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문화마을의 주택유형 및 공간적 특성에 관한 연구

        이건식 남서울대학교 디지털정보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1990년대 들어 우리나라 마을은 획기적인 전환점과 주거환경개선을 시도하였다. 소위 문화마을로 지칭되고 있는데 그 목적은 농어촌 면지역의 중심(거점)마을 등에 집중 지원하여 생활환경을 정비하고, 농촌관광, 농촌체험활동, 소득증대사업 및 생산기반정비사업을 연계 추진함으로써 생활환경과 소득이 조화된 농촌마을로 정비하는 것이다. 이는 교육 또는 문화혜택 등 삶의 질을 높이고자 하는 주민들의 욕망이 실제적으로 젊은층을 중심으로 강하게 일어남으로 이농현상 등 줄어가는 농촌인구를 막고 오히려 기존마을 주민들 뿐 아니라 타지로부터의 주민 유입을 통하여 농촌마을의 새로운 모습이 전개되는 양상도 발견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은 농어촌환경개선사업 중에서 ‘문화마을 조성사업’(정주권 개발)의 결과로 나타난 마을의 현황과 주택 유형 및 공간적 특성을 파악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조사대상 마을은 전국적으로 91년부터 97년까지 지구 선정되어 시행된 22개 문화마을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의 방법은 첫째, 문헌 및 자료조사를 통해 농촌 지역생활권의 단계구성, 마을의 규모 및 주거형식, 그리고 농촌 주택의 변천과정을 살펴보았고, 둘째, 문화마을의 현황 및 주택실태조사로써, 인구, 가구, 농가와 비농가수, 마을의 공공시설 등을 파악하였다. 셋째, 본 조사에서는 주택의 구조유형, 주택의 실 종류와 확보현황, 주택의 평면과 공간적 특징을 살펴보았으며, 현재 주민들이 문화마을 주택에 대해 어떻게 느끼고 요구하는지도 알아보기 위해 P.O.E.를 실시하여 금후 문화마을 조성과 주택설계시 설계기반적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논문의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마을은 농어촌지역의 정주환경개선을 위하여 조성되어감에 있어 다소의 효과를 보이고 있으나 단지 주거기능만을 추구하므로 인해 종합적 정주환경조성에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므로, 앞으로 도시와의 관계, 지역문화와의 관계, 주거환경의 개선 차원에서의 접근이 필요할 것이다. 둘째, 문화마을내 주택의 구조유형은 83.4%가 조적조 주택이다. 최근 콘크리트조, 철골조, 목조등이 다양하게 건립되고 있어 조적조주택 위주에서 새로운 개념의 주택구조가 도입되어지고 있는 실정으로 금후 문화마을주택에 관한 다각적인 연구가 그 어느 때보다도 시급하다 사료된다. 셋째, 주택의 형태는 박스형의 평지붕 슬래브 주택이 상당부분 차지하여 전통성의 상실은 물론 주택과 자연경관이 어울리지 않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새롭게 조성되는 문화마을의 경우 주민규약이나 전문가집단의 설계참여 등 보다 적극적인 방법으로 개선해나가야 할 것이다. 넷째, 주택의 공간구성은 도시형주택과 유사한 거실 중심평면형이다. 이것은 일상생활권의 확대, 정보교류의 용이함, 생활의 편리성을 추구하는데서 오는 것으로 주로 도시주택, 특히 아파트에서 나타나는 평면형을 취하고 있다. 즉, 삶의 질에 따른 공간적 대응이 도시형 평면으로 전개되는 양상을 파악할 수 있어 지역의 문화와 개인의 주거성 등이 무시되는 대신 유사평면의 도입과 반복적용현상이 강하게 대두되고 있다. 다섯째, 주택의 실 구성은 거실, 부엌, 화장실, 침실3개가 기본이며, 현관 및 다용도실의 설치율은 높으나 부부화장실, 창고 및 부속사는 선택적이다. 또한 주택의 평균면적은 40평을 전후로 2층 주택이 건립되고 있으며, 주택의 기능은 거실 중심형과 코리드형으로 대별 할 수 있는데, 융통성과 가변성이 유리한 거실 중심형이 대부분이다. 여섯째, 농가와 비농가 주택의 만족도 비교에서는 주택의 난방·환기·건조공간(0.05), 욕실온수(0.10)의 경우에는 농가와 비농가 두 모집단이 정규분포를 이루며 분산이 같다고 가정되었으며, 평균에 의한 차이를 검증해 보았을 때 차이가 있다고 할 수 있으므로(H_(1): μ_(1 )μ_(2)) 각 실에 대한 만족도는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연구가설이 지지되었다. 이를 살펴보면 4개 항목 모두 농가주택의 만족도가 비농가 주택보다 낮게 나타나고 있다. 그러므로 농가주택의 경유 향후 주택설계시 이상의 4개 항목에 대해서는 특별히 세심한 고려 하에 설계가 이루어져야 하겠다. 마지막으로, 주택 선호도 조사 분석에서는 대지면적의 경우 농가가 비농가보다 넓은 대지를 선호하였으며, 건축면적은 30평 이상을 선호하는 응답비율이 57.8%에 이르므로 향후 주택의 규모는 커질 것으로 사료된다. 주택의 층수는 1층과 2층의 비율이 대등할 것으로 보이며, 지하실을 두는 비율은 낮을 것으로 보여 지고, 평슬래브주택과 도시형전원주택의 비율이 높게 나타날 것으로 분석 되었다. 주택의 외벽은 붉은벽돌을 가장 선호하였으며, 내벽에는 벽지를 바르겠다는 응답이 많았다. 커튼을 선호하는 비율이 높았으며, 바닥은 온돌, 지붕은 시멘트 몰탈과 아스팔트 싱글이 주를 이룰 것으로 분석되었다. 지붕 색깔로는 회색과 검정색을 선호하였으며, 취사연료로는 가스를 난방연료로는 심야전기를 선호하며, 욕조를 사용하겠다는 응답자가 70.3%였으며, 실외화장실을 만들겠다는 응답비율이 51.6%이었다. 부엌바닥은 모노륨 장판을 가장 선호하였고, 부엌 벽은 타일과 벽지를 사용하겠다는 선호율이 높았다. 또한 부엌조명으로는 형광등을 가장 선호하였다. 거실의 크기는 8∼10평 37.5%와 11평 이상 35.9%로 나타났으며, 소파를 사용하겠다는 응답자가 73.4%이고, 형광등사용을 82.8%가 선호하였다. 안방의 크기는 5∼7평(54.7%)을 가장 선호하였으며, 침대와 장롱을 사용하겠다는 비율이 각각 높게 나타났다. 안방바닥 역시 모노륨 장판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부속사를 만들려는 비율은 60.9%이며, 구조는 목조를 선호하였고, 크기는 5평 이하가 가장 선호 되었다. 장독대와 주차장을 선호하는 비율은 65.6%와 62.5%로 나타났으며, 담장구조로는 생울타리로 하겠다는 응답이 가장 많은 31.3%로 조사 분석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향후 문화마을을 조성함에 있어서 주민들에게 설계기반적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주택설계시 참고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상의 연구결과에 따른 주택의 구조유형 및 외관형태가 반영된 다양한 주택의 평면제시를 향후 연구과제로 남긴다. The towns of our country(in korea) had an epochal turning point and it had been tried improvement of residential environment there in 1990. They are called Munwwha-Maul and the purposes of it are to consolidate living environment with volunteer for central towns(Myeon) of farming and fishing areas, and to make the farming villages harmonize with living environment and incomes by the promoting farm tourism, the farm experience activities, the income-increasing enterprise and the improvement enterprise in productive basis. The above things can increase farm population because they are able to prevent movement of young in a farm with highly quality education or benefits of civilization. Also, the farm towns can develop through an inflow of inhabitants in another place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sis types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housing in Munhwa-Maul, and provide a basic data of housing design in Munhwa-Maul. The analysis is divided into two main categories; classification of types, drawing a plan of housing in Munhwa-Maul. Accordingly, the current dissertation aimed to identify the present condition of towns, types of housing,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housing, which were resulted by construction enterprise of Munwha-Maul. The towns in the subject of the study were 22 Munwha-Maul which were chosen districts and took effect in korea from 1991 to 1997. In the methods of the study, first, I explored phases of local living rights in farms, scopes and residential forms of towns and transitional processes through literature and research of data. Second, I identified the population, the family, the farmhouse and the non-farmhouse, the number of public facilities by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and the present condition in Munwha-Maul. Third, this research showed types of housing, kinds and the present condition of real housing, a plane of housing and spatial characteristics. Also, I present basic data as the housing design and the construction of Munwha-Maul after putting P. O. E. in effect to know what the natives think about Munwha-Maul housing and what they need. I propose conclusions as follows through findings of types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housing in Munwha-Maul in this dissertation. First, Munwha-Maul is a little effect with constructing the towns for permanent environment in farming and fishing areas. however, it leaves much to desired on the general construction of permanent environment because it seeks only residential abilities. So, it needs relationship of cities, relationship of local cultures and improvement of residential environment. Second, structural types of housing in Munwha-Maul is 83.4% of masonry house. These days many builders are making various constructions of the concrete house, the steel house or the timber house. It shows that a new structure of housing is been introducing recently, and it is necessary for diversified studies about Munwha-Maul. Third, a form of housing is almost a slab housing of a flatly square roof but it is not only loss of tradition but also disharmony of housing and nature. Therefore, in this case of Munwha-Maul built newly, it can be improved with active methods such as rules of inhabitants, design participation of experts and others. Fourth, spatial organization of housing is the central plane figure like the living room and it is similar to the housing form in a city. This is to seek enlargement of daily living, easiness of information interchange, and convenience of living and mainly takes the plane figure to present apartment in a city. In other words, introduction of the similarity plane and the repeatedly appliable appearance is gathering more strength than the local culture and the housing life of an individual because spatial confrontation with quality of living can identify a aspect spreading as the plane in a city. Fifth, real organization of housing is a living room, a kitchen, a bathroom, and three bed rooms and most people want to have the front door and the multipurpose room but the bathroom for man and wife and the warehouse, and the outhouse are optional. Also, the average area of housing is about 40 p’yo^(˘)ng [a unit of area (=3.954 sq. yds.)] and these housing is commonly the second story one. The ability of housing classifies the central form of a living room and the form of the Corinthian order and Most housing is the central form of living room because of adaptability and variableness. Sixth, in the satisfaction degree between a farmhouse and a non-farmhouse, they was supposed to have the regular distribution and be alike dispersion with the above two houses in case of a heating apparatus · a change of air · a drying space(0.05) and warm water in a bathroom(0.10). And also when we inspected average distinction of the two houses, we found there was a difference(: μ1 μ2). Hence the hypothetic study which would be differences of the satisfaction degree between the farmhouse and the non-farmhouse was supported. According to the four items[a heating apparatus · a change of air · a drying space(α=0.05) and warm water in a bathroom(α=0.10)], the satisfaction degree of the farmhouse is lower than one of the non-farmhouse. Therefore when the farmhouse is designed, it needs more careful consideration. Finally, the farmhouse preferred more larger site than the non-farmhouse in analysis of the matter of preference in housing and it is expected that the scale of housing is getting bigger because people who prefer over 30p’y?ng was 57.8%. It was demonstrated that he number of layers in housing seemed to equal rates between the first layer and the second layer, and be lower the rate of the basement, while be higher the rate of the flatly slab housing and urban farm-housing. The red brick in the outer wall in housing was preferred and there were a lot needs to cover a inside wall with paper. On the one hand people want the curtain, the Ondol floor and the roof of the cement-mortar and asphalt-single. People preferred the roof to the gray and black color, the cooking fuel to the gas, heating fuel to the midnight electricity and the respondents who want the bathtub were 70.3%, the ones who want the outside toilet were 51.6%. In the kitchen the floor preferred to Monoryum and The wall did to the tile and the wall paper. Also, the light did to the fluorescent light. The scales of the living room were 37.5% of 8∼10p’yo^(˘)ng and 35.9% of over 11p’yo^(˘)ng and 73.4% of the respondent wants to use the sofa, 82.8% of the one wants to use the fluorescent light. 5∼7p’yo^(˘)ng(54.7%) was preferred in the scale of the inner room and there were the high rates to use the bed and the wardrobe. It was demonstrated that the floor in the inner room was preferred to Monoryum(laminated paper). The rates to make the annex were 60.9% and the wooden structure was preferred and the scale was preferred to under 5p’yo^(˘)ng. The preference rates of the jar stand and the parking place presented each 65.6% and 62.5% and it was analyzed that 31.3% of the respondent said to be make the fence built of hedges. Consequently the study will be able to be referred with offering data to the residents to make Munwha-Maul. In addition, the presentation of the plane of various housings which are reflected in the structure types of housing and the external form caused by findings of the study is a problem from now on.

      • 共同住宅의 工事費 構成 및 合理的인 槪算工事費 算定에 관한 硏究

        이건식 漢陽大學校 産業大學院 1997 국내석사

        RANK : 247631

        1980년대부터 주택사업의 호황으로 많은 공동주택이 건립되었고 이에 따른 여러 공법과 경영 기법이 나름대로 체계화를 이루고 있다. 사업성의 이윤 극대화를 위하여 용적률이 커지고 각종 자재의 개발 및 건설 중장비 등이 사용되었고, 건설 현장의 관리 기법도 다양하게 되었다. 또한 80년대 후반부터 교통수단의 발달이 산업 전반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면서 동시에 공동주택의 주차 면적 구성비까지도 파급 효과를 미치게 되었다. 국민생활 수준이 전반적으로 향상되고 자가용 승용차의 보유대수가 증가됨에 따라 공동주택의 주차면적 확보가 새로운 국면을 맞게 되고, 이러한 주차면적 확보 문제가 사업승인 조건은 물론 분양률에 영향을 미치는 커다란 변수의 하나로 작용되고 있다. 특히, 94년 후반기부터는 공동주택 주차장 설치기준이 대폭적으로 강화됨은 물론, 아파트 평형별로 강제 확보 규정을 새로이 제정하여 주차면적이 커다란 이슈로 부각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도심 재건축이나 재개발 현장의 경우 사업부지 여건상 지상 주차 면적보다는 지하 주차 면적이 늘어나는 사업 양태를 띄고 있어 지하 주차장 및 관련 토목공사의 비중이 점증되고 있는 실정이다. 공동주택의 사업성 분석요인으로는 토지비, 설계·감리비, 금융비용, O&P, 제세․공과금등의 제 간접비와 직접공사비로 구분할 수 있다. 그러나, 제 간접비는 거의 공식화되어 있기 때문에 공동주택에 대한 분양수입 및 공사 비용추정이 사업 타당성 분석의 주요 변수라고 볼 수 있다. 분양가는 대개 지역별 시세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대도시에서는 분양가 자율화가 예상되므로 개략적인 가격 선이 형성되어 있다고 볼수 있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직접공사비의 합리적 개산이 중요변수로 귀결 지어 진다. 모델현장 선정 및 직접공사비에 대한 개괄적 연구진행은 다음과 같다. 수도권 및 전국에 산재해 있는 10개의 공동주택에 대하여 현장조건 및 실행공사비를 분석하고 편의상 공통공사, 지상층 공동주택공사, 지하층 주차장공사, 간접비로 구분하였다. 공사비중 상기공종이 차지하는 비율은 각각 17.17%, 67,49%, 7.06%, 8.28%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지상층 공동주택공사에 초점을 맞추었다. 지상층 공동주택의 주요 공사비 점유 공종 및 그 점유 비율은 철근콘크리트공사(43.9%), 조적공사(2.8%), 미장공사(7.4%), 타일공사(3.8%), 수장공사(3.7%), 가구공사(8.3%)와 같은 6개 공종으로 건축공사중 차지하는 비율은 약 70%에 이르고 있다. 상기 6개 공종의 중점관리가 원가절감 및 근사치 평단가 산정의 주요 관건이라고 볼 수 있다. 실제 자료에 의한 합성 평단가의 검증현장 적용시 실행예산금액 기준으로 그 근접도는 평균 99.87%에 이르고 있다. 문제점은 대상현장의 사업조건이 통계현장의 사업조건과 커다란 차이가 있을 경우와 주요항목 평단가에 대한 상황별 조정 DATA가 아직은 미흡하여 합리적인 개산치 산정이 어렵다는 것이다. 따라서, 연구의 대상을 조건이 거의 유사한 지상층 아파트에 국한시키게 되었다. 본 연구는 당사 및 동종업계 타사의 실행예산을 분석자료로 사용하였으며 그 진행은 다음의 다섯 단계로 진행되었다. 첫째, 사업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인 을 세부적으로 분석하였으며, 둘째, 실행예산의 전반적 구성과 공정 및 공종별 구성 등을 분석하였고, 셋째, 그 분석에 따른 항목별 공사비 절감요인을 파악하였다. 넷째, 지상아파트와 지하주차장의 공사비를 정밀 분석하여 개산평단가를 산출하여, 실지검증현장에 적용하였고, 다섯째, 검증현장에 적용한 개산공사비와 실행예산금액을 대비 및 분석하였다. 본 논문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현재까지 직접공사비의 산정은 유사 현장을 기준한 평단가 개념으로 분석되고 있으나, 다양한 개개의 현장 여건상 일률적인 적용에 무리가 있다고 하겠다. 그 이유는 지하 주차장의 규모에 따른 변수의 폭이 커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종래의 전체 통합 평단가 개념을 개선하여 지상층 공동주택 자체만의 평단가와 지하 주차장 평단가를 합성시킨 합성평단가를 적용하여 산출한 공사비가 좀더 합리적인 개산치라할 수 있겠다. 향후, 공동주택의 사업성 분석을 위한 좀더 합리적인 개산공사비 산출을 위해서는 공사 실적자료의 축적과 분석을 통한 자료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매년 발생하는 경기변동과 물가상승율, 사업의 형태와 조건, 기능공 작업능률등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져야 보다 합리적인 개산 공사비 산출이 가능할 것이다.

      • 현대국어의 반복복합어 연구

        이건식 단국대학교 1987 국내석사

        RANK : 247631

        本稿는 現代國語의 反復複合語를 對象으로 하여 이들이 갖는 形態論的 特性과 語彙·意味論的 特性을 考察하였다. 本考의 內容을 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反復複合語는 反復의 楊式에 따라 同音反復複合語와 類音反復複合語로 나뉘고 同音反復複合語는 아래와 같이 下位分類된다. (가) 類 : [N+N]_N : 가지가지, 집집 …… (나) 類 : [N+N+(-이)]Ad : 마디마디, 구절구절(이) …… (다) 類 : [Ad+Ad]Ad : 고루고루, 미리미리 …… (라) 類 : [root+root]AD : 출렁출렁, 너울너울 …… 둘째, (라) 類의 反復複合語는 象徵語로서 單獨形態보다는 反復形態가 어휘적 안정성을 쉽게 획득하며, (라)類의 單獨形態와 反復形態는 接尾辭 '-하-, -대-, -이-, -거리-'에 의하여 動詞化되며 이때의 接尾辭는 意味資質 [active], [progressive], [iterative], [frequence]으로 구별된다. 세째 名詞類가 反復構成에 참여할 경우 이들 名詞類들은 形態上 名詞이고 統辭·意味上 名詞의 일종인 分類詞이다. 慣習語인 副詞가 反復構成에 참여할 때에 나타나는 형태·의미상의 제약은 잘 찾아지지 않고, 象徵副詞는 그 자체의 음성상징적 성격으로 인하여 반복형태가 주류를 이룬다. This study investigates morphological and lexico-semantical characters of reduplicative words in Modern Korean. A Summary of this study is as follows. 1. Reduplicative word can be divided into Dong-Um(同音) reduplicative word and Ryu-Um(類音) reduplicative word according to the pattern of reduplication. And the Dong-Um(同音) reduplicative word can be sub-classified as follows. (A) class : [N+N]_N : 가지가지, 집집 …… (B) class : [N+N+(-이)]Ad : 마디마디, 구절구절(이), …… (C) class : [Ad+Ad]Ad : 고루고루, 미리미리, …… (D) class : [root+root]Ad : 출렁출렁, 너울너울, …… 2. B-class of several reduplicative words is symbolic word, it does not as simple-morph but are reduplicative-morph in morphology. And simple morph and reduplicative-morph is verbalized by the suffix, '-ha(하)-' '-dae(대)-', '-i(이)-', 'ko ri(거리)-'. These preceding suffixes can be distinguished as the semantic feature such as [active], [progressive], [iterative], [frequence]. 3.Noun phrases which can construct the reduplicative word are morphologically nouns,and syntatic-semantically Classifiers. 4.When adverb as a conventional word constructs the reduplicative word morphological-semantic features of that adverbs are not satisfactorily found.

      • 高麗時代의 釋讀口訣의 助詞에 대한 硏究

        이건식 단국대학교 대학원 1996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국어의 助詞를 格助詞와 補助詞로 나누어 高麗時代 釋讀口訣에 나타난 조사의 형태론적 특징과 통사·의미론적 기능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먼저 석독구결의 표기법을 밝히고 서술어의 특징을 정리하였다. 석독구결의 표기법 연구에서 미진했던 省略表記의 유형이 고찰되었고 형용사나 자동사를 語基로 타동사를 형성하는 문법적 절차(단형사동, 장형사동)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고 또한 사동접사 '□/이'와 '□/오'의 실현이 부분적으로는 隨意的인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두 개의 격을 隨意的으로 지배하는 서술어의 종류를 살펴 보았다. 석독구결의 격조사에 주격(□/이), 대격(□/을), 구격(□/로), 처격(□:□, □ 十/□十/十:애/에/예, □/之:기원적인 처격), 공동격(人/과), 속격(□:□' 七/尸/心:ㅅ), 호격(下/하, □/여, □/아) 등의 7격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 체계는 후기중세국어의 격체계와 비교해 볼 때 후기중세국어의 여격을 쳐격에 통합한 것으로 석독구결에서의 처격과 여격이 동일한 표지로 실현되어 처격과 여격이 선행체언의 의미에 따라 구별되는 것을 근거로 하였다. 주격조사 '□'가 '주어'의 기능을 보이기도 하지만 부분적으로 '주제'의 기능을 보이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주격조사가 부분적으로 '주제'의 기능을 갖는 증거로 자동사가 형태상의 변화없이 주어의 有情性과 無情性에 따라 被動詞로 쓰이기도 하고 能動詞로 쓰이는 것에서 찾았다. 대격조사 '□'이 타동사의 지배를 받을 때는 대체적으로 행위의 대상을 표현하는 '대상격'으로 기능하지만 자동사의 지배를 받을 때는 자동사의 의미를 특수화는 기능 즉 부사로서의 기능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석독구결에서 자동사 '向□-', '趣入□-'가 처격뿐만 아니라 대격을 지배하는 예를 근거로 삼았으며 형용사 '如這'가 대격과 처격을 지배하는 예를 그 근거로 삼았다. 구격조사 '□'가 타동사의 지배를 받을 때는 그 의미기능이 '재료', '기관'을 포괄하는 [도구]의 의미를 표현하나 자동사의 지배를 받을 때 구격어가 주어의 힘을 전달받아 이 힘을 서술어에 전달할 경우에는 [도구]의 의미를 표현하고 구격어가 주어의 힘이 아니라 외부의 힘을 서술어에 전달할 때에는 [원인]의 의미를 표현하는 것으로 보았다. 처격표지는 다양하게 나타나나 크게 '□/의' 계통의 '□/의'와 '애/에/예' 계통의 '□十', '□十', '□十/□十', '十'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석독구결 처격조사의 의미기능을 [시간], [기점], [기준점], [처소], [귀착점], [방향]으로 파악하였다. 처격이 문장 성분상 부속성분일 때 [시간]의 의미가 표현되며, 존재동사, 타동사의 지배를 받을 때 [기점], 형용사의 지배를 받을 때 [기준점], 존재동사, 비동작동사의 지배를 받을 때 [처소], 동작동사의 지배를 받을 때 [귀착점], 이동동사의 지배를 받을 때 [방향]의 의미가 표현되고 있다. 공동격조사 'ㅅ'는 [열거]만을 표현하고 [동반]의 의미기능을 보이지 않았다. 속격조사는 '□/의' 계통과 '七/尸/□/ㅅ' 계통으로 나뉘고 '□'는 '명사(구)+명사(구)'의 구성에서는 '소유-피소유'의 의미관계를 표현하며 동명사문에 분포했을 때는 동명사의 논리적 주어가 되나 '七, 尸, □'는 존칭체언인 경우에만 동명사문의 논리적 주어가 되고 무정체언인 경우에는 深層的으로 동명사의 처격임을 확인하였다. 호격조사에는 존칭호격 '下/하', 평칭호격 '□/아'가 있으며 존대의 등급상 중간적인 '□/여'가 있다. 고려시대 석독구결의 보조사에는 주제의 'ㄱ/ㄴ', 동일의 '刀/도', 강세의 '□/□', 각자의 '□ㅣ/마다', 정도의 '□/마', 한정의 '火七/□', 각자의 '□/곰' 등이 있다. 후기중세국어 보조사의 분포와 비교해서 큰 차이가 없으나 부분적으로는 차이를 보인다. 즉 대격 '□'과 동일의 보조사 '刀'가 결합된 '□□刀/□□刀(을라도)'는 후기중세국어에서 찾아볼 수 없는 것이며 주격조사 '□'에 선행하는 '□'는 특이한 것이며 '□□/마다'는 후기중세국어와는 다르게 처격표지 뒤에 실현되는 점이 특이한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tudy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the syntatic - semantic functions of Josa(助詞), which showed in the sok-dok Kukyul(釋讀口訣) of Korea Dynasty. As the lack of material, the characteristics of Josa in Early Middle Korean are not clear, so I wish to find out the grammartical characteristics of it by studying the Sok-dok Kukyul. The Sok-dok Kukyul is a kind of writing translated Chineses into Korean. On the basis of understanding the Chinese text, First of all, I try to understand the Korean linguistic facts. In this process, I carefully analysis the aspects of the transformation of Chinese verbs into Korean verbs, and willing to grasp the syntatic - semantic relations between Josa(助詞) and verb. Considering the Later Middle Korean, I try to understand the linguistic facts which appeared in Sok-dok Kukyul in Korea Dynasty. At first, I summarize the results of studying Case Marker(格助詞). Subjective case marker of Early Middle Korean, in general, is different from that of Later Middle Korean. Because the distinction between the intransitive and the transitive did not exist in Early Middle Korean, all verbs, intransitive verbs and transitive verbs, have passive meaning when an unhuman nominal combined with subjective case marker. It is the different characteristic from that of Later Middle Korean. Objective case marker does not differ from that of Later Middle Korean, too. But the locative one in Later Middle Korean. is sometimes appeared as an objective one. Instrumental case marker has various meaning in Early Middle Korean : "means", "method", "cause". It is similar to Later Middle Korean. But the instrumental case marker, meant a direction, is found only one case. Locative case marker shows a great difference from that of Later Middle Korean. Above all, the types of it are more various than that of Later Middle Korean. For example, "□, □十, □十, 十, □" are appeared. "□" is seemed to be the original type of locative case marker, but it is not seen in Later Middle Korean. The meaning of locative case marker is also different from that of Later Middle Korean. The locative case marker and the dative case marker are divided in Later Middle Korean, but the dative case is expressed as locative one in Early Middle Korean. For that reason, an honorific - dative case and an inhonorific - dative case are not differed in Early Middle Korean. The meaning and function of locative case is differed from that of Later Middle Korean, too. While it's meaning area is "time", "place", "direction", "cause", "comparison" in Later Middle Korean, in the Sok-dok Kukyul it's meaning area is "time", "place", "direction". When the locative case, meant direction, combines with an intransitive verb, it has the meaning of "direction". Also, when it combines with ann abjective, it means "comparison". Because the passive verb is not exist in Sok-dok Kukyul, there is no case marker in Sok-dok Kukyul which means "cause". It says that the intransitive verb and transitive verb are not distinguished in Early Middle Korean. Alike Later Middle Korean, the inhuman genetive case is opposite to human case in its distribution, but sometimes it is not observed. In the coordinative case, only the enumerate meaning is found, but the meaning of coordination is not found. It is the difference from Later Middle Korean. In my opinion, the second noun seems to be expressed without subjective case or case marker itself in double subject nexus. The vocative case, alike Later Middle Korean, has the opposition between honorific and inhonorific case. Now I summarize the results of studying Bojosa(補助詞). Subjective - Bojosa "ㄱ" has the function of case marker in Early Middle Korean, it differs from other Bojosa. Identity - Bojosa "刀" used in the situation of subjective and objective without case marker, and when it used after locative case marker, it added the meaning of identity. These are not different from Later Middle Korean. Each - Bojosa "□ㅣ" differs from Later Middle Korean in distribution. While the locative case marker is omitted in the Later Middle Korean, It is not omitted in Sok-dok Kukyul when Bojosa "□ㅣ" is expressed. Empasis - Bojosa "□" is combined with subjective case marker in Sok-dok Kukyul. It is not found in current Korean. Compared with Later Middle Korean, Bojosa, in general, locates after case marker or it substitutes case marker in Sok-dok Kukyul. It says that Bojosa is inclined to combine with adverb, not with case marker afterwards.

      • 건설공사 공기연장 클레임을 위한 지연분석 방법에 관한 연구

        이건식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일반적으로 건설 프로젝트의 경우 기술의 복잡성, 옥외환경, 오랜 기간 동안의 작업 진행 및 여러 주체가 참여한다는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각종 변경사항이 발생하기 쉽고 이로 인해 공기지연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특히 해외에서 수행되는 플랜트건설과 같은 프로젝트의 경우 계약일정을 준수하지 못했을 때 계약조건에 의해 지체보상금(Liquidated Damage)을 발주자에게 지불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이는 계약자에게 상당한 부담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계약자는 이러한 리스크를 해소하기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 공기연장 클레임을 준비하게 된다. 공기연장 클레임에 있어 가장 중요한 부분은 지연분석이다. 만약 지연분석에 대한 계약당사자간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이는 클레임을 넘어 중재 및 소송과 같은 법적분쟁으로 이어질 수도 있으며, 이는 계약당사자 모두에게 불필요한 시간 및 금전적 손실을 발생시킨다. 이를 방지하고자 계약당사자 모두가 신뢰할 수 있는 다양한 지연분석 방법들이 제시되었고, 특히 As-Planned versus As-Built Window Analysis 방법의 활용도가 전세계적으로 가장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최근에 들어 프로젝트의 규모가 커지고 복잡해짐에 따라 프로젝트를 구성하는 작업(Activity)의 개수도 증가하였는데, 이 같은 대형건설프로젝트를 대상으로 한 지연분석방법으로 As-Planned versus As-Built Window Analysis 방법을 사용할 경우 주공정선(Critical Path)이 변경되었을 때 이를 쉽게 파악하고 관리하지 못할 수 있다는 한계점이 발견되었다. 따라서 대형건설프로젝트의 지연분석 시 As-Planned versus As-Built Window Analysis 방법이 갖고 있는 한계를 극복하고자 Time Slice Window Analysis 방법을 제시하였다. 국내외 대형건설프로젝트의 공기연장 클레임을 담당하고 있는 엔지니어들이 본 연구에서 제시한 사례를 참고하여 공기연장 클레임을 위한 지연분석방법 선택에 활용한다면, 지연분석 실패로 인해 야기되는 불필요한 시간 및 비용에 대한 손실을 방지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 사료된다.

      • 보안 상황인지 홈네트워크 서비스를 위한 인프라 스트럭쳐 연구

        이건식 中央大學校 大學院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차세대 홈네트워크의 핵심은 사용자가 의식하지 않고도 서비스를 제공받는 "Invisible Services"라고 할 수 있으며, 사용자 중심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종류의 Context들이 요구되고 이로 인해 개인 프라이버시 노출의 위험도 증가한다. 따라서 Entity와 Context 간의 안전한 기능성 확보와 구현이 상황에 따라 적용하는 보안기술과 사용자가 의식하지 않고도 안전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보안 상황인지 인프라 구조에 대한 기술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보안 상황인지 홈네트워크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하여 기존 context-aware security system과의 연동을 통한 보안 상황인지 미들웨어 인프라 구조를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미들웨어 인프라 구조는 보안의 통합적 관리, 상황 인지형 보안 인프라 구축이라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정의된 보안 정책 기반의 사용자 security level을 설정하고 이에 따른 차등적 서비스 제공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이 외에도 홈네트워크의 보안 취약점이 많은것을 알 수 있다. 추후 본 논문에서 살펴 본 다양한 홈네트워크에서의 보안 취약점인 네트워크, 인프라, 디바이스, 미들웨어 취약점에 대한 대응 방안을 연동한 인프라 구조로의 확장이 필요하다.

      • 매트릭스컨버터용 간략형 SVPWM 기법 제안

        이건식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교류전동기의 사용이 보편화되면서 3상 AC/AC 전력변환시스템의 이용이 점차적으로 증가되고 있으며 매트릭스컨버터는 직류링크회로가 없는 직접형 AC/AC 전력변환시스템이며 차세대 전력변환시스템으로써 대두되고 있다. 매트릭스컨버터는 기존 간접형 AC/AC 전력변환시스템과 비교하였을 때 더 많은 반도체 스위칭소자가 요구되고 스위칭제어기법이 복잡해지지만, 직류링크회로가 없어 시스템의 소형화 및 긴 수명을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매트릭스컨버터를 제어하기위해 기존 SVPWM을 적용하면 섹터정보 및 인가시간에 대한 계산과정이 복잡해지고 계산량이 많아지는 단점이 있다. 영구자석형 리니어동기전동기는 회전형 동기전동기를 축 방향으로 잘라서 펼쳐 놓은 형태로 회전형 전동기가 토크를 발생시키는 것과 달리 직선방향으로 미는 힘인 추력을 발생시키는 점이 다르지만, 구동원리는 근본적으로 같다. 그러나 PM-LSM의 초기자극위치를 정확하게 검출하지 않고 구동하면 손실이 생겨 최대추력을 발생시키지 못 하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간략형 SVPWM 기법을 매트릭스컨버터에 적용하여 전체의 SVPWM에 관련된 계산과정을 단순화시키고 계산량을 저감시킬 수 있는 제어기법을 제안하고, 이를 적용한 매트릭스컨버터를 위치제어루프를 기반으로 한 리니어동기전동기의 초기자극위치 추정방식에 응용하여 유효성을 검증한다. As AC motors become more generalized than DC motors, the use of 3 phase AC/AC power conversion systems have been steadily increasing. Matrix converter has been considered as the next AC/AC power conversion system which can directly convert a fixed input AC power to a variable output AC power. As compared with conventional AC/AC power conversion system, this system requires many more semiconductor switches and complicated switching control scheme. But compactness and long lifespan can be fully expected due to no DC-link circuit and smaller input filter. However, in order to control matrix converter by applying conventional SVPWM scheme, calculation process for sector and applied times are more complicated. To reduce calculation process for driving matrix converter, simplified SVPWM control scheme should be newly introduced. PM-LSM(Permanent Magnet Linear Synchronous Motor) is the exact same motor as rotating typed PMSM(Permanent Magnet Synchronous Motor), except thrust generation for direct liner-moving. To control linear typed or rotating typed PM-LSM at the maximum efficiency, the information on accurate initial pole-position(IPP) is absolutely required. This information can be calculated by pole sensor or IPP estimation algorithm.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is paper proposes a simplified SVPWM matrix converter to reduce calculation process such as trigonometric functions. Also, applying the proposed SVPWM matrix converter to PM-LSM, the position control loop based IPP estimation algorithm of PM-LSM is discussed.

      • 수소 예혼합 압축착화 기관에서 배기가스 재순환에 관한 연구

        이건식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HCCI hydrogen engine has relatively narrower operation range caused by knock occurrence due to the rapid pressure rising by using higher compression ratio. In this study, EGR is considered to extend operation range of HCCI hydrogen engine. Also, the effects of hydrogen EGR is compared with the case of hydrocarbon EGR to certain differences between each EGR case. Hydrocarbon EGR is formed by adding carbon dioxide to exhaust gas of HCCI hydrogen engine. As the result, EGR also has positive effects on a HCCI hydrogen engine at reducing rate of pressure rise by comparing with other HCCI engines. However, the effects of hydrogen EGR is better than hydrocarbon EGR at decreasing minimum compression ratio and rate of pressure rise. When applying EGR to HCCI hydrogen engine by 20% rate, the rate of pressure rise decreases by 58% so operation range increases until 21% in terms of supply energ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