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불국사 상업지역 간판 현황 분석

        이서율(Seo Yul Lee),이영경(Young Kyoung Yi)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1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7 No.3

        도시환경에서 간판은 시민들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도시의 아름다움을 증가시키며, 지역의 문화와 정체성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간판은 과도한 크기와 색상 등으로 인하여 시각적 환경에 큰 문제를 야기시키고 있다. 이러한 간판은 사람들에게 불쾌감을 유발하며 도시환경의 질을 떨어뜨리는 요인이 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실시된 간판개선사업은 심미적 아름다움만을 강조할 뿐 간판의 정보전달기능이 아직 개선되지 않고 지역의 정체성이 반영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견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는 가로경관에 대한 만족도를 저하시키며 획일적인 경험을 유발하기 때문에 독특한 매력과 이미지를 창출하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바람직한 간판개선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개선대상지역의 간판현황과 가로현황을 면밀히 조사하여 정보 전달 기능을 향상하고 정체성을 확보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도출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특히 역사문화지역의 간판계획에서는 다른 지역보다 더 면밀한 현황조사가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간판을 업종, 유형, 배치 및 구성요소에 따라 현황분석을 하고, 이를 바탕으로 정보전달에 효과적이면서도지역의 정체성을 확보할 수 있는데 필요한 요건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역사문화 지역인 경주 불국사 지역의 상업지역을 대상지로 설정하고, 상업거리에서 빈도가 높은 가로형간판, 세로형간판, 돌출형 간판, 창문이용간판, 지주이용간판을 연구대상 간판으로 선정하였다. 또한 상업주 5명과 방문자 10명을 대상으로 현재 대상지의 간판 및 개선의 필요성, 대상지에 대한 일반적인 사항에 대한 의식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지의 간판은 지역, 부착된 건축물, 이웃한 간판과 모두 조화를 이루지 못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업종이 밀집해 있는 경우는 경쟁으로 인하여 간판의 크기와 수가 많고 자극적인 색상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간판의 과도한 사용은 정보전달에도 매우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상업주와 방문자와의 인터뷰결과를 보면 지역의 정체성을 보여주고 간판의 정보전달기능을 높이기 위한 간판개선이 필요하다는 공감대를 발견할 수 있다. 간판에 지역정체성을 반영하고 간판의 정보전달 기능향상을 위한 간판개선을 위해서는 현재 간판현황에 대한 정밀한 조사가 필수적임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역의 사회물리적 특성에 대한 조사와 함께 상업주와 방문자의 인식조사가 필요하다. 이를 바탕으로 조사대상지역의 지역성을 나타내는 다양한 요소(이미지, 색상, 형태, 글씨체 등)를 디자인하고 간판 개선에 활용되어야 한다. Outdoor advertizing sign in urban environment provides citizen with information, increases the beauty of the city, and formulates the city culture and identity. But Outdoor advertizing sign in our country are becoming one of the major visual problems due to the excessive sizes and colors. These Outdoor advertizing signs induce unpleasant feelings and destory the amenity. The advertizement improvement project performed recently in Korea only emphasized the visual quality but failed to enhance the communication function and regional identity. Therefore, visitors and store owners were not satisfied with the improved street and the streetscape does not show unique image and attraction. In order to improve the advertizement of the street, it is essential to analyze the present condition of the street so that useful information can be gained for the enhanced communication function and regional identity. Especially, the planning of advertizement for the historic area needs more thorough analysis of the present condition. In this study, a sign of business, type, placement, and depending on the components, and usage analysis, based on this information to deliver effective and which areas need to obtain the identity of the proposed requirements. To this end, Korea`s leading historical and cultural areas of the commercial target area Gyeongju Bulguksa set destination, and commercial signs in the streets with high frequency horizontal and vertical-type signs, raised signs, window signs available, holding up a sign used to study signs were selected. In addition, 10 visitors and 5 store owners participated in survey. Current designation of the signs and need for improvement, for general information on designation survey was conducted. Outdoor advertizing signs in the study area is not harmonized with the buildings, adjacent signs, and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area. Where diverse stores are found, singscape gets worse due to the strong colors, overused and oversized sings. Overused signs also have negative influence on the communication function. Interview with the visitors and store owners revealed that the outdoor advertizing signs of the area should be improved in order to display regional identity and to enhance communication function. Through analysis of the present condition of the outdoor advertizing signs are essential in the sign improvement for enhanced communication function and regional identity. Specifically, investigation should focused on the socio-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site and the analysis of the awareness of visitors and store owner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diverse factors related to regional identity should be designed and applied to sign improvement.

      • KCI등재

        불국사 상업지역의 정체성확보를 위한 간판 개선방안

        이서율(Seo Yul Lee),이영경(Young Kyoung Yi)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1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7 No.4

        간판은 도시의 이미지 형성과 정보전달에 큰 역할을 한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간판은 정체성과 미학적 특질이 부재하고 정보전달기능이 미약하기 때문에 경관을 훼손하는 요소이다. 이러한 현상은 역사문화지역에서 더 심각한 실정이다. 이는 역사도시에서 더욱 큰 영향을 초래하고 있다. 최근 많은 지자체는 간판개선을 실시하고 있으나 지역과 어울리지 않은 획일적인 디자인과 관련주체의 참여부족으로 인하여 그 효과는 미진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1)2)3)4). 본 연구는 불국사 상업지역을 대상으로 지역정체성 확보를 위한 간판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불국사의 상업주와 방문자, 관련 공무원을 중심으로 설문조사가 진행되었다. 설문조사에서는 상업주 97명, 방문자 130명, 관련 공무원 32명이 참여하였다. 연구 결과는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현재 간판현황에 대한 만족도는 3주체 모두 낮게 나타났으나, 방문자의 만족도가 다른 두 주체보다 더 낮게 나타나고 있다. 둘째, 모든 응답자들은 현 간판이 정보전달기능이 낮고 지역정체성도 반영하지 않는다고 인식하고 있어, 간판 개선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간판개선이 특히 시급한 것으로 인식하는 요소는 디자인 요소의 배치와 색상, 문구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관련 공무원들은 상업주의 의식부족과 현실에 맞지 않는 법규 등이 개선대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에 근거하면 지역정체성확보를 위한 간판 개선을 위하여 제도적 방안과 디자인적 방안이 제시될 수 있다. 우선 제도적 방안으로는 현실과 지역에 맞는 이해하기 쉬운 법령의 개선이 필요하다. 또한 실제 적용에 필요한 구체적인 지침이 마련되어야 한다. 디자인적 방안으로는 지역 정체성을 나타내는 이미지의 개발이 우선되어야 한다. 이와 함께, 간판의 기능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디자인 요소의 배치와, 대상지 주변 색상의 활용 및 대상지 이미지와 알맞은 문구의 도입이 필요하다. Outdoor advertizing signs of the city plays an important role in formulating the image of the city and communicating information. But outdoor advertizing signs of Korea are more likely to damage urban landscape because of the lack of the aesthetic quality, local identity, and communicating ability. This negative effect is more serious in the historic city. Recently, many local governments plan and implement the projects for the improvement of outdoor advertizing signs, which are proved to be ineffective due to the uniformed design and the lack of participation of the related stakeholders 1)2)3)4).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guidelines for the improvement of outdoor advertizing signs in Bulguksa business district in order to establish the sense of identity in the street. Specifically, questionnaire survey was performed to the three stakeholders, such as 97 storeowners, 130 visitors, and 32 related public officials. The results revealed three important things. First, although the satisfaction for the present sings of the three stakeholders were low, the satisfaction of the visitors was found lowest, compared to the other two stakehoders. Second, all the participants thought that the present signs neither successfully communicated information nor reflected the regional identity, which indicated the need of improvement. The sign factors that found to need the urgent improvement were the disposition of design elements, colors, and wording. Lastly, the public officials pointed the lack of storeowners` sense on the good signs and the unrealistic regulations as the targets of improvement. Based on these results, two kinds of guidelines for sign improvement were suggested; one for regulation and the other for design. It is important that the regulation should be realistic and correspond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Also specific information for implementation should be prepared. For design, the first and important thing is to develop the representative regional image. Then, endeavors are needed to find the ways to lay out the design elements, to utilize the surrounding colors, and to use the appropriate wordings.

      • KCI등재

        남한산성 지역 간판개선에 대한 방문자와 상업주의 평가

        이서율(Seo Yul Lee),이영경(Young Kyoung Yi)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1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7 No.1

        간판은 도시민들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가로의 미관을 결정하며 지역의 문화와 정체성을 반영하는 역할을 한다. 우리나라에서 진행된 간판개선사업은 심미적 특성만을 강조하여 지역의 정체성을 적극적으로 반영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체성 반영을 목적으로 간판개선 사업이 진행된 남한산성 지역을 대상으로 개선사업의 효과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정체성 반영을 위한 간판개선사업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남한산성 방문자와 지역의 상업주를 중심으로 예비 인터뷰와 설문조사가 진행되었다. 예비인터뷰에는 방문자 15명과 상업주 5명이 참여하였으며, 설문조사에서는 방문자 108명과 상업주 48명이 참여하였다. 연구결과 간판개선사업에 대한 만족도와 간판개선으로 인한 가로경관의 향상효과는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간판이 전체가로와의 조화가 없고 지역의 정체성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방문자와 상업주사이의 차이점이 발견되는데, 상업주의 개선사업과 정보제공에 대한 만족도가 방문자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간판의 지역정체성에 영향을 미치는 간판요소는 디자인요소의 배치와 색상, 글씨체, 형태, 문구로 인식되고 있었다. 이 같은 연구결과에 근거하면 만족도가 높은 간판개선을 위해서는 방문자와 상업주에 대한 균등한 의견수렴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또한 간판개선에 있어서 전체 가로와의 조화를 조성하고 디자인요소의 배치와 색상, 글씨체, 형태, 문구에 대한 고려를 통해 지역 정체성을 반영하여야 할 것이다. Outdoor advertizement provides information about the city, formulates the aesthetic quality of the street, and reflects the culture and identity of the region. Outdoor advertizement improvement carried out in Korea emphasized only on the aesthetic quality, which resulted in the problem that unique place identity could not be reflected in the outdoor advertizemen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uggest the useful information on the outdoor advertizement improvement for place identity by investigating the effect of the Namhansansung Area Outdoor Improvement that was implemented in order to reflect the place identity. Specifically, this research adopted interview and questionnaire survey on the visitors and store owners in the study site. For an interview, 15 visitors and 5 store owners participated and 108 visitors and 48 store owners participated in the questionnaire survey.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the satisfaction for the Improvement and effect of the street enhancement was rated high by both visitors and store owners. However, it was found that all the participants thought that outdoor advertizement did not harmonize with the street and that unique place identity was not reflected in the outdoor advertizement. Also, it was revealed that store owners` satisfactions for the Improvement and for the communication function of the advertizement were higher than those of visitors. Based on the results, three suggestions were made. First, diverse opinions should be collected from both visitors and store owners. Second, the harmony between outdoor advertizement and the whole street should be considered as important factors of advertizement design. Lastly, unique place identity should be reflected in outdoor advertizement by using of such design elements as wording, color, a style of penmanship, arrangement of design elements.

      • 석유계 플라스틱 사용 저감을 위한 화이트바이오 산업 활성화 방안 연구

        이서율 ( Seo-yul Lee ),권순길 ( Soon-gil Kwon ),김영운 ( Young-woon Kim ),황용우 ( Yong-woo Hwang )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21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21 No.-

        1930년부터 도입된 플라스틱은 분해 기간이 길고 잘 썩지 않는다는 환경적 특성으로 가끔 사회 문제를 발생시키고 결국 맹독성의 다이옥신 검출, 유명한 플라스틱 오염 문제이었던 미세 플라스틱의 해양 오염 실태뿐만 아니라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매립을 통한 토양 미생물 영향 등과 같은 심각한 환경 오염의 원인으로 대두되고 있다. 석유계 플라스틱 매립시 토양오염을 저감하기 위한 유일한 방안으로 화이트바이오 산업의 육성하는 것이다. 석유계 플라스틱은 온실가스인 이산화탄소 분해되어도 미세 입자가 남아 미세 플라스틱 문제 유발하지만 화이트바이오 산업 핵심인 바이오 플라스틱은 생산 과정에서 이산화탄소 배출량도 비교적 적지만, 원료인 식물 등 바이오매스가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탄소 중립적이고 6개월에서 1년 사이에 완전분해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토양 내 미치는 오염을 저감하기 위한 화이트바이오 산업을 활성화하는 방안을 기존 폐플라스틱 발생 및 처리현황과 바이오 플라스틱 생산현황과 비교하여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우리나라의 폐플라스틱 발생량은 생활계폐기물 기준으로 2017년 대비 2018년에 8.9% 증가되었다. 2018년 폐플라스틱 발생량 중 재활용 40%, 소각 45%, 매립 15%였다. 2018년 폐플라스틱 매립량은 934톤으로 2017년 대비 4% 증가되었다. 한편, 전세계 바이오 플라스틱의 연간 생산량은 2017년 약 36만 톤으로 아직까지 재활용 포함한 전체 플라스틱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0.3%로 미미한 수준이나, 바이오플라스틱은 2020년에는 345만 톤에 육박하였다. 국내에서도 향후 5,000톤 생산계획이 있다. 따라서, 폐플라스틱 매립량과 바이오플라스틱의 생산현황을 비교하여 볼 때, 바이오 플라스틱을 활성화하게 되면, 폐플라스틱 매립량은 저감되어 토양오염을 저감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 마스크살균 탈취 및 건조기 제작에 관한 연구

        김은영(Eun-young Kim),이승우(Seung-woo Yee),이서율(Seo-yul Lee),정원형(Won-hyung Jeong),황계호(Gye-Ho Hwang)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021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11

        Personal quarantine is becoming more important in the era of Corona. Mask consumption is increasing to prevent corona infection, leading to steady consumption. Masks are no longer an option but a necessity, and mask management is required accordingly. Even with a seemingly simple mask, there are many tasks to be solved. They avoid wearing masks by complaining of odors, skin problems such as stuffiness and difficulty in conversation, chafing and inflammation, and are also concerned about environmental problems caused by disposable masks that are thrown away. There are various objects and disinfection products, but there are not many disinfection products for masks. Therefore, this paper intends to suggest the possibility of generalization by manufacturing a product that enables the reuse of a sanitary mask by adding a drying function to the sterilization and deodorization function of the used mas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