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대응출력 200마력 선박용 과급기에 의한 디젤기관의 배출특성 연구

        이기봉(Kibong Lee),이원욱(Wonuk Lee),이민형(Minhyoung Lee),이치우(Chiwoo Lee) 한국자동차공학회 2013 한국자동차공학회 지부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3 No.11

        This is a thesis about the experiment of comparison characteristic of exhaust gas in the same condition between diesel engine that is equipped response power 200HP turbocharger to increase effectiveness of the engine which is recently used in a lot of industry which requires high power. Resulting of the experiment with natural aspiration diesel engine and turbocharger diesel engine, difference in low speed is not significant, but in high speed, effectiveness of turbocharger diesel engine is much higher than the other one. In other hand, in exhaust gas experiment, turbocharger model exhausts more NOX and O2, but it doesn’t significantly affect the result when it comes with decreasing of CO2 and effectiveness of increased power characteristic. As a result, the turbocharger diesel engine is economically effective comparing with the natural aspiration diesel engine.

      • KCI등재

        조선전기 지리지에 활용된 거리 단위에 대한 연구 - 경상도 지역 지리지를 사례로 -

        이기봉(Lee, Kibong) 한국지역지리학회 2021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27 No.3

        본 연구는 조선전기의 지리지인 『경상도지리지』(1425), 『세종실록지리지』(1454), 『경상도속찬지리지』(1469), 『신증동국여지승람』(1530)에 수록된 경상도 고을의 거리 정보를 비교 분석하여 1415년(태종 15)에 결정된 ‘주척 6척=1보, 360보=1리’의 거리 측정 원칙이 언제부터 적용되었는지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삼았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경상도지리지』,『세종실록지리지』,『경상도속찬지리지』에 수록된 거리 정보는 주척이 아니라 영조척을 기준척으로 측정된 수치였을 가능성이 높다. 둘째, 『신증동국여지승람』은 주척을 기준척으로 측정된 수치였다. ‘주척 6척=1보, 360보=1리’라는 거리측정의 원칙은 1415년에 결정되었지만 그것이 적용된 것은 『신증동국여지승람』 의 토대였던『팔도지리지』(1477)를 편찬되기 위해 전국적으로 거리 정보를 측정할 때였다. 『팔도지리지』와 『동국여지승람』(1481)을 거쳐 완성된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그 이전의 어느 지리지에서도 찾아보기 어려울 정도로 많은 거리 정보가 수록되어 있고, 조선의 지리 정보를 파악하고 지도를 제작하는데 가장 핵심적인 자료가 되었다. 그 토대는 ‘주척 6척=1보, 360보=1리’라는 새로운 원칙 아래 전국 방방곡곡의 거리 정보를 측정하여 수록하려 했던 팔도지리지 편찬 사업의 거대한 결과물이었다.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Gyeongsang Province villages" distance information from Gyeongsang-do-Jiriji(慶尙道地理志, 1425), Sejong-Sillok-Jiriji(世宗實錄地理志, 1454), Gyeongsang-do-Sokchan-Jiriji (慶尙道續撰地理誌, 1469), and Sinjeung-Dongguk-Yeojiseungram(新增東國輿地勝覽, 1530), all of which are jiriji (geography books) from the early Joseon Dynasty. The study"s aim is to find out when the distance measuring principle of “jucheok(周尺) 6 cheok(尺) = 1 bo(步) ; and 360 bo = 1 li(里),” which was determined in 1415 was appli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distance information in Gyeongsang-do-Jiriji, Sejong-Sillok-Jiriji, and Gyeongsang-do-Sokchan-Jiriji was measured based on yeongjocheok and not jucheok. Second, Sinjeung-Dongguk-Yeojiseungram was measured based on jucheok. Even though the distance measurement principle was proclaimed in 1415, it was actually applied when distance information was measured nationwide to publish Paldo-Jiriji(八道地理志, 1477), the basis for Sinjeung-Dongguk-Yeojiseungram. The revised and augmented survey, completed after Paldo-Jiriji and Dongguk-Yeojiseungram(東國輿地勝覽, 1481), contains more distance information than any other previous geography books, and became the most important material for identifying Joseon"s geographical information and mapmaking practices.

      • KCI등재

        정상기의 《동국지도》 수정본 계열의 제작 과정에 대한 연구

        이기봉(Kibong Lee)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08 문화 역사 지리 Vol.20 No.1

          본 연구는 정상기의 《동국지도》에서 촉발되어 1700년대 후반에 제작된 4개의 수정본 계열이 어떤 자료에 입각하여 자세하고 정확하게 조선을 그릴 수 있었는지 사례를 통해 살펴보았다. 아울러 지도 제작에 대한 문헌 기록과 지도 사이의 관계에 대한 비교 분석을 통해 4개 수정본 계열의 제작지를 추론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기 수정본 계열의 지도(1769년 이전)는 정상기가 참고하지 못한 1리 방안의 《호서지도》, 《호남지도》, 《영남지도》, 《해서지도》, 《함경도전도》(1750년 안팎) 등의 최신 정보를 적극적으로 이용하여 제작되었다. 둘째, 〈팔로총도〉ㆍ《동역도》계열의 지도(1770년 이전)는 내륙 지역은 초기 수정본 계열과 거의 비슷한 반면 섬과 해안은 훨씬 자세하고 정확해졌다. 셋째, 1770년 신경준이 제작한 20리 방안의 군현도와 도별도는 〈팔로총도〉ㆍ《동역도》계열의 지도를 가장 중요한 바탕 지도로 사용하면서 국가가 제공한 각종 지도와 지리지 정보를 사용하여 훨씬 자세하고 정확해졌다. 넷째 초기 수정본 계열과 〈팔로총도〉ㆍ《동역도》계열의 지도는 모두 정철조가 제작한 것으로 추론할 수 있다. 다섯째, ‘해주신본’으로 알려진 지도 계열은 정철조와 신경준의 지도 정보와 기타 자료를 사용하여 제작되었으며, 정철조의 동생인 정후조가 제작한 것으로 추론할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s 4 revision series of Donggukjido by Jeong Sangki in late 1700s to know how they could draw Chosun more accuratel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The initial revision series map was made by using newest information suggested by Hoseojido, Honamjido, Yeongnamjido, Haeseojido, and Hamkyeongdojeondo. Pallochongdo and Dongyeokdo series showed similar up-country district but more correct details on islands and coastline. Map of 20-ri plot made by Shin Kyeongjun in 1770 were mainly based on Pallochongdo and Dongyeokdo series and used various maps and geographical documents provided by the county. Initial revision series and Pallochongdo and Dongyeokdo were thought to be made by Jeong-Cheoljo. The Haejusinbon series were made by using information provided by Jeong Cheoljo"s and Shin Kyungjun"s maps. They were made by Jeong Hujo, younger brother of Jeong Cheoljo.

      • KCI등재

        「청구도범례」에 나타난 김정호의 고민과 희망 - 지도의 제작과 이용 및 교정 방법

        이기봉(Kibong Lee)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07 문화 역사 지리 Vol.19 No.1

          「청구도범례」에는 《청구도》제작에 바탕이 되었던 기존 지도의 문제점과 그 극복 방안, 지도의 필사와 이용 방법, 지도의 교정과 지지의 작성 방법 등이 자세하게 정리되어 있다. 이를 통해 우리는 김정호가 《청구도》를 제작하기까지 지도와 지지에 대해 얼마나 방대하고 체계적으로 연구했는지 알 수 있다. 또한 「청구도범례」의 내용에 대한 이번의 연구를 통해 기존의 연구에서는 잘 언급되지 않던 다음과 같은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김정호는 《청구도》를 1개만 만든 것이 아니라 2-3개 이상을 만들었다. 현존하는 《청구도》의 사본이 최소 3개의 계통으로 나누어지는 것은 필사자들 때문이 아니라 김정호 자신이 그렇게 만들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둘째, 김정호는 국가의 힘을 빌어 《청구도》를 교정하려 시도하였지만 결과론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청구도》 이후 『동여도지』와 『여도비지』 등의 지지 편찬이 이어진 것으로 연구되고 있는 것은 《청구도》의 교정을 위한 위치 정보의 확보에 김정호가 얼마나 피나는 노력을 했는지 잘 보여준다.   In Cheonggudobeomnye, the problem and solution of the existing maps which had been the base of producing Cheonggudo, transcript and usage of maps, revision and framing of maps and topography, and so on, ar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it, we are able to see how extensively and systematically Jeongho Kim had studied about maps and topography up until he made Cheonggudo. In addition, through this research about the contents of Cheonggudobeomnye, the following matters, which had not usually been mentioned in existing studies, could be confirmεd. First of all, Jeongho Kim had not just made one Cneonggudo but made at least two or three of them The reason that extant copies of Cheonggudo is divided in at least three versions is considered not because of the transcribers, but because Jeongho Kim madε it that way himself. Secondly, Jeongho Kim tried to revise Cheonggudo with a help of the nation, but failed to do so in the end. Through the research which identifies that Jeongho Kim had compiled other topographies such as Dongyeodoji and Yeodobiji after the compilation of Cheonggudo, we can see how much effort Kim had put in ensuring location informations for the revision of Cheonggudo.

      • KCI등재

        목판본 『대동여지전도』의 지도적 특징에 대한 연구

        이기봉(Lee, Kibong) 한국지역지리학회 2014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20 No.3

        이 논문은 중형의 조선전도인 목판본 『대동여지전도』의 지도적 특징에 대해 체계적으로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삼았다. 첫째, 서울에서 고을까지의 거리 정보가 김정호의 미완성 필사본인 『대동지지』와 동일하여 이 지도의 제작자가 김정호일 가능성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지도의 제작자가 이 지도에서 가장 자세하고 정확하게 표현하고 싶었던 정보는 도로망과 서울에서 고을까지의 거리 정보였고, 이를 위해 고을의 기호를 아주 작게 만드는 독특한 선택을 하였다. 셋째, 도로망, 거리 정보, 산줄기·물줄기와 섬 등의 정보 선택과 표현에서 『대동여지전도』는 『대동여지도』의 단순한 축소판이 아니라 또 하나의 창조적 작품이라고 불러야 할 정도로 질적으로 다른 측면이 많았다. 넷째, 중형 의 조선전도나 도별도와 비교할 때 도로망과 산줄기·물줄기의 정보를 가장 자세하고 분명하게 표현하려 했다는 점에서 『대동여지도』와 『대동여지전도』는 동일한 고민이 담겨 있는 작품이기도 하다. The study is to systematically review 『DaedongYeojiJeondo』, the mid-sized wood block map of Chosun to shed light on the cartographic characteristics not discovered by previous studies. First it was discovered that Kim Jung-ho is the developer of the map as the distance information from Seoul to towns is identical with the information on 『Daedong Jiji』 the manuscript map drawn by Kim Jung-ho himself (assumed to live from 1804~1866) that is still remaining unfinished. Second, the information Kim Jung-ho wanted to specify most precisely and specifically was distance from Seoul to towns and for this purpose he invented unique symbols for towns in tiny size on the map. Third, in selecting information to mark on the map including road network, street information, mountain routes and streams and location of islands, 『DaedongYeojiJeondo』 is not just a simple smaller copy of 『DaedongYeojido』 but an independent creative work as it is much different in many aspects of quality. Forth, but still 『DaedongYeojiJeondo』 and 『DaedongYeojido』 have something in common in the fact both of them tried to mark land and mountain routes and streams most precisely and specifically.

      • ATM 네트워크에서 평균비트율 제어에 관한 연구

        이기봉(Kibong Lee),권태경(Taekyung Kwon),송주석(Jooseok Song) 한국정보과학회 1994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1 No.1

        본 논문은 움직이는 창을 사용하여 일정 시간의 평균 비트율을 계산한 뒤 이 결과에 따라 Leaky Bucket의 Leaky율을 변화시키는 새로운 사용 파라미터 제어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기존의 사용 파라미터 제어알고리즘이 평균비트율 제어를 위해 많은 수의 버퍼와 늦은 반응시간을 가지는 데 비해 제안하는 알고리즘은 작은 수의 버퍼와 위반트래픽에 대해서 빠른 반응시간을 보장한다. 또 입력트래픽의 종류에 관계없이 일정한 수의 버퍼와 움직이는 창의 갯수를 가지므로 보다 일반적인 제어를 행할 수 있다.

      • KCI등재

        『청구도』와 목판본 『대동여지도』의 찾아보기 방식에 대한 연구

        이기봉(Kibong Lee)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21 문화 역사 지리 Vol.33 No.2

        김정호의 『청구도』와 목판본 『대동여지도』는 지도 면의 숫자가 각각 312면과 213면이나 되어, 찾아보기방식이 개발되지 않으면 찾아보기가 쉽지 않은 지도다. 김정호는 지도책의 형식을 취했던 『청구도』에서는 근현대의 대축척 지도책에서 나타나는 찾아보기지도(색인도)와 동일한 「본조팔도주현도총목」을 혁신적으로 개발하여 쉽게 찾아볼 수 있도록 하였다. 지도첩의 형식을 취했던 목판본 『대동여지도』에서는 동서와 남북으로 이어보기 편리한 점에 초점을 맞추다보니까 찾아보기지도(색인도)를 적용할 수 없었고, 어쩔 수 없이 지도첩에 수록된 고을의 이름을 표지에 순서대로 적어주는 차선책을 택하였다. 이용의 관점에서 『청구도』와 목판본 『대동여지도』의 가장 큰 특징은 전자는 찾아보기 쉬운 지도책이고, 후자는 이어보기 쉬운 지도첩이라는 점이다. 김정호는대축척 지도 제작의 전반부에서는 찾아보기 쉬운 『청구도』, 후반부에서는 이어보기 쉬운 목판본 『대동여지도』 의 편찬에 주력했다. 『청구도』와 목판본 『대동여지도』는 후자가 전자보다 더 뛰어나다기보다는 서로 보완 관계에 있는 작품이며, 김정호는 이용자들에게 서로 다른 특징을 갖고 있는 지도 작품을 편찬하여 선택할 수 있도록해주었다 Kim Jeong-ho’s Cheonggudo and the woodblock version of Daedongyeojido have 312 and 213 map pages, respectively, which make it difficult to find relevant information unless a browsing pattern is established. In Cheonggudo, Kim Jeong-ho used the form of maps, “Bonjopaldo Juhyeondo,” which are similar to the browsing map (index) found in modern-day large-scale maps, making it easy to find information. In the woodblock print Daedongyeojido, which took the form of a map booklet, it was not possible to apply an index map because it was made to focus on the convenience of connecting east and west and south and north. Inevitably, the names of the towns contained in the map book were written in order and printed on the cover. From the perspective of usage, the biggest characteristic of Cheonggudo and the woodblock version of Daedongyeojido is that the former is an easy-to-find map book, and the latter is an easy-to-be-connected map booklet. Kim Jeong-ho focused on compiling the easy-to-find Cheonggudo in the first half of the large-scale map production, and the easy-to-be-connected woodblock version Daedongyeojido in the second half. Cheonggudo and woodblock version Daedongyeojido are complementary works rather than the latter being superior to the former, and Kim Jung-ho compiled the maps so that users can select maps that meet their needs.

      • 대응출력에 따른 선박용 과급기에 의한 디젤기관의 배출특성 비교 연구

        이민형(Minhyoung Lee),이기봉(Kibong Lee),이원욱(Wonuk Lee),이치우(Chiwoo Lee) 한국자동차공학회 2013 한국자동차공학회 지부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3 No.11

        This is a thesis about the experiment of comparison characteristic of exhaust gas in the same condition between diesel engine that is equipped turbocharger to increase effectiveness of the engine which is recently used in a lot of industry which requires high power. Resulting of the experiment turbocharger diesel engine according to response power, difference in low speed is not significant, but in high speed, effectiveness of turbocharger diesel engine is almost the same in four turbocharger. In other hand, in exhaust gas experiment, high response power turbocharger model exhausts less NOX, but it doesn’t significantly affect the result when it comes with decreasing of CO2 and effectiveness of similar power characteristic. As a result, the high response power turbocharger diesel engine is economically effective comparing with the low response power turbocharger diesel engine.

      • 대응출력 150마력 및 240마력 터보차저 선박용 디젤기관의 동력성능 및 배출특성 비교에 관한 연구

        이민형(Minhyoung Lee),정경철(Gyeongchul Jung),이기봉(Kibong Lee),이원욱(Wonuk Lee),이치우(Chiwoo Lee) 한국자동차공학회 2013 한국자동차공학회 지부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3 No.4

        This is a thesis about the experiment of comparison characteristic of power and exhaust gas in the same condition between diesel engine that is equipped turbocharger different from response power to increase effectiveness of the engine which is recently used in a lot of industry which requires high power. Resulting of the experiment with natural aspiration diesel engine and turbocharger diesel engine, difference in low speed is not significant, but in high speed, effectiveness of turbocharger diesel engine is much higher than the other one. In other hand, in exhaust gas experiment, turbocharger model exhausts more NOX and O₂, but it doesn’t significantly affect the result when it comes with decreasing of CO₂ and effectiveness of increased power characteristic. As a result, the turbocharger diesel engine is economically effective comparing with the natural aspiration diesel engine.

      • 에너지 물질 RDX의 둔감화

        이우진(Woojin Lee),김영한(Younghan Kim),이기봉(Kibong Lee),구기갑(Kee Kahb Koo),임호영(Ho Young Lim) 한국추진공학회 2017 한국추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7 No.5

        근래 무기 체계는 IM에 대한 능력을 중요시하고 있다. 화약은 무기체계에 반드시 필요한 에너지 물질이면서 가장 위험한 물질로 IM을 위해 반드시 개선해야 할 주요 부품이라 할 수 있다. RDX는 1930년대부터 사용되어 현재는 가장 널리 사용되는 에너지 물질 중 하나이며 저렴한 가격과 높은 에너지 특성으로 인하여 탄두 화약의 대부분을 그리고 근래에는 화포용 추진제 및 로켓용 추진제에도 많이 사용되고 있는 물질 중 하나이다. 그러나, RDX는 근래에 개발된 NTO나 DADNE등의 둔감 화약에 비해 감도가 민감하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어 이를 극복하기 위한 둔감 RDX의 연구 개발이 국내외에서 지속수행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RDX를 둔감화한 RS-RDX의 연구를 Pilot Scale과 양산 Plant에 적용하여 개발하였으며 그 결과를 Shock 감도를 통해 확인 할 수 있었다. Recently, weapon system has been highly regarding IM ability. Explosive is positively necessary in weapon system and it is principle component that must be improved for IM as the most hazardous material. RDX is one of energetic materials used the most at present since 1930s. It is being applied a lot to most of explosive in warhead and artillery and rocket propellants in these latter days due to its low cost and high energetic characteristics. However, it has a disadvantage which is more sensitive than some insensitive explosive like NTO, DADNE recently developed. To overcome this, researches have been continued about insensitive RDX and we are performing the study as well. In this study, we developed to apply reduced sensitivity RDX to pilot scale and mass production and we could confirm a result by shock sensitivity tes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