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농업 분야 외국인 계절근로자 제도의 운영현황과 과제

        이성순(Sung-Soon Lee)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21 다문화콘텐츠연구 Vol.- No.36

        농업인구의 자연감소와 고령화 현상으로 인하여 농업현장에서 인력난이 가중되고 있다. 2004년 인력난 해소를 위해 도입된 고용허가제를 통하여 5대 업종(농축산업 포함)에 외국인력이 종사하고 있으나 고용허가제로 입국한 외국인근로자의 경우 3년간 장기체류21) 근로자로서 농업현장에서 계절적으로 단기간 고용할 수 있는 노동력과는 상충되어 법무부에서는 2015년 농업 분야 외국인 계절근로자 제도를 시범적으로 도입하였고 2017년부터 본 운영 중에 있으나 외국인 계절근로자 제도에 관한 연구는 부재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농업 분야 외국인 계절근로자 제도의 의미와 도입배경, 운영실제, 운영상의 문제점 등을 고찰함으로써 농업 분야 외국인 계절근로자 제도의 착근을 위한 중장기적 정책 방향을 제언하였다. 첫째, 계절근로자 체류실태 및 고용조사를 근간으로 한 인력정책의 수립이 요구되고, 둘째, 계절근로자 대상 기초법과 한국어교육 체계의 마련이 전제되며, 셋째, 고용주 대상 노무관리교육 및 실질적인 현장컨설팅 방안이 요구된다. 넷째, 계절근로자 제도 관련 홍보의 확대가 요청되고 마지막으로, 권역별 농업인력지원센터 설치를 통한 효율적인 운영체제 마련이 요구된다. Due to the declining nature and aging of the agricultural population, the labor shortage is increasing. The employment permit system, which was introduced to resolve the labor shortage in 2004, allows foreign workers to work in five industries (including the agricultural industry), but foreign workers who have entered the work permit system will be employed for long periods of time in the agricultural field as long-term stayers for three years, conflict with possible labor. The Ministry of Justice introduced a pilot program for seasonal foreign workers in agriculture in 2015 and has been operating it since 2017. This paper suggests the mid-to-long-term policy direction for the employment of foreign workers in the agricultural sector by examining the meaning, background, operation, and operational problems of the seasonal workers in the agricultural sector. First, it is required to establish policies through the status of seasonal workers stay and employment surveys. Second, the establishment of a unified education system for seasonal workers and legal and institutional education should be carried out in conjunction with the Ministry of Justices initial support program. In addition to training, a linkage plan with customized on-site consulting that is being conducted by the Korea Human Resources Development Corporation is required. Lastly, the promotion of seasonal workers system for local governments should be expanded, and the establishment of agricultural employment centers for each region is required for efficient operation of this system.

      • KCI등재

        결혼이민자 한부모가족의 사회통합정책에 관한 연구

        이성순(Sung-Soon Lee)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18 다문화콘텐츠연구 Vol.0 No.27

        다문화사회로 진입하게 되면서 정부는 2000년대 중반 이후 외국인정책 기본계획과 다문화가족정책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차별방지와 다양성 존중등 내외국인 사회통합의 문제를 제고하기 시작하였다. 하지만 사회통합정책이 다문화사회 전개 양상 등 한국적 상황에 대한 면밀한 검토와 이민사회에 대한 총체적 전망에 기초하여 수립된 것이 아니라 사회문제로 지적된 일련의 현상에 대한 대증적 · 파편적인 대응에서 연원하였다. 2008년 〈다문화가족지원법〉의 제정과 함께 생애주기별 맞춤형 지원으로 초기정착지원, 교육지원, 사회적응 · 취업지원, 가족관계 향상지원 등을 하고 있으나 다양한 가족 유형 가운데 결혼이민자 한부모가족에 대한 지원은 미흡하고 이에 대한 연구도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결혼이민자 한부모가족의 사회통합정책 현황과 다문화가족정책의 진단하고자 에이거와 스트랭이 개발한 사회통합의 분석틀인 통합의 토대, 촉진요소, 사회적 관계, 통합지표와 수단 등 4개의 상위지수와 10개의 하위지수에 따른 지수별 유기적 연계방안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Since Korea society has entered the multicultural society, the government has started to plan the basic plan of foreign policy and the basic plan of multicultural family policy since the mid-2000s, and to raise the problems of social integration of Korean and foreign including prevention of discrimination and respect for diversity. However, the social integration policy was not based on a thorough examination of the Korean situation such as the development of multicultural society and the overall prospect of the immigrant society, but rather a response to a series of phenomena pointed out as social problems. In 2008,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Act〉 was enacted. In addition, support for initial settlement, education, social adaptation, employment, and family relations were provided through customized support for each life cycle. However, support for married immigrant single parents and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this. In this paper, the present situation of social integration policy of married immigrant single parents and the diagnosis of multicultural family policies are analyzed. The analysis framework of social integration developed by Ager and Strang, the foundation of integration, facilitators of integration, Social connection, markers and means, we examined the index-based organic linkage method with four upper exponents and ten lower exponents.

      • KCI등재

        다문화가정 학생 멘토링의 운영 현황과 개선과제

        이성순(Sung-soon, Lee)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14 다문화콘텐츠연구 Vol.0 No.16

        다문화가족 및 다문화가정 자녀의 급증에 따라 국가차원의 교육지원정책이 수립되고 있다. 그 가운데 다문화가정 학생 대상의 멘토링 프로그램은 다문화가정 학생들의 학교생활실태를 근거로 해서 볼 때 교육적?정서적 맞춤형 지원으로써 다문화가정 학생들의 학교생활 적응에 있어 매우 유의미한 정책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멘토링의 진행 중에 포기하는 멘토가 발생하는가 하면 멘토가 멘티의 교체를 희망하거나 멘티가 멘토의 교체를 요청하는 사례, 멘토의 교수법 등에 대한 멘티 부모의 불만 사례가 표출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2011년 이후 교육과학기술부에서 실시하고 있는 다문화가정 학생멘토링 사업에 참여중인 목원대학교의 운영 사례와 멘토링 연계 사회봉사 교과목의 개설 사례를 통하여 멘토링의 효율적?안정적 운영에 있어 다섯 가지의 방안을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멘토의 선발 및 멘토-멘티 결연 사정 도구의 개발이 요구되고, 둘째, 중도 포기자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지지책을 강화하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하며, 셋째, 멘토링에 대한 멘토, 멘티, 멘티부모, 담당교사를 위한 사전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된다. 넷째, 결연관리자 및 슈퍼바이저 대상 직무교육이 필요하며, 마지막으로 운영기관 간 협력체계 구축 및 워크숍, 평가회 개최 등 재능기부를 도출할 수 있는 방안의 제고와 확산에 대한 노력이 요청된다. Recently, with the rapid increase in numbers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ir children, many educational policies have been establish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mong others, the mentoring program for the school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is valuable as an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support for children adapting to school life. However, the program faces many problems: the mentor or mentee wishing to withdraw from the program, the mentor wishing to change his/her mentee, the mentee wishing to change his/her mentor, and the mentee’s parents demanding better teaching methods by the mentor. At this point, this paper suggests five plans to increase the efficiency and sustain stable management of the mentoring program. Based on a case study on the mentoring progam as part of the public service at Mokwon University, this paper suggests the following changes to the program: First, it needs new selective standards and new mentor-mentee matching standards. Second, it needs a moral support policy for rejected mentor or mentee. Third, an educational program for the mentor, mentee, mentee’s parents, and mentee’s teacher is needed. Fourth, also needed is an official education for the mediator and supervisor. Finally, there should be mutual cooperation between the government agency and the university by holding regular meetings.

      • KCI등재

        국제결혼 안내 프로그램의 운영에 따른 문제점과 방안

        이성순(Sung-soon Lee)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11 다문화콘텐츠연구 Vol.0 No.11

        우리나라의 결혼과 이혼에 있어서 국제결혼이 점유하는 비율이 10%를 넘어서고 고령사회의 진입과 저출산의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데 있어서 향후 국제결혼은 하나의 대안으로 자리매김할 것이다. 국제결혼중개업의 건전성에 대한 지속적인 관리와 국제결혼안내 프로그램의 성공적인 운영은 국제결혼으로 인한 개인의 경제적·심리적·인권적인 피해를 예방하고 더 나아가 건강한 다문화사회 조성과 사회통합에 있어 단초가 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법무부의 국제결혼 안내 프로그램의 운영 현황과 과제에 대하여 살펴보고 국제결혼문화의 발전과 안내 프로그램의 활성화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대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국제결혼 안내 프로그램개발과 교육관련 자료집이 발간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국제결혼안내 전문강사 양성 혹은 기존에 양성한 다문화전문강사 대상 보수교육을 통하여 양질의 강사 인프라를 구축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현행 교육시간을 보다 확대하는 방안이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국제결혼 당사자의 인권보호 및 피해를 줄이기 위하여 결혼중개업체에 대한 지속적인 관리가 요구된다. 다섯째, 한국인과 결혼하려는 현지인 대상으로 한국에 대한 사전교육과 본 국제결혼 안내 프로그램을 확대 실시하여야 할 것이다. The statistical data demonstrates a rapid increment in the portion of international marriage in korea 2000. International marriages of foreign women with korean men take absolutely large portion of whole cases of international marriage and especially the number of foreign brides has evidently increased. In this process, racially and sexually discriminatory advertisements are prevalent. No information on husband is provided to a foreign bride until the moment that she is finally selected by a korean husband. The violation of human rights of migrant women at this moment is in a grave situation due to the provision of incorrect information on partner and the commercialization of women. Nevertheles, local governments are rather encouraging international marriage that takes on a human trafficking character than regulating brokering agencies that infringe human rights. The government shall devise a strong criminal punishment law against human rights violative practices performed by international marriage brokerage in order to regulate, prosecute and punish such practices occurring on the border of human trafficking and migration. Also the ministry of justice planned people to hope international marriage should study three hours in immigrants office before their marriage from 16.10.2010. Recently from 2011.3.7. Korean people receive compulsory this program. First, for good marriage culture needs enough research to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 textbooks. Second, for training of good progressional needs supplementary lessons of systematic and fine quality. Third, education of three times is very short for good education, so needs extension of educational times with another various multicultural organization. Fourth, management of company for international marriage needs continuous for human right. Fifth the ministry of justice should offer other this program in seven foreign countries.

      • KCI등재

        한국과 독일의 사회통합정책 연구

        이성순(Lee, Sung-Soon)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011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0 No.39

        한국의 다문화정책은 사회적으로 논의되고 있는 결혼이민자와 그들의 가족 지원에 초점을 두고 있을 뿐 국내에 유입되는 다양한 유형의 이민자들을 한국 사회에 융합시키는데 있어서 미흡한 실정이다. 무엇보다도 소수집단들이 주류사회로의 적응과 사회통합에의 기여는 극히 제한적임을 알 수 있다. 100년 이상의 역사를 통하여 외국인근로자를 유입하고 그들을 활용하는 독일은 경제상황, 노동시장 동향, 사회상황 등을 고려하여 외국인근로자 정책을 보완하고 시행하는 등의 외국인력 도입 정책의 경험을 가지고 있다. 실제로 그동안 시행되어 왔던 독일의 차별배제형 모델의 이민자 정책은 다문화주의의 모델 속에서 사회적, 정치적, 경제적 갈등을 해소하고 다문화사회의 통합방안 모색한 좋은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단일민족주의를 고수했던 독일의 최근의 이민자 사회통합정책과 사회통합교육을 고찰하여 한국의 사회통합정책과 사회통합프로그램의 정착에 있어 기틀을 제공하고자 한다. Through a cross-country analysis of integration in Germany, the Republic of Korea, this study examines the ways in which the integration of migrants is conceived in the respective national agendas and how integration policy is initiated and implemented at the national and local levels in each country. This paper focuses on the status and problem of social integration policy for immigrants in Korea · Germany and reviews on the social integration program managing in educational organization for immigrants. According to an analysis, serious problems dealing from an increasing number of foreigners, specially financial burden, increase of crime and unemployment rate as well as expenses of social welfare in local government have been assessed. Therefore, korean government try to formulate and implement policies for improving social unity through adequate education policy, cultural and educational policy for immigrants. Therefore, this paper has discussed on the educational system of social integration program in Korea · Germany for immigrants and then suggested prerequisite conditions in order to provide a this program. To make this social integration program success, a long-term strategy of the local government is needed. The citizen shall get in contact with foreigners to facilitate Integration. Immigrants should adapt to social Integration program, accordingly.

      • KCI등재

        여성결혼이민자의 정신보건정책 현황과 개선방안

        이성순(Sung-soon, Lee),이종복(Jong-bok, Lee)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13 다문화콘텐츠연구 Vol.0 No.14

        국내 체류하는 여성결혼이민자의 증가와 이들이 국내에 체류하면서 언어·문화 적응문제, 자녀의 양육 및 학교 적응문제, 가족 간의 갈등문제 등을 겪게 됨에 따라 2006년 여성결혼이민자 및 혼혈인 이주자 사회통합지원방안을 시작으로 중앙정부차원에서 다양한 정책과 관계법령들이 제정되었다. 이를 근거로 하여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이주여성긴급지원센터, 이주여성 쉼터 등 다문화업무 유관기관들의 개소 및 지원도 확대되었다. 그러나 이주민 지원에 있어서는 교육적·사회적 지원에만 집중되었을 뿐 우울, 불안 등 정신건강문제에 대한 예방과 치료 등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정책수립과 그 계획을 실천하는 개입은 부재한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여성결혼이민자들이 가족 및 기존 사회연결망과의 분리, 새로운 환경의 적응에 대한 스트레스, 언어 및 문화장 벽, 새로운 작업환경에 대한 적응스트레스, 사회적 차별 등으로 인하여 정신건강을 유지할 수 있는 환경이 열악하다는 점에 착안하여 결혼이민자 대상의 정신보건 정책 및 서비스 실제, 정신보건 지원상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여성결혼이민자 정신보건을 위한 정책 및 지원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With the rapid increase of immigrant wives in the Korean society, the mental health policy of the women has become a very important problem in their life in Korea. With the help of multicultural professionals, new immigrants may easily settle in Korea, and the multicultural professionals may contribute to the social integration by understanding their conditions in the Korean society as Korean citizens. Korean government has many policies of education, welfare service, and social integration for immigrant wives. However, Korean government does not think on serious problem of immigrant’s mental health. Therefore, this research analyzes the current status of these mental health policies for immigrant wives and provides an effective mechanism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ir life as follows: First, the Korean government should provide public mental health policy for immigrant wives and include this problem in social integration policy for foreigners. Second, an education system for mental health professionals should be established and then the professionals should be trained by the system. Third, the translators for a good mental health system should be trained, because they cant speak Korean language in the beginning in Korea. Fourth, the mental health policy should connect with local, state government and NGO, who should support immigrant’s network and meeting of self-help as the best-help. Fifth, we have to establish an integrated program suitable for immigrant women and should upgrade our multicultural competency.

      • KCI등재

        이민·다문화관련 학위과정의 운영 방안과 과제

        이성순(Sung-soon, Lee)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13 다문화콘텐츠연구 Vol.0 No.15

        범세계적인 다원화의 흐름 속에서 우리 사회가 추구하는 정신적 가치의 확립과 더불어 다문화 담론들에 대한 분석, 사회통합정책에 관한 전망과 접근이 요구된다. 뿐만 아니라 국내에 다양한 체류 유형의 이주민이 유입되면서 이들의 사회적응 지원, 내외국인 사회통합의 문제에 대한 학제 간 논의 및 지역 내 공공의 인식 변화를 주도할 다문화사회 전문가의 양성방안에 대한 검토가 요청된다. 다문화 전문인력이 부처별 경쟁적으로 양성되면서 국내 거주 이주민과 내외국인의 사회통합, 상호문화교육을 전제한 인력 양성 체제라기보다는 부처별 산하기관 종사자의 확보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뿐만 아니라 다문화 전문인력이 이주민 대상의 교수자이자 내외국인 사회통합을 위한 매개자로서 자리매김할 수 있는 근간이 부재한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은 법무부와 연계된 학위과정의 신설 배경과 설치 근거, 학위과정의 운영 실제, 학위과정의 운영 활성화를 위한 방안과 과제 등을 고찰하고 학위과정 운영 방안과 과제로서 지역사회의 다문화 인프라 분석, 법무부?대학의 타부처와의 취업 연계 제고, 전문가 역할을 위한 실질적?탄력적 교육과정의 개발 및 운영, 부처 통합형 다문화 전문인력 양성체계 구축, 정기적 보수교육을 통한 역량 강화, 그 외 다문화사회 전문가 양성위원회 및 운영협의체 발족 등을 제언하였다. With the rapid increase of immigrant in the Korean society, professionals of multicultural society have become very important workforce, who can improve intercultural communication so that immigrants could integrate into the korean society without big difficulties. Especially specialists with the master’s degress in multicultural society has become a very important issue. The ministry of justice and Sungkyul university signed a Memorandum of Understanding on participation of immigration and multicultural policies research in 2009. For the first time in Korea Sungkyul university established a master’ degree of immigration and public administration in 2009 and another university also has established a master’ degree of immigration and since then public administration the department. So this paper suggests the solutions for improvement of multicultural master’s degree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an analysis of multicultural infrastructure in local areas, that is, the state of the number of immigrants, the education for Immigrants and the multicultural education for the citizens. Second, the Ministry of Justice and university should make every effort on training for multicultural empowerment of good professional and give them an opportunity to get a job. Third, the Ministry of Justice and university should make an effective curriculum for the students in the Master’s degree and on system of holistic education for them. Fourth, the Ministry of Justice and another Ministy should make an unifying educational system for Experts in Multicultural Society. Fifth, the Korean association of professionals in multicultural society should established as soon as possible. The association will play a role for the Improvement remedial education of the experts and the exchange of information between the Ministry of Justice and university. Finally, the central government should established a committee of professionals of multicultural society and discuss the plan of holistic educational system for multicultur between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 KCI등재후보

        외국인력 정책에 관한 연구 - 논산시 외국인 실태조사를 중심으로 -

        이성순 ( Lee Sung-soon ) 부산외국어대학교 다문화연구소 2021 다문화사회와 교육연구 Vol.8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directions and policies in the establishment of policies for foreign workers in Nonsan, based on the survey on foreigners in Nonsan.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lack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absence of grievances and residency counceling, the absence of education and consulting for foreign worker employers and foreign workers, the absence of measures to promote participation of local community, and measures to enhance the cultural acceptance of Koreans were found in the support of forein workers living in Nonsan, appeared to be absent. As a policy suggestion, first, it is premised on the establishment of a delivery system according to the policy goals and key tasks of the foreigner policy of Nonsan City. Accordingly, the division of the foreign policy division, which plans and oversees foreign policy as the Donggo Dongrak domestic administrative department of Nonsan City Hall, and the Foreigner Support Division, which manages organic cooperation with multicultural institution is required. Second, it is required to conduct Korean language classes linked to multicultural organizations and to operate Korean language classes for foreign workers by regions where foreign workers are concentrated and by each area. Third, it is required to open the Cheonan Foreign Workers Support Center Nonsan Branch or to establish the Nonsan Foreign Welfare Center for foreigner grievance counseling and residency counseling. Fourth, in the absence of labor counseling, human rights counseling, and return support for foreign workers' employers and foreign workers, unified education and on-site consulting were conducted. Fifth, a community was established to promote foreign workers' participation in the local community, A plan is required to involve foreign workers in the Foreign Representatives' Association so that they can advise and monitor the information. Finally, in order to enhance cultural receptivity, a platform for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should be established in connection with multicultural institutions and lifelong learning centers in Nonsan City.(Mokwon Univers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