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탈진실의 조건: 정치가 거짓말에 관대한 이유

        이국배 한국사회와철학연구회 2023 사회와 철학 Vol.- No.45

        This article is a theoretical exploration of the structural conditions of post-truth situations. Morality used to be the only variable that could impose constraints on the intimacy between politics and lies. However, morality has practically lost its influence to integrate or constrain the overall political system. This is not because modern individuals are no longer ethical, but rather because modern social and political systems have structural characteristics that make politics lenient towards falsehood. The key condition that enables post-truth situations is the institutionalization and commercialization of lies as an information product, which is systematically produced at an industrial level based on the structural environment of contemporary politics that is only based on the result between winning and losing rather than policies and values. Now, lies are information commodities that are distributed and sold in a massive information market. Based on these premises, this paper develops a complementary discourse on the theoretical limitations of postmodernism, which blurs the distinction between falsehood and truth, fact and fiction, individual lies and institutional lies, and on the other hand, the discursive strategies of anti-positivist positions that emphasize interpretation, perspective, dialogue, and deliberation. In particular, the position of this research is that discursive strategies that focus on critiquing positivism in relation to the issue of post-truth are not free from the risk of paradox of self-fulfilling post-truth. Regarding short-term improvement measures related to post-truth situations, this article emphasizes that systems such as law and media, which have structural couplings to politics, are more effective in constraining the politicization of post-truth, and that creating a more independent environment for these systems to operate according to their own codes and functions is crucial.

      • KCI등재

        인공지능 시대의 도구적 이성 비판: 프랑크푸르트학파 창설 100주년의 회고와 전망

        이국배 동양사회사상학회 2023 사회사상과 문화 Vol.26 No.4

        This article explores the current relevance of the critique of instrumental reason on the occasion of the 100th anniversary of the founding of the Frankfurt School. To achieve this, the paper retrospectively examines the paradigm of critique of instrumental reason that was central to critical theory within the intellectual context and assesses the potential resurgence of critique of instrumental rationality in an era symbolized by artificial intelligence. When assuming the role of director of the Social Research Institute in 1930, Horkheimer characterized the contemporary period as an era where reason had been reduced to a mere means. In his view, human intellectual activity had been diminished to a utilitarian sense, solely functioning as an optimization means for ends. The concept of instrumental reason synthesized Horkheimer’s idea of instrumental reason with Weber’s notion of instrumental rationality and Lukács’ concept of reification, ultimately representing a comprehensive result. The modern society dominated by instrumental reason becomes the target of critique. Therefore, the critique of instrumental reason signifies a contemporary succession and intensification of the so-called ‘Weberian paradigm,’ evaluating the past century of critical theory as a history of practical application and experimentation of critique of instrumental reason. While Horkheimer chose the path of philosophical critique of reason as a means to overcome instrumental reason, Adorno pursued an inherent critique of Enlightenment reason through negative dialectics. Conversely, Marcuse sought avenues of liberation through the exploration of a ‘new sensitivity’ in art while intensifying criticism of the technological society. However, the fundamental question that motivated the formation of critical theory, namely “How can individual critical capacity be nurtured in a conformed and objectified era?” remains an unresolved task within critical theory. Differently from the traditional critical theorists, Habermas attempts a groundbreaking shift in paradigm by focusing on communicative action, an alternate facet of reason, rather than upholding the critique of instrumental reason. He criticizes Horkheimer and Adorno for simplifying cultural history into a process where only instrumental reason amplifies through the dialectics of Enlightenment. Habermas argues that while positivism concentrated solely on the method of epistemology, the traditional critical theory also exhibited similar biases by focusing solely on the instrumental aspect of reason. According to him, the history of Enlightenment is not merely the evolution of instrumental reason but also the development of critical reason. The transition to the paradigm of communicative reason is evaluated both as a perspective to seek multidimensional democratic solidarity through mutual relationships and as a critical public sphere. However, doubts about the practical functioning of the communicative reason have intensified, raising various questions even within the tradition of critical theory regarding whether it is the optimal path for envisioning the future. The exploration in this text concludes that the paradigm of critique of instrumental reason remains relevant and current in today’s information society, epitomized by artificial intelligence. The reasons for this include, firstly, the autonomous development of technological power, including artificial intelligence, contributing paradoxically to the current relevance of the paradigm of instrumental reason critique. Secondly, the social prevalence of instrumental reason infringing upon human agency and paradoxically leading to the annihilation of theory itself through a scientific ethos founded on instrumental reason provides conditions for the resurgence of critique. The ability of instrumental reason, a skill evolved by humans as a means of self-preservation, no longer being exclusively human due to the advancement of a... 이 논문은 프랑크푸르트학파 창설 100년을 맞아 도구적 이성 비판의 현재성을 탐색하는 작업이다. 이를 위해 이 글은 비판 이론의 중심에 있었던 도구적 이성 비판 패러다임을 비판 이론 내부의 사상사적 맥락에서 회고하고, 인공지능으로 대표되는 이 시대에 도구적 이성 비판의 부활 가능성을 진단한다. 1930년 사회연구소장으로 부임한 호르크하이머는 당대를 이성이 한낱 도구로 축소된 기형의 시대로 규정했다. 그가 보기에 인간의 사유 활동은 실용적 의미로만 축소되어, 오직 목적을 위한 수단의 최적화 기능으로 전락했다. 도구적 이성 개념은 호르크하이머가 베버의 도구적 합리성 개념과 이른바 베버 서클의 충실한 회원이었던 루카치의 물화(reification) 개념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종합한 결과이다. 도구적 이성이 전면화된 근대 사회가 비판의 대상이다. 따라서 도구적 이성 비판은 이른바 ‘웨버리안 패러다임(Weberian paradigm)’의 현대적 계승과 본격화를 의미하며, 비판 이론의 지난 한 세기는 도구적 이성 비판의 실천적 적용과 실험의 역사로 평가될 수 있다. 호르크하이머가 도구적 이성의 극복 방안으로 이성에 대한 이성 비판이라는 철학의 길을 택했다면, 아도르노는 부정 변증법을 통해 계몽적 이성에 대한 내재적 비판을 시도했다. 반면 마르쿠제는 기술화 사회에 대한 비판의 강도를 높이면서 예술의 ‘새로운 감성(new sensitivity)’을 통한 해방의 활로를 모색한다. 그러나 비판 이론 형성의 결정적 동기가 되었던 질문, 즉 “순응적이고 사물화된 시대에 개인의 비판 능력은 어떻게 해야 함양될 수 있는가”에 대한 답변은 여전히 해결되지 않은 과제로 남았다는 지적이 비판 이론 내부에서 제기된다. 하버마스는 도구적 이성 비판을 비판 이론의 중심 과제로 설정했던 기존의 비판이론과 달리 의사소통 행위라는 이성의 또 다른 능력에 주목함으로써 패러다임의 획기적 전환을 시도한다. 그는 호르크하이머와 아도르노가 계몽의 변증법을 통해 문화사 전반을 도구적 합리성만이 증대되는 과정으로 단순화했다고 비판한다. 하버마스가 보기에는 실증주의가 인식의 방법론에만 집중하여 도구적이고 형식적인 측면에 치우친 견해를 제시했다고 한다면, 기존의 비판 이론 역시도 합리성의 도구적 측면에만 주목함으로써 마찬가지의 편향성을 보인다. 하버마스는 공론장과 법적 타당성, 그리고 권력의 정당성 모색과 민주주의의 제도화 역시도 사회적 합리성을 총체적으로 증진시키는 이성의 해방적 능력이며, 따라서 계몽의 역사는 단순히 도구적 이성의 진화사가 아니라 비판적 이성의 발전사이기도 하다고 주장한다. 의사소통적 이성 패러다임으로의 전환은 한편으로 상호주관적인 관계를 통해 다각적 수준의 민주적 연대를 모색할 수 있는 비판적 공론 영역의 전망을 연 것으로 평가된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는 의사소통적 이성의 현실적 작동에 대한 의문이 증폭되면서 미래 구상을 위한 최적의 활로인지에 대해서는 비판 이론의 전통 내부에서조차도 다양한 문제 제기가 계속되고 있다. 이 글의 탐색 결과는 도구적 이성 비판 패러다임이 인공지능으로 대표되는 오늘의 정보사회에서도 여전히 유효하며 현재성을 갖는다는 것이다. 그 이유로는 우선 1) 인공지능을 비롯한 기술적 힘의 자율적 발전과 통제 불가능성이 오히려 도구적 이성 비판 패러다임의 현재성을 위한 현실적 조건 ...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