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과거의 그림자인가, 미래를 향한 나침반인가?―2015 개정 교육과정의 역량에 대한 고찰

        이미미 역사문제연구소 2022 역사비평 Vol.- No.139

        The field of education witnessed increased interest in competencies beginning early 2000’s. Following the trend, the 2015 National Curriculum became the first National Curriculum to specify competencies in both the general and subject-matter sections. This study examined the historical context in which the competency-driven curriculum garnered its attention. Competency discourse in Korean National Curriculum emphasizes students’ course choices and cross-disciplinary integration approach. In such a discourse, history tends to lose its position as a common, required, and independent course in school curriculum and the content increasingly focuses on the connection to present. This study introduced a new curriculum discourse focused on knowledge and discusses ways history curriculum can pan out in these competing discourses. 2000년대 초반부터 교육학계에서 언급되기 시작한 역량은 2015 개정 교육과정을 계기로 국가 교육과정 총론과 각론에 등장하였다. 현재 개발 중인 2022 개정 교육과정은 역량 함양 교육과정을 전면에 내세우고 있다. 본고에서는 역량 교육과정이 등장하고 세력을 확대한 역사적 맥락을 분석하였다. 역량 교육과정 담론은 20세기 지식 중심 교육과정 비판 담론의 한 변주로, 전통적 교과 중심의 지식 전달 교육을 비판하며 대두하고 성장하였다. 역량 교육과정 담론은 현재 우리나라 교육과정을 포함한 세계 여러 나라 교육과정에 반영되어 있다. 이러한 교육과정 담론은 선택 과목 강화와 교과 간 연계 및 통합적 접근 강조라는 구체화된 양상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은 ‘미래 사회 대비’, ‘현재 삶과의 연계’를 강조하는 역량 교육과정 담론 안에서 공통·필수·독립과목으로서의 역사 과목 입지는 약화되고 역사 교육 내용은 현재와의 연계를 강조하는 경향성을 보인다. 이러한 분석을 기초로 역량 교육과정 담론 및 새로이 등장하는 지식 교육과정 담론 속에서 역사 교육과정이 나아갈 방향을 검토하였다.

      • KCI등재후보

        교사의 지식, 왜 중요한가 -역사 교사 양성과 재교육에 있어서의 지식 문제 고찰

        이미미 한국역사교육학회 2012 역사교육연구 Vol.- No.16

        학생을 잘 가르치는데 교사의 지식이 중요하다는 데 이의를 제기하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그러나 교사 양성과 재교육 과정에서 어떤 지식을 어떻게 가르쳐야 하는가라는 문제에 대해 합의가 이루어졌다고 보기는 현재로서는 힘들다. 역사 교사가 잘 가르치기 위해서는 어떤 지식이 어느 정도 필요할까? 역사를 많이 알면 알수록 학생을 잘 가르치는 것일까? 이 글에서는 1960년대 이후 미국에서 진행된 교사 지식에 대한 연구를 한국 연구와 비교하고 분석함으로써 이와 같은 질문에 대한 연구의 발판을 다지고자 했다. 이를 위해 우선 교사 지식 연구의 동향을 살피고, 교사 지식 연구 분야 중 가장 많은 연구가 진행된 교사 내용 지식 연구의 흐름을 살폈다. 교사 지식 연구 중 우리나라에도 소개된 바 있는 교수 내용 지식 연구의 현황 역시 살펴보았으며, 교수 내용 지식 연구를 확장하고 발전시켰다고 평가받는 “가르치는 데 사용하는 내용 지식 연구”의 실제와 함의를 분석했다. 이렇듯 본 연구는 교사의 전문적 지식 형성과 발달에 대한 현재까지의 국내외 연구를 개관함으로써 역사 교사, 특히 중ㆍ고등학교 역사 교사에게 필요한 지식, 그리고 그 형성, 나아가 교사 지식이 교사의 수업과 학생의 학습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논의를 새로이 함과 동시에 발전시키고자 했다. It is widely agreed that deep subject matter knowledge is one of the key characteristics in any successful teacher. However, there is no consensus when it comes to how much content knowledge and pedagogical knowledge we should require to preservice teachers. Nor are we clear on which knowledge best benefits preservice teachers. Yet murkier is how to foster professional knowledge during teacher preparation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This study analyzes research on teacher knowledge since 1960s with an eye to examine the role of teacher knowledge in teacher preparation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First, the study analyzes the literature on teacher content knowledge, which is the most heavily studied area in teacher knowledge. What do we know about the role of teacher content knowledge? What does the existing research say? The study then focuses on the new trend in teacher knowledge research, Content Knowledge for Teaching. Extending and developing

      • KCI등재

        Exploring Korean, Indonesian, and Thai Secondary Students’ Global Citizenship Through Their Voices

        이미미,이정우(Lee, Jung-Woo),김현수(Kim, Hyun-Soo),박상복(Park, Sang-Bok) 韓國比較敎育學會 2015 比較敎育硏究 Vol.25 No.5

        UN을 필두로 세계시민교육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으나 지역의 현실에 적합한 세계시민교육이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아직 많은 연구가 축적되지는 못하였다. 이에본 연구에서는 한국, 인도네시아, 태국 중등학생의 세계시민성 특성을 규명하여 세계 시민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특히 선행연구에서 실시한 대규모 설문조사를 기초로 하여 3개국 6개교에 속한 총 35명의 중등학생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이들의 세계시민성 특성을 밝히고자하였다. 면담 결과는 기존 연구에서 밝혀낸 아시아 시민성의 존재를 뒷받침하듯, 세계시민성에 대한 인식과 태도에서 차이점 보다는 공통점을 많이 나타내었다. 그렇지만 이러한 공통점의 기저를 형성하는 학생들의 논증 과정 및 상황 논리에서는 상당한 다양성이 나타났으며, 이러한 차이는 각 국가나 사회의 특수성에서 기인하는 것이라 추측된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차후 세계시민교육 교육과정 개발 및 실행과 관련한 두 가지 시사점을 추출하였다. 첫째, 세계시민교육이 보다 의미 있게 실행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 전반이 세계시민교육을 중심으로 재조직될 필요가 있으며, 이와 동시에 학생들의 실생활과의 연계가 강화될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에서 밝힌 세계시민성에 대한 3개 국가 학생들의 다양한 인식과 태도에 기초해 볼 때, 지역별․국가별 세계시민성 양상에 대한 연구를 확장하여 이를 토대로 문화적 특수성에 부합하는 세계시민교육 교육과정을 설계·실행해 나가야 할 것이다. In a fast changing world, the need for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s greater than ever. This article explores secondary students’ perceptions and attitudes towards global citizenship in Korea, Indonesia, and Thailand. Building upon the previous large scale cross-national survey studies of students’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in citizenship, this study used a multi-site, case study approach using interviews as a main method. The in-depth interviews with a total of 35 students from six schools in three countries were analyzed in terms of their perceptions and attitudes towards global citizenship. Student participants in this study, supporting the literature on Asian citizenship, demonstrated more similarities than differences in their perceptions and attitudes towards global citizenship. However, the interviews also demonstrated diverse student reasoning lying under such similarities, which could be presumed to be national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wo implications for futur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curriculum planning and implementation are noted. First,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should be pursued across school curriculum with stronger ties to student real life, not limited to one or two school subjects. Second, national peculiarities clearly demonstrated in this study should be considered in curriculum planning and explored to a further extent

      • KCI등재

        중학교 - 역사 - 수업에서의 사료 활용 실태 연구

        이미미 한국역사교육학회 2017 역사교육연구 Vol.- No.29

        Teachers and scholars alike have emphasized the use of historical sources in classrooms; yet, how and to what extent historical sources are used in classrooms is a less explored territory. Employing a mixed methods approach, this study analyzed Korean middle school history teachers’ use of historical sources as well as their perceptions of historical sources. First, I surveyed history teachers in 100 randomly sampled middle schools for their perception on historical sources and teaching practice using historical sources. Second, I interviewed seven middle school history teachers on their teaching of the first unit in middle school history. The seven interviewees completed teacher logs on the use of historical sources for each period during the unit. The analysis results revealed that teachers shared the strong need for the use of historical sources in middle school history instruction, but their understanding of what historical sources are and their practice showed a wide variety. When zooming in on the use of primary sources, teachers demonstrated strikingly similar practice focusing on reading comprehension. Teachers were in need of diverse and rich curricular materials to assist them with teaching of historical source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e study discusses three implications for enhancing historical source instruction in middle schools. 사료 교수・학습에 대한 중요성은 강조되어 왔지만, 현장에서 사료가 어느 정도 활용되고 있는지, 어떤 방식으로 활용되고 있는지에 관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본 연구는수업에서의 사료 활용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려는 목적에서 중학교 『역사』 수업에서의사료 활용 실태 및 사료 활용의 양적・질적 활성화를 위해 교사는 무엇이 필요하다고 인식하는지를 혼합연구방법을 통해 파악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무선 표집한 100개 중학교의 역사 교사를 대상으로 한 사료 활용 실태 설문 조사와 함께 다양한 교직 경력을 갖춘교사 7명의 수업일지와 심층면담을 통해 중학교 『역사①』 1단원 사료 활용을 분석하였다. 중학교 『역사』 교사는 사료가 역사 수업에 필요한 교수・학습 자료라는 공통된 인식을 갖고 있었으나, 사료가 무엇인가에 대해서는 다양한 이해를 보였으며, 활용 양상 또한다양하게 나타났다. 그렇지만 1차 문자 사료 활용에 있어서는 상당한 정형성이 나타남을확인할 수 있었다. 교사들은 사료학습을 증진하기 위해 수업 준비나 실제 수업에 사용할수 있는 풍부하고 다양한 교재를 가장 필요로 하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역사 교사의 사료 및 사료학습에 대한 인식, 그리고 사료 활용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사료학습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논하였다.

      • KCI등재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문항 풀이 과정 분석을 통한 역사 선다형 문항 개선 방향 탐색

        이미미,홍선이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9 교육과정평가연구 Vol.22 No.3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 연구 참여자 10명이 한국사능력검정시험 12개 문항을 풀이한 120건의 문항 풀이 과정 사례를 분석하여 연구 참여자가 실제 어떤 지식과 사고력을 활용하여 문항을 풀이하는지, 그리고 연구 참여자가 사용한 지식과 사고력이 출제자가 측정하고자 한 지식 및 사고력과 일치하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연구 참여자는 지식 소환(59건, 49%), 수험전략 활용(34건, 28%), 추론(27건, 23%)이라는 세 가지 문항 풀이 과정을 활용하여 문항의 답을 찾고 있었다. 수험전략 활용과 추론은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목표 준거에 명시되지 않은 구인이었으나, 문항 풀이에서는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목표 준거에 명시된 역사적 사고력을 활용하여 문항을 풀이한 사례는 찾아볼 수 없었다. 세 가지 문항 풀이 과정 중 지식 소환이 가장 많이 활용되었다는 측면에서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선다형 문항이 연구 참여자의 지식을 측정하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으나, 연구 참여자가 실제로 문항 풀이에 활용한 지식의 종류와 수준을 분석한 결과 문항의 타당도를 높일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문항별·연구 참여자별 분석 결과도 타당도를 높일 필요성을 뒷받침했다.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문항 개선을 위한 3가지 방향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how 10 college students solved twelve multiple-choice items from the Proficiency Test of Korean History(PTKS) to elicit the knowledge and thinking that students employed during the response processes. We analyzed how the knowledge and thinking that participants used in solving the multiple-choice items aligned with the knowledge and thinking intended for testing. The analysis results revealed that participants were engaged in three response processes in approaching and solving the test items: fact recall in 59 cases(49%), test taking skills in 34 cases(28%), and general reasoning in 27 cases(23%). Although test taking skills and general reasoning are construct-irrelevant variances, participants used them widely with all participants employing test taking skills and 9 out of 10 participants using general reasoning. Historical thinking skills specified in test purposes, however, did not surface in response processes, which raises the question of validity. The fact that participants used fact recall the most of the three response processes solidifies the claim that the PTKH assesses test takers’ historical knowledge, but the analysis of the kinds and levels of knowledge used in participants’ response processes called for the need to strengthen the validity of PTKH items. Cross case analysis of response processes across items and across participants also pointed to the need to strengthen the validity of the test item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we discussed three implications of the study for enhancing the PTKH items.

      • KCI등재

        빅히스토리를 반영한 ≪세계사 프로젝트≫ 교육과정 분석 -‘교과 간 연계’와 ‘교과에 특정한 깊이 있는 학습’은 병존할 수 있는가?-

        이미미 역사교육학회 2024 역사교육논집 Vol.85 No.-

        In response to rapid social changes, such as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the need to educate individuals to adapt to the uncertain future has risen. Accordingly, the recently announced 2022 revised National Curriculum emphasizes "general, numerical, digital literacy," "deep learning in subject areas," "interdisciplinary and converged learning," and "learning linked to life." These keywords are not limited to education reforms in South Korea but also apply to countries around the world. This study explores the direction in which history education should progress within the discourse. To do so, it analyzes a recent history curriculum that promotes both "interdisciplinary learning" and "deep learning in history." The target of the analysis is the World History Project by OER Project, which aims to connect various subjects with world history education while pursuing historical thinking in history education. The study analyzes not only declarative curriculum objectives but also the content of the curriculum. Focusing on the seemingly conflicting approaches between interdisciplinary and deep learning, the analysis results provide specific implications that can contribute to the structuring and development of South Korea's education curriculum.

      • KCI등재

        미국 역사 교사 연수프로그램의 설계 및효과 평가 사례 분석

        이미미 한국역사교육학회 2015 역사교육연구 Vol.- No.23

        실질적인 교육 개혁을 수행하는 주체가 교사라는 점에서 교원 연수는 역사 교수·학습의 질적 제고에 있어 중요한 기재이며,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한 영역이다. 본 연구에서는 효과적인 교사 연수와 관련한 선행 연구를 분석하여 효과적인 교사 연수 프로그램의 4가지특성을 정리하고, 이러한 특성을 반영하여 역사 교사 연수 프로그램을 설계한 3개 사례를 분석하였다. 효과적인 교사 연수 프로그램은 (1) 장기적·지속적이며, (2) 현장에 뿌리를 두고 있고, 단순 지식 전달이 아닌 교사 탐구를 중요시한다. 또한 (3) 연수에 참여한 교사 간, 그리고참여 교사와 연수 담당자 간 협력적 관계를 중시하고, (4) 구체적 교과 내용을 바탕으로 학생이 정말로 무엇을 배웠는지에 초점을 둔다. 3개 역사 교사 연수 프로그램 분석을 통해서는 이와 같은 특성을 적용한 다양한 방식의 설계를 확인하였고, 연수 프로그램 효과를 평가하는 방법에서 나타나는 특징과 한계를 살펴보았다. 나아가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차후 우리의 교사연수 프로그램의 설계 및 평가에 활용할 수 있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Professional development is often regarded as a key in bringing educational reforms. The scholarly interests in professional development research, thus, rose sharply during past decades. This study asks what qualities effective history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should have and how we can construct one and evaluate its effectiveness. Previous studies argue that effective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are (1) long-term and sustained, (2) focuses on classroom practices and provided multiple opportunities to practice the new content and skills introduced in professional development. They also emphasize (3) building a collaborative environment which enables and sustains teacher learning and (4) focusing on content areas and student learning. This study analyzed three cases of a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for history teachers which employed these qualities of effective professional development. The case analysis focused on the design and evaluation of each program. The analysis demonstrated various ways putting these qualities into a program along with multiple methods of evaluating the program effectiveness. The implications for Korean history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are discussed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 KCI등재

        중환자실 환자의 물리적 억제대 적용 여부에 따른 신체손상, 정서반응 우발적 치료기구 자가 제거 발생 비교

        이미미,김금순 병원간호사회 2012 임상간호연구 Vol.18 No.2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compare the physical injury, emotional response and unplanned self-removal of medical devices in patients with physical restraints and patients not restrained. Methods: Eighty patients admitted to the intensive care unit (ICU) of a university hospital in Seoul participated in this study. Forty patients made up each group and the group not restrained was matched with the restraint group for age and history of smoking and alcohol consumption. Data on occurrence of physical injury, intensity of anxiety, stage of agitation and unplanned self-removal of medical devices were collected by observation and medical chart review using a structured instrument. Statistical processing of collected data was done with the SPSS WIN 17.0 program. Results: The physically restrained group experienced more physical injuries and recorde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anxiety and agitation than the unrestrained group.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in occurrence of unplanned self-removal of medical devices. Conclusion: Results indicate a need for critical care nurses to carefully monitor physical injuries and emotional responses of physically restrained patients and to develop nursing interventions to prevent adverse effects associated with restraint use. There is also a need to develop patient safety guidelines when using physical restrai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