, 0.001으로 설정하였다. 학습 모델의 total loss 값은 0.3039에서 수렴하였으며 검증 결과 참외 과실이 명확히 구분되어 숙도 여부를 정확히 인지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과실의 숙도에 따른 수확 로봇을 개발하는 경우 픽셀 기반으로 작물의 구체적인 형태를 인식하는 개체분할 모델을 적용하는 것이 로봇의 수확 성능을 높이고 수확량을 예측하는 데 유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