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초등학교 저학년의 친사회성 증진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윤청하 ( Chung Ha Yun ),유형근 ( Hyeong Keun Yu ),남순임 ( Soon Im Nam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6 아동교육 Vol.25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저학년의 친사회성 증진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프로그램의 구안은 박인우(1995)의 체계적인 상담 프로그램 개발 모형을 바탕으로 조사, 분석, 설계, 구안, 적용의 5단계를 거쳤으며, 잠정적으로 구안된 프로그램에 대해 이론 전문가와 현장 전문가의 자문 과정을 거쳐 수정·보완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을 위해 G시에 위치한 초등학교 2학년 학생들 중 사전검사 결과 친사회성 정도가 유사한 2개 학급을 선정하여 1개 학급(22명)은 실험집단, 다른 1개 학급(22명)은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여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검사도구는 이선화(1999)의 친사회적 행동 검사지를 사용하였고 혼합변량분석 (Mixed ANOVA)으로 자료처리를 하였으며 양적 연구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하여 집단원의 경험보 고서와 상담자의 관찰내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친사회성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성이 입증되었으며 하위 영역인 도움주기, 나누기, 위안하기, 협동하기에서도 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prosociality by developing and applying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to improve prosociality in the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This study was to select two classes with the similar average of prosocial behavior test among the second-year elementary school students located in G city as research object, and to compose of 22 students in one class as experimental group and of 22 students in the other class as control group. This study was to execute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to improve prosociality by using creative experience activity hour twice a week from Sept. 2 to Oct. 12 by devising it as total 12 sessions based on the counseling program development model by In-Woo Park(1995). As to the research tool, this study was to use the questionnaire to measure the degree of prosociality through the self-report by the children among the questionnaires of prosocial behavior by Sun-Hwa Lee(1999). There were items among the items which could not be understood in the level of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so this study was to insert the subject in order that the meaning of questions could be delivered to one major professor of counseling psychology and one doctor of counseling psychology with the verification of validity, and to modify and use a part of terms easy and familiar to the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The data processing analyzed the statistical result by using the Mixed ANOVA in the SPSS/Windows 20.0. To supplement the limits of reliability which the quantitative result had,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group members`` experience report and counselor``s content of observation. From the result of this research above, it may be summed up as follows. This study has found out that the changes in the prosociality in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participated in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to improve prosociality had change in the control group and had significant difference. Furthermore, this study has shown that the changes in the helping, sharing, comforting, and cooperating in the experimental group from the analysis result by the subarea of prosociality had change in the control group and had significant difference. In addi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group members`` experience report and counselor``s contents of observation, this study has found out that this program had positive effect to improve prosociality in the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 KCI등재

        만 40세 성인의 우울기분과 생활습관과의 관계

        추지은(Ji Eun Chu),이희진(Heejin Lee),윤청하(Chung Ha Yoon),조한익(Han-Ik Cho),황지윤(Ji-Yun Hwang),박윤정(Yoon Jung Park)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4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3 No.5

        본 연구는 한국건강관리협회 건강증진의원에서 생애전환기 건강진단을 수검한 만 40세 중년기의 성인 27,684명을 대상으로 한 대규모 인구집단 연구로서, 우울한 기분상태와 흡연, 음주, 신체활동 특성과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이들을 대상으로 효과적인 건강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하였다. 전체 연구대상자의 6.4%는 우울기분군으로 분류되었고 우울기분의 분포는 남성보다 여성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비우울군에 비해 우울기분군에서 현재 흡연자의 비율이 높았으며, 비흡연자에 비해 과거 흡연자와 현재 흡연자에서 우울기분의 교차비가 증가하였다. 또한 현재 흡연자의 하루 평균 흡연량이 21개피 이상일 경우 우울기분과의 교차비가 증가하여 흡연과 우울기분의 높은 관련성을 나타내었다. 1주 평균 음주일수가 3일 이상인 경우 보정 후 우울기분의 교차비가 비음주군에 비해 높았으며 우울기분군에서 알코올남용 및 알코올의존이 더 높아 부적절한 음주행태와 우울기분이 관련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우울군에서는 고강도 운동을 5일 이상 한다고 응답한 비율이 낮았고 1주 평균 고강도 운동 횟수가 2∼4일로 적당할 경우, 우울기분의 교차비가 낮아져 고강도 신체활동과 우울기분의 관련성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는 고강도 운동에서만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으나 운동 강도, 빈도와 우울기분과의 관련성에 대한 다각적인 연구가 추가적으로 필요할 것이라 생각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생애전환기를 지나고 있는 대한민국 만 40세 성인의 우울기분이 흡연, 음주, 신체활동의 생활습관과 연관성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들을 대상으로 효과적인 질병예방과 건강증진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경도의 우울기분 유무를 파악하고, 심리적?정신적인 건강관리를 위한 지원을 병행하는 것이 매우 중요할 것이다. 우울기분의 관리를 위해서는 지역사회에서 흡연, 음주, 신체활동 등의 생활습관 개선을 교육, 지원하는 것뿐만 아니라 흡연, 음주, 신체활동을 아우르는 다양한 중재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사료된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depressed mood and life style patterns, including smoking, alcohol drinking, and physical inactivity in Koreans aged 40 years, which is a critical life transition period. Based on the Life Transition Period Health Examination at the Korea Association of Health Promotion conducted in 2011 (n=27,684), participants were categorized into a depressed mood group and a non-depressed mood group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imary Mental Health Questionnaire. The depressed mood group showed higher tendency for smoking compared to the non-depressed mood group. Current and ex-smokers were about twice as likely to have a depressed mood as the non-smokers. The prevalence of nicotine dependenc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depressed mood group. The number of days and amount of alcohol consumption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depressed mood. The prevalence of alcohol dependence and alcohol abuse was higher in the depressed mood group than in the non-depressed mood group. The frequency of high-intensity exercise per week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number of people with a depressed mood. This study showed the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depressed mood and smoking, alcohol drinking, and physical activity in adults during an important life transition period. This implies that the development of proper lifestyle intervention or education may be needed to prevent depressed moods in this age grou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