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내러티브의 이해와 국어 교육적 의미

        이병승 ( Lee Byung-seung )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07 한국초등국어교육 Vol.34 No.-

        이 연구는 최근 다양한 학문에서 소통되고 있는 내러티브에 대한 연구를 를 메타적 수준에서 분류해보고, 내러티브가 가지는 국어 교육적 의미를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다양한 학문과 교육의 여러 장면에서 활용되고 있는 내러티브는 크게 사고 양식으로서의 내러티브, 실체로서의 내러티브, 활동으로서의 내러티브로 분류할 수 있다. 사고 양식의 내러티브는 브루너가 인간의 사고를 패러다임적 사고와 내러티브적 사고로 구분하면서 개념화한 것이다. 내러티브적 사고는 내러티브를 생산해 내는 사고로서, 이야기의 특성에서 발견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실체로서의 내러티브는 내러티브적 사고의 결과로 나타난 서사체를 뜻한다. 서사체를 중심으로 관련된 요소들의 관계를 연구하는 다양한 관점의 내러티브 연구는 최근에는 내러티브 매체의 다양성으로 인하여 그 영역이 확장되고 있다. 활동으로서의 내러티브는 내러티브를 이해하고, 창조하는 활동과 내러티브를 통한 교육으로 분류할 수 있다. 문화의 다양성 시대에 내러티브의 사용역이 넓어지고 있는 지금에 국어 교육에서도 내러티브를 새롭게 조명하고 활용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dicate and analyse issues of narrative that is discoursed on various domain. The narrative is studied by narrative mode of thought, product and activity. The narrative mode of thought was discoursed by Bruner. He differentiate two mode of thought of people; narrative and paradigmatic mode of thought. The narrative mode of thought derived from character of story means making narrative product. Narrative as product was studied in literature. Recently inquiry of narrative were broaden because of media. Narrative as activity are thought with two mode; understanding and create narrative, education through narrative. We can make use the narrative as new method, goal and content in Korean education. In oder to enhance the narrative competence with student, we have to make an effort to adapt the narrative in the phase of various education.

      • KCI등재

        두뇌 기반 학습 이론에 근거한 읽기 교육의 쟁점

        이병승 ( Byung Seung Lee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08 한국초등교육 Vol.1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dicate issues of reading based on brain science. Human brain process information from neuron to high functional thought. As Individual learners make sense differently and have different schema, we should teach reading through individual cognitive style. So behaviorism effect on reading class that reading teacher are teaching students with thought that all students are same. And teachers expect that all students will achieve same reading skill without introducing how to adapt reading strategies. Reading strategies are effectively achieved when the reading is meaningful, positive emotions are accompanied and learning style are appropriate. Accordingly reading teaching method should be developed through learner`s individual cognitive style.

      • KCI등재

        쓰기 과제 제시 방식이 쓰기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평가 기준과 계획하기 시간 제시를 중심으로-

        이병승 ( Byung Seung Lee ) 한국작문학회 2010 작문연구 Vol.0 No.10

        이 연구는 쓰기 과제 제시 방식에서 평가 기준 제시 여부와 계획하기가 초등학생 필자들의 쓰기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진행하였다. 초등학생 6학년 필자 128명을 대상으로 사전 검사와 본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각각 4개의 집단으로 나누어 연구하였다. 사전 검사의 경우 쓰기 과제 제시문 만을 제공하고, 본 검사의 경우 4개의 집단 별로 각각 제시문 만을 제공한 유형, 평가 기준은 제공하지 않고 계획하기 시간을 별도로 할애하도록 한 유형, 평가 기준은 제시하고 계획하기 시간을 할애하지 않은 유형, 마지막으로 평가 기준과 계획하기 시간 모두를 제공한 유형을 제시하였다, 쓰기 과제의 주제 변인이 쓰기 성취도에 영향을 주었는지 알아보기 위해 1 집단을 대상으로 사전 검사와 본 검사결과를 t-검정하였다. 그 결과 주제 변인이 쓰기 성취도에 영향을 주지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전 검사와 본 검사를 대상으로 평가 기준과 계획하기가 쓰기 성취도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평가 기준은 내용, 구조, 표현, 독자 고려4 영역 모두에게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은 주지 않았다. 반면 계획하기의 경우 내용 영역과 구조 영역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었으며, 표현과 독자 고려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다. 또한 4개의 집단 모두에게서 평가 기준과 계획하기의 상호 작용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계획하기 시간이 평가 기준 제시와는 관계없이 쓰기 성취도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 연구 결과는 쓰기 성취도에 계획하기가 영향을 미치며, 평가 상황에서도 충분히 계획한 후 글을 쓰게 함으로써 학생들의 쓰기 능력을 온전히 평가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평가 기준 제시가 학생들의 글쓰기 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기 위해서는 학생들의 글쓰기 방향을 유도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기술되어야 한다는 시사점도 제공한다. This study focused on the relations between writing assignment type, especially writing evaluation explanation, giving planning time, and writing achievement. For this research, 128 subjects 6th grade students divided into 4 group wrote with pre-test writing assignment and post-test writing assignment. When all subjects wrote with pre-test organized with all rhetoric elements for 50 minutes. But there were evaluation explanation and planning time. On post-test, each 4 group provided with different writing assignment types. According to this study result, there were no statistical relations between evaluation explanation and writing achievement. However, there were statistical differences of writing achievement by a group with providing planning time and group with others. The result prove planning time effect on writing achievement. Especially groups provided with planning time got high scores in content and organization. But there were no difference with expression score and audience score.

      • KCI등재

        소로우의 생태주의적 사유와 실천의 교육적 의의 : 월든을 중심으로

        이병승(Lee, Byung-Seung) 한국교육철학회 2016 교육철학 Vol.61 No.-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research the ecological thinking and practice in Thoreau’ Walden and to suggest its meaningful implications to modern education. Conclusions are following. Firstly, researcher found that at first Thoreau was influenced by humanistic transcendentalist, Emerson, later Thoreau’s view of nature was changed anthropocentrism or biocentrism to ecocentrism during life of Walden wood. Accordingly his main concern was shifted human to nature. To him, human is one part of nature. Nature is living organism. So human never have right to govern the living things and non living things. In this sense, I think that Thoreau is pioneer of deep ecology. Secondly, researcher investigated how we can overcome educational difficulties from ecocentric view of Thoreau. In the first place, it seem to modern educational aims were to establish from not humanistic view but ecocentric view for enhancing environmental consciousness and thinking. In the later, it seems to educational contents were reconstructed by ecocentric knowledge helping symbiotic relations with living things and non living things. Lastly, it seem to new educational methods were developed to promote ecocentric mind and practice.

      • KCI등재

        존 듀이의 러시아 방문과 학교관 형성의 변화

        최현주(Choi, Hyeun-Ju),이병승(Lee, Byung-Seung)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17 敎育思想硏究 Vol.31 No.3

        이 연구는 존 듀이의 러시아 방문이 그의 학교관 형성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를 밝힘으로써 그의 학교관에 대한 이해의 지평을 넓히려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자는 듀이의 중, 후기 저작들 안에 담긴 학교 관련 저서들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특히 러시아 방문이 이루어진 1928년 이후 그의 학교관에 어떠한 변화가 일어났으며, 또한 그것이 1930년대 후반에 있었던 러시아 대숙청 사건 이후 듀이의 학교관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1928년 그의 러시아 방문은 학교교육을 새로운 관점에서 바라볼 수 있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으며 미국의 학교교육을 재검토할 수 있는 기회였다. 이러한 점에서 그에게러시아 방문은 학교를 새로운 관점에서 바라볼 수 있는 전환점이었다. 그러나 1930년대 일어난 러시아의 숙청 사건 이후 듀이는 러시아 교육에 대해 크게 실망하였으며, 러시아 방문시 가졌던 학교교육에 대한 좋은 인상마저 흐려지게 되었다. 러시아 방문과 숙청 사건은 러시아의 학교교육을 재평가하는 계기가 되기도 하였지만 자신이 몸 담고 있는 미국의 사회적 변화와 그에 대한 학교교육을 재검토하는 계기가 되기도 하였다. 1938년에 쓰인 『경험과 교육』은 러시아 방문 경험과 러시아 숙청사건 이후 종합된 그의 학교관이 잘 응축되어 있는 저작이라고 할 수있을 것이다. This study’s aim is to broaden the horizons of John Dewey’s school outlook by revealing how his visit to Russia influenced his school outlook formation. To achieve this aim, researchers analyzed the contents of the school books contained in the middle works and later works of the Dewey. In particular, since his visit to Russia in 1928, there has been a change in the history of the Soviet Union, and in the latter half of the 1930s, researchers wanted to clarify how the school outlook changed since the Great Purges. His visit to Russia in 1928 was an important motive of the school education, and it was an opportunity to reexamine American schooling. In this point, his visit to Russia was a turning point where he viewed the school from a new perspective. However, after the Russian purges of the 1930s, Dewey was greatly disappointed in Russian education, and even a good impression on the school education he had had during his visit to Russia. Dewey’s visit to Russia and the purge case was a wake-up call for Russia s school education, but it was also an occasion to reexamine the American society and the school s educational system. Written in 1938, Experience and Education would be a highly condensed work of his Russian experience, and his view of school, combined with Russia s purges.

      • KCI등재

        언어의 뇌과학적 이해와 초등 언어 교육의 방향

        조주연 ( Joo Yun Cho ),이병승 ( Byung Seung Lee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05 한국초등교육 Vol.15 No.1

        언어의 뇌과학적 이해와 초등 언어 교육의 방향 Understanding Language in View of the Brain Science and Directions of the Elementary Language Education

      • KCI등재

        하이데거의 존재론에 나타난 죽음의 현상학적 의미와 죽음교육

        신교남(Shin, Kyo-Nam),이병승(Lee, Byung-Seung) 한국교육철학회 2013 교육철학 Vol.50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henomenological meanings of death in Heidegger's ontology and seek for its implications on death education. Death and life is one. At least, death is important part of life. So reflection on death is as important as the meaning of life and further more it broaden the dimension of our life. Heidegger said 'the human-beings are the beings toward to Death' in Sein und Zeit. He thought that death is the subject related with the recovery of the individual authenticity, and defined the death not as the biological concepts but as the existential concepts. In short, he understood the death as the unique existing way. Moreover he interpreted death as the important turning point which enriches our life. So Heidegger's understanding on death is existential, ontological and further phenomenological. This phenomenological view of death of Heidegger gives following implications on death education. First, it will broaden the dimension of death understanding. Second, death education as pioneering education of life can be a philosophical base of our positive life. Third, the perspective of phenomenological method can be studied as the reflection of the current studies of death education. In this context, it is necessary to study on Death in Heidegger's ontology continuously. As it is said that teaching about death is the teaching about life, the education about the life is more meaningful only with death education. We should think deeply about death and be ready to face death to seek for the answer about the existential questions by Dasein and to recover the authenticity of Dasein.

      • KCI등재

        하이데거의 존재론에 나타난 '본래성'의 의미와 그 교육적 함의

        신교남(Shin Kyo Nam),이병승(Lee Byung Seung)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15 敎育思想硏究 Vol.29 No.3

        이 연구의 목적은 하이데거의 존재론에 나타난 '본래성'의 의미를 고찰하고, '본래성' 회복 과정에서 나타난 교육적 함의를 탐구하는 데 있다. 하이데거가 존재론에서 밝히고자 한 중요한 과제들 중의 하나는 현존재의 본래성 회복이며 이는 양심과 결단이 요청된다. 현존재는 세계-내-존재로서, 또한 시간의 개념을 가진 존재로서 죽음을 인식하고 이것을 계기로 새로운 결단을 내리며 의지를 가지고 실천하려고 애쓰는 존재이다. 죽음은 형식적인 교육을 통해 인식될 수 있는 대상이 아니다. 그것은 실존주의자들이 강조한 바 있는 비형식적 혹은 단속적인 교육을 통해 자각되는 대상이다. 삶에서 만나는 위기, 각성, 충고, 만남, 죽음 등을 통해서 인간은 용기 있는 결단을 내리고 강한 의지로 실천한다. 죽음이라는 사건을 통해 양심의 소리를 듣고 결단하여 실천하는, 그리하여 스스로 인생의 주체가 되는 본래성 회복의 과정은 자기교육이라는 교육학적 함의를 담고 있다. 본래성 회복은 지ㆍ정ㆍ의 중 의지적 부분을 가장 잘 드러낼 수 있는 양심과 결단을 필요로 한다고 볼 수 있다. 죽음이 본래성 회복의 중요한 계기인 동시에 삶 전환의 중요 사건이라면 자기교육의 하나인 죽음교육은 중요한 주제로서 장차 무게 있게 다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anings of authenticity in the ontology of Heidegger and to suggest its educational implications. Heidegger understood the usual life of Dasein is inauthentic. Human beings should recover the authenticity by means of conscience and resoluteness. The ways of life of Dasein that lives a life without authenticity are idle talk, curiosity, and ambiguity, and such being-in-the-world lives together with other people without problems. Dasein as an individual recognizes anxieties when he faces death to recover authenticity but this is the turning point to transform his normal life to the authentic one. Death cannot be understood via the formal education but should be accpeted through the non-formal and non-continual education that is emphasized by the ontologist. Crisis, awakening, advice, relationships, death during the life motivate the human being to make decisions and to take actions. If the conscience and the resoluteness through forerunning to death are the methods to recover the authenticity, those recovering process should have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self-education for the human beings to be the owner of their life. Will represents the conscience and resoluteness that is needed to recover the authenticity. If death is the important motivation to recover the authenticity as well as the critical event to transform the life, death education as one of self-education methods should be the essential subject for future study.

      • KCI등재

        교권과 학습권의 변증적 관계에 관한 시론적 연구

        홍윤택(Yun-Taek Hong),이병승(Byung-Seung Lee) 한국교육사상학회 (구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24 敎育思想硏究 Vol.38 No.1

        이 글의 목적은 서구의 도덕주의 전통 그리고 그에 대한 반발로 등장한 심리주의의 특징과 그것들이 교육에 미친 영향들을 검토해봄으로써, 교권과 학습권을 양립시키기 위한 교육의 방향을 모색하는 데 있다. 도덕주의는 인간을 합리적이고 이성적인 존재로 상정하면서 교육의 목적을 도덕적인 인간의 양성에 두었다. 반면에 심리주의는 인간이 지닌 본능적 충동의 중요성에 주목하면서 교육은 아동의 내면적 욕구를 고려하여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그 결과 교육현장에서 학습권은 존중받아 왔지만 교권은 추락하는 일들이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교권과 학습권은 서로 대립되는 개념이 아니다. 이 둘은 동전의 양면과 같이 교육권의 두 측면을 이루는 것으로서 어느 것이 더 중요하다고 할 수 없다. 따라서 교육의 향방(向方)은 도덕주의와 심리주의에 기반하는 이 두 측면을 어떻게 조화시키는가에 따라 결정될 수 있을 것이다. 이 글은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교권과 학습권의 변증적 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첫째, 아동의 자유는 어디까지나 책임과의 조화 속에서 강조되어야 한다. 책임을 전제하지 않는 자유는 언제나 방종을 가져오기 때문이다. 둘째, 아동의 개성이나 흥미와 같은 내적 동기는 교육의 과정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하지만 그것보다 아동에게 적절한 훈육이 먼저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교사는 학생에게 올바른 삶의 자세를 제시하기 위하여 교육적 권위를 행사할 필요가 있으며, 학생은 도덕적으로 정당한 권위를 인정하는, 소위 합리적 승인의 태도를 가져야 한다. 교육사태에서 자유와 책임, 흥미와 훈육, 권위와 승인은 늘 충돌하기 쉽다. 이러한 요소들을 어떻게 조화시킬 것인가 하는 것이 교육의 성패를 좌우할 수 있다는 점에서 교사와 학생 그리고 학부모의 공감대 형성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This article aims to propose a direction of education in which the teacher’s authority is compatible with the student’s right to learn. Moralism recognizes humans as rational beings and thus views education as intended to make man moral. Conversely, psychologism focuses on instinctive human compulsions, emphasizing that education should consider children’s needs. Teacher’s authority and student’s right to learn are not opposed concepts; therefore, the desirable direction of education should be found in a dialectical relationship between moralism and psychologism. First, student’s freedom should be emphasized in harmony with their responsibility. Second, students should be disciplined and their inner motives be considered an important factor in education. Third, teachers should have educational authority over students to present a moral attitude of life, and students should conform to the teacher’s legitimate authority. Education leads children to a moral life; however, the instinctive compulsion of children should still be considered carefully in the process of education to manage immature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