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위성영상 기반 월동배추 재배면적 추정

        나상일 ( Sangil Na ),박찬원 ( Chanwon Park ),소규호 ( Kyuho So ),안호용 ( Hoyong Ahn ),이경도 ( Kyungdo Lee ) 한국농공학회 2018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8 No.-

        최근 국민 식생활의 변화로 인하여 가을 김장배추를 담그는 양은 감소되는 반면에 신선한 월동배추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를 반영하여 전남 해안지방 및 제주도에서 노지 월동배추의 재배면적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월동배추의 경우 대부분 노지에서 재배되어 기상여건에 따라 생산량의 변화가 심하다. 특히, 기상이변 등에 의한 지속적인 폭설과 한파로 인한 동해피해가 반복되고 있으며, 장기화 될 경우 월동배추의 수급불안에 따른 가격 급등은 물론 재고량 부족 시 배추 파동의 우려까지 낳고 있다. 또한, 월동배추의 경우 계절 변화에 따라 주산지가 전국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전체적인 생산량 추정도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월동배추의 수급안정을 위해서는 주산지의 신속한 재배면적 파악과 함께 현지 작황 변화에 대한 신속하고 선제적인 평가 기술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원격탐사 기술을 채소 작황평가에 적용하기 위한 실증연구로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월동배추 주산지인 전남 해남군을 대상으로 월동배추 재배면적을 추정하고 시군단위 재배필지 현황도를 작성하였다. 이를 위하여 Sentinel2A 위성영상과 스마트팜맵을 이용하여 해남군 전체의 배추 재배필지를 추출하고, 식생지수의 시계열 변화를 이용하여 가을배추와 월동배추의 재배필지를 분리하여 현황도를 작성하였다. 그 결과, 2017년 해남군의 배추필지는 총 15910 필지, 4252.77 ha 로 산정되었으며, 그 중 가을배추는 6628 필지, 1931.55 ha, 월동배추는 9282 필지, 2321.22 ha 로 나타났다. 정확도 검증을 위해 해남군 농업기술 센터의 전수조사 자료(4157 ha)와 비교한 결과, 약 2.3 % 과대추정된 것으로 나타났으나 작성된 현황도를 바탕으로 필지 단위 생육상황 변화에 따른 이상판별 및 필지간 생육차이 파악 등이 가능한 것을 확인하였다.

      • 드론 초분광 영상을 이용한 광화학반사지수 모니터링

        나상일 ( Sangil Na ),박찬원 ( Chanwon Park ),소규호 ( Kyuho So ),안호용 ( Hoyong Ahn ),이경도 ( Kyungdo Lee ) 한국농공학회 2019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9 No.-

        초분광 영상은 밀집된 분광측정 자료의 집합으로 분광밴드가 많고, 좁은 파장 폭의, 연속적인 밴드들을 갖는 높은 분광해상도의 영상을 말한다(Shaw and Burke, 2003). 기존의 다중분광 영상의 경우 상대적으로 넓은 분광폭을 지닌 10개 이내의 분광밴드로 이루어진 반면에 초분광 영상은 수십∼수백 개의 광대한 분광밴드의 수집이 가능해짐으로서 작물고유의 반사특성을 보다 정밀하게 기록할 수 있는 장점으로 농업 분야에서 드론 기반의 초분광 영상의 활용성이 대두되고 있다. 작황 모니터링에 원격탐사의 개념이 도입된 이후 사용되고 있는 식생지수는 작물 고유의 분광반사특성을 이용하여 일부 파장 밴드의 산술적인 조합으로 만들어진다. 따라서 기존의 식생지수는 주로 가시광(RGB) 및 근적외(NIR) 밴드의 비, 차, 선형조합 등으로 산출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은 식생의 생물량을 추정하는데는 유용하게 사용되지만 생리적 상태에 대한 민감도는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으며, 작물의 스트레스를 근본적으로 파악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최근 작물의 광합성 능력 및 생리적 스트레스를 파악하기 위하여 광화학반사지수(Photochemical Reflectance Index; PRI)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PRI는 531 nm와 570 nm 반사율의 비로 계산되기 때문에 초분광 영상을 이용하여 산출이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배추를 대상으로 드론 기반의 초분광 영상을 이용하여 PRI 분포도를 작성하고 밴드 융합 기법을 이용하여 다중분광 기반의 PRI 모니터링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객체단위로 추출한 초분광 영상 기반 PRI와 다중분광 기반의 PRI간의 결정계수(R2)는 0.682로 나타났으며, 지상고정형 센서인 SRS-PRI의 관측 결과와 증감추이가 유사하게 나타나 밴드 융합을 통한 다중분광 밴드 기반의 PRI 모니터링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벼 흰잎마름병 접종에 따른 벼 잎의 분광반사특성 변

        이경도 ( Kyungdo Lee ),김상민 ( Sangmin Kim ),나상일 ( Sangil Na ),안호용 ( Hoyong Ahn ),박찬원 ( Chanwon Park ),소규호 ( Kyuho So ) 한국농공학회 2018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8 No.-

        벼 흰잎마름병은 세균에 의해 발병되는 병으로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일본, 대만, 필리핀, 인도, 인도네시아 등 동남아의 벼 재배지에서 큰 문제가 되고 있는 병해이다. 본 연구는 무인비행체 영상을 활용한 작물 병해 평가의 사전 연구로서 벼 흰잎마름병 발생에 따른 벼 잎의 분광반사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2016년 12월 14일 국립식량과학원 온실에서 벼 흰잎마름병 감수성 품종인 “동진1호”를 사각 포트에 이앙하여 2017년 3월 3일 벼 흰잎마름병(K3a 레이스)균 배양액에 가위를 적신 후 절엽하여 병을 접종하였다. 2017년 3월 3일 병 접종 직전과 접종 후 3, 5, 7, 10, 12, 17, 24일이 경과한 3월 6일, 3월 8일, 3월 10일, 3월 13일, 3월 15일, 3월 20일, 3월 27일 총 8회에 걸쳐 포트에서 벼 잎을 채취하여 분광복사계(ASD3, Analytical Spectral Devices Inc., USA)에 Plant Probe를 장착하여 절엽 부위에서 5 cm 밑 부분을 400-2500 nm 범위에서 1 nm 간격으로 반사율을 측정하고 병징 면적 비율 변화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병 접종 벼 잎의 분광반사율 변화를 분석한 결과 병징 면적 비율은 700nm에서 750nm의 파장대역 반사율과 0.9 이상의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500nm에서 700nm 사이 가시광선 영역과 800nm 이후 근적외선 영역 반사율과도 0.8∼0.9 이상의 비교적 높은 상관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벼 흰잎마름병 접종 처리한 벼 잎 병징 면적 비율은 병 접종 10일 이후부터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NDVI, GNDVI 및 NDRE 식생지수는 병징 면적 비율 증가와 함께 뚜렷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병징면적 비율이 빠르게 증가했던 병 접종 후 10일의 이들 식생지수와 병징 면적 비율의 상관계수는 -0.77에서 -0.95로 음의 선형 상관을 보였다.

      • KCI등재

        GK2A AOD를 이용한 Sentinel-2 영상의 대기보정: FLAASH, Sen2Cor, 6SV1.1, 6SV2.1의 비교평가

        김서연 ( Seoyeon Kim ),윤유정 ( Youjeong Youn ),정예민 ( Yemin Jeong ),박찬원 ( Chan-won Park ),나상일 ( Sang-il Na ),안호용 ( Hoyong Ahn ),류재현 ( Jae-hyun Ryu ),이양원 ( Yangwon Lee ) 대한원격탐사학회 2022 大韓遠隔探査學會誌 Vol.38 No.5

        이 단보에서는 농림위성(차세대 중형위성 4호)에 적합한 대기보정 기법 개발을 위하여, 농림위성과 공간 및 분광 해상도가 유사한 Sentinel-2 영상을 이용한 대기보정 결과를 소개하고자 한다. 대부분의 연구에서 동일한 조건에 대하여 상이한 Aerosol Optical Depth (AOD) 자료를 사용한 결과를 비교한 사례는 찾아보기 힘들다. 따라서 향후 농림위성의 대기보정에 사용될 Geo-Kompsat 2A (GK2A) Advanced Meteorological Imager (AMI)와 Aerosol Robotic Network (AERONET) AOD 입력자료를 기반으로 Fast Line-of-sight Atmospheric Analysis of Spectral Hypercubes (FLAASH), Sen2Cor, Second Simulation of the Satellite Signal in the Solar Spectrum - Vector (6SV) 버전 1.1과 2.1 모델의 대기보정 결과를 비교하였다. 모델 간 반사도 상관행렬이나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NDVI) 결과를 고려해 볼 때, 6SV2.1이 보다 안정적인 모델로 사료된다. To prepare an atmospheric correction model suitable for CAS500-4 (Compact Advanced Satellite 500-4), this letter examined an atmospheric correction experiment using Sentinel-2 images having similar spectral characteristics to CAS500-4. Studies to compare the atmospheric correction results depending on different Aerosol Optical Depth (AOD) data are rarely found. We conducted a comparison of Fast Line-of-sight Atmospheric Analysis of Spectral Hypercubes (FLAASH), Sen2Cor, and Second Simulation of the Satellite Signal in the Solar Spectrum - Vector (6SV) version 1.1 and 2.1, using Geo-Kompsat 2A (GK2A) Advanced Meteorological Imager (AMI) and Aerosol Robotic Network (AERONET) AOD data. In this experiment, 6SV2.1 seemed more stable than others when considering the correlation matrices and the output images for each band and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NDVI).

      • UAV 영상자료를 활용한 경사밭 고랑식생멀칭에 따른 식생 피복도 비교

        양예린 ( Yerin Yang ),최순군 ( Soon-kun Choi ),안난희 ( Nan Hee An ),엽소진 ( So-jin Yeob ),안호용 ( Hoyong Ahn ) 한국농공학회 2023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3 No.0

        농경지 비점오염 저감방법인 식생멀칭은 비구조적 최적관리기법 (BMPs, Best Management Practices) 중 하나로, 주작물과 함께 피복식물을 파종하여 피복도를 증가시키고 강우가 토양에 떨어지는 타격을 완충시킴으로써 토양침식 및 양분유출을 저감 하는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경사밭 옥수수재배지의 식생멀칭에 따른 식생 피복도를 관행 재배와 비교 평가하고자 하였다. 시험포장은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경사지라이시미터 (전북 완주군 이서면)에 구성하였으며 대조구는 토양증발과 잡초 발아 억제를 위한 비닐멀칭 관행 재배로, 처리구는 관행 재배에 고랑식생멀칭을 적용하였다. 시험포장의 토성은 양토, 사양토이며 경사장은 24m, 경사도는 13%이다. 경운 및 비닐멀칭은 4월 4일, 옥수수는 4월 21일에 정식하였다. 고랑식생멀칭 처리구에 사용한 식물은 알팔파로 옥수수 정식 전인 4월 5일 파종하였다. 옥수수는 7월 6일에 수확하였으며, 수확 후에도 경운 없이 옥수수와 알팔파를 유지하였다. 옥수수는 7월 28일에 제거하였다. 시험 포장의 피복도 비교를 위해 시험구를 UAVs를 이용해 4월 ~ 8월 총 6회 촬영하였고, 가시광선파장(RGB)을 이용해 피복도를 산정하였고 근적외선 파장을 이용해 엽면적활력지수 (NDVI)를 비교하였다. 본 연구는 토양 피복도에 따른 토양침식 및 양분유출 평가를 위한 기초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