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경시적 자료를 이용한 아동 학업성취도 분석

        이나은,허집,Lee, Naeun,Huh, Jib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017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ol.28 No.1

        Longitudinal data of Korean child academic achievement have been used to find the significant exploratory variables under the assumption of independent repeated measured data. Using the exploratory variables in previous research works, we analyze the linear mixed model incorporating the fixed and random effects for child academic achievement to detect the significant exploratory variables. Korea welfare panel study data observed three times between 2006 and 2012 by additional survey for children. The child academic achievement is evaluated by the sum of academic achievements of Korean, English and Mathematics. We also investigate the multicollinearity and the missing mechanism and select some popular correlation matrices to analyze the linear mixed model. 경시적 자료를 이용한 아동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찾기 위한 기존의 분석들은 각 아동의 반복 측정된 자료들이 독립이라고 가정한 모형을 주로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들에서 고려한 아동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주는 변수들을 선택하여 반복 측정된 경시적 자료의 종속성을 고려한 고정효과와 임의효과를 포함하는 선형혼합모형으로 분석하여 아동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주는 변수들은 무엇인지, 각 아동의 특성들이 반영되는 임의절편과 임의기울기가 있는지를 파악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본 연구에 사용된 자료는 한국복지패널 1, 4, 7차 부가조사 중에서 아동용 설문문항에 대한 자료이고, 국어, 영어와 수학의 학업성취도 점수의 합을 아동 학업성취도로 한다. 선형혼합모형을 이용한 분석 시에 다중공선성의 검토와 결측치의 특성을 파악하고 적절한 오차의 상관행렬을 선택한다.

      • 컴퓨터 기반 매개 커뮤니케이션 내 준 언어적 신호에 대한 탐색적 연구

        이나은(Naeun Lee),이상원(Sangwon Lee) 한국HCI학회 2017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7 No.2

        다양한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플랫폼의 발달로 인해 사람들의 일상 생활에서 컴퓨터 매개 커뮤니케이션(CMC) 은 큰 일부가 되었다. 언어적, 그리고 비언어적으로 소통하는 대면 커뮤니케이션과 달리, 텍스트 베이스인 CMC 환경에서 사용자들은 어떻게 효과적으로 감정표현과 의사전달을 하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다양한 방법으로 접근되어 왔다. 사용자는 새로운 환경 안에서 준 언어적 신호를 사용하여 적응하며 끊임 없이 새로운 방법을 모색하고 있다는 연구가 대부분이다. 하지만 텍스트 안에 내포된 다양한 준 언어적 요소의 범주는 모든 연구 마다 상이하며, 중요시 여겨지는 요소와 관점 또한 일치되지 않는다. 본 연구는 CMC 환경에서 나타나는 준 언어적 신호를 메타 분석을 통해 체계적으로 분류하려 한다.

      • KCI등재

        영산강유역 대형석실묘 출토 목관부속구의 변천과 의미

        이나은(Naeun Lee),서현주(Hyunju Seo) 한국고고학회 2024 한국고고학보 Vol.- No.130

        본고에서는 영산강유역의 대형석실묘에서 출토되는 관고리와 관정의 두부 형태, 목질흔, 석실 내 출토현황 등을 통해 개별 고분의 목관부속구 조합 양상을 살펴본 후 이를 비교하여 목관부속구에 따른 단계를 설정하였다. 그리고 이를 공주 왕릉원, 금학동고분군 등 웅진기 왕도 자료와 비교하면서 목관부속구의 변천 의미를 파악해 보았다. 영산강유역 대형석실묘에서 출토된 목관부속구를 검토하고 목관부속구 조합 양상을 파악한 결과, 크게 무두정이 소수 사용되는 1단계, 관고리를 사용하지 않거나 무받침쇠관고리와 함께 주로 방두정계 관정이 사용되는 2단계, 원형관고리와 함께 원두정계 관정이 사용되는 3단계, 그리고 일부 지역에 한정되지만 방형관고리가 추가되며 원두정계 관정이 이어지는 4단계로 나누었다. 각 단계의 시기는 1단계 5세기 후엽, 2단계 6세기 전후~6세기 전엽, 3단계 6세기 중엽의 이른시기(웅진기말~사비기초), 4단계 6세기 중엽의 늦은시기로 추정된다. 영산강유역은 웅진기에 지역과 시기에 따라 목관부속구 양상이 차이를 보이는데, 웅진기 전반에는 나주 다시면일대에서 관정이 사용되어 이 지역세력이 일찍부터 백제와 관계가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웅진기 후반에 영산강유역의 북부지역을 중심으로 왕릉급고분의 목관(부속구) 조합 양상이 장고분 등의 고분에서 나타나고 그 이후에도 중앙과 비슷한 변화를 보이며 영산강유역 내에서도 위계 차이가 나타난 점에서 이 지역의 고분 조영세력들은 백제 중앙과 긴밀한 관계를 가지면서 왜와의 교류 등 다양한 역할을 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사비기를 전후하여 나주세지면일대에서 백제 중앙의 목관부속구가 나타나는 것도 주목된다. 목관 사용은 고분 매장의례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영산강유역에서 백제 왕릉급고분 등 중앙과 동일한 목관(부속구)를 사용했다는 것은 백제 중앙과 거의 동일한 매장의례를 행했음을 알려주는 단적인 자료로 추정된다. This paper presents the stages of the wooden coffin accessories of the large stone chamber tombs in the Yeongsan River Basin based on an examination and comparison of those wooden coffin accessories. In addition, through a comparison with examples from of the Baekje capital during the Ungjin period, the way in which the meaning of the wooden coffin accessories changed was observed. In the Ungjin period tombs of the Yeongsan River basin, wooden coffin accessories of different types were excavated, and it is believed that two to three coffins were generally used. The combination of wooden coffin accessories can be divided into four stages: the first stage is when headless nails were used; the second stage is when square-headed nails were used; the third stage is when circular coffin rings and round-headed nails were used; the fourth stage is when square coffin rings were added and round-headed nails continued to be used. It is estimated that the first stage is at the late of the 5th century, the second stage is early of the 6th century, the third and fourth stage is at the mid-6th century. The wooden coffin accessories excavated from Ungjin tombs in the Yeongsan River Basin differ in distribution pattern, and in the first half of the Ungjin period, such artifacts were identified in Dasi, Naju, and it is estimated that this area was related to Baekje from early on. In the late Ungjin period, the wooden coffins of the Baekje royal class tombs appear in the northern tombs of the Yeongsan River Basin and subsequently change in a similar manner. It is estimated that the groups that constructed the tombs in this region emerged through various roles, while maintaining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capital of Baekje. In addition, it is noteworthy that in the southwestern region of Naju in the early Sabi period, a pattern of wooden accessory combinations similar to that of the Baekje capital appeared. The use of wooden coffins was an important part of the burial ritual of ancient tombs, and it can be estimated, through the wooden coffin accessories, that almost the same burial rituals as that of the capital of Baekje were performed.

      • KCI등재

        백제 사비기 목관과 부속구의 변천과 위계

        이나은(Lee, Naeun) 한국고고학회 2022 한국고고학보 Vol.- No.122

        본고는 백제 사비기 목관을 복원하고 이에 사용된 부속구의 형식 검토를 바탕으로 하여 변천 양상과 그 요인을 살펴보고 목관과 부속구의 위계 등급을 설정해 보았다. 사비기 목관 중 부속구의 상태가 온전하며 조합을 확인할 수 있는 고분을 대상으로 하여 21개를 새롭게 복원하고 기존에 복원된 4개체의 목관을 재검토하였다. 부속구는 주로 확인되는 관고리와 관정을 중심으로 각각 형식을 분류하였다. 복원한 목관 중 시간성을 반영하는 왕릉급 목관의 변화를 통해 크게 두 단계로 분류하였으며, 부속구 각 형식의 등장과 소멸을 기점으로 세부 단계를 구분하였다. Ⅰ-1단계에는 목관에서 옻칠과 관고리 사용이 지속되었으며, 부속구에서는 고구려의 영향으로 반구형원두정이 출현하고, 원형관고리와 받침쇠 없는 관고리의 사용이 증가하였다. Ⅰ-2단계에는 중국의 목관에서 보이는 상원하방형·제형 목관이 사용되었고, 부속구의 형식 및 사용 범위가 확산되었다. 이에 따라 새로운 부속구(화형b관고리, 우산형원두정)가 출현하며 위계에 따라 조합을 다르게 사용한 것으로 추정하였다. Ⅱ단계에는 목관과 부속구가 전반적으로 간소화되는데, 목관에서는 옻칠과 관고리가 사라지고, 새로운 부속구인 받침금구와 꽂이금구, 화형c관고리와 곡정이 등장하였다. 여기에는 중국의 영향이 이어지는 가운데 상장례의 변화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목관의 전체 형태, 수종, 두께, 부속구의 형식, 개수 등을 종합하여 목관과 부속구의 위계를 총 6개의 군(A~F군)으로 설정하였으며, 석실묘의 가공 정도와 공반유물로 이를 검증하였다. 목관과 부속구는 석실의 위계와 함께 피장자의 위계에 따라 장식 정도와 부속구 조합을 다르게 사용한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presents the results of the restoration of wooden coffins of the Sabi Baekje period. It examines the changing nature of the wooden coffins, as well as the factors associated with these changes based on accessory type. A hierarchical grading of the wooden coffins and accessories is also proposed. Among the wooden coffins of Sabi Baekje, 21 coffin were restored and the existing four restored wooden coffins were also reviewed. Accessories were classified into types mainly based on the identification of coffin rings and coffin nails. Two main stages were established, and sub-stages were additionally established according to the appearance and disappearance of each accessory type. In stage I-1, lacquer and coffin rings continued to be used in wooden coffins. In terms of the accessories, hemispherical nails appeared due to Goguryeo influence and the use of circular and non-plate coffin rings increased. In stage I-2, wooden coffin, which were trapizoid in shape, with rounded tops and angled bottoms, were used due to Chinese infleunce, and the type and scope of accessory use spread. Accordingly, it was estimated that new accessories appeared and their combination differed according to hierarchy. In Stage II, wooden coffins and accessories generally became simplified, and lacquer and coffin rings disappeared; new accessories, such as supporting plugging tools, petal-shaped c coffin rings, and curves nails, appeared. In addition, a total of six groups (groups A to F) were set up by synthesizing the overall shape, tree species, thickness, type and number of accessories of the wooden coffins; the groups were verifi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processing and commonly discovered artifacts in the tombs. It was judged that the degree of decoration and the combination of accessories were us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hierarchy of the deceased owner, along with the hierarchy of the ancient tomb.

      • KCI등재

        환자 IQR 이상치와 상관계수 기반의 머신러닝 모델을 이용한 당뇨병 예측 메커니즘

        정주호,이나은,김수민,서가은,오하영,Jung, Juho,Lee, Naeun,Kim, Sumin,Seo, Gaeun,Oh, Hayoung 한국정보통신학회 2021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25 No.10

        최근 전 세계적으로 당뇨병 유발률이 증가함에 따라 다양한 머신러닝과 딥러닝 기술을 통해 당뇨병을 예측하려고 는 연구가 이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독일의 Frankfurt Hospital 데이터로 머신러닝 기법을 활용하여 당뇨병을 예측하는 모델을 제시한다. IQR(Interquartile Range) 기법을 이용한 이상치 처리와 피어슨 상관관계 분석을 적용하고 Decision Tree, Random Forest, Knn, SVM, 앙상블 기법인 XGBoost, Voting, Stacking로 모델별 당뇨병 예측 성능을 비교한다. 연구를 진행한 결과 Stacking ensemble 기법의 정확도가 98.75%로 가장 뛰어난 성능을 보였다. 따라서 해당 모델을 이용하여 현대 사회에 만연한 당뇨병을 정확히 예측하고 예방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의의가 있다. With the recent increase in diabetes incidence worldwid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o predict diabetes through various machine learning and deep learning technologies. In this work, we present a model for predicting diabetes using machine learning techniques with German Frankfurt Hospital data. We apply outlier handling using Interquartile Range (IQR) techniques and Pearson correlation and compare model-specific diabetes prediction performance with Decision Tree, Random Forest, Knn (k-nearest neighbor), SVM (support vector machine), Bayesian Network, ensemble techniques XGBoost, Voting, and Stacking.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XGBoost technique showed the best performance with 97% accuracy on top of the various scenarios. Therefor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the model can be used to accurately predict and prevent diabetes prevalent in modern society.

      • KCI우수등재

        송산리 29호분의 시기와 계통에 대한 검토: 최신 조사·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김환희(Kim Hwanhee),이나은(Lee Naeun) 한국고고학회 2021 한국고고학보 Vol.- No.120

        송산리 29호분은 구조적으로 전통적인 석실에 새로운 전실의 요소가 가미된 구조로, 당시 사회·문화상이 장례문화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고 있음을 보여준다. 송산리고분군의 가계는 북동쪽 구릉에 위치한 1~4호분을 문주왕-삼근왕계로, 남서쪽 구릉에 위치한 무령왕릉, 5·6·29호분을 무령왕계로 정리하였다. 고분의 축조 순서는 입지적 특징과 구조, 출토유물(관정) 등을 검토한 결과, 2~4호분 → 1호분 →무령왕릉→6호분→5호분→29호분으로 추정하였다. 다음으로 일제강점기에 조사 보고되었던 내용과 최근 실시된 29호분의 재발굴조사 성과를 종합하여, 29 호분의 시기와 계통에 대한 검토를 진행하였다. 시기를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단서는 29호분에서 출토된 화형두정, 반구형원두정, 평방두정이었다. 화형두정과 평방두정의 경우 웅진기에도 계속 사용되지만, 반구형원두정의 경우 사비천도를 전후한 시기인 6세기 중엽에 등장한 것으로 편년되어서, 유물 간의 시기 차이가 확인된다. 즉 29호분에서 출토된 반구형원두정도 6세기 중엽으로 편년할 수 있으며, 반구형원두정과 평방두정이조합된 목관B는 6세기 중엽, 즉 사비기 초에 추가장된 것으로 추정된다. 마지막으로 29호분의 피장자가 누구인지(계통)를 추정하였다. 29호분의 피장자는 무령왕계의 혈족으로, 가계의 마지막 단계에 매장된 것으로 파악하였다. 또한 앞서 검토한 여러 내용들을 종합하여 당시 29호분의매장 상황을 그려보면, 웅진기 말에 사망한 왕족 여성이 목관A에 입관되어 서쪽 관대에 안치된 이후, 6세기 중엽, 즉 사비기 초에 사망한 왕족 남성이 목관B에 입관된 후 동쪽 관대에 안치된 것으로 추정된다. S ongsan-ri Tomb No. 29 represents a merging of the use of brick with the traditional stone chamber tomb architecture, illustrating that the social and cultural aspects had direct impact on the burial culture of the time. The tombs of Songsan-ri have been established as follows: Tombs No. 1 to No. 4 located along the northeast hill belong to the line of King Munju to King Samgeun; the Tomb of King Muryeong and Tombs No. 5, No. 6, No. 29, located along the southwest hill belong to the line of King Muryeong. An examination of their construction order, based on location, structural features, and artifacts (in particular, coffin nails), can be suggested as follows: Tombs No. 2 to No. 4 were first built, followed by Tomb No. 1, the Tomb of King Muryeong, and Tombs No. 6, No. 5 and No. 29, in that order. This study then reviewed the temporal position and genealogy of Tomb No. 29 by putting together the survey reports dating to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and the recent re-excavation survey of the tomb. Important clues for figuring out the time period of construction were found in the coffin nails with flower-shaped head, semi-globular head, and square head excavated in Tomb No. 29. It is presumed that the coffin nails with flower- shaped and square heads were used during the Ungjin period, whereas coffin nails with semi-globular heads were seemingly produced in the middle of the sixth century, around the time of the relocation of the capital to Sabi. This suggests that wooden coffin B from Tomb No. 29, featuring a combination of coffin nails with semi-globular and square heads, was added to the tomb in the middle sixth century, in the early part of the Sabi period. Finally, this study explored the identity (geneaolgy) of the deceased buried in Tomb No. 29. It was suggested that one of King Muryeong’s kin was buried in the tomb at the last stage. In considering together various lines of evidence previously discussed, it was established that after a royal female had passed away at the end of Ungjin period, was put into wooden coffin A, and placed upon the western coffin bed, a royal male had passed away in the middle of the sixth century, the early Sabi period, was put into woodden coffin B, and placed upon the eastern coffin bed.

      • KCI우수등재

        제석사지 폐기유적의 시기와 형성에 대한 재검토

        김환희(Kim, Hwanhee),이나은(Lee, Naeun),우상은(Woo, Sangeun),조지현(Cho, Jihyun) 한국고고학회 2021 한국고고학보 Vol.- No.118

        제석사지 폐기유적은 제석사가 639년 뇌우로 인해 불탄 후 발생한 폐기물을 일시에 버렸던 장소로 알려져있다. 그러나 3년간 진행된 발굴조사 결과 폐기는 일시에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최소 2차례 이루어졌다는 사실이 확인되어, 기존의 논의를 재검토할 필요가 대두되었다. 또한 제석사보다 고도가 높은 곳에 위치한 제석사지 폐기유적의 입지상 비효율성을 어떻게 해석하고 받아들일 것인지에 대한 이견도 여전히 존재한다. 이에 본고에서는 제석사지 폐기유적의 발굴조사에서 보고된 폐기양상의 면밀한 검토, 출토유물의 과학적 분석, 시대별 지형 분석, 국내외 고대 사찰의 폐기장소 유사 사례 검토 등 다각적인 접근을 통해 유적의 시기, 성격, 형성 과정 등을 규명하였다. 먼저 층위양상 검토와 출토유물 분석 결과, 1차 폐기층 형성 → 1호 석곽묘 조성 → 1호 석곽묘 훼손 및 노출 → 2차 폐기층 형성이라는 4단계의 변화 과정을 거쳐 형성되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2차 폐기 원인으로는 제석사 재건과 관련된 대지 정리 작업에서 나타난 것으로 추정하였다. 다음으로 출토유물의 과학적 분석을 통해 가마가 아닌 화재로 인하여 발생한 2차 피열임을 확인하여 유적의 성격이 폐기유적임을 규명하였다. 마지막으로 지형 분석 결과, 폐기유적이 곡부가 시작되는 끝자락에 입지한 점을 통해 시각적으로 폐기물을 감추기 최적화한 곳으로 추정하였다. 또한, 두 유적을 직접 잇는 서쪽의 도로가추가로 확인되어 폐기물 운반의 새로운 루트와 효율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국내외 고대 사찰의 폐기장소 유사 사례를 검토한 결과, 폐기행위는 규칙성 없이 상황에 따라 취사선택되어 형성된 것임을 파악하였다. It has been known, based on reviews of literature records and the results of excavation research, that the Jeseoksa Dump-site was a place where waste that was produced as a result of the fire started by the thunderstorm of 639 was disposed of. However, the results of excavations that took place over three years has revealed that the act of disposal did not take place over one occasion but took place twice. It has therefore become necessary to review existing discussions that have taken place on this topic. Different opinions still exist over how to interpret the Jeseoksa Dump-site, as well as how to come to terms with the inefficient location of the Dump-site, which was located at a higher altitude than the Jeseoksa Temple site. In an effort to investigate the formation process, period, and nature of the feature, this study conducted a multi-faceted review which included an analysis of the topography of the area where the Dump-site had been located according to period, an examination of the disposal patterns confirmed through excavation, the undertaking of scientific analysis on the artifacts excavated at the site, and a review of similar cases from home and abroad. The topographic analysis results revealed an additional road to the west that connected to the Jeseoksa Dump-site, which leads to the suggestion that road conditions had been suitable enough to enable transportation in the area. In addition, the Dump-site stood at the end of the curved section where the road started, which suggests that its location had been chosen due to its suitability for hiding the Dump-site. A review of the stratigraphy and an analysis of the excavated artifacts indicates that disposal took place over four stages in the following order of formation: the first disposal layer, the construction of the first stone-lined tomb, the damage and exposure of the first stone-lined tomb, and formation of the second disposal layer. In particular, it was estimated that the cause of the second disposal event was the clearing of the site related to the reconstruction of Jeseoksa Temple site. The scientific analysis results of the excavated artifacts demonstrate that the second instance of heating had been caused by a fire rather than a kiln. Finally, the study reviewed similar cases from home and abroad and found that similar acts of disposal took place according to emerging needs in an irregular fashion.

      • KCI등재

        인간생식세포 유전자치료연구에 관한 국내법률 개선안을 위한 미국 NIH가이드라인과 HHGE가이드라인 검토

        박수경(Sookyung Park),이나은(Naeun Lee) 이화여자대학교 생명의료법연구소 2021 Asia Pacific Journal of Health Law & Ethics Vol.14 No.3

        이 논문은 인간생식세포 유전자치료연구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지면서 2019년 4월 개정된 유전자치료연구에 관한 미국의 NIH가이드라인과 미국의학한림원이 발간한 HHGE가이드라인의주요 내용을 살펴보고, 국내 유전자치료연구에 관해 다루고 있는 법률인 생명윤리법 및 첨단재생바이오법의 내용을 비교 및 검토한다. NIH가이드라인과 HHGE가이드라인은 법률적 수준의 성격이 아니라서 단순비교는 어렵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미국의 관련 가이드라인에 대한분석이 의미 있다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미국은 유전자치료연구에 관하여 가장 진보된 국가 중하나이고, 현재까지 유전치료연구 및 치료제의 다수가 미국에서 연구개발 및 생산된다는 점, 미국의 경우 제시 겔싱어 사건과 같은 유전자치료 임상시험으로 인한 생명윤리에 관한 논쟁이 이미20년 전부터 사회적으로 있었다는 점에서 미국이 인간생식세포 유전자치료연구에 어떻게 접근하는지 그 태도를 살펴보는 것은 의미 있는 일이기 때문이다. 국내의 경우 생명윤리법에서 유전자치료 및 연구에 관하여 그 내용을 다루고 있고, 현행 생명윤리법은 유전자치료에 관한 연구의허용요건을 완화하여 국내에서 더욱 다양한 유전자치료에 관한 연구를 가능하게 하려는 취지로2021년 12월에 상당한 내용이 개정될 예정이다. 또한, 2020년 9월 시행된 첨단재생바이오법은유전자치료연구에 관하여 전반적인 사항을 다루고 있기에 두 법률을 함께 검토해보는 것이 인간생식세포 유전자치료연구에 관한 국내 법률의 태도를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 결론적으로 이 논문은 과학의 발전에 따라 유전자치료연구에 관한 연구 생태계를 활성화하고자 하는현실에서 미국의 NIH가이드라인의 치료별 위험군의 구체적인 사항에 대한 내용을 국내 법률에도 적용할 것을 제안하고 인간생식세포 유전자치료연구의 경우 치료제가 없는 유전병 연구에 대하여 RG3 또는 RG4에 해당하는 상당한 위험도를 지닌 연구임을 구분하여 이에 필요한 거버넌스와 절차를 갖추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또한, HHGE가이드라인에서 강조하는 관리 감독의 거버넌스를 국내에도 적절한 방법으로 도입하여 잠재적 위험을 예방하려는 조치를 마련하고 위험도가 높은 인간생식세포 유전자치료연구에 관하여는 윤리적, 법적, 사회적 검토와 사회적 공론화 절차를 포함한 ELSI연구의 수행이 장기간 추적 연구를 통해 충분하게 수행되어야 한다는 명시적 조항을 보완할 것을 주장한다. As part of the discussion on human reproductive cell gene therapy research, this paper examines the main contents of the NIH guidelines for gene therapy research in the U.S. and the HHGE guidelines published by the American Academy of Medicine in April 2019. The NIH guidelines and the HHGE guidelines are not legal-level, but simple comparisons are difficult, but nevertheless, I believe that the analysis of these relevant US guidelines is meaningful. It’s meaningful to look at how the U.S. approaches human reproductive cell gene therapy because it’s one of the most advanced countries in gene therapy research, and many of its treatments are developed and produced in the U.S. In Korea, the Bioethics Act deals with genetic therapy and research, and the current Bioethics Act will be revised in December 2021 to ease the requirements for genetic therapy research to enable more diverse genetic therapy research in Korea. In addition, the Advanced Regeneration Bio Act, which took effect in September 2020, deals with the overall research on gene therapy, so I think reviewing the two laws together will help us understand the attitude of domestic laws on human reproductive cell gene therapy research. In conclusion, in order to revitalize the gene therapy research ecosystem in line with the global trend, the U.S. NIH guidelines should be applied to domestic laws, and human reproductive cell genetic therapy studies should be classified as RG3 or RG4 studies. It also argues that the HHGE guidelines should introduce locally supervised governance to prevent potential risks and supplement explicit provisions that the conduct of ELSI research, including ethical, legal and social review and social publicization procedures, should be sufficient for long periods of time.

      • 퍼스의 기호학적 관점에서 바라 본 TV 광고 속 이미지와 어린이 모델의 역할 분석

        현은자(Eunja Hyun),이은영(Eunyoung Lee),이나은(Naeun Lee),김가영(Gahyoung Kim) 한국HCI학회 2014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4 No.2

        본 연구는 어린이가 등장하는 TV 광고의 이미지를 기호학적 관점에서 분석하고, 광고 속 어린이의 역할을 알아보았다. 분석 대상은 어린이 모델이 등장하는 3편의 국내 광고였으며, 분석 도구는 퍼스의 기호학적 관점을 바탕으로 손소영(2009)이 개발한 광고 분석틀을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광고의 시각 이미지는 색상과 구도 등 다양한 요소를 통하여, 광고 수용자와 직접적으로 감정을 공유하려는 의미를 나타냈다. 어린이는 광고제품과 기업의 이미지를 나타낼 뿐 아니라, 제품의 장점과 특징을 묘사하며, 감정적으로 소비자를 설득하는 적극적인 역할을 했다. This study analyzed the images of TV advertisement which children appear with the semiotic and got the meaning of children"s role. The subjects of analysis are three domestic advertisements. We have modified the framework of Son’s(2009) which is based on Peirce"s semiotic perspective and used it in our study as a analysis tool. As a result, visual images of advertisement tend to share intended emotion with audience through color, structure and the other elements. Children played an active role to describe strength and features of product and to persuade consum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