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新羅 啄評 解讀

        이건식 ( Lee Keon-sik ) 구결학회 2023 구결연구 Vol.50 No.-

        이 연구에서는 『梁書』 新羅傳에 나오는 신라의 행정 구역 단위인 啄評의 의미를 해독하였다. 신라 행정 구역인 ‘健牟羅, 啄評, 邑勒’ 등이 중국 역사서인 『梁書』에 소개되었는데, 이 연구에서는 한어로 城을 뜻하는 健牟羅는 王城이나 지방의 城을 모두 가리키며 중앙의 행정 구역 체계는 ‘健牟羅 - 啄評’의 위계를 가졌으며, 지방의 행정 구역 체계는 ‘健牟羅 - 邑勒’의 위계를 가진 것에 대해 논의하였다. 한편, 일본 고대 행정 구역 체계에서 邑과 村의 訓이 ムラ이고 이 ムラ는 한국에서 유입된 것에 착안하여, 『梁書』 新羅傳에 나오는 邑勒과 「蔚珍鳳坪里新羅碑」에 나오는 牟羅는 동일한 의미를 표현한 것으로 파악하였다. 신라 6부의 명칭을 나타낸 啄評에서 啄은 ‘물길’을 의미하는 ‘*도’를 음차 표기한 것임을 밝혔다. 그리하여 후대의 자료에서 啄이 ‘물길’을 의미하는 한자 梁으로 교체된 사실과 일치시켰다. 啄評의 啄을 ‘부리’의 뜻을 가진 喙로 파악하고 啄을 ‘벌’의 의미로 풀이한 기존 견해에 대해 두 가지 관점에서 문제가 있음을 지적하였다. 첫 번째 관점은 啄과 喙가 자형이 유사하여 두 자형이 넘나들면서 사용되었음을 논의하였다. 두 번째 관점은 啄과 梁은 배타적 분포를 보이고 伐과 梁은 변별적 특징을 보이는 것에 근거한 것이다. 신라 6부 명칭이 나타난 금석문 자료와 문헌 자료를 종합하여 啄과 梁은 배타적 분포를 보인 사실을 논의하였으며, 『三國史記』 列傳 昔于老 조에 나오는 沙梁伐國에 근거하여 伐과 梁은 변별적 특징을 보인 사실을 논의하였다. 신라 6부의 명칭을 나타낸 啄評에서 評은 ‘□□’ 정도를 표기한 것으로 파악하였다. 이러한 파악은 『日本書紀』 卷十七 継体天皇二四年(530) 九月 조에 나오는 ‘背評地名 亦名能備己富里也’의 己富里에 근거한 것이다. 己富里는 일본의 가타카나로는 ‘コホリ’ 정도로 표기되는데, 新井白石의 『東雅』(1717)에서 ‘コホリ’가 한국에서 전래된 것임이 주장되었다. ‘□□’은 ‘□-(言)+□ㅎ(平)’ 정도의 구성을 가진 것으로 판단하여 ‘□□’이 ‘말로 의사 소통하는 사람들의 집단 거주 지역인 언덕’의 의미를 나타낸 것으로 파악하였다. 유창돈(1957: 375)에서 ‘말하다’의 형태소가 개재된 후기 중세국어의 ‘짓괴-’와 ‘과□-’를 소개한 근거에서 ‘□□’의 ‘□’가 ‘말하다’의 의미를 가지고 있음을 논의하였다. 한편, ‘□□’에서의 ‘□ㅎ’을 ‘언덕’의 의미로 파악한 권인한(2008: 89)에 근거하여 ‘□□’의 ‘□ㅎ’을 原의 의미로 파악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이 ‘□[言]+□ㅎ[平/原]’ 정도의 구성에서 온 것임을 주장하였고, 이러한 ‘□□’은 삼국 시대에 일본어에 전래되어 ‘コホリ’로 남아 있게 되었으며 ‘コホリ’와 대응되는 評은 ‘言+平’의 의미로 구성된 會意의 한국 고유한자임을 주장하였다. In this study, the meaning of takpyeong(啄評) was deciphered. Takpyeong(啄評) was the administrative district unit of Silla from 『Yangseo(梁書)』 of Sillajeon(新羅傳). There were Silla administrative districts such as ‘geonmora(健牟羅), takpyeong(啄評), eupleuk(邑勒)’ which were introduced in the Chinese history book, 『Yangseo(梁書)』. This study explored some issues as follows: geonmora(健牟羅), meaning castles in Chinese, refers to both wangseong(王城) and seong(城), the central administrative district system has a hierarchy of ‘geonmora(健牟羅) - takpyeong(啄評)’, and the local administrative district system has a hierarchy of ‘geonmora(健牟羅) - eupleuk(邑勒)’. Moreover, in the ancient administrative district system of Japan, eup(邑) and chon(村) mean mura(ムラ) which is considered to be originated from Korea. On the base of this point, this study showed that eupleuk of 『Yangseo(梁書)』 of Sillajeon(新羅傳) and mora(牟羅) of 「Uljinbongpyeongbi(蔚珍鳳坪里新羅碑)」 expressed the same meaning. In the takpyeong(啄評) representing the names of 6 divisions(6部) in Silla(新羅), it was revealed that tak(啄) was transliterated into from ‘*do(도)’ which means ‘waterway’. Thus, it was matched with the fact that Tak was replaced with yang(梁) of Chinese meaning ‘waterway’ in the data of later generations. Therefore, this study identified tak(啄) of takpyeong(啄評) as hwe(喙) with the meaning of 'beak' and pointed out som problems from two perspectives regarding the existing view interpreting Tak with the meaning of ‘beol’ The first viewpoint discussed that tak(啄) and hwe(喙) were used together due to the similatiry of their charater forms. The second viewpoint is based on the fact that tak(啄) and yang(梁) are in an exclusive distribution, but beol(伐) and yang(梁) are in a distinctive character. By synthesizing the data of Geumseokmun(金石文) including the names of 6 divisions(6部) in Silla(新羅) and written sources, it was discussed that tak(啄) and beol(伐) are in an exclusive distribution and beol(伐) and yang(梁) are in a distinctive character based on Saryangbeolguk(沙梁伐國) from 『Samguksagi(三國史記)』 Yeoljeon(列傳) Seokwuno(昔于老) Jo(條). Pyeong(評) of takpyeong(啄評) representing the names of 6 divisions(6部) in Silla(新羅) was identified as ‘gɔɔl()’. This interpretation was based on giburi(己富里) of ‘Baepyeong Jimyeong Yeokmyeong neungbi giburiya (背評 地名 亦名能備己富里也)’ from 『Ilbonseogi(日本書紀)』 Volume 17, Gyechecheon-hwang isip sanyeon(継体天皇二四年) (530), September Cho (條). giburi(己富里) is written ‘gobori(コホリ)’ with Kadagana of Japan and is argued that it was originated from Korea in 『Donga(東雅)』 of Sinjeongbaekseok(新井白石) (1717). It is considered that ‘gɔɔl(□□)’ consists of ‘gɔ(□)-(eon 言)+bɔlh(□ㅎ)(pyeong 平)’. On the basis of this, ‘gɔɔl(□□)’ was identified as a hill which is a collective residential area for people who communicate in words. Yu Chang-don (1957: 375) discussed that ‘gɔ(□)’ of ‘gɔɔl(□□)’ has the meaning of ‘talk’ based on introducing ‘jitgoe(짓괴)-’ and ‘gwahɔ(과□-)’ in the late medieval Korean including the morpheme of ‘talk’. On the other hand, based on Kwon In-han (2008: 89), who identified ‘bɔlh(□ㅎ)’ of ‘gɔɔl(□□)’ as the meaning of ‘hill’, this study verified that it has the meaning of field (原). In this study, it was presented that ‘gɔɔl(□□)’ might be originated from the composition of ‘gɔ(□)[言]+bɔlh(□ㅎ)[平/原]’. Furthermore, this ‘gɔɔl(□□)’ was introduced into Japanese during the Korean Three Kingdoms period and has been left as ‘gobori(コホリ)’. In addition, it was suggested that pyeong(評) matched with ‘gobori(コホリ)’ is Chinese character which was made in Korea which is a compound word of ‘saying(言)+field(平)’.

      • KCI등재

        신라지명표기내을(新羅地名表記奈乙)의 해독과 고대국어 을[水]을 보존한 중세어 어휘

        이건식 ( Keon Sik Lee ) 한말연구학회 2014 한말연구 Vol.- No.34

        This paper interpreted Shilla place name writing Naeul(奈乙), and based on this, discovered medieval language vocabulary, ‘Nari>Nae[川], Woomeul[井], Yeoheul[灘], Byeol[遷], Nara[津]’, etc. which preserve the ancient Korean language ‘*Eul[水]’. It was comprehended that Shilla place name writing Naeul expressed around ‘Nal’, and ‘Nal’ was comprehended to be originated from the composition of around ‘Na[壤]+l[水]’, which was comprehended to be the previous form of medieval language ‘Nari’. Based on this opinion, this research suggested a fact that all of the medieval language ‘Woomeul[井], Yeoheul[灘], Byeol[遷], Nara [津], Nari[川]’, etc. are the vocabulary whoc preserve the ancient Korean language ‘Eul[水]’. In other words, this research confirmed that ‘Woomeul[井]’ was from ‘Woom[音]+eul[泉]’, ‘Yeoheul[灘]’ was from ‘Yeo[石]+eul[泉]’, ‘Byeol[遷]’ was from ‘Byeo[石]+eul[泉]’, ‘Nara[津]’ was from ‘Na[水草]+eul [泉], ‘Nari[川]’ the previous form of the medieval language ‘Nae’ was from the composition around ‘Na[壤]+eul[泉]’. And confirmed that Woomeul[井] was ‘underground water’, and ‘Yeoheul [灘], Byeol[遷], Nara[津], Nari[川]’, etc. were ‘water on the ground’, in opposition, and divided accordingly. ‘water on the ground’, again, was confirmed to be divided into Nari[川], which has no characteristic and ‘Yeoheul[灘], Byeol[遷], Nara[津]’, etc. which have characteristic in opposition. In other words, it was confirmed to be divided that Yeoheul[灘] and Byeol[遷] were ‘Water with stone’, and Nara[津] was ‘Water with mud’ opposingly. It was assumed that Yeoheul[灘] was a vocabulary based on Koguryeo language and Byeol[遷] was Shilla language basis. There was only the meaning of ‘crossing place’ in medieval language, ‘Nara’, however it was confirmed that it also had the meaning of ‘Waterside with water plant(水草)’ in the period of the Three States, and that the original meaning of ‘Nari’, the previous form of medieval language Nae(川) was ‘water on the ground’.

      • KCI등재
      • KCI등재

        조선 시대 富平府의 삼국 시대 표기 계승 면명 표기에 대하여

        이건식(Lee Keon-Sik)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2019 인천학연구 Vol.30 No.-

        한자를 활용한 면명 표기가 감추어 놓고 있는 面名 표기의 참모습을 규명하기 위하여 이 글은 조선 시대 부평부의 面名 표기 자료를 광범위하게 수집하여 조선 시대 부평부 면명 표기가 가지는 근원적인 의미를 밝혔다. 이 연구에서 연구한 결과를 요약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조선 시대 부평부에 있었던 방위의 면명으로 東面과 西面이 있었고, 또 上梧亭面과 下梧亭面의 경우 해당 지대의 높낮이로 구분된 것으로 추정하였다. 堂山面의 경우 자연지명 堂山에서 비롯된 것임을 말하였다. 同所井面의 경우 東所井面의 표기가 나타난 사실을 말하였으나 관련 자료가 없어 同所井의 의미에 대해 언급하지 못했다. 毛月串面의 毛月串을 ‘毛/뫼[山]+月/너머[越]+串/고지[岬]’ 정도의 구성으로 이해하여 毛月串이 ‘산 너머 고지’ 정도의 의미임을 밝혔으며 이 의미는 부평부의 治所를 기준으로 한 것임을 말하였다. 上梧亭面과 下梧亭面의 면명이 馬梧亭里에서 출발한 것임을 말하였고, 馬梧亭里의 馬梧亭이 ‘馬梧+亭’ 정도의 구성을 가지는 것으로 파악하고, 馬梧는 ‘마루< 마라`의 의미임을 밝혔으나 亭의 의미를 규명하지는 못하였다. 石串面의 경우 평양부의 乭串坊을 제시하여 石串面의 石이 ‘돌/乭[石]’의 의미를 가짐을 밝혔다. 石川面의 경우 乭川의 차자 표기 자료를 제시하여 石川面의 石이 ‘돌’을 표기한 것임을 말하였다. 水呑面의 경우 水呑面을 水灘面의 이표기로 파악하여 水呑面의 水呑이 ‘水/물+呑[여울, 灘]’ 정도의 구성으로 水呑이 ‘물여울’ 정도를 표기한 것임을 밝혔다. 玉山面의 경우 玉毛面의 이표기를 제시하여 玉毛의 毛가 ‘뫼[山]’를 뜻하는 것임을 밝혔다. 黃魚面의 경우 黃魚의 이표기 發阿를 제시하고 黃魚의 발음형이 ‘바래/바라’일 가능성을 제시했다. 馬場面은 고구려 계통의 面名 表記로 파악하였다. 馬場이 ‘馬/마[水]+場/장[根]’ 정도의 구성을 가지는 것으로 이해하고, ‘馬/마’가 ‘물’을 뜻하는 고구려어임을 말하였고, 場/장은 ‘根[뿌리]’를 뜻하는 고구려어로 파악하였다. 이러한 근거에 기대어 馬場은 ‘물의 뿌리’를 표기한 것으로 파악하고 ‘물의 뿌리’는 한자어로는 水源임을 말하였다. 注火串面은 신라 계통의 면명 표기로 파악하였다. 고구려 지명 표기 主夫吐를 ‘主[쥴, 線]+夫[벌, 坪]+吐[둑]’으로 파악한 것에 근거하여 注火串이 ‘主[줄, 線]+火[벌, 坪]+串[고지, 岬]’ 정도의 구성을 가지는 것으로 신라 계통의 표기로 파악하였다.

      • KCI등재

        韓國 固有漢字의 發達

        이건식(Lee Keon-sik) 구결학회 2009 구결연구 Vol.22 No.-

        차자표기법은 대체로 기존의 漢字를 활용한다. 그러나 漢字로 표현할 수 없는 우리의 人名, 地名, 物名의 경우에는 漢字에 없는 글자를 만들어 그 의미를 표현하게 된다. 이글은 지명 표기를 대상으로 한국의 차자표기법에 의해 발달된 한국 고유한자가 가지는 특수성의 일부를 살핀다. 人名과 物名보다는 地名이 상대적으로 관련된 자료가 풍부히 남아 있기 때문이다. 특히 지명의 전부 요소보다는 지명의 후부 요소에 주안점을 두었다. 지명의 후부 요소에 대한 의미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서 문헌 자료에 나타난 주석 자료를 적극 활용하였다. 조선 후기 역사지리학자의 주석, 금석문 자료 등을 활용하였다. 특히 黃胤錫의 『?齋亂藁』, 권 20의 「擬弘文館增修東國輿地勝覽例」에 실린 列邑門目 第四 山川 條, 金正浩의 『大東地志』에 실린 『方言解』 등을 활용하였다. 이 글에서는 三國時代에 岾, 串, 遷, 統一新羅時代에 洑, 高麗時代에 代(조선시대에는 垈), 員, 朝鮮時代에 筒과 ?, 德과 ?, 洑과 筏, ? 등이 지명 후부 요소를 표기하는 데에 사용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지명 후부 요소의 변천과 발생 과정을 고찰하여 한국 고유한자 성립의 한 가지 방법을 논의하였다. 즉 고유어의 음차 표기에 意符를 첨가하여 한국고유한자를 성립시키는 방법을 확인하였다. 垈는 代에서, ?은 德에서 ?筒에서, 洑은 筏에서 意符를 첨가하거나 교체하는 방식으로 한국 고유한자를 성립시키는 방법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洑는 이른 시기 차용어 伏에서 意符 ?를 첨가하여 성립된 한국 고유 한자일 가능성을 제기하였다. 이 글에서 垈의 형성이 조선 초기까지 소급할 수 있으며, ?, ?, 洑 등이 조선 후기에 발생했음을 제한적으로 확인한 것은 매우 중요한 시사점을 가지고 있다. 한국 고유한자가 가지는 특징과 역사성을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들 한국 고유한자는 意符를 첨가하거나 교체하는 방식으로 성립된 것인데 이는 한국의 借字가 漢字 형성 원리의 영향을 받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한국의 借字가 끊임없이 漢字로 편입되어야 한다는 우리의 의식을 말해 주는 것이며 차자표기법이 소멸된 20세기에 이르러서는 그러한 의식 곧 한국의 借字도 漢字로 보고자하는 의식이 매우 강해진 것으로 생각된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adopted writing system of Korean language in Chinese characters and their usages in the history of Korea. When there needed to write a name of a person, thing or village, literal chinese which had similar sound value were used for them. But when there was no correspondent letter with same sound value then new characters with added strokes in the left or above part of the original characters were devised. In particular, there are many documents which contained lots of Korean village names recorded with newly adopted writing system in comparison with names of the people or things. So in this paper the writer focused on the latter part of the area names which showed the unique feature of the adopted writing system in Korea.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latter part of the local names the writer referred to lots of the epigraphiests' materials and other historiographical footnotes by some of scholars from Joseon period; especially, the writer owed to the Hwang Yunseok (黃胤錫: 1729~1791)'s work Ijaenango (?齋亂藁), and the chapter of the 〈Explanation of the dialogues of Korea (方言解)〉 carried in the Geography of Korea (大東地志) written by Kim Jeongho (金正浩: ?~1866) in the late Joseon period. According to the research some chinese letters, some of which had newly added strokes, were used to write down the Korean local names, especially in the last syllable such as jeom (岾), got (串), cheon (遷) in the Three Kingdom Period; bo (洑) in the United Silla Kingdom; dae (代, 垈 in the Joseon), won (員) in the Goryo, and tong (筒), dong (?), deok (德), beol (?, 筏), and ?. These letters used to record the unique sound value of some Korean letters were devised to add strokes in the left or above the original literal Chinese as part of meaning not breaking the linguistic structure of the Chinese. In other words, adding some strokes representing an unique meaning to the letter with same sound value they invented new characters only in Korea; for example, the character dae (垈) was formed from dae (代) by adding the below part meaning earth; deok (?) from deok (德), dong (?), from tong (筒), and beol (筏) from beol (筏) by adding or getting rid of part and then attaching new strokes to the original Chinese characters. From the research the writer suggested that the character bo (洑) belongs to this category, being originated from the letter bo (伏). When it comes to the twentieth century this adopted writing system was no longer used, but the system still remains part of the Chinese in the mind of Korean people. It has been considered as original literal Chinese. But from the research we could examine the history of the transformation of some characters and they were considered as part of the literal Chinese in Korea.

      • KCI등재

        조헌의 질정록(質正錄)에 대한 국어학적 분석과 한자어 차용의 특징

        이건식 ( Lee Keon-sik ) 한말연구학회 2016 한말연구 Vol.- No.41

        This paper verifies that Jiljeongrok which Jo Heon recorded in 1574 for a report of his duty as a jiljeonggwan is the only currently remaining Jiljeongrok, Korean-linguistically analyzes 22 words recorded in Jo Heon`s Jiljeongrok and interpretations of them, and examines some characters appearing in the process of his applicaion of Sino-Korean words based on the analysis. This paper Korean-linguistically analyzes interpretations of jiljeong items recorded in Jo Heon`s Jiljeongrok and revises errors in Jiljeongrok published in the 12th volume of Jungbongseonsaengmunjip(『重峯先生文集 』)`s second edition. This paper, adopting Heo Bong`s Jocheongi, examines that ‘duhyo(杜孝)’, while it looks like a jiljeong item, is actually not a jiljeong item but a personal name of a Lishijiansheng(歷史監生), a Chinese official. Based on it, it is verified that ‘yodang(??)’, a jiljeong item, was a misprint of ‘yodang(??),’ and that ‘dam-eo(?語)’, another jiljeong item, was a misprint of ‘dam-eo(?語).’ And, trhis paper suggests that a jiljeong item ‘gumicho(枸尾草)’ could be a misprint of ‘gumicho(枸尾草).’ Furthermore, this paper comments that there is a contextually odd relation between a jiljeong item ‘byeongchung(??)’ and its interpretation ‘a horse leech(majilya: 馬蛭也).’ This paper pays attention to the point that the 22 jiljeong items recorded in Jo Heon`s Jiljeongrok were unfamiliar Chinese words in Joseon of the time, so deducts some processes in the course of applications of Sino-Korean words. In order to examine the characters in the processes of applications of Sino-Korean words, this paper checks whether each of 22 jiljeong items in Jiljeongrok is included in Pyojungugeodaesajeon(『標準國語大辭典』), and sorts the 22 items into 4 categories. Sino-Korean words with the same meaning which has been previously adopted are presented in [ ]. A : seokyu(石油), dameo(?語) B : rokchong(鹿蔥)[hweoncho(萱草)], hwanghwarae(黃花?)[hweoncho(萱草)] C : gumocho(狗尾草)[weonji(遠志)], goyo(苦?)[weonji(遠志)], seonja(?子)[seoneo(?語)], goroja(ㅁ?子)[goro(??)], paha(??)[bakha(薄荷)], yijo(?棗)[mihudo(??桃)], pacheol(杷鐵)[cheolchipa(鐵齒擺)] bangso(枋?)[sobangmok(蘇方木)], chija(?子)[chieo(?語)]

      • KCI등재
      • KCI등재

        조선 시대 조수(潮水) 구분 계열어의 의미 대립 체계

        이건식 ( Keon Sik Lee ) 한민족어문학회 2013 韓民族語文學 Vol.0 No.64

        이 글은 조선 시대 潮水 구분 어휘의 목록을 제시하였으며, 차자 표기의 潮水 구분 어휘를 해독하였다. 그리고 潮水 구분 계열어의 의미 대립 기준을 분석하였다. 1일 내 潮水 구분 계열어의 어휘로 ‘밀믈, 혈믈, 날믈, 站[□], 邊音[□슴]’ 등이 있음을 규명하였다. 1월 내 潮水 구분 계열어의 어휘류로 차자 표기의 경우에는 ‘一水애, 二水애, 三水애, 四水애, 五水애, 六水애, 七水애, 八水애, 九水애, 十水애, 折只, 二折只, 大折只, 少音, 水休/水衰/無水/無數’ 등의 15개 어휘가 있음을 밝혔다. 한글 표기의 경우에는 ‘□물, 두물, □리/한 □리/한사리, 아홉물, 열물, 조금/첫조곰/훗조곰/죠금’ 등 6개의 어휘를 발굴하였다. 1년 내 潮水 구분 계열어의 어휘로 ‘片生伊[□사리], 强生伊[센사리], 大生伊[한사리]/倭生伊[왜사리]’ 등이 있음을 밝혔다. 1일 내 潮水 구분 계열어에서 ‘밀믈 대 혈믈’의 대립은 ‘潮水 힘의 방향’을 구분 기준으로 한 것이다. ‘날믈’은 ‘조수의 수평 이동’을 구분 기준으로 한 것이고, ‘站[□] 대 邊音[□슴]’의 대립은 ‘潮水의 수직 이동’을 기준으로 한 것이다. 1월 내 潮水 구분 계열어의 15개 어휘는 ‘潮水 힘의 정도’를 구분 기준으로 ‘生伊[사리], 折只[것기], 無水[무쉬]’ 등의 3종으로 계열화되어 있음을 규명하였다. 1년 내 潮水 구분 계열어의 3개 어휘 역시 ‘潮水 힘의 정로’를 구분 기준으로 한 것임을 규명하였다. This paper studied three sorts of the tidal terms of the late middle and early modern Korean, and explained tidal terms written by ancient Korean borrowed notation, and analyzed the distinguishing criteria of the tidal terms. Tidal terms distinguished by a day are as follows : milmul[밀믈], hyeolmul[혈믈], nalmul[날믈], cham[站/□], gasim[邊音, □슴] Tidal terms distinguished by a month as follows : hanmulmil[一水애], dumulmil[二水애], semulmil[三水애], nemulmil[四水애], daseotmulmil[五水애], yeosetmulmil[六水애], ilkopmulmil[七水애], yeoteolmulmil[八水애], ahopmulmi[九水애], yeolmulmi[十水애], geokki[折只], dugeokki[二折只], dageokki[大折只], jokeum[少音], muswi[水休/水衰/無水/無數], hanmul[□물], dumul[두물], sari[生伊, □리]/hansari[한□리]/hansari[한사리], ahopmul[아홉물], yeolmul[열물], jokeum[조금]/cheotjokom[첫조곰]/hutjokom[훗조곰]/jyokom[죠곰] Tidal terms distinguished by a year as follows : jjoksari[片生伊, □사리], sensari[强生伊, 센사리], hansari[大生伊, 한사리]/waesari[倭生伊, 왜사리] The milmul[밀믈] and hyeolmeul[혈믈] can be dishtinguished by power and direction of the tide. The nalmul[날믈] can be dishtinguished by horizontal movement of the tide. The cham[站/□] and gaseum[邊音, □슴] can be dishtinguished by Vertical movement of the tide. Tidal terms distinguished by a month can be divided int three : geokki [折只], muswi[水休/水衰/無水/無數], sari[生伊]. Tidal terms distinguished by a month can be dishtinguished by power of the tide.

      • KCI등재

        한,중,일 삼국 조수(潮水) 구분 계열어의 유형론적 특징

        이건식 ( Keon Sik Lee ) 한민족문화학회 2014 한민족문화연구 Vol.45 No.-

        이 글은 한국, 중국, 일본 삼국에 존재하는 潮水 구분 계열어에 적용된 구별 기준의 유형론적 특징을 규명하였다. 1일 내 조수 구분 계열어의 경우 ``조수 힘의 방향``의 구별 기준에서는 한국어와 일본어는 유사성을 가졌으나 ``조수의 수직 이동``의 구별 기준에서는 일본어는 한국어보다는 중국어에 더 유사성을 가졌음을 규명하였다. 1월 내 조수 구분 계열어의 경우 한국어는 ``조수의 힘``을 구별하여 ``사리[生伊], 것기[折只], 무쉬[無水]`` 등으로 구분하고 있음을 다시 확인하였으며, 중국어는 ``조수의 수직 이동 정도``를 구별하여 ``起水, 下岸, 交澤`` 등으로 구분하고 있음을 규명하였으며, 일본어의 경우 ``조수의 수직 이동 정도``를 구별하여 ``おおしお[大潮], なかしお[中潮], こしお[小潮], ながしお[長潮], わかしお[若潮]`` 등으로 구분하고 있음을 규명하였다. 1년 내 조수 구분 계열어의 경우 한국어는 ``조수의 힘``을 구별하여 ``片生伊[□□리], 强生伊[센□리], 大生伊[한□리]/倭生伊[왜□리]`` 등으로 구분하고 있음을 규명하였으며, 중국어의 경우 ``조수의 수직 이동 정도``를 구별하여 ``大, 極大`` 등으로 구분하고 있음을 규명하였다. 이러한 분석의 결과 한국어의 조수 구분 계열어는 그 구별 기준으로 ``조수의 힘``을 중심적으로 적용하고 있으며, 중국어와 일본어의 조수 구분 계열어는 그 구별 기준으로 ``조수의 수직 이동 정도``를 중심적으로 적용하고 있음을 규명하였다. 다만 일본어 1일 내 조수 구분 계열어의 경우 ``조수의 힘``과 ``조수의 수직 이동``의 구별 기준을 모두 적용한 특징이 있음을 규명하였다. his study identified the topological characteristics in classification criteria applied to the tidal terms being existed in Korea, China and Japan. For the terms classifiing the tide within one day, it was identified that Korean term and Japanese term had some similarity in the distinction standard of ``tidal power`s direction``, but in the distinction standard of ``tidal vertical movement``, Japanese term was more similar to Chinese term than Korean term. For the terms classifiing the tides within one month, it was identified that Korean language classified the tidal terms according to ``tidal power``, so the terms were classified into the ``Sari[生伊]``, ``Geotgi[折只]``, or ``Mushi[無水]`` and others, and Chinese language classified the tidal terms according to ``tidal`s vertical movement``, so the tidal terms were classified into ``Gisu(起水)``, ``Haan(下岸)``, Gyotaek(交澤)``, and Japanese language classified the tidal terms according to ``tidal vertical movements``, too, so the tidal terms were classified into ``ohohshioh(おおしお, 大潮])``, ``ohkashioh(なかしお[中潮])``, ``koshioh(こしお, [小潮])``, ``nagashioh(ながしお[長潮])``, and ``whakashioh(わかしお[若潮])``, etc. For the terms classifying the tides within one year, it was identified that Korean language classified the tidal terms according to ``tidal power``, so the tidal terms were classified into ``jjoksari(片生伊[□□리])``, ``sensari(强生伊, [센□리])``, and ``hansari(大生伊[한□리])/waesari(倭生伊[왜□리])``, and Chinese language classified the tidal terms according to ``tidal vertical movement``, so the tidal terms were classified into ``big(大) tidal`` or ``extremely big(極大) tidal``. As the results from such analyses, it was identified that Korean terms classifying tides were applied around the ``tidal power`` as its classification standard, but Chinese and Japanese tidal terms were applied around ``tidal vertical movement``. But for Japanese term classifying the tide within one day, this study identified that Japanese language applied the both classification standards of ``tidal power`` and ``tidal vertical movement``, together.

      • KCI등재

        일반논문 : 한국(韓國) 고유한자(固有漢字) 구성요소 착의 의미와 특수성 형성 배경

        이건식 ( Keon Sik Lee ) 한민족문화학회 2013 한민족문화연구 Vol.42 No.-

        이 글은 한국 固有漢字 ``수, 逗, 돈, 迲’ 등의 의미를 규명하였다. 즉 수는 ``착+守’의 결합적인 의미인 울타리의 가장 자리’의 의미로 이것은 중세어의 ``오래[門]``와 의미 상 연관된 것임을 밝혔다. 逗의 뜻으로 알려진 ``마두리, 말밑’ 등이 ``착+斗’의 결합적인 의미인 ``말을 되고 남은 주변, 곧 말을 되고 난 뒤의 남은 양’으로 이해될 수 있음을 밝혔다. 돈의 뜻으로 알려진 ``굳’은 ``착+地’의 결합적 의미인 ``땅의 밑, 곧 구덩이’의 의미로 이해될 수 있음을 밝혔다. 迲의 뜻으로 알려진 ``□래’는 그 선대형이 ``□개’이며, ``착+去’의 결합적인 의미인 ``나무를 잘라 묶어 놓은 것의 둘레’ 등의 의미로 이해될 수 있음을 밝혔다. 한국 固有漢字 ``수, 逗, 돈, 迲’ 등의 자형 구성 방법은 각각 ``, 착+守, 착+斗, 착+地, 착+去’ 등으로 결합된 것임을 밝혔다. 이는 ``수, 逗, 돈, 迲’ 등이 會意字임을 밝힌 것이며, 이 때의 구성소 착은 邊의 의미임을 밝혔다. 한국 고유한자 ``逗, 돈, 迲, 수’ 등을 구성할 때, 邊이 착으로 생획되는 현상이 口訣字와 같4은 省劃字를 발달시킨 차자 표기법에서 비롯되었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In this texture, meaning of Hanzi characers made in Korea ``수, 逗, 돈, 迲’ were precisely investigated. Thus, 수 is ``착+守 meaning border of fence which has relation in meaning of orae[오래, 門] of medieval language. The meaning of 逗 can be understood as the combined meaning of ``착+斗’ that means ``surrounding remaining after calculating the amount of grains. Thus which is the meaning of 돈 can be understood as the combine of ``착+地’ of ``under ground, thus hole. ``□래’ known as the meaning of 迲 has fore form of ``□개’ and can be understood as the combined meaning of ``착+去’ which is circumference of cut tree. It was clarified that the character shape composition method of Hanzi characers made in Korea ``수, 逗, 돈, 迲’ are each combined with ``착+守, 착+斗, 착+地, 착+去’ each. This is clarified that ``수, 逗, 돈, 迲’ are characters composed with two meanings[會意字] and that the element 착 means the edge[邊]. When composing Hanzi characers made in Korea ``逗, 돈, 迲, 수’, it is assumed that the phenomenon of omitting a stroke from 邊 to 착 is originated from hanzi notation developing Saenghoyja[省劃字] such as Kugyeolja[口訣字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