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구화 시대 시민과 시민권

        이동수(Dongsoo Lee) 한국정치학회 2008 한국정치학회보 Vol.42 No.2

        지구화시대 시민은 단순히 근대 국민국가의 한국민으로서 뿐만 아니라 개인의 개별성을 보존하는 동시에 지구촌의 한 세계시민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 점에서 무페(C. Mouffe)의 논의는 도움이 된다. 먼저 무페에 의하면, 자유주의 시민관은 개인의 권리만 강조함으로써 시민권을 단순히 개인들이 국가에 대항하여 견지할 수 있는 법적 지위에 관한것으로만 이해하는 잘못을 저질렀다. 반면 이에 대한 반작용으로 등장한 공동체주의 시민관은 공공선을 강조함으로써 개인주의적 문제점을 타파하려 하지만, 이는 근대 자유주의의 업적을 희석시키고 다시 고대로 회귀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오늘날 민주사회에서의 시민권은 이 두 문제의식이 함께 고려되어야 하며, 이는 공동선을 지향하되 그 내용은 비워둠으로써 개인이 자유롭게 그것을 추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민주사회는 단일한 공동의 이익이나 목표를 추구하는 모임인 우니베르 시타스(universitas)가 아니라 그런 것들을 논할수 있는 조건을 정립하는 시민적 결사인 소키에타스(societas)이며, 이 시민적 결사의 구성원인 시민은 어떤 무엇으로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비규정적 특성을 갖기 때문에 다양한 주체적 입장들이 조화되고 언제든지 가변적일 수 있는 그 자체 임시적인 아이덴티티를 갖는다. 이런 무페의 시민관은 개별성을 유지하면서도 세계시민으로서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해준다는 점에서 지구화시대 시민관으로 적합해 보인다. Citizens in the age of globalization must be considered not only as members of a nation, but as cosmopolitan citizens. Mouffe’s argument is helpful for understanding such a kind of citizens. According to Mouffe, liberalists reduced citizenship to a mere legal status, setting out the rights that the individual holds against the state. While civic republicans emphasize the common good of political community, on the contrary, it has the problem to return to the ancient world with sacrificing the modern idea of liberty. Therefore, it must be taken into account that liberty and common good are compatible with each other. It seems that such compatability comes from the Lefortian idea. In other words, it is feasible when a political community should pursue common good which is in essence empty so that individuals may enjoy their own liberties. Such community is not a kind of universitas but of societas, and the identity of societas citizens is chracterized by indeterminacy and temporary identity. In my view, such perspective as Mouffe’s is suitable for the idea of citizen and citizenship in the age of globalization.

      • KCI등재

        조직의 예술적 개입에 대한 단계별 분석 연구: 예술인 파견지원 사업을 중심으로

        이동수(Lee, Dongsoo),김현수(Kim, Hyunsu),송진화(Song, Jinhwa),윤니나(Yoon, Nina) 한국문화산업학회 2020 문화산업연구 Vol.20 No.3

        본 연구는 국내 예술적 개입의 대표 사례인 한국예술인복지재단의 ‘예술인 파견지원 사업-예술路(로)’를 바탕으로, 예술적 개입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문제 사례를 사업 단계별로 도출하여 유형화하였다. 또한 사업 단계별로 나타난 이슈들을 분석하여 해결책과 향후 사업의 리스크 관리를 위한 구체적인 전략을 제시하였다. 우선, 최근 3년간 이루어졌던 예술인 파견지원 사업 사례들을 바탕으로 문헌연구를 하였으며, 4차례의 전문가 대상 FGI를 수행하여 사업 초반, 중반, 후반으로 이슈를 나누어 해결책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사업 초반 이슈는 ‘협업주제 및 프로젝트 선정’이며 이와 관련한 3가지 사례(참여 기업 기관의 사업에 대한 낮은 이해도, 참여 기업 기관의 일방적인 요구 및 강압적인 태도, 참여 기업 기관의 담당자 교체)를 선별하였으며, 사업 중반 이슈는 ‘리더예술인-참여예술인의 소통’과 ‘특정 예술인의 문제’로 이와 관련하여 각각 2가지 사례(리더예술인의 행동/태도, 리더예술인의 미숙함 )와 3가지 사례(특정 예술인의 부도덕, 특정 예술인의 불성실, 특정 예술인의 폭언)를 도출하였다. 사업 후반 이슈는 ‘협업 결과물 도출’이며 이와 관련한 3가지 사례(일의 편중, 기업 사정에 의한 변경 ,결과물 저작권에 대한 이슈)를 제시하였다. 사업단계별로 도출된 이슈에 대해 심층적으로 분석 후 문제 해결을 위한 실질적인 해결책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해결책은 예술인 파견지원 사업의 문제 진단 및 개선안으로뿐만 아니라 예술적 개입 사례 사업들을 위한 가이드라인으로 활용될 수 있다. Subject study has listed and categorized potential obstacles from each steps of ‘The Artists Dispatch Supportive Business - Yesul-Ro’ performed by the Korean Artists Welfare Foundation, which is the most precedent case of artistic intervention process, and analyzed not only the issues per each steps of the business, but also solutions and detailed risk management plans accordingly. We first analyzed records and cases of The Artists Dispatch Supportive Businesses in last 3 years, and provided solutions through the whole phases of business by four FGIs with business experts. Our analysis concluded that the main issue in the early phase was ‘selection of subject on cooperation and project’ and related 3 cases to be lack of understanding, lack of cooperation and changes of people in charge of participating corporations. The middle phase issues we concluded were ‘communication between leading artists & participating artists’ with 2 cases of leading artists’ attitude and skill, and ‘Problems of specific artists’ with 3 cases to be specific artists’ moral hazard, untrustworthiness and abusing. Finally, issues in the ending phase of business was ‘cooperation output’ and 3 according cases as undistributed work of balance, change of plan due to corporation issue, and the copyright matter. We suggest advanced solution outputs for each problems from the above issues of business for it can be applied not only as diagnoses and solution to problems of The Artists Dispatch Supportive Business, but also as guidelines for future projects of artistic intervention.

      • KCI등재
      • KCI우수등재

        감성의 정치

        이동수(Dongsoo Lee) 한국정치학회 2005 한국정치학회보 Vol.39 No.1

        근대인은 자신의 욕망을 억제시키고 더 이상 신과 자연에 의지하지 않는 이성의 도움으로 인간해방을 도모해왔다. 하지만 근대이성이 도구적 이성, 동일성추구적 이성, 타자지배적 이성으로 타락함에 따라 인간은 자기 파괴를 경험하게 되었다. ‘이성적 동물’로서의 인간은 이성 외에도 동물적으로 정신적인 측면인 감성을 동시에 갖고 있다. 그런 점에서 근대를 비판하는 20세기 사상가들은 감성의 해방을 인간해방의 지름길로 간주하기도 한다. 그러나 라이히(W. Reich)와 같은 감성해방론자와 달리, 마르쿠제(H. Marcuse), 바따이유(G. Bataille), 푸코(M. Foucault)는 감성에 내재된 창조와 파괴의 이중성(duality)에 주목하고 감성정치의 동학(dynamics)에 대해 논하면서 감성의 복원을 주장한다. 그리하여 마르쿠제의 경우엔 에로스에 내재된 감성적 이성의 발현, 바따이유의 경우엔 욕망의 금기와 위반으로 특징짓는 에로스와 에로티즘의 이중관계의 교묘함, 푸코의 경우엔 이성에 의해 관리되고 길들여진 섹슈얼리티로부터 자유로워지기 위한 저항의 거점으로서의 감성을 강조한다. 이들의 주장은 이성을 부정하는 것이 아니라 현실세계의 문제점을 허물고 감성적 개별성을 바탕으로 지배관계가 아니라 우정과 협동에 근거한 새로운 문명의 건설을 지향한다. Modern men have contrived to emancipate themselves with the faculty of reason that controls human impulse without the help of God and nature. But they have experienced self-destruction by the corruption of that reason. Man as animal rationale possesses not only reason but also sensibility that reflects animal's spirit inside himself. Some 20th century thinkers who criticized modern civilization, even viewed the liberation of impulses as human emancipation. Unlike Reich who supports the impulse-liberation, however, Marcuse, Bataille, and Foucault pay their attention to the duality of creation and destruction embedded in human senses, and the political dynamics of those senses. What they have in common with the analysis of eros, erotism and sexuality, is not the liberation of impulses but the resuscitation of senses. They do not negate the necessity of reason, but try to remedy the illness that the rational modern civilization has brought, and wish to reconstruct a new world in which men enjoy emancipated lives with sensuous individuality and creativity.

      • KCI등재후보

        하이데거의 니힐리즘 비판과 근원적 윤리학

        이동수(Lee Dongsoo) 한국정치사상학회 2003 정치사상연구 Vol.8 No.-

        현대사회는 부와 과학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혼란스러운 사유, 가치와 도덕성의 폐기, 투쟁적 이기주의로 점철되어 있다. 이런 폐해는 니힐리즘적 세계관에서 비롯되었으며, 따라서 니힐리즘에 대한 비판과 근원적 윤리학을 강조하는 하이데거의 사상은 이 폐해를 극복하는 데 도움을 준다. 먼저 하이데거는 서구 형이상학이 존재(Being)를 운동과 생성의 차원에서 드러나는 것으로서가 아니라 영원성을 갖는 존재자성(beingness)으로 오해하여 존재 그 자체를 망각했다고 비판하면서, 형이상학적 가치들을 탈가치화시키고(devaluate) 힘에의 의지의 작용으로 감각적인 것에 근거하는 재가치화(revaluation)를 시도한 니체의 노력도 결국 형이상학의 완성에 지나지 않는다고 본다. 이와 달리 그는 존재자성의 근거로서의 존재에 대한 물음을 우리에게 다시 상기시키고 있으며, 근원적 의미의 윤리(ethos)란 인간과 인간사이의 윤리적 규범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현존재(Dasein)로서의 인간이 존재 자체에 대해 사유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In spite of the prominent development of wealth and technology, contemporary society is characterized as confusing thoughts, conflictual selfishness and the dissolution of morality. These problems have derived from the nihilistic perspective, and Heidegger's critique of nihilism and his concept of original ethics help us to overcome these circumstances. First of all, Heidegger criticizes that Western metaphysics has misunderstood beingness for Being, and thus forgotten Being itself. He also sees that Nietzsche's efforts to revaluate the validity by devaluating suprasensuous values and resuscitating sensuous things have fallen into the perfection of metaphysical nihilism. Unlike the metaphysical thinking, Heidegger reminds us of Being as the grounding ground of beingness, and contends that original ethics does not mean the norms between human beings, but is related with the fact that man as Dasein thinks about Being itself.

      • KCI등재

        공존과 배려

        이동수(Dongsoo Lee) 한국정치사상학회 2006 정치사상연구 Vol.12 No.1

        서구 근대성에 기초한 근대화와 민주화에도 불구하고 한국사회에서는 갈등과 투쟁이 계속되고 있다. 이런 현상을 치유하기 위한 한 방안으로서 우리 전통의 불교와 유교사상에 내포된 ‘공존’ 이념과 서구 탈근대 하이데거와 레비나스 사상에 내재된 ‘배려’ 정신을 비교분석하여 서구 근대성을 넘어서는 대안을 모색해볼 필요가 있다. 불교의 연기, 자비, 윤회에 깃들어 있는 상호의존성, 그리고 유가의 현재적, 윤리적 존재로서의 인간관계관은 공존을 지향하며, 하이데거의 존재에 대한 배려와 레비나스의 타자에의 배려는 인간이 자신이 근거하는 초월성과 자신에게 환원되지 않는 타자성에 주목함으로써 윤리적 주제로 거듭나야 됨을 역설하고 있다. 이와 같은 동양 전통의 공존과 서양 탈근대의 배려는 횡단성의 관점에서 양립가능하며 상호보완적이다. Despite of the modernization and the democratization theoretically based on the Western modernity, there are still a lot of conflicts and combats in the Korean society. In order to remedy this misfortunate situation, it is necessary that we should find an alternative by comparing the idea of coexistence in Buddhism and Confucianism with the concept of care in Heidegger and Levinas. In the perspective of transversality, the alternative can be compatible and supplementary because they are all focused on the ethical attitude to the others.

      • KCI등재
      • KCI우수등재

        하이데거의 프락시스 해석

        이동수(Lee Dongsoo) 한국정치학회 1999 한국정치학회보 Vol.33 No.1

        프락시스(praxis)는 고대로부터 중세, 근대, 현대에 이르기까지 주로 프락시스-테오리아(praxis-theoria)분석틀에서만 논의되어 왔으며 그 결과 포이에시스(poiesis)와 혼동되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목적과 연관해서 프락시스와 포이에시스를 구별하였는데 이 구별을 시간성의 차이에 따라 이해할 때 더욱 그 의미가 잘 드러난다. 하이데거에 의하면, 프락시스는 포이에시스와 달리 인간들간의 행동이기 때문에 사물들의 관계가 형성되는 “물리적” 시간과는 다른 인간의 의미형성이 이루어지는 보다 “근원적인,” 하이데거 용어로 본질적 인간을 뜻하는 Dasein의 시간에서 발생한다. 이 시간은 단순히 실재(presence)의 연속인 현순간들의 단선적인 흐름이 아니라, 과거, 현재, 미래가 한순간 안에 외연분열적으로(ekstatically) 통합된 시간이다. 프로네시스(phronesis)는 이러한 외연분열적 시간에서 상황을 두루 살피며 관심을 갖는 지성으로서 열려있는, 무엇으로 규정될 수 없는 관심이며 이것에 바탕을 둔 프락시스는 탈원칙적(an-archic)이다. 그러므로 프락시스는 포이에시스와 달리 하나의 목표를 성취하기 위한 도구적 혹은 행위자의 의도적 행위가 아니라, 그 자체가 목적인 따라서 가능성에 열려 있고 다양성을 용인해 주는 행위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