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시추공 정보의 클러스터링 기법을 이용한 지반분석시스템의 개발

        이규병,김유성,조우석,김영진 한국공간정보학회 2000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8 No.2

        지반조사 자료는 구조물을 시공하거나 설계하기 위해 필요한 기본자료이며 지층의 구성, 토질의 종류 등 기반을 구별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매년 대량으로 발생하는 지반조사 자료들은 현장의 특성을 정확하게 반영하기 때문에 지반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지반을 분석한다면, 기존의 지질도나 토양도보다 뛰어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비균질하고 비정형화된 지반의 특성을 고려하여 서로구별하는 특징을 추출하고, 현장의 특성을 정확하게 반영하는 지반분석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지반조사 정보 시스템이 관리하고 있는 시추공의 지층구성 정보와 위치 근접성을 바탕으로 시추공을 클러스터링하여 지반의 구성을 분석하는 지반분석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에 대해 전반적으로 기술하였다. 개발된 지반분석시스템은 지반조사 데이터베이스의 시추공 정보를 이용하여 지반이 가지고 있는 특성 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유사한 특성 및 위치 근접성을 갖는 시추공의 집합으로 클로스터링하여 사용자에게 정확한 지반구성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또한, 수치지도의 사용으로 지리적 위치와 지역·지형에 대한 지반구조의 특성조사를 가능하게 하며, 지반조사를 필요로 하는 지역에 대한 지반의 유추가 가능하여 경제적 효과를 볼 수 있다. 따라서, 지반조사 데이터로부터 다양한 종류의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지질도나 토양도보다 정확한 지반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Every, year, a great amount of site investigation data is collected on site to obtain sufficient conditions. Investigation of subsurface conditions is prerequisite to the design and construction of structures and also provides information on ground properties such as geologic formation and types of soil. This data set, which portrays real representation of ground conditions over the existing geologic and soil maps, could be further utilized for analyzing the subsurface conditions. It is therefore necessary to develope a subsurface exploration analysis system which is able to extract the valuable information from the heterogeneous, non-normalized subsurface investigation data. This paper presents the overall design scheme and implementation on a subsurface exploration analysis system. The analysis system employs one of data set such as bore-hole data. The clustering technique employed in the developed system makes a large volume of bore-hole data into several groups in terms of ground formation and geographical vicinity. As a result of clustering, each group or cluster consists of bore-hole data with similar characteristics of subsurface and geographical vicinity. In addition, each clustered data is displayed on digital topographical map with different color so that the analysis of site investigation data could be performed in more sensible ways.

      • 시각-구연 능력과 양안시 기능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이규병,이현주,전순우,이선행,홍성혜,김동필,오승진,마기중 대한시과학회 2008 대한시과학회지 Vol.10 No.3

        목 적 : 시각 구연 능력과 양안시 기능이 학업 성취도와 어떠한 상관성이 있는지 알아보 았다. 방 법 : 대전 지역 초등학교 4학년 학생 122명을 대상으로 한글 읽기 속도(Korean Reading Rate) 검사와 DEM 검사를 통한 시각-구연 능력(Visual-verbal Skills)과 굴절이 상도, 사위도, 조절 용이성, 융합 능력(Fusional Vergence) 및 조절근점 등의 양안시 기능을 측정하였다. 연간 총 평가 성적을 석차 순으로 상 ․ 중 ․ 하(각 38명씩) 3개 그룹으로 분류하여 각종 측정 결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 학업 성취도 각 그룹별로 시각-구연 능력과 비교했을 때 한글 읽기 속도는 상위 그룹이 하위 그룹보다 평균 10초 정도 짧았으며(p = 0.000)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다(r = -0.359, p = 0.000). DEM 검사는 상위 그룹이 하위 그룹보다 9초 정도 짧았고(p = 0.000)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다(r = -0.427, p = 0.000). 양안시 기능과 비교한 결과 굴절이상도는 중간 그룹이 하위 그룹보다 0.50D 정도 더 높았다(p = 0.016). 사위도 및 단안 조절기능(단 안 조절용이성 및 단안 조절 근점)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융합 능력 가운데 원 거리에서 NFV와 PFV 모두 중간 그룹이 가장 낮았다(p = 0.011 및 p = 0.007). 근거리에서 NFV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PFV는 상위 그룹이 가장 높았다(p = 0.000). 특히 학업 성 취도와 근거리 PFV는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다(r = 0.571, p = 0.000). 조절과 폭주의 결합 요소(양안 조절 용이성 및 양안 조절 근점)를 비교했을 때 양안 조절 용이성은 중간 그룹이 가장 높았으며(p = 0.000) 양안 조절 근점은 상위 그룹이 가장 낮았고(p = 0.037), 한글 읽 기 속도와 DEM은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다(r = 0.618, p = 0.000). 결 론 : 학업 성취도와 시각-구연 능력(한글 읽기 속도와 DEM 검사)은 모두 상관성이 있 었으며, 양안시 기능은 근거리 PFV만 상관성이 있었고 근거리 PFV가 높을수록 학업 성취도 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Purposes :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among visual-verbal skills, binocular vision and School achievement. Methods : This study evaluated visual-verbal skills with Korean Reading Rate(KRR) and Developmental Eye Movement(DEM) test, and binocular vision with refractive error, phoria, accommodative facility, fusional vergence and near point of accommodation(NPA) for 122 children of 4th elementary student in Daejeon city. Then, annual school achievement classified into high ․ middle ․ low 3 groups(38 children each) by class order to compare with each result. Results : Compared each class order group with visual-verbal skills, KRR test of high group was 10 second shorter than that of low group(p = 0.000),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chool achievement and KRR test result(r = -0.359, p = 0.000). In DEM test, high group was 9 second shorter than low group(p = 0.000), which was als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chool achievement and DEM(r = -0.427, p = 0.000). In the binocular vision tests, refractive error of middle group was 0.5D higher than that of low group(p = 0.016). Phorias and monocular accommodation test(monocular accommodative facility and monocular near NPA) result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3 groups. In distance fusional vergence tests, both negative fusional vergence(NFV) and positive fusional vergence(PFV) tests of middle group were shortest among groups(p = 0.011 and p = 0.007). In near tests, NFV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ut PFV of high group is larger than that of low group(p = 0.000). Especially,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chool achievement and near PFV was remarkable(r = 0.571, p = 0.000). As the complex ability of accommodation and convergence(binocular accommodative facility and binocular NPA) was compared with each group, binocular accommodative facility of middle group was best among them(p = 0.000) and NPA of high group was shortest(p = 0.037). Correlation between KRR and DEM test was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r = 0.618, p = 0.000). Conclusion : Correlation between school achievement and visual-verbal skills(KRR and DEM test)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only near PFV was significant among binocular vision tests, which showed that near PFV was the larger, school achievement was the higher.

      • KCI등재

        정시, 안경 및 콘택트렌즈 착용자의 조절반응량 비교

        이규병,박지현,김효진 한국안광학회 2012 한국안광학회지 Vol.17 No.4

        Purpose: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accommodative response among emmetropes, spectacle wearer and contact lens wearer, and correlation between refractive error and accommodative respons for each group. Methods: The 72 subjects(144 eyes) who do not have any ocular diseases were participate in this study. Subjects were categorized into emmetropes, spectacle wearer and contact lens wearer by refractive error using closed-field auto-refractometer. We measured dominant eye, naked/habitual visual acuity and refractive error of monocular/binocular vision of refractive error for far/near distance with open-field auto-refractometer and calculated accommodative lag.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accommodative lag between right and left eye dominant and non-dominant eye, monocular and binocular vision, and spectacle lens wearer and contact lens wearer, However the accommodative lag of binocular vision was severe than monocular vision at near. The lag of myopia was larger than emmetropes, and male was larger than female.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refractive error and accommodative lag in total subjects and the same result was found in emmetropes and contact lens wearer.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correlation in the spectacle wearer. Conclusion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mmetrops and myopes in terms of accommodative lag,however accommodative lag of spectacle wearer was not different with contact lens wearer in myopes. There were als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refractive error and accommodative lag in emmetropes and contact lens wearer, but the accommodative lag of spectacle wearer was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refractive error. 목적: 정시와 안경 및 콘택트렌즈 착용자의 조절반응량을 비교하고, 각 그룹내에서 굴절이상도와 조절래그의 상관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안질환이 없고 굴절이상이 완전 교정된 72명(144안)을 대상으로 폐쇄형 자동굴절검사기로 측정한 굴절이상도를 사용하여 정시, 안경착용자 및 콘택트렌즈 착용자로 분류하였다. 이후 우세안, 나안시력 및 교정시력을 측정하고, 개방형 자동굴절검사기를 이용하여 단안 및 양안으로 원/근거리(5 m/33 cm)를 주시할 때의 굴절이상도를 측정하여 조절래그를 산출하였다. 결과: 좌우안 및 우세안/비우세안의 조절래그는 단안/양안주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단안주시의 조절래그가 양안주시보다 더 크게 검출되었다. 또한 남녀간의 조절래그는 단안주시는 남자가 컸지만 양안주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근시도와 조절래그는 단안/양안주시 모두 근시안이정시안에 비해 더 컸지만, 안경착용자와 콘택트렌즈 착용자의 조절래그는 단안/양안주시 모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전체 대상자의 굴절이상도와 조절래그 상관성은 단안/양안주시 모두 굴절이상도가 클수록 조절래그가 컸으며, 정시안과 콘택트렌즈 착용자는 단안/양안주시 모두 유의한 상관성이 있었으나 안경착용자는 단안/양안주시 모두 유의한 상관성이 없었다. 결론: 정시안과 근시안의 조절래그는 유의한 차이가 있고, 근시안 중 안경착용자와 콘택트렌즈 착용자의 조절래그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정시안과 콘택트렌즈 착용자의 굴절이상도는 조절반응량과 상관성을 보였다.

      • KCI등재후보

        Visagraph II와 DEM검사의 상관성 분석

        이규병,김흥수,마기중 대한시과학회 2012 대한시과학회지 Vol.14 No.3

        목적: 독서능력을 평가하는 도구로 DEM검사를 활용할 수 있는지 확인하였다. 방법: 초등학교4-6학년 246명을 대상으로 독서속도를 직접 측정하는 Visagraph II검사와 DEM검사를 진행한 후, Visagraph II검사의 평균주시횟수, 평균반복횟수, 평균주시시간 및 평균독서속도가 DEM검사의 수직 및 수평보정시간, 오류갯수 및 수평/수직시간비율과 각각 상관성이 있는지 조사하였다. 결과: DEM검사의 수직보정시간은 Visagraph II의 평균주시횟수, 평균주시시간 및 평균독서속도와 각각 유의한 상관성이 있었으며, DEM검사의 수평보정시간은 평균반복 횟수만 유의한 상관성이 있었다. 그러나 DEM검사의 오류갯수 및 수평/수직시간비율은 Visagraph II결과와 유의한 상관성이 없었다. 결론: DEM검사의 중요한 요소인 수평보정시간과 수평/수직시간비율이 Visagraph II의 평균독서속도와 유의한 상관성이 없었으므로, 임상에서 독서능력을 평가하기 위해DEM검사를 활용하는 것은 추가적인 검증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o investigate whether DEM test were able to assess reading ability. Methods: For 246 elementary(4-6 grade) children, Visagraph II and DEM tests were performed and investigated whether horizontal, vertical, number of error and horizontal/Vertical (H/V ratio) of DEM tests were correlated with average fixation, regression, duration and reading rate of Visagraph II, respectively. Results: Fixation, duration and reading rate of Visagraph II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adjusted vertical time, and regression were correlated with adjusted horizontal and vertical time. Conclusions: Adjusted horizontal time and H/V ratio which were important factors of DEM test were not correlated with reading rate of Visagraph II. Therefore DEM test need further research of validity for assessing reading ability.

      • 여러가지 사위 측정법의 비교 분석

        이규병,전순우,이현주,이선행,박원빈,마기중,박수봉 대한시과학회 2007 대한시과학회지 Vol.9 No.1

        To analyze the repeatability of various distance phoria tests and compared phoria measured by eight different tests, we performed the test and retest with the forward and reverse of V on Graefe and Maddox rod methods, and f1ashed presentation and continuous presentation with Modified Thorington and Howell card methods on 48 students of the Kimcheon college. Von Graefe method showed the lowest among other tests in repeatability, whereas Howell showed the highest repeatability. The mean of phoria between V on Graefe and Maddox Rod were not statistically different both of forward and reverse values, but for both of Modified Thorington(p = 0.0û0) and Howell(p = 0.0û9), there was a tendency of high exophoria on the continuous presentation compared with the f1ashed presentation. Also, Von Graefe had about 0.87 L::, of deviation range which has the result in by measured with prism alignment is higher than that of Maddox Rod which has about 0.54 L::" but in using a scale for phoria measurement, the deviation range of Howell which has about 0.93 L::, is higher than that of Modified Thorington which has 0.86 L::" and that is not significantly different(p = 0.485). Von Graefe for phoria measurement is 0.40 L::, higher toward exophoria than Maddox Rod, which is not significantly different(p = 0.191) and Modified Thorington is 0.41 L::, higher toward exophoria than Howell card, which is significantly different(p 二0.003). 1n conclusion, this study considered to be useful in analysis of the repeatability of various phoria tests or the accuracy of clinical measurements of distance phoria. 여러 가지 원거리 사위 측정법의 신뢰도를 분석하고 각각의 방법으로 측정한 사위 도의 차이를 정 량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대학생 48명을 대상으로 Von Graefe와 Maddox Rod 측정법은 순방향 및 역방향 측정법으로, Modified Thorington 및 Howell card 측정법은 연속 출현법 및 순간 출현법으로 Test와 Re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8가지 사위 측정법에 의한 Test와 Retest의 신뢰도를 분석한 결과 Von Graefe측정법이 다른 측정법보다 반복 능력이 낮고, Howell 측정법이 상대 적으로 신뢰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Von Graefe 법 과 Maddox Rod 법 모두 순방향 측정 값과 역 방향 측정 값은 통계 적 으 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Modified Thorington법과 Howell 법 모두 순간 출현법보 다 연속 출현법에서 외사위가 높게 측정되는 경향을 보였다 (p 二O.에O 및 p = 0.009). 각각의 사위 측정법에서 두 가지 다른 조건으로 측정한 사위도의 편차 범위를 분 석한 결과 프리즘을 사용하여 사위를 측정하는 Von Graefe와 Maddox Rod 측정법은 Von Graefe 법 (0.87 .6. )이 Maddox Rod 볍 (0.54 .6. )보다 약간 크게 검출되었고 (p = 0.004) 눈금을 이용하여 사위를 측정하는 방법은 Modified Thorington 볍(0.86 .6. )보다 Howell 법 (0.92 .6. )의 편차범위가 더 컸으나 유의성은 없었다 (p 二O.껑5). 5m에서 측정한 사위도는 Von Graefe법이 Maddox Rod법보다 외사위가 0.40.6. 더 높게 측정되었으나 유의성이 없었고 (p = 0.191), 3 m에서 측정한 사위도는 Modified Thorington 법이 Howell볍보다 외사위가 0.41.6. 더 높게 측정되었다 (p = 0.003). 이상으로부터 본 연구결과는 여러 가지 사위 측정법의 신뢰도를 분석하거나, 임상 에서 검출한 사위량의 신뢰도와 정확도를 판단하는데 참고할 만한 자료로 활용되리 라 생각된다.

      • KCI등재

        고정밀 2상유동 액막두께 측정을 위한 연성회로기판 기반 3-전극 센서 개발

        이규병 ( Kyu Byoung Lee ),김종록 ( Jong Rok Kim ),어동진 ( Dong Jin Euh ),박군철 ( Goon Cherl Park ),조형규 ( Hyoung Kyu Cho ) 한국센서학회 2016 센서학회지 Vol.25 No.1

        To understand a two-phase flow, a liquid film thickness i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A lot of researches have been performed to measure liquid film thickness with various approaches. Recently, an electrical conductance method which uses the conductivity of the liquid film has been widely applied on measuring the liquid film thickness. Though the electrical method has an advantage in high spatial resolution, as the conductivity of liquid can be affected by its temperature variation, the conventional electrical conductance methods have a limitation in being applied on varying temperature conditions where a heat transfer is involv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three-ring liquid film sensor that overcomes the limitation of the conventional method. The three-ring conductance method can measure the film thickness regardless of temperature variation by compensating the change of liquid conductivity. Considering its application on a wide range of conditions such as high temperature or curved surfaces, the sensor was fabricated on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in this study. This paper presents the concept of the measurement method, design procedure, prototype sensor fabrication and calibration results.

      • 시추공 정보의 클러스터링 기법을 이용한 지반 분석 시스템의 개발

        이규병(Kyu-Byoung Lee),김유성(Yoo-Sung Kim) 한국정보과학회 2000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1B

        본 논문은 지반조사 정보 시스템이 관리하고 있는 시추공의 지충 구성 정보를 바탕으로 시추공을 클러스터링하여 지반의 구성을 분석하는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을 소개한다. 지반조사 정보시스템은 지반 시추공의 현장조사 및 실내시험을 통해 얻는 시추공 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여 정보의 재활용을 돕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이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지반 분석 시스템은 지반조사 데이터베이스의 시추공 정보를 이용하여 지반이 가지고 있는 특성 정보를 추출하여 유사한 특성을 갖는 시추공의 집합으로 클러스터링하여 사용자에게 지반 구성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본 시스템에서 사용된 클러스터링 기법은 지반조사 데이타가 갖는 지반의 구성 요서 및 각 지층의 구성비를 통해 유사한 특성을 지니는 지반들을 그룹화하고, 그룹된 지반들의 특성을 찾는다. 그룹된 지반들의 분석을 통해 찾아진 유사한 특성은 지도상에 가시화함으로서 사용자에게 해당 지형에 대한 지반 특성을 제공한다.

      • KCI등재

        여러가지 사위 측정법의 비교 분석

        이규병,전순우,이현주,이선행,박원빈,마기중,박수봉 대한시과학회 2007 대한시과학회지 Vol.9 No.1

        여러 가지 원거리 사위 측정법의 신뢰도를 분석하고 각각의 방법으로 측정한 사위도의 차이를 정량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대학생 48명을 대상으로 Von Graefe와 Maddox Rod 측정법은 순방향 및 역방향 측정법으로, Modified Thorington 및 Howell card 측정법은 연속 출현법 및 순간 출현법으로 Test와 Re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8가지 사위 측정법에 의한 Test와 Retest의 신뢰도를 분석한 결과 Von Graefe측정법이 다른 측정법보다 반복 능력이 낮고, Howell 측정법이 상대적으로 신뢰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Von Graefe법과 Maddox Rod법 모두 순방향 측정값과 역방향 측정값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Modified Thorington법과 Howell법 모두 순간 출현법보다 연속 출현법에서 외사위가 높게 측정되는 경향을 보였다(p=0.000 및 p=0.009). 각각의 사위 측정법에서 두 가지 다른 조건으로 측정한 사위도의 편차 범위를 분석한 결과 프리즘을 사용하여 사위를 측정하는 Von Graefe와 Maddox Rod 측정법은 Von Graefe법(0.87△)이 Maddox Rod법(0.54△)보다 약간 크게 검출되었고(p=0.004) 눈금을 이용하여 사위를 측정하는 방법은 Modified Thorington법(0.86△)보다 Howell법(0.92△)의 편차범위가 더 컸으나 유의성은 없었다(p=0.485). 5m에서 측정한 사위도는 Von Graefe법이 Maddox Rod법보다 외사위가 0.40△ 더 높게 측정되었으나 유의성이 없었고(p=0.191), 3m에서 측정한 사위도는 Modified Thorington법이 Howell법보다 외사위가 0.41△ 더 높게 측정되었다(p=0.003). 이상으로부터 본 연구결과는 여러 가지 사위 측정법의 신뢰도를 분석하거나, 임상에서 검출한 사위량의 신뢰도와 정확도를 판단하는데 참고할 만한 자료로 활용되리라 생각된다. To analyze the repeatability of various distance phoria tests and compared phoria measured by eight different tests, we performed the test and retest with the forward and reverse of Von Graefe and Maddox rod methods, and flashed presentation and continuous presentation with Modified Thorington and Howell card methods on 48 students of the Kimcheon college. Von Graefe method showed the lowest among other tests in repeatability, whereas Howell showed the highest repeatability. The mean of phoria between Von Graefe and Maddox Rod were not statistically different both of forward and reverse values, but for both of Modified Thorington(p=0.000) and Howell(p= 0.009), there was a tendency of high exophoria on the continuous presentation compared with the flashed presentation. Also, Von Graefe had about 0.87△ of deviation range which has the result in by measured with prism alignment is higher than that of Maddox Rod which has about 0.54△, but in using a scale for phoria measurement, the deviation range of Howell which has about 0.93△ is higher than that of Modified Thorington which has 0.86△, and that is not significantly different(p=0.485). Von Graefe for phoria measurement is 0.40△ higher toward exophoria than Maddox Rod, which is not significantly different(p=0.191) and Modified Thorington is 0.41△ higher toward exophoria than Howell card, which is significantly different(p=0.003). In conclusion, this study considered to be useful in analysis of the repeatability of various phoria tests or the accuracy of clinical measurements of distance phoria.

      • KCI등재

        정시와 근시 어린이의 조절반응과 반응 AC/A 비의 비교

        김현경,이규병,김창진,백승선,김흥수,임현성,마기중 대한시과학회 2012 대한시과학회지 Vol.14 No.4

        목적: 어린이를 대상으로 정시군과 근시군으로 분류하여 조절 자극량에 대한 반응량과 반응 조절성폭주 대 조절비를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본 연구의 취지에 동의하는 11~13세(평균 12.17±0.70세) 어린이 58명을 대상으로 검사하였으며, 자각식 굴절검사를 통해 정시군(28명)과 근시군(30명)으로 구분하였다. 조절반응은 개방형 자동굴절계 (NVision-K5001, Shin-Nippon)를 사용하여 양안시 상태에서 측정하였으며, 근거리 시표를 50, 33, 25, 20 cm에 위치시켜 조절을 자극하였다. 결과: 조절 자극량에 대한 반응량을 함수의 기울기로 나타내었을 때, 정시군보다 근시군에서더 완만하게 나타났다(정시군: 1.01, 근시군: 0.82). 정시군과 근시군 모두 약 33cm 거리에서 조절 오차량이 최대로 나타났다. 반응 조절성폭주 대 조절비는 정시군보다 근시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t=4.54, p < 0.05). 결론: 정시 어린이보다 근시 어린이에서 조절반응량이 더 낮았고, 반응 조절성폭주 대 조절비는 더 높게 나타났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근시와 조절반응의 연관성을 알 수 있었으며, 근시안의 처방과 관리를 위 해 조절반응 검사에 대한 필요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o compare with the accommodative responses and response AC/A ratio between emmetropic and myopic children, the slope of accommodative stimulus-response and the point of the maximum accommodative error were analyzed. Methods: Fifty-eight children aged from 11 to 13 years (mean: 12.17±0.70yr) were recruited, of whom 28 were emmetropes and 30 were myopes from subjective refraction. Accommodative responses were measured under the binocular viewing condition by using an open-field infrared autorefractor (NVision-K5001, Shin-Nippon). To measure accommodative stimulation, the near targets were located in 50, 33, 25 and 20 cm in front of the eye. Result: The slope of accommodative stimulus-responses for emmetropic group was steeper than that of myopic group (emmetropes: 1.01, myopes: 0.82). The maximum accommodative error distance in both emmetropic and myopic groups was 33 cm. The response AC/A ratio of myopic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emmetropic group (t = 4.54, p < 0.05). Conclusion: Accommodative responses were lower and the results of AC/A ratio were higher in myopic children group compared with emmetropic children. According to the result, it is associated with myopia and accommodation and it is recommended for myopia to take the accommodative response test for the prescription and care of myop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