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하와일록河窩日錄(1796~1802)을 통해 본 안동 사족 류의목柳懿睦의 일생의례

        윤혜민 한국국학진흥원 2024 국학연구 Vol.- No.53

        Throughout the Hawailrok, This paper traced the process of how Ryu Ui-mok learned confucian etiquette as a teenager while performing lifelong rituals. First, father’s funeral rites was carried out basically by the Zhu Xi`s Family Rituals. In particular, the Banhon was strictly observed. However, conducting the Bu-je after the Dae-sang was following procedure by the conventional rites. Ryu Ui-mok’s coming-of-age rites was a preliminary step to his wedding rites. He’s wedding rites was very different from the Zhu Xi`s Family Rituals. After the wedding rites took place in the bride’s home, the bride stayed at her hom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then went to the groom’s house. What is noteworthy about Ryu Ui-mok’s implementation of the lifelong ritual is that there is a gap between the text and the practice. This shows a case in which a Confucian-style lifelong ritual was held from the end of the 18th century to the early 19th century, reflecting the reality of the conventional rites while using the Zhu Xi`s Family Rituals as a model.

      • KCI등재

        조선후기 石星에 대한 인식 변화와 그 의미

        윤혜민 조선시대사학회 2014 朝鮮時代史學報 Vol.70 No.-

        When Japan invaded Joseon Korea in 1592, Shi Xing (石星, 1538-1599) was serving as minister of the Board of War of Ming China. The Joseon people’s view of him changed three times, from positive to negative to positive again. The shifting perceptions of Shi Xing have specific significance in the history of the late Joseon period and this study focuses on this significance. In the early stage of the war, Shi Xing was strongly in favor of dispatching military aid to Joseon. When the Ming army, dispatched to Joseon by Shi Xing and led by Li Ru Song (李如松), emerged victorious from the Battle of Pyeongyang, Shi Xing became greatly admired in Joseon. When his troops lost a battle in Byeokje, however, Shi Xing faced harsh criticism. After the defeat, he began pushing for a peace treaty between Joseon and Japan, and he tried to suppress any opposition from Joseon on the matter. As the ceasefire negotiations eventually failed and Japan re-invaded Joseon, Shi Xing increasingly garnered negative publicity in Joseon. King Seonjo of Joseon even called him ‘treacherous’. Subsequently, Shi Xing’s political position in the Ming government weakened and he lived out the final days of his life in prison for the failed ceasefire negotiations. After the war, however, Shi Xing's tarnished reputation began to improve. Mooyeolsa (武烈祠), a memorial shrine for him, was constructed and ceremonial worship for him was performed continuously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The Joseon intelligentsia of the time praised Shi Xing for his righteous actions and expressed their regrets over his death. This shifting perception of him reflects the political intention of Joseon rulers. Ever since King Seonjo praised ‘Heavenly Emperor’s beneficence for saving Joseon from the war (再造之恩)’ and complemented Shi Xing for his merciful conduct, the Joseon kings that followed also honored the memory of Shi Xing. It was in this atmosphere that ‘The Story of Shi Xing and Hong Soon Eon’, which depicts Shi Xing as a man of honor, was written and spread among the people. Kings in the late Joseon period refashioned the memory of war in the context of highlighting ‘Heavenly Emperor’s beneficence for saving Joseon’. The shifting perception of Shi Xing can be regarded as a good example of the political mentality in this period. 임진왜란이 발생했을 때, 石星(1538~1599)은 명나라의 兵部尙書, 즉 요즘의 국방부장관 자리에 있었다. 조선에서 석성에 대한 인식은 세 차례(긍정-부정-긍정) 변화하였는데, 본 논문에서는 그 인식 변화를 중점적으로 살펴보고 그것이 가지는 의미를 밝혀보고자 했다. 임진왜란 초기에 석성은 조선으로 明軍을 파견하는데 적극적인 태도를 보였다. 특히, 석성이 파견한 李如松 군대가 평양에서 큰 승리를 거두면서, 조선 내에서 석성을 칭송하는 분위기가 형성되었다. 그러나 석성에 대한 우호적인 입장은 碧蹄 전투 패배 이후에 크게 변하였다. 벽제 패전을 계기로 석성은 화의론을 적극 주장하며, 이에 반대하는 조선에 대해 위압적인 태도를 취했다. 강화 협상이 깨지고 일본이 재침략하기에 이르렀는데도 석성이 강화를 주장하자, 조선에서는 석성에 대한 비난의 여론이 크게 일어났다. 선조가 그를 權奸이라고 표현할 정도였다. 석성은 명나라에서도 지지를 받지 못했고, 강화 결렬의 책임으로 결국 獄死하였다. 강화 추진으로 크게 비난 받았던 석성은 조선후기에 점차 명예가 회복되었다. 선조는 실추된 권위를 회복하기 위해 전쟁이후 ‘再造之恩’을 강조하고 그에 대한 현창사업을 벌였다. 이때, 처음으로 명군의 파병을 이끌었던 석성 역시 지위가 회복될 수 있었으며, 석성을 모신 武烈祠의 제사가 다시 행해졌다. 인조 집권 이후로는 ‘재조지은’을 베푼 명나라에 대한 단순한 숭배와 보상의 차원을 넘어, 동아시아 보편 문명으로서의 中華에 대한 염원을 갖는 시대적 분위기가 조성되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석성은 ‘惻隱之心을 가지고 중화질서를 지키려다 옥중에서 의롭게 죽은 자’라는 점이 재조명되어, ‘중화문명의 수호자’로 부활되었다. 이러한 이미지는 학자들의 문집과 ‘의리 있는 인물로 묘사된 야담’을 통해서도 확실히 드러난다. 조선후기에 석성의 추숭 작업이 진행되고 그가 의리 있는 인물로 기억된 것을 통해, 당시 大明義理에 대한 절대적 공감대가 형성되어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명나라에서 옥사당하고 부정적으로 평가 받았던 석성이 조선에서 추숭되었다는 부분에서는 조선후기 중화인식이 명에 대한 맹목적인 종속이 아니라 명이 상징하는 중화 문명에 대한 가치 존중에 있었음을 확인하게 해준다.

      • KCI등재

        조선시대 軍禮 연구의 현황과 과제

        윤혜민 조선시대사학회 2022 朝鮮時代史學報 Vol.- No.100

        조선시대 국가 의례는 吉禮․嘉禮․賓禮․軍禮․凶禮의 五禮 체제로 구성되어 있었다. 禮治를 표방한 조선에서는 국가 의례를 통해 국왕의 지위를 상징적으로 구현하려 했는데, 오례 중에서도 제왕의 통치 의례라는 측면을 극명하게 보여주는 항목이 바로 군례였다. 군례는 군의 기강을 확립하는 효과와 함께 군의 최고 통수권이 국왕에게 있음을 가시적으로 확인시켜주며, 왕의 절대적인 책임과 권위를 강조해 주었던 것이다. 조선의 국가 의례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다양한 연구 성과들이 축적되고 있지만, 아직 군례는 그 중요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조선의 군례에 관한 그동안의 연구 성과들을 점검해 보고, 이를 바탕으로 앞으로 군례 연구가 나아가야 할 방향과 추진해야 할 과제들을 제시하였다. 군례에 대한 연구 성과들은 ‘國家典禮書의 군례 연구’와 ‘군례 세부 주제별 연구’로 나누어 검토하였다. ‘국가전례서의 군례 연구’에서는 조선시대 대표 국가전례서인 『世宗實錄』 「五禮」, 『國朝五禮儀』, 『國朝續五禮儀』, 『國朝五禮通編』, 『春官通考』, 『大韓禮典』 등에 수록된 군례 항목을 분석한 연구들을 중점적으로 살펴보았으며, ‘군례 세부 주제별 연구’에서는 연구 현황을 고려하여 ‘射儀, 大閱儀와 講武儀, 宣露布儀와 獻馘儀’의 세 범주로 나누어 연구사를 정리하였다. 기존에 수행된 군례 연구들을 바탕으로, 향후의 연구 과제를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군례의 유래에 대한 비교사적 연구가 보완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의 군례가 중국으로부터 도입된 의례와 역대 한국의 왕조로부터 내려온 전례를 수용하여 형성된 것임을 고려할 때, 그 의례들을 비교․검토하는 작업은 조선시대 군례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인식시켜 주는 것은 물론이고 해당 의례의 역사적 연결성과 구조적인 이해까지 가능하게 해 줄 것이다. 그리고 국가전례서의 군례 항목에 대한 통시적이고 철저한 분석 또한 요구된다. 특히, 오례 체계 내에서 군례가 갖는 고유성과 의의를 찾고, 군례 항목의 구성과 편제 내용 및 변화 양상 등도 함께 고찰해야 할 것이다. 여기에서 군례 세부 의식의 의주 내용을 분석하는 작업은 앞으로 특히 활성화되어야 할 부분이라고 판단되며, 기존 의주와 실제 운용된 행례 간의 간극을 파악하고 의례별 행례 빈도를 헤아리는 작업도 수반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군례 연구에서 가장 주의해야 할 사항은 군사훈련과 군사의례를 구분해서 서술해야 한다는 점일 것이다. 이에 따라 군사훈련과 군사의례를 분리하여 의례만의 기능과 특징을 밝히는 연구와 양측의 상호 연계성에 주목하여 변화하는 양상을 유기적으로 고찰하는 연구도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오례 간의 연계 연구를 비롯해 군례를 통한 제도사․재정사적 연구와 음악․미술․복식 등 다양한 방면의 학제 간 연계 연구도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During the Joseon Dynasty, national rituals consisted of Orye(五禮). It was Gilrye(吉禮), Garye(嘉禮), Binrye(賓禮), Gunrye(軍禮) and Hyungrye(凶禮). In Joseon, through national rituals, the king’s status and the justification of the royal authority were symbolically embodied. Among the Orye, the item that clearly shows the king’s ruling ritual was Gunrye. Gunrye visually showed that the king had the highest command of the military, along with the effect of establishing military discipline and strengthening military power, and emphasized the absolute responsibility and authority of the king. As interest in Joseon’s national rituals increases, various research results are accumulating, but the research on Gunrye are still relatively insufficient compared to their importance. Therefore, this paper examined the achievements of Joseon’s Gunrye research and presented the directions for future Gunrye research and tasks to be promoted based on this. The research results of Gunrye were reviewed by dividing them into ‘Study on Gunrye of the National Ritual Book’ and ‘Study by Detailed Topics of Gunrye’. In ‘Study on Gunrye of the National Ritual Book’, focused on the studies that analyzed the items of the Gunrye included in the national ritual book of the Joseon Dynasty, such as Orye of Sejong-Chronicle(世宗實錄), Gukjo-oryŭi(國朝五禮儀), Gukjo-Sokoryeŭi(國朝續五禮儀) etc. In ‘Study by Detailed Topics of Gunrye’, the research results were organized into three categories:Saŭi(射儀), Daeyeolŭi(大閱儀)-Gangmuŭi(講武儀), and Seonropoŭi (宣露布儀)-Hunkwekŭi(獻馘儀) in consideration of the research status. Based on the previously conducted Gunrye studies, future research tasks are as follows. First, it seems that a comparative historical study on the origin of the Gunrye should be supplemented. In addition, a thorough analysis of the Gunrye items of the National Ritual Book is also required. In particular, the work of analyzing the main contents of individual items of the Gunrye is judged to be a part that should be particularly activated in the future. The most important thing to be aware of in the Gunrye study is that military training and military ritual should be described separately. Accordingly, a study that reveals the functions and characteristics of rituals alone by separating military training and military rituals and a study that organically examines the changing patterns by paying attention to the interconnection between the two sides should also be conducted. In addition, research on linkage between Orye and institutional history and financial history through Gunrye and interdisciplinary linkage studies in various fields such as music, art, and clothing should be sought.

      • KCI등재

        중의치료소아효천임상관찰(中醫治療小兒哮喘臨床觀察) -소아천식에 대한 중약치료의 임상관찰-

        윤혜민,양연,장려영,Yun Hye-Min,Yang Yeon,Jang Ryeo-Yeong 대한한방소아과학회 2001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Vol.15 No.1

        소아천식은 기도의 만성 염증 및 과민반응을 특징으로 나타내고 있어 염증을 일으키거나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키는 물질로부터 차단하는 방법이 효과적임을 현대의학에서 이미 밝히고 있다. 한의학에서는 천증(喘證)에 본디 뿌리 깊은 근원(천유숙근(喘有夙根))이 있다고 간주하여 허약한 체질은 내적인 요인이고, 풍한침습(風寒侵襲)은 유발요인이며, 담음복폐(痰飮伏肺)와 신기휴허(腎氣虧虛)는 재발의 근본이라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소아 천식에 구마황(灸麻黃), 은행(銀杏), 건강(乾薑), 오미자(五味子), 백전(白前), 구백부(灸百部), 소자(蘇子) 등을 사용하였고, 경우에 따라 황기(黃?) 혹은 선령비(仙靈脾)를 추가하여 正氣(正氣)를 강화시키는 목적으로 사용하였다. 약리학적 연구에 따르면 마황과 건강, 오미자 등은 모두 기도의 염증세포 침윤(浸潤)를 억제하고 항알레르기 효과가 있으며, 건강과 오미자는 또한 히스타민에 대한 길항효과(拮抗效果)도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은행 추출물은 혈소판 활성화 수용체에 대한 길항작용을 갖고 있으므로 이러한 물질들로 인한 기관지의 경련을 방지하여 천식증상을 왕화시킨다. 구백부(灸百部)는 지해(止咳)효과가 뛰어나다. 소아천식에 대한 치료는 표본동치(標本同治)의 원칙을 지키며, 증상이 완화된 단계에서도 중약 투여를 1-2개월 지속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소아에게 있어서 천식증상이 완화된 후 어혈(瘀血) 상태가 성인에 비해 심하지는 않지만, "구병필어(久病必瘀)"의 결과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천식이 장기간 지속되면 필히 혈액순환 장애가 수반되므로 천궁(川芎)이나 단삼(丹蔘) 등의 활혈제(活血劑)를 가미하여 사용하면 효과를 높일 수 있다. 결론적으로 소아의 천식은 항염증, 평천(平喘), 화담(火痰), 지해(止咳)와 더불어 보신익기화어(補腎益氣化瘀)의 약물을 병행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단순한 중약 투여는 일부 양약에 의한 소아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피할 수 있어 더 많은 임상연구가 이어져야 한다.

      • KCI등재

        한약재의 벤조피렌 함량 및 추출물에서의 이행률에 대한 연구

        윤혜민,이은주,임광희 한국화학공학회 2018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HWAHAK KONGHA Vol.56 No.6

        In this study, both of the concentration of benzo(a)pyrene in 5 species (total 50 samples) of medicinal herbs and their transfer ratios in the preparation steps of water extract(decoction) and soft extract, were measured by HPLC/ FLD. The calibration curve of benzo(a)pyrene shows excellent correlation over the concentration range of 3~40 ng/mL with the correlation coefficient (R2) of 1.000. The detected benzo(a)pyrene concentrations from the medicinal herbs ranged from non-detection to 37.54 μg/kg, and their average was 6.73 μg/kg. Among the total samples, 15 samples (i.e., 30%) exceeded the limit of herbal medicine benzo(a)pyrene criteria (i.e., 5 μg/kg) according to the notification No. 2009-302 from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In particular, the concentration of benzo(a)pyrene in Coptidis Rhizome was turned out to be the highest of 37.54 μg/kg. The detected benzo(a)pyrene concentrations from water extract(decoction), soft extract and remnant after boiling, ranged from non-detection to 2.31 μg/kg, non-detection to 2.28 μg/kg, and 2.18 to 21.91 μg/kg, respectively. In preparation of water extract(decoction) and soft extract, transferred benzo(a)pyrene was not detected or, if transferred, the maximal transfer ratios of benzo(a)pyrene were shown to be 8.9% and 9.8%, respectively. Therefore, the content of benzo(a)pyrene in the samples of herbal medicine used in this study, were reduced by more than 90% in preparation steps of water extract (decoction) and soft extract. 본 연구에서는 건조하기 어려운 원료한약재 5 품목(총 50 건)을 대상으로 벤조피렌 함량 및 물 추출물과 연조엑스제조단계에서의 벤조피렌의 이행률을 HPLC/FLD로 측정하였다. 벤조피렌의 검량선은 3~40 ng/mL의 농도 범위에서상관계수(R2)가 1.000으로서 우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원료한약재의 벤조피렌 검출 범위는 불검출~37.54 μg/kg이고, 검출평균은 6.73 μg/kg이었다. 그 중에서 식품의약품안전처의 고시(2009-302호) 기준인 5 μg/kg 이상 검출된 시료는 15 건(30%)이었다. 특히 황련의 벤조피렌 함량은 37.54 μg/kg으로서 가장 높았다. 물 추출물, 연조엑스 및 물 추출 후 찌꺼기에서 벤조피렌의 검출 범위는 각각 불검출~2.31 μg/kg, 불검출~2.28 μg/kg 및 2.18~21.91 μg/kg으로 분석되었다. 물 추출물(탕제)와 연조엑스의 제조에서 벤조피렌은 이행되지 않거나, 특히, 현삼에서 물 추출물과 연조엑스의 경우에각각 최대 8.9%와 최대 9.8%의 이행률을 보였다. 따라서 원료한약재에 비해 물 추출물 및 연조엑스에서 벤조피렌 함량이 각각 90.0% 이상까지 감소하였다.

      • KCI등재

        『好色五人女』에 나타난 사이카쿠의 호색관(好色觀)

        윤혜민,김상규 대한일어일문학회 2015 일어일문학 Vol.66 No.-

        This study was conducted on female commoners and their ‘koshoku’ in 『koshokugoninonna』 of Ihara Saikaku based on women"s real life at that time. It was focused on the difference of settings depending on women"s marital status and analyzed how Saikaku saw ‘the koshoku’(which meaned amorous relationship between man and woman) of them in stories. Female"s economic and social status was the lowest in the modern times. Besides, according to the social system in that time, having a relationship was defined as a heavy crime that could be sentenced to death penalty depending onthe situation. However, heroines in the work were looking for the love that was not involved in the society such periodic background. The writer didn"t criticized women expressing interest to men aggressively. Basically considering the affair of married woman immoral, the writer looked in positive about woman who devoted to one man even though he is not husband. Heroines of 『koshokugoninonna』 could not break out their rut of a tragedy from the first because they looked forward to the love against the social system at that time. Saikaku tended to depict woman who tried to live an independent life although they knew their life would end terribly by social environment. The work, 『koshokugoninonna』, might be loved cause many people in that time were sympathetic and got a vicarious satisfaction from woman"s active attitude.

      • KCI등재

        정조대 연사례(燕射禮)의 설행(設行)과 그 의미

        윤혜민 한국역사연구회 2022 역사와 현실 Vol.- No.125

        In the early days of founding the Gyujanggak(奎章閣) Archives, King Jeongjo established the Bul’un-jeong(拂雲亭) pavilion, which served as a place for archery and a space in which governmental personnel could be trained in both literary and martial arts. Jeongjo ordered the manufacturing of target boards, modeled after the Guhu-beob(九帿法) methods that had earlier been suggested by the Chinese Song(宋) dynasty’s Sīmǎ Guāng(司馬光), and enjoyed archery himself with his close associates. Also, inspired by the Chinese Ju(周) dynasty and its institutions, he renamed these archery sessions to Yeonsa-rye(燕射禮), which referred to archery sessions performed at the Yeonchim(燕寢) chamber, the king’s most private space, and made it a ritualistic occasion. In 1779, 3rd year of King Jeongjo’s reign, the Yeonsa-rye ritual was performed at Bul’un-jeong for the very first time. And later in 1783, Jeongjo’s 7th year, a practice session(習儀) for Yeonsa-rye was held at the Chundang-dae(春塘臺) tower. At this occasion, Jeongjo added the protocol of ‘Yeon’eum(燕飮, drinking at Yeonchim)‘ to the Yeonsa-rye protocols(儀註), upgrading it to “Yeonchim Eumsa-rye Euiju(燕寢飮射禮儀註).” This modification was due to Jeongjo’s will to consolidate his own relationship with closest aids, including the Gyujanggak officials[閣臣]. As we can see, the Joseon dynasty’s Yeonsa-rye ritual was formalized by King Jeongjo’s determination to establish an amicable atmosphere between the king and the vassals, and a steadfast environment in which the king could encourage everyone to train themselves in both literary and martial capabilities, through regular archery sessions conducted in the king’s most private place. What should be noted is his idea to elevate the act of archery with his close associates to the level of rituals and protocols(禮), and his efforts to modify the old protocols(古禮) to match the time and his own intentions. It shows us that Jeongjo tried to put official protocols to a good use to the best of his abilities, and create an institution that could be observed as a model for future generations.

      • KCI등재

        숙종대 保社功臣의 錄勳과 정치적 의미 -『保社錄勳都監儀軌』를 중심으로-

        윤혜민 조선시대사학회 2021 朝鮮時代史學報 Vol.- No.99

        In 1680, the political upheaval occurred due to the rebellion of Heo Gyeon(許堅) and Bok Seon-gun(福善君). At this time, King Sukjong conferred those who suppressed the rebellion. The name of the Conferment is Bosa Meritorious Subject(保社功臣). The Uigwe for the Conferment of Bosa Meritorious Subject(保社錄勳都監儀軌) compiled in 1682 contains detailed records of the meritorious service process of the meritorious Subject at that time. Therefore, in this paper, the reorganization of political power in the early days of King Sukjong was reviewed using this Uigwe, and the political meaning of Bosa Meritorious Subject and the Uigwe was considered. King Sukjong actively led the conferment. Through this, he conferred Kim Seok-joo(金錫胄), other chucksins(戚臣), and they related people. King Sukjong also promoted Meritorious Subjects' Pledge Rituals(功臣會盟祭) quickly. It seems that King Sukjong is trying to protect Kim Seok-joo and make it clear the reorganization of the power structure. Moreover, Meritorious Subjects' Pledge Rituals, which can reveal the faith and loyalty between the king and vassal, has the effect of establishing and recognizing hierarchical order under the king. Therefore, it is judged that King Sukjong took advantage of it. After that, King Sukjong additionally conferred six people related to chucksin, including Shin Beom-hwa(申範華). Although not only the Daegan(臺諫) and Seungji(承旨), but also the Daesin(大臣) strongly prevented the additionally conferment, King Sukjong pushed ahead with the addition with the support of Kim Seok-joo. After the completion of the additional conferment of the Meritorious Subject, King Sukjong tried to clarify the dispute between loyalty and rebellion by compiling Uigwe and secure the justification for the reorganization of power. This Uigwe contains political implications for forming and commemorating official memories rather than for reference to future events. 1680년(숙종 6) 許積의 庶子인 許堅과 麟坪大君의 둘째 아들인 福善君 李柟의 역모 혐의로 인해 庚申換局이 발생했다. 이때, 숙종은 역모를 진압하는데 공을 세운 자들을 保社功臣으로 錄勳하였다. 1682년(숙종 8)에 편찬된 『保社錄勳都監儀軌』에는 당시 공신의 녹훈 과정이 상세하게 담겨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보사녹훈도감의궤』자료를 활용하여 숙종 초에 정치 권력이 재편되는 양상을 검토하고, 보사공신과 해당 의궤의 정치적인 의미를 고찰해 보았다. 먼저, 鄭元老와 姜萬鐵이 역모를 告變한 것을 계기로, 허견과 복선군 형제 등이 처단되고 6명의 공신이 녹훈되었다. 숙종은 적극적으로 공신의 공훈 감정을 주도하여 종친 세력을 대체할 집단으로 金錫胄를 비롯한 戚臣 및 그 관련자들을 녹훈 대상자로 삼았다. 녹훈 당시에 김석주가 金萬基를 元勳 및 錄勳都監의 堂上으로 추천한 부분에서는 척신 간의 갈등이 연대로 전환되는 중대한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데, 이후에 척신들이 驪興 閔門과의 국혼을 진행시켜 三戚으로 확장되고 老論으로의 정체성을 함께 형성하게 된 단초가 되었다는 점에서 정치사적으로 크게 주목되는 부분이다. 숙종은 보사공신의 녹훈에 이어 二十功臣會盟祭 또한 신속하게 추진하였다. 李元成의 또 다른 고변이 올라오고 김석주의 從弟인 申範華까지 죄인으로 거론되자, 숙종은 김석주를 보호하고 권력 구조의 재편을 관철시키기 위해 고변의 처리를 유보하고 회맹제 거행에 몰두한 것으로 보인다. 더욱이 군신 간의 신의와 충성을 드러내며 역대 공신 및 그 자손들이 대규모로 모여 결속을 다질 수 있는 회맹제는 국왕 아래로 위계질서를 확립하고 공인하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숙종이 이를 십분 활용한 측면이 크다고 판단된다. 이후, 반역 상황에 참여했던 신범화를 정탐한 공신으로 삼지 않으면 역적으로 처단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 숙종은 신범화를 비롯한 척신 관련자 6명을 追錄하였다. 대간과 승지들뿐만 아니라 대신들까지도 추록을 강하게 저지하였음에도, 숙종은 김석주의 지원을 받으며 추록 공신의 감정을 감행시켰다. 이처럼 환국의 가장 큰 원인이었던 역옥을 평정한 공훈이 모두 척신에게 집중되었던 점과 서인 朝臣들이 공신의 녹훈을 반대하며 저항했던 점을 통해 경신환국이 서인과 남인 간의 권력 투쟁으로 일어난 것이 아니며, 척신이 서인 출신이라 하더라도 서인 내에서의 그 성격은 구분해서 볼 필요가 있음을 파악할 수 있다. 숙종은 공신의 추록이 완료된 후 『보사녹훈도감의궤』를 편찬하게 함으로써, 충역의 시비를 명확히 밝히고 권력 재편의 명분을 확보하려 하였다. 이 의궤는 후일의 의식에 참고하려는 목적보다는 공식적인 기억을 형성하고 기념하려는 정치적 함의가 내포되어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