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만경강 유역 지점별 수질을 고려한 농업용수 양분분포 지도 작성

        이경도 ( Kyungdo Lee ),홍석영 ( Sukyoung Hong ),김이현 ( Yihyun Kim ),이덕배 ( Deogbae Lee ),고명석 ( Myungsuk Ko ),이경보 ( Kyeongbo Lee ) 한국농공학회 2012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2 No.-

        새만금 유역 농경지 면적 비율은 37%로 전국 농경지 면적 비율 22%에 비해 1.7배 정도 높은 값을 보이고 있어 농경지에서 배출되는 질소와 인 등의 영양물질이 하천과 호소로 유입되는 것에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특히, 새로 조성되고 있는 새만금 담수호 인근으로 넓은 농경지가 분포하고 있어 농경지에서 유출되는 양분이 담수호에 직접 유입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작물 생육에 필요한 적정 양분을 공급하면서도 잉여양분이 유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영농관리 노력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만경강 유역의 농업용수 중 영양물질을 시기별, 지점별로 분석하고 공간 분포를 제시하여 합리적인 시비관리의 참고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영농기 만경강 상류 어우보에서 2만3천ha 농경지에 공급되는 관개용수의 용수로 지점별 수질 자료와 660ha의 만경강 하천부지에 관개용수로 활용되는 만경강 하천 지점별 수질 분석 자료를 활용하여 ArcGIS 10에서 전자지도의 하천 및 수로 구간별 shape 파일을 생성하고 속성 값을 입력하여 농업용수의 양분공급능을 공간적 분포로 제시하였다. 또한, 벼에 대해서는 하천 및 수로 구간별 몽리면적을 대상으로 양분공급능을 고려한 시비량을 산정하여 유역의 양분부하 저감 효과를 평가하였다.

      • KCI등재

        고해상도 영상을 이용한 농경지 지도 작성 및 토지이용 변화 분석

        이경도(Kyungdo Lee),홍석영(Sukyoung Hong),김이현(Yihyun Kim) 한국토양비료학회 2012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45 No.6

        급격한 토지이용의 변화가 진행되고 있는 수도권 인근의 고양시, 남양주시, 용인시를 대상으로 고해상도 영상과 수치지도를 활용하여 논, 밭, 시설재배지, 과수원의 면적과 형상, 이용 현황을 파악하기 위한 농경지 지도를 작성하여 기존 수치지도와 비교한 결과 기존 수치지도에 비해 농경지의 이용 현황을 보다 세부적으로 정확하게 분류할 수 있었다. 또한, 농경지 지도와 수치 지적도의 농경지 부분을 중첩하여 ’07년 토지이용도로 갱신하고 ’99년에 작성된 토지이용도와 비교한 결과 3개 시 모두 조사기간 동안 논 면적이 3,000~5,000 ha 정도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밭과 과수원도 논과 함께 주거지로 전용되면서 감소하는 추세였다. 그러나 집약적인 재배가 가능하여 고소득이 기대되고 다른 지목으로 변경이 용이한 시설재배지의 경우에는 면적이 비슷하거나 증가한 경향을 보였다. 향후 고해상도 영상을 활용한 농경지 지도의 확대 구축과 이를 활용한 토지이용도 제작은 토양 조사 등 각종 조사사업의 최신 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정확한 경지면적 산출을 통해 농업통계 및 농업정책 자료로써 효율적인 경지관리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aims to make a “farmland use map” using high-resolution images and to analyze the land use change for about 8 years in Goyang, Namyangju, and Yongin cities. We have made a new numerical map named as a farmland use map using high-resolution images taken mostly in 2007 and digital topographical maps in Goyang, Namyangju, and Yongin cities near metropolitan areas to classify farmland use of paddy, upland, plastic film house, and orchard. We also made a land use map by overlaying the farmland use map and the land registration map of each city made in 2007, and compared the land use map made by RDA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in 1999. Paddy areas decreased at a range of 3,000 to 5,000 ha during 8 years and were changed to residential areas in the cities. Upland and orchard areas also showed similar tendency and were changed to residential areas as well. On the other hand, the areas of the plastic film houses in the cities showed an increase or same in size. It is suggested that farmland use map can be broadly used as a base map for various survey projects including soil survey, statistics, and farmland information management.

      • KCI등재

        코로나19 백신 접종 여부에 따른 차등 대우와 불평등은 정당한가?

        이경도(Kyungdo Lee) 한국생명윤리학회 2021 생명윤리 Vol.22 No.1

        코로나19 대유행은 비단 사람들의 건강에 대한 위협일 뿐 아니라 사회경제적으로도 상당한 피해를 주고 있다. 현재 효과적이고 비교적 안전한 백신의 분배와 접종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코로나19 감염 위험으로 이루어지지 못했던 사회 활동을 개인의 백신 접종 유무에 따라 차등적으로 재개하려는 움직임이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이 백신 여권 혹은 백신 접종 증명에 따라 백신을 접종한 이들에게만 차등적으로 주어지는 혜택이 차별적이라는 반론은 특히 몇 가지 조건 하에서 설득력을 얻는다. 먼저 아직 백신 접종이 모두에게 가능하지 않거나, 의학적 특성, 종교 및 신념 등을 이유로 백신 접종이 불가한 경우에는 그 차등 대우가 정당하지 않은 차별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그렇지 않은 경우에도 사회경제적 지위가 낮은 이들이 백신을 접종하지 않거나 이를 미루는 현상으로 인해 기존 불평등이 심화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사회 활동의 차등적 재개로 인해 백신을 접종하지 않은 인구가 위험에 놓일 수 있다. 하지만 필자는 각각의 논지로 백신 접종 유무에 따른 차등 대우의 정당성을 완전히 반박하지 못하는 경우가 존재함을 보일 것이다. 본 논문은 위반론들에 적절히 대응하면서 백신 접종에 따른 차등 대우가 정당한 세부적인 조건을 살펴본다. 결론적으로 몇 가지 조건 하에서는 백신 접종에 따른 차등 대우와 그로 인한 불평등이 부정의한 것이 아님을 밝힌다. The COVID-19 pandemic not only threatens the health of individuals but also disrupts social interactions and human economies. Several authorized vaccines for COVID-19, which are deemed safe and effective, have been being rolled-out in South-Korea. According to the recent data, it is safe to assume that those vaccines are effective in protecting the vaccinated from contracting COVID-19 and also in reducing the risk of hospitalization among infected individuals. Based on this assumption, it has been suggested to resume some kinds of social activities, which have been upon stringent restrictions for the risk of spreading COVID-19, only for those who are vaccinated. Major opponents against this sort of differential treatment based on COVID-19 vaccination status, so called “vaccine passport”, claim that it will bring about unjust and unfair discrimination against unvaccinated people. They are also worried about the higher prevalence of vaccine hesitancy among the disadvantaged and potential increase in the risk of spreading COVID-19 among the unvaccinated. This article is to respond to these oppositions and worries, and articulate several conditions which have to be met for its just and fair implementation before lifting up restrictions only for the vaccinated. The main claim is basically that, under those carefully defined conditions, special treatment for the vaccinated is not pro tanto unjust.

      • KCI우수등재

        사회적 거리두기라는 딜레마: 인구 집단의 리스크와 개인의 복지 간 대립에 대한 도덕 이론들과 그 한계

        이경도(Kyungdo Lee),구영모(Young-Mo Koo) 한국철학회 2021 철학 Vol.- No.146

        현재 코로나19 대유행의 피해를 줄일 수 있는 효과적인 방안으로 사회적 거리두기가 시행되고 있다. 사회적 거리두기는 코로나19의 감염 전파를 막아 인구전체의 리스크를 감소시킨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필수적인 사회 서비스나 개인의 행동을 제한한다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은 사회적 거리두기의 영향을 받는 개인 또는 집단과 인구 전체의 리스크 간 대립된 상황 속에서 어떤 정치철학 이론이 사회적 거리두기의 정당성을 합리적으로 설명할 수 있을 지에 관해 살펴본다. 리스크로 표현되는 확률 상의 위험을 해악과 구분한 후, 리스크 부여의 정당성을 판단할 수 있는지 중점적으로 논의한다. 첫째, 사후적 계약주의에는 리스크를 사후 구체화될 해악과 동등하게 간주하여 사회적 거리두기를 강화하는 것이 미약하게라도 리스크를 감소시킬 수 있다면 그 편익과 상관없이 항상 이를 정당화하는 문제가 있다. 둘째, 사전적 계약주의에는 인구 집단에 속한 개개인이 리스크를 그 편익과 비교평〮가하여 감수할 만하다면 사회적 거리두기를 완화할 수 있겠지만 이 완화조치가 불러올 사후 피해에 대해 민감하지 못하다는 문제가 있다. 셋째, 공리주의는 이 대립 상황에서 개별 선택지의 기대 효용을 계산함으로써 간결하고 구체적인 해답을 내놓을 수 있겠지만 사회적 거리두기가 야기할 이해관계의 대립, 그리고 편익과 리스크의 개인 간 분배의 문제를 간과하고 있다. 필자들은 사회적 거리두기의 도덕적 정당성을 판단할 때, 사전적 계약주의가 강조하는 개개인에게의 정당화 가능성과 더불어 리스크가 해악으로 구체화되는 시점 이후의 사태에 대한 행위자-중립적인 평가가 함께 포함되어야 함을 주장한다. 특히 필자들은 목적론적 평등주의의 관점을 취해, 사회적 거리두기가 야기할 복지, 기회, 능력 등 여러 차원에서의 불평등에 대한 평가를 포함하여 사회적 거리두기의 도덕적 정당성이 논의되어야 함을 주장한다. To mitigate threats from the COVID-19 pandemic, social distancing measures have been implemented in most affected countries, including South Korea. While social distancing has been proven to be effective in preventing further infections and thereby reduces the risk of population, it also limits some essential aspects of personal liberty and the provision of necessary social services. Moral justification of social distancing, therefore, relies on the questions of whether added risk from easing social distancing could be justified by its expected benefits, if so, to what extent, and on what grounds. First, according to ex post contractualism, claims of unidentifiable victims who will certainly be harmed by the population risk should not be discounted by its ex ante chance of being harmed. With this premise, social distancing measures would be justified insofar as the risk reduction by having those measures in place would save some fresh and blood future victims. But this view seems counter-intuitive in that this would prevent us from running a very small amount of risk, even in the case in which that risk-taking could be deemed prudential and prima facie just based on its expected benefit. Second, according to ex ante contractualism, on the other hand, if increased individual risk from loosening social distancing is acceptable for an individual for the sake of expected individual benefit, loosening those regulations is justifiable. However, ex ante contractualism fails to acknowledge the consequences of risk imposition in population level. Third, utilitarianism yields a robust answer in this matter: maximize expected utility. But inter-personal aggregation seems not a fair way to settle down the conflict between winners and losers given its disproportional distribution of risk burdens and welfare benefits. We argue that moral pluralism is called for to answer this moral quandary. Taking both the pluralistic view of morality and the telic view of egalitarianism, we suggest that, along with ex ante justifiability to each person and ex post victim’s complaint, equality in ex post distribution of welfare, opportunity, and other advantages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for our moral assessments of social distancing.

      • 벼 흰잎마름병 접종에 따른 벼 잎의 분광반사특성 변

        이경도 ( Kyungdo Lee ),김상민 ( Sangmin Kim ),나상일 ( Sangil Na ),안호용 ( Hoyong Ahn ),박찬원 ( Chanwon Park ),소규호 ( Kyuho So ) 한국농공학회 2018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8 No.-

        벼 흰잎마름병은 세균에 의해 발병되는 병으로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일본, 대만, 필리핀, 인도, 인도네시아 등 동남아의 벼 재배지에서 큰 문제가 되고 있는 병해이다. 본 연구는 무인비행체 영상을 활용한 작물 병해 평가의 사전 연구로서 벼 흰잎마름병 발생에 따른 벼 잎의 분광반사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2016년 12월 14일 국립식량과학원 온실에서 벼 흰잎마름병 감수성 품종인 “동진1호”를 사각 포트에 이앙하여 2017년 3월 3일 벼 흰잎마름병(K3a 레이스)균 배양액에 가위를 적신 후 절엽하여 병을 접종하였다. 2017년 3월 3일 병 접종 직전과 접종 후 3, 5, 7, 10, 12, 17, 24일이 경과한 3월 6일, 3월 8일, 3월 10일, 3월 13일, 3월 15일, 3월 20일, 3월 27일 총 8회에 걸쳐 포트에서 벼 잎을 채취하여 분광복사계(ASD3, Analytical Spectral Devices Inc., USA)에 Plant Probe를 장착하여 절엽 부위에서 5 cm 밑 부분을 400-2500 nm 범위에서 1 nm 간격으로 반사율을 측정하고 병징 면적 비율 변화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병 접종 벼 잎의 분광반사율 변화를 분석한 결과 병징 면적 비율은 700nm에서 750nm의 파장대역 반사율과 0.9 이상의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500nm에서 700nm 사이 가시광선 영역과 800nm 이후 근적외선 영역 반사율과도 0.8∼0.9 이상의 비교적 높은 상관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벼 흰잎마름병 접종 처리한 벼 잎 병징 면적 비율은 병 접종 10일 이후부터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NDVI, GNDVI 및 NDRE 식생지수는 병징 면적 비율 증가와 함께 뚜렷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병징면적 비율이 빠르게 증가했던 병 접종 후 10일의 이들 식생지수와 병징 면적 비율의 상관계수는 -0.77에서 -0.95로 음의 선형 상관을 보였다.

      • KCI등재

        The Ethics of Study Impacts on Bystanders

        이경도(Kyungdo Lee) 이화여자대학교 생명의료법연구소 2021 Asia Pacific Journal of Health Law & Ethics Vol.14 No.3

        기존 연구윤리와 그와 관련된 규제 및 행정 조직들은 연구참여자의 이해와 권리를 보장하려는 데에 집중해왔다. 연구에 참여하지는 않지만 연구의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주변인의 권리와 이해 또한 연구의 정당성을 판단하는 데에 포함해야 한다는 의견이 최근 대두되었다. 하지만 이를 어떻게 윤리적으로 다루어야 할지에 대한 여러 학자들의 의견이 서로 상이하여 일관된 규제나 논의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먼저, 어떤 학자들은 연구참여자의 주변인 또한 연구의 영향을 받으므로 연구참여자의 권리와 이해를 보장하려는 충분한 정보에 의한 동의와 같은 일체의 노력과 기준이 동일하게 주변인에게 적용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 반면, 어떤 학자들은 흔한 경우 주변인을 특정할 수 없고 그리하여 그들에게 충분한 정보에 의한 동의를 구득할 수 없기에 주변인에게 갈 영향을 더욱 강력하게 최소화하고 차단해야 한다는 의견을 피력했다. 마지막으로 어떤 학자들은 주변인에게 갈 연구의 영향은 사회적인 위험과 비슷하게 동의를 구득하지 못했지만 그 이득을 통해 정당화할 수 있다고 주장하거나 그 연구의 영향을 오롯이 연구자의 책임만으로 돌릴 수 없는 경우 또한 존재한다는 점을 지적했다. 본 논문은 이렇게 다양한 의견을 종합적으로 탐구하고 그 기저에 있는 가정과 논리 구조를 분석하여 해당 논의를 소개하고 진전하려는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이 모든 논의를 종합할 수 있는 하나의 완벽한 분석적 틀을 제시하지는 않지만, 논의에서 포함하여야 할 관련 사실들이 무엇인지, 또 그것을 판단하는 여러 윤리적인 쟁점은 어떤 것이 있을지 구체적으로 살펴볼 것이다. Most current regulations in research ethics are devoted to protecting the rights of study participants. On the contrary, a possibility that some studies might affect study bystanders has largely been neglected within the field of research ethics. Bystanders have not been placed within the purview of current regulations, even though their rights may be infringed by or require some protection from research activities. Some scholars recently began to pay attention to the issue of study impacts on bystanders, and suggested several different approaches to it. First, some suggested that it is required for researchers to treat bystanders in the same way as study participants, such that researchers have to seek individual informed consent from and grant veto right to bystanders. Second, some rejected this approach by arguing that more stringent protection is warranted for bystanders since they cannot often be informed with, protected from, and prepared for any potential risk or harm generated from research. Third, some others objected to both of these approaches and claimed that there are some moral and practical reasons to let us believe that bystander risks are more readily justifiable than study participants’ risks. Although it is not feasible to come up with a single unified framework here and resolve all of the ongoing disagreements, this article aims to analyze the logical structures of these distinct positions and introduce some of the relevant considerations to ethically assess bystander risks.

      • 유채 재배지의 관행 배수대책에 관한 연구

        이상봉 ( Sangbong Lee ),전종길 ( Jonggil Jeon ),김민영 ( Minyoung Kim ),염성현 ( Sunghyun Yum ),양선영 ( Sunyoung Yang ),이경도 ( Kyungdo Lee ) 한국농공학회 2009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09 No.-

        최근 바이오디젤 원료로 이용 가능한 유채를 벼의 후작으로 논에서 재배하는 면적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유채는 습해에 취약하기 때문에, 수분유지 기능적 특성을 가진 논에서 재배할 경우, 명거 및 암거의 설치 등 배수개량이 필요하다. 특히, 해안 근처 간척지 논의 경우에는 배수불량 및 동절기에 토양 염분 상승으로 인한 생육불량을 야기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북 부안, 전남 영광 일대의 유채 재배 논 관행 배수 실태를 조사하고 포장의 배수성이 유채 수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하여 유채 재배 논의 배수개량 기술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채 재배논의 배수는 주로 명거에 의존한 지표배수를 실시하고 있었으며, 암거 및 승수로 설치 포장은 없었다. 또한 명거 간격은 150~340cm로 지역별로 상이하게 나타나 토성 및 면적을 고려한 적정 규격은 없었다. 생육기간 전반에 걸친 토양수분변화와 수량과의 관계를 조사한 결과, 배수 양호한 포장이 불량한 포장에 비해 평균 2.7배 높은 수량을 보였다. The growth of rapeseed for bio-diesel material has been receiving much attention. However, since rapeseed is vulnerable to humidity, when it is grown in paddy fields which functions to maintain a high level of moistu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open and closed conduits. Particularly, reclaimed paddy fields nearby the coast, the rapeseed growth becomes poor due to poor drainage conditions and the high soil salinity level during the winter. This study aimed at investigating the conventional drainage condition of paddy fields in Buan, Jeonbuk and Youngguang, Jeonnam. In addition, the response of rapeseed yield on a type of drainage was also studi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used for the fundamental database to develop drainage improvement technologies for rapeseed growing paddy fields. Some of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the drainage in rapeseed growing paddies was usually performed using the open conduits, there were no closed conduits and intercepting drain canals installed. In addition, the interval of open conduits ranged from 150 to 340cm, which clearly showed the regional differences. There was no standard considering soil characteristics and areas. Throughout the growing season, the changes of soil moisture contents and rapeseed yields were investigated and the yield in paddies with good drainage condition was 2.7 times better than the ones in paddies with poor drainage condi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