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프랑스 민간부문 대상 동해 표기 현황 및 동향 분석

        이상균(Yi, Saangkyun),김영훈(Kim, Younghoon) 동북아역사재단 2015 영토해양연구 Vol.10 No.-

        프랑스 민간 지도제작사, 신문사, 방송사를 대상으로 살펴본 동해 표기관련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프랑스 언론매체들은 프랑스 정부 입장을 그대로 따르기보다는 각각의 주체별로 자유롭게 표기하고 있다. 둘째, 세 가지 민간부문(지도제작사, 신문사, 방송사) 중에서 지도제작사가 가장 보수적이고 유연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신문사나 방송사에 비해 지도제작사는 정부의 입장을 많이 의식하는 것처럼 보였으며, 실제로 일본해 단독표기 명칭을 가장 많이 쓰고 있었다. 그렇지만 3대 지도제작사 중의 하나인 미슐랭사의 경우는 일찍부터 동해 명칭을 일본해 명칭과 병기하고 있다. 셋째, 지도제작사, 신문사, 방송사에서 제작 · 보도하고 있는 자료를 보면, 공통적으로 민감하고 불편한 해당 수역에 대한 명칭을 아예 비워두는 경향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넷째, 텔레비전 방송에서는 무표기나 일본해 단독표기가 주를 이룬다. 그러나 인터넷판 기사를 보면, 일본해 명칭뒤에 동해 명칭이 언급되는 경우가 많다. 다섯째, 한국 정부가 요구하는 동해 명칭이 아닌 제3의 명칭, 즉 동양해나 한국해 명칭이 표기되는 사례도 종종 나타난다. 이러한 사례는 대수롭지 않게 넘길 사안이 아니며, 장기적으로 볼 때, 동해 명칭에 대한 대안이나 보완책 수립 차원에서도 현지인들의 선호도를 심도 있게 알아볼 필요가 있다. The analytic results related with the name of the East Sea(Mer de l’Est) targeting French private map publishers, newspapers, and broadcasting companies are as follows: First, most French press media are writing the East Sea on their own freely, rather than complying with the French government’s position. Second, the French map publishers were the most conservative and inflexible among the three private sectors(map publishers, newspapers, and broadcasting companies). The map publishers appeared to be the most conscious of the government’s position, compared to the newspapers and broadcasting companies, and they used the single name of the Sea of Japan the most. However, one of the top three map publishers, Michelin, simultaneously used the names of the East Sea and the Sea of Japan from the early stage. Third, the data produced and reported from the map publishers, newspapers, and broadcasting companies tend to commonly vacate the names of sensitive and disputable waters. Fourth, no writing of the name Sea of Japan was in the mainstream of the TV breasting. However, there are many cases that the name of the East Sea is mentioned after the name of the Sea of Japan on the Internet articles. Fifth, there are some cases where the name of Mer Orientale or Mer de Corée is used, instead of the name of Mer de l’ Est(East Sea) demanded by the Korean government. These cases should not be overlooked, and there is a need to find out an alternative of the name of the East Sea(Mer de l’Est), or local people’s preference in depth at the countermeasure devising level.

      • KCI등재

        프랑스 중등 지리 교육과정 구성방식의 시기별 특징 고찰

        이상균(Yi, Saangkyun),김병연(Kim, Byung-Yeon) 한국지역지리학회 2019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25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프랑스 중등 지리 교육과정 구성방식의 변천사를 특징별로 분류하는 것이며, 한국 지리교육계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함이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불전쟁 직후인 1872년 개정부터 1945년 개정까지는 지역지리와 계통지리가 결합되는 방식으로 교육과정이 구성되었다. 당시 프랑스 지리교육 전문가들은 계통지리가 지역학습의 효율성을 높여줄 것으로 여겼다. 둘째, 1960년 개정부터 1993년 개정까지는 지역지리가 사라지는 대신 지역의 계통지리화가 이루어졌고, 쟁점/주제 중심 내용구성 방식이 강화되는 시기로, 이러한 변화는 70년대 전후에 붐을 일으킨 신지리학의 영향에 기인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셋째, 1996년 개정부터 2008년 개정 이후는 교육과정 구성방식이 쟁점/주제 중심으로 완전히 전환되는 시기로, 기존의 지역지리적 전통은 각 주제별 사례지역의 형태로 제시되는 특징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he changes in the way of organizing the French geography curriculum by its characteristics and to draw implications for the geography education in Korea.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from the revision of 1872 to the revision of 1945, immediately after the Franco-Prussian War, the curriculum was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regional geography and system geography. Secondly, between 1960 and revision in 1993, the method of regional geography disappeared, the systematic geography of the region was established, and the way of constructing contents based on issues / theme has been strengthened. This change can be attributed to the influence of new geography around the 1970s. Thirdly, since the revision in 1996 and the revision in 2008, it is a time when the way of curriculum construction is fully converted into the issue/theme. The existing regional geographical tradition shows the features presented in the form of case region for each subject.

      • KCI등재
      • KCI등재

        2013 개정 북한 지리교과서에 제시된 독도 관련 내용 분석

        이상균 ( Saangkyun Yi ),최희 ( Hee Choi ),임은진 ( Eunjin Lim ) 한국지리학회 2017 한국지리학회지 Vol.6 No.2

        현재 일본의 왜곡된 독도 영유권 교육이 도를 넘고 있는 상황에서, 우리의 독도 영유권을 강화하고 일본의 도발을 강력하게 차단하기 위해서는 독도 영유권에 대한 남북한의 공통된 의지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통일을 지향하는 남북한 당국의 공통된 영토관을 확인하고, 독도를 한민족의 중요한 영토로 인식하고 있는 북한의 입장을 파악하는 것이다. 최근 북한에서는 학제개편(2012) 및 교육과정 개정(2013)이 단행되었으며, 교과서가 새롭게 집필되었다. 연구결과, 북한당국은 비록 상대방 체제하에 있는 영토라 할지라도 통일을 염두에 두고 한반도 전체를 그들의 영토로 인식하고 있으며, 그러한 관점은 그대로 지리교과서 집필에 반영되었다. 개정 교과서의 학습내용이 계통지리 중심으로 구성됨에 따라 개정 전 교과서와 비교해 볼 때 본문에 기술된 독도 내용은 감소한 반면, 지도 등 시각자료를 활용한 독도영유권 표현은 훨씬 더 광범위하고 체계화되었다. 반면, 북한의 지리교과서는 독도에 관한 역사적인 설명이 부족한 것으로 보이며, 일부 내용은 사실과 다르게 기술된 측면도 발견되었다. 향후 남북간의 학술교류를 통해 독도에 관한 우리의 연구성과와 교육자료가 북한의 지리교과서 집필에도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In the circumstance of Japan`s distorted education for Dokdo ownership claimed by Japan, we need to check the common will of South and North Korea for Dokdo ownership to enhance our ownership and to protect strongly against Japan`s provocation of Dokdo ownership.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heck the common view of territory between the South and the North Korea aiming for reunification, and to grasp North Korea`s position recognized Dokdo as an important territory of the Korean People. Recently North Korea carried out the reorganization of the school system in the year 2012 and the amendment of the course of study in 2013, and the textbook was newly written. As the result of the research, North Korea thinks of the reunification of Korea and realizes that the whole country of Korea as their country although their country is under the setup of another party. When comparing the textbook with the state of before it was amended and the information of the study of the amended textbook was consisted of the systematic geography(centered in the subject) and the written information of the Dokdo in the body of the book reduced a lot, and although the expression of Dokdo which used the map and visual material is more wide and systematic. However, the new textbook of North Korea seems to have lacks of historical explanation related to Dokdo and some contents were written differently than the facts. Hopefully we look forward to being able to use our research result of Dokdo to the writing of North Korea`s geography textbook through academic interchange between the South and the North in the future.

      • KCI등재

        북한의 영토교육과 한민족의 독도 영유권

        이상균(Yi, Saangkyun),최희(Choi, Hee) 동북아역사재단 2015 영토해양연구 Vol.9 No.-

        이 연구는 일본의 독도 영유권 도발이 날로 거세지는 상황에서 우리의 독도 영유권 강화 차원에서 남북한 양측의 연대와 공동 대응 방안을 탐색하고자 기획되었다. 북한은 비록 한국과는 다른 정치체제를 유지하고 있음에도 독도 영유권에 대해서는 같은 입장을 취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북한에서 시행하고 있는 영토교육은 학교 교육과정과 조직생활 등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된다. 학교 교육에서 독도 교육은 중등학교 2학년과 4학년 지리교과서에 포함되어 있는데, 학습내용은 많지 않은 편이나 독도에 대한 확고한 영토의식과 강한 수호의지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두번째 유형의 영토교육은 조직생활을 통해 이루어진다. 예컨대 《노동신문》에 게재된 독도 관련 기사를 활용하는 ‘독보(신문기사 읽어주기)’ 형식의 사상교육이나 군중대회를 통하여 영토의식 및 국토수호 의지를 갖게 해주고 있으며, 또한 독도 우표 발행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독도에 대한 관심과 영토의식을 고취시키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한민족의 독도 영유권 강화 차원에서 세 가지 남북한 공동 대응 방안을 제시하였다. 먼저, 강원도 원산의 송도원 국제야영소에 캠핑하는 북한의 청소년들이 울릉도와 독도를 답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공한다면 독도에 대한 홍보효과는 적지 않을 것이며, 일본정부에도 상당한 심리적 압박으로 작용하리라 여겨진다. 두 번째는 남북한 청소년들 간의 독도 문화교류를 추진하는 것이다. 이는 북한 청소년들의 울릉도와 독도 방문 일정과도 연계해서 추진할 수 있는 것으로서 이러한 이색적인 문화교류 이벤트를 통해 세계인들에게도 자연스럽게 우리의 영토 독도를 알릴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마지막으로, 남북 당국 간 독도에 관한 공동학술교류를 추진하는 것이다. 이는 독도에 관한 학술연구뿐만 아니라 일본의 독도 영유권 도발에 대한 남북 간 연대와 공동 대응을 위한 협의체로서도 의미가 클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options for North Korea and South Korea to jointly respond to Japan’s growing claims over Dokdo and thereby consolidate Korea’s territorial sovereignty over Dokdo. Despite functioning under a political system different from that of South Korea, this study was able to determine that in terms of sovereignty over Dokdo, North Korea takes a standpoint identical to that of South Korea. Territorial education in North Korea is carried out largely through the two channels of school curricula and social activities. In secondary education, Dokdo is covered in geography classes for second and fourth graders and although the amount of contents are limited in textbooks, they seem to reflect a definite awareness of sovereignty over Dokdo and a strong will to guard it. Examples of territorial education through social activities include ideological education in the form of ‘reading newspapers,’ particularly articles related to Dokdo published in Rodong Sinmun (Labor Daily), rallies to instill a sense of territorial sovereignty and the will to guard national territory, or stamps featuring Dokdo issued in order to indirectly draw attention to the island. This study suggests three ideas to induce the two Koreas to collaborate in consolidating Korea’s sovereignty over Dokdo. First, if a program to visit Ulleungdo and Dokdo were to be made available to North Korean teenagers attending the Songdowon International Camp in Wonsan, Gangwon Province of South Korea, it would not only help further promote awareness of the Dokdo issue, but would also put considerable psychological pressure on the Japanese government. The second idea is arrange for North Korean and South Korean teenagers to engage in Dokdo-related cultural exchange. This could be implemented in association with the North Korean teenagers’ visit to Ulleungdo and Dokdo, turning it into a special cultural exchange that would naturally draw to Dokdo the attention of those outside Korea. The third idea is to allow academic exchange on the Dokdo issue between the two Koreas. This would be very meaningful not only for academic research on Dokdo, but also for developing channels between North Korea and South Korea to discuss and jointly respond to Japan’s claims over Dokdo.

      • KCI등재

        김정은 시대 북한 지리교과서의 변화 방향과 내용구성 특징

        이상균 ( Saangkyun Yi ),권정화 ( Jung-hwa Kwon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7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5 No.3

        이 연구의 목적은 2013년에 개정된 북한 지리교육과정의 변화 방향과 내용구성 특징을 파악하는 것이다. 북한의 지리교육에 관한 연구는 90년대 초부터 꾸준하게 이루어졌는데, 최근에는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다. 김정은 정권에 접어들어 북한에서는 학제개편, 교육과정 개정 등 대대적인 교육개혁이 이루어졌다. 2013년부터 2015년까지는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새로운 교과서가 개발·보급되었는데, 새로 개발된 교과서가 국내에 들어 온 것은 아주 최근의 일이다. 본 연구는 초급중학교 3년, 고급중학교 3년 등 총 6년간 배우는 교과서 중 고급중학교 2학년 교과서를 제외한 5개 교과서를 사례로 최근 북한 지리교육의 변화 양상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교과서의 집필진이 대폭 보강되었으며, 머리말에는 지리학습의 방법과 절차에 관한 안내가 새롭게 포함되었다. 북한의 지리교과서는 대학교재 형식의 기존의 틀을 벗어나 천연색의 다양한 시각자료의 비중이 크게 증가하는 등 학습자 중심의 교육을 지향하고 있다. 학습내용은 전반적으로 계통지리의 형식으로 구성되었으며, 향토지리가 처음으로 도입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omprehend the direction of change and characteristic of content composition of geography curriculum in North Korea revised in 2013. Researches on geography education in North Korea were performed consistently since beginning of 1990s but it shows decreasing trend recently. After entering to the government of Jung-Eun Kim, broadscale education reform was made in North Korea including reorganization of school system, revision of school curriculum. From 2013 to 2015, new textbooks were developed and supplied according to revised school curriculum, and it is very latest work to bring newly developed textbook in the country. In this research, I would like to comprehend the change status of geography education in North Korea with the cases of 5 textbooks for total 6 years, junior middle school 3 years and high middle school 3 years, and except for textbook for the 2nd grade of high middle school. From the result of research, the writing staffs of textbook were drastically reinforced and, in the preface, guidance on the method and procedure of learning geography was newly included. Getting out of the frame of existing textbook in university textbook form, it aims the education focusing on learners such as increasing the ratio of natural color pictorial and various visual materials. Learning contents consist of Systematic geography overall, and Homeland geography was induced for the first time.

      • KCI등재

        베트남의 남중국해 영유권 문제와 영토교육

        이상균 ( Saangkyun Yi ),최희 ( Hee Choi ),융티탄프엉 ( Duong Thi Thanh Phuong ),김종근 ( Jong-geun Kim ) 한국지리학회 2017 한국지리학회지 Vol.6 No.1

        한국과 베트남은 역사적으로, 지정학적으로 유사한 측면이 많이 있다. 특히, 남중국해에서 중국 등 주변국들과의 영유권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베트남의 사례는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다. 독도영유권 및 동해 표기명칭 문제 등 국가적으로 어려운 상황에 직면해 있는 한국으로서는 베트남의 사례를 검토하는 것은 시의적절하다고 사료된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영유권 문제에 직면해 있는 베트남의 대응방식과 영토교육 현황을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결과, 베트남에서는 베트남 외교아카데미, 베트남 사회과학원, 동해연구재단, 베트남 법가회 등 정부 기관을 중심으로 매년 동해 관련 학술대회가 개최되고, 동해연구재단에서는 다양한 학술상 시상을 통해 연구자들의 관심과 참여를 독려하고 있다. 학술연구 뿐만 아니라, 베트남 사람들은 SNS를 통해 중국의 불법 행위와 자신들의 어려운 상황을 전 세계로 전파함으로써 해외의 네티즌들로부터 관심과 공감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학교에서는 동해상의 섬들에 관한 특강을 듣기도 하고, 학생들 스스로 베트남 영토를 형상화하는 퍼포먼스에 참여함으로써 영토수호에 대한 의지를 배운다. 또한 역사, 지리, 시민교육, 국방교육 등 정규 교과를 통해 체계적인 영토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Vietnam and Korea have a lot of aspects similar both in historically and geopolitically. Especially, the difficulties that Vietnam is going through, due to the sovereignty issues surrounding the South China Sea, has much to suggest us. For Korea, who is facing difficult national issues such as the sovereignty of Dokdo island as well as the naming of `The East Sea` etc., the timing seems just right in reviewing the Vietnam`s case stud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the Vietnam`s response methodology and the status on territorial education regarding the sovereignty issues they are facing. As a result of the research, in Vietnam, the East Sea (Bien đong) related academic conferences are led annually by the government organizations such as Vietnam Diplomatic Academy, Vietnam Academy of Social Sciences, East Sea (Bien đong) Research Foundation, and Vietnam Legal Society. The East Sea (Bien đong) Research Foundation offers a variety of academic awards in order to encourage researchers` interests and participations. In addition to the academic researches, Vietnamese people, via SNS, are propagating throughout the world the illegal activities by Chinese and their unfair situation that they face, in order to attract worldwide netizens` interest and sympathy. At school, students strengthen their determination in protecting their territories by listening to lectures on `The Islands` in the East Sea or by participating themselves in performances that symbolize the Vietnamese territory. In addition, a systematic territorial education is being conducted through the regular courses such as History, Geography, Civic Education, and Defense Education.

      • KCI등재

        일제 강점기 프랑스 지리지식의 한국 전래

        이상균(Saangkyun Yi)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16 문화 역사 지리 Vol.28 No.2

        19세기 말, 일본 정부는 프랑스 등 서구 국가들의 학제를 바탕으로 근대 일본의 학제를 구축·반포하였으며, 20세기 초, 일본 대학에 지리학과가 설립된 이후, 서구 여러 나라의 지리학 개념, 지리교육 방법론 등을 참고하여 일본의 학교교육에 적용하였다. 이 연구는 일제강점기 동안에 프랑스 지리학 연구전통 및 지리교육 개념이 식민지 조선에 이식된 역사적 맥락을 파악하자 하였다. 일본인 지리학자 다나까 게이지는 프랑스 등 구미 여러나라를 방문하여 해외의 지리학 연구 및 지리교육 사례를 조사하였으며, 조선총독부에서 발행하는 지리교과서집필에도 참여하였다. 한국에 도입된 프랑스식 지리교육 전통은 지리교육 개념과 학습내용 구성 등 교육과정적측면뿐만 아니라, 대학의 학과 명칭과 같은 제도적 측면에서도 광범위하게 발견된다. 해방 후, 미국의 사회과가 한국에 도입되면서 프랑스식 지리교육 전통은 상대적으로 약해진 것으로 보이나, 최근 들어 프랑스 지리교육에 대한 관심은 지속적으로 커지고 있다. The Japanese government built and proclaimed the modern Japanese educational system based on that of Western countries, including France, in the 19th century and has applied several Western countries’ geographical concepts and methodology of geography education to Japanese school education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department of geography in a Japanese college early in the 20th centur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historical context in which the concepts of French geography education and tradition of geography research were transplanted into colonial Joseon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Tanaka Keiji, Japanese geographer, visited several Western countries, including France, to investigate some cases of overseas geography research and education and wrote a geography textbook, which was published by the colonial Japanese government of Korea. The French tradition of geography education introduced into Korea is identified in the institutional aspect, which involves the name of the department in universities, and is also extensively found in the curricular aspect, which involves the concepts of geography education and composition of contents to learn. While the introduction of the U.S. subject of social studies into Korea after the Liberation seemed to relatively weaken the French tradition of geography education, French geography education is recently attracting more attention continuously

      • KCI등재

        「개정일본여지노정전도(改正日本與地路程全圖)」의 제작배경과 독도영유권적 가치

        최재영 ( Jae Yung Choi ),이상균 ( Saangkyun Yi ) 한국지리학회 2018 한국지리학회지 Vol.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일본의 지리학자 나가쿠보 세키스이(長久保赤水, 이하 세키스이)가 제작한 「개정일본여지노정전도(改正日本與地路程全圖)」(이하 「개정일본여지노정전도」)의 제작배경을 살펴보고, 이 지도가 독도영유권에 있어 지니는 가치를 논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세키스이가 살았던 시대상과 그의 생애, 세키스이와 지도제작, 그리고 본 연구의 주제인 「개정일본여지노정전도」가 지도제작사적으로 지니는 위상과 그 판본들, 독도영유권 관련하여 「개정일본여지노정전도」를 둘러싼 한일 간의 갈등양상을 알아보았다. 나아가 이러한 갈등과 「개정일본여지노정전도」가 독도영유권에 있어 지니는 가치에 대해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일본에서 지도학적으로 높은 위상을 지니고 대중적 인기를 누렸으며 독도영유권과 관련하여 일본 외무성 홈페이지에 제시되고 있는 「개정일본여지노정전도」에 대해 지리학적으로 살펴보는 것은 독도영유권에 있어 지니는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aking of Kaisei Nihon Yochirotei Zenzu (「改正日本與地路 程全圖」), which was produced by Nagakubo Sekisui (長久保赤水), a Japanese geographer, and to discuss the significance of this map in the controversy over Dokdo islands. To this end, this study looked into the situation of the times in which he lived, his life, and his map making, and the status of Kaisei Nihon Yochirotei Zenzu, which is the subject of this study, in the history of cartography, several versions of this map, and the conflict between Korea and Japan surrounding this map with respect to Dokdo. Furthermore, these conflicts and the significance of this map in the sovereignty of Dokdo have been critically examined. The geographical approach to this map, which has a high cartographic status in Japan, had gained popularity, and is presented on the website of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of Japan regarding Dokdo, can represent much to the sovereignty of Dokdo.

      • KCI등재

        일본 시마네현 고등학교 사회과의 독도 관련 영토교육 동향

        김병연(Kim, Byung-Yeon),이상균(Yi, Saangkyun) 한국지역지리학회 2018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24 No.3

        본 연구는 시마네현의 다케시마 교육 및 정책 개발의 가이드 라인을 제시하고 있는 ‘다케시마 문제연구회’의 제 2기, 3기 「최종 보고서」에 제시된 교육정책 및 학습지도안을 중심으로 일본 시마네현의 다케시마 교육정책과 고등학교 사회과 다케시마 교육 방향성을 검토해 보았다. 다케시마 문제연구회에서 생산된 연구성과는 일본 외무성이나 문부과학성에서 주장하는 다케시마의 ‘일본 고유 영토론’에 대한 국・내외 홍보 및 정책 형성과 교육에 기본 논리를 제공하고 있으며, 시마네현 교육위원회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다케시마 교육에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특히 다케시마 문제연구회는 고등학교 다케시마 교육의 준거가 되는 사회과 학습지도안을 작성하여 학교 현장에 배포·활용토록 독려하고 있다. 지도안은 한국이 다케시마를 불법점거하고 있으며, 일본은 다케시마 문제의 평화적 해결을 위하여 국제사법재판소에 공동으로 제소하고자 하지만 한국이 이를 거부하고 있어 다케시마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는 왜곡된 사실을 학생들에게 학습하도록 하여 일본의 다케시마 영유권 강화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rection of Takeshima Education policy and high school social studies Takeshima education focusing on the educational policy and the teaching guidance plan presented in the second and third period ‘The Final Report ’ of the Takeshima issue Study Group, which provides guidelines for Shimane Prefecture"s Takeshima education and policy development. The results of the research conducted at the Takeshima issue Study Group provide the basic logic for promoting national and international publication, policy formulation and education on Takeshima’s ‘Japanese original sovereignty’ which is claimed by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of Japan and is being utilized variously in the Takeshima education conducted at the Shimane Prefecture Board of Education level. In particular, the Takeshima Issue Study Group has created a Social Studies teaching guidance plan that is a reference for high school Takeshima education and encourages them to be distributed and utilized at school. The teaching plan is designed to allow students to learn distorted facts that Takeshima is illegally occupying Korea, and Japan wants to file a joint complaint with the International Court of Justice for peaceful settlement of the Takeshima issue, but the Takeshima issue is not resolved because Korea rejects to do so. It is aimed to make sure that Takeshima"s sovereignty is in Jap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