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07년(年) 개정(改定) 한문과(漢文科) 교육과정(敎育課程)"에 따른 고등학교(高等學校) 『한문(漢文)2』의 산문(散文) 교육(敎育) 방향(方向)에 관한 일고(一考)

        윤지훈 ( Ji Hun Yoon )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1 漢字 漢文敎育 Vol.26 No.-

        This paper makes an attempt to suggest the direction of teaching classical chinese prose on 《HanmunⅡ》, one of the textbooks for classical chinese class of the highschool in korea is higher level than 《HanmunⅠ》, and to show something distinctive on the new curriculum, classical chinese prose training, for more useful practice teaching of ``the new curriculum for classical chinese class in 2007``. It inclines to the education focused in classical chinese writings, beyond classical chinese characters or words. In the case of 《HanmunⅠ》·《HanmunⅡ》for highschool students, the object of study is to let them be able to read, understand, and appreciate classical chinese writings. Through it, it is expended that they can study various types of classical chinese writings. Especially, 《HanmunⅡ》needs teaching and learning higher level writings in classical chinese than 《HanmunⅠ》, and also needs teaching them on the stream of the literary history for helping students understand and appreciate them. In other words, 《HanmunⅡ》 should be focused on not reading but understanding and culture because it is the class with studying pre-level writings as 《HanmunⅠ》. Therefore, as considering the connection and rank in a curriculum, 《HanmunⅡ》, it is planing to be edited according to the new curriculum for classical chinese class in 2007, need to correct several errors in 《Hanmunkojeon》and to make the new type of textbook as reflecting the followings: the introduction of Pianzhangfa[篇章法], the intensive course for learning a literary style, the studying of literarily historical meanings, the connection with the other classes, the expansion for culture education.

      • KCI등재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의 아동 학습서 편찬에 대한 연구 -『아학편(兒學編)』과 『소학주관(小學珠串)』을 중심으로-

        尹智勳 ( Yoon Ji-hun ) 동방한문학회 2019 東方漢文學 Vol.0 No.81

        본고는 정약용의 아동 학습서 편찬 배경과 교육적 의의를 『兒學編』과 『小學珠串』을 중심으로 고찰해 보았다. 검토 결과, 다산 정약용은 당대 통용되던 아동 학습서를 아동들의 체계적인 학습에 오히려 장애가 되는 존재로 인식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자신이 생각하는 학문 체계에 맞는 다양한 아동 학습서를 편찬하는 데 많은 노력을 경주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兒學編』은 당시 아동 학습서로 널리 사용되던 『千字文』을 대체하려는 의도로 편찬된 것으로, ‘觸類旁通’이라는 문자 교육의 핵심적 교수·학습 방법이 투영된 아동 학습서라고 할 수 있다. 이는 현대 언어학에서도 어휘 학습의 주요 교수·학습 방법으로 의미관계를 활용한 어휘 교육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음을 고려할 때, 의미 관계 속에서 문자 교육을 실시하도록 한 정약용의 방법은 오늘날 한자 학습에서 유효한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아학편』에 수록된 字種을 살펴보면 경학과 경세학을 학습하는 데 유용한 문자 학습서로서 기능하고 있는 바, 그의 학문 세계를 반영한 아동 학습서라고 평가할 수 있다. 또한 『小學珠串』의 경우는 古經 이래 諸書에서 實學에 도움이 되는 명목300조목을 수집하여 구슬을 꿰듯 엮은 책으로, 정약용이 강진 유배 시절 자신에게 배우러 온 아이들을 가르치기 위해 편찬한 교재이다. 지금으로 따지면 용어집이나 숙어집, 관용어구 모음집 정도에 해당하는데, 아동들에게 기본 개념의 중요성을 인식시켜 향후 경학이나 경세학을 공부해 나갈 때 개념을 혼동해 오독하는 일이 없게 하려는 목적을 지닌 아동 학습서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따라서 그가 『兒學編』과 『小學珠串』에서 보여준 아동의 인지 발달 수준을 고려한 교재 구성과 교수·학습 방법은 오늘날 한자 교육 시 충분히 활용할 만한 가치가 있을 뿐 아니라, 아동 학습서조차도 단순히 현상이나 문제점을 비판하고 지적하는 데 그치지 않고 보다 적절한 실천적 대안을 마련하기 위해 노력했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background and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Dasan Jeong Yak-yong's children's workbook, focusing on 『Ahakpyeon(兒學編)』 and 『Sohakjugwan(小學珠串)』. As a result of the review, Dasan Jeong Yak-yong recognized that the current children's workbooks were a barrier to the systematic learning of children.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he tried a lot to compile a variety of children's workbooks that fit their academic system. 『Ahakpyeon(兒學編)』 was compiled with the a children's workbook that replaced 『the Thousand-Character Classic(千字文)』. This workbook was contained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of the teaching of letters in the semantic relationship necessary for vocabulary learning. In particular, the Chinese characters in the workbook 『Ahakpyeon(兒學編)』, it functions as a textbook that is useful for studying the study of Confucian classics and Statecraft. Also, This workbook was made up vocabulary, a phrase book, and an idiom through consists of title 300 item. The 『Ahakpyeon(兒學編)』 and 『Sohakjugwan(小學珠串)』 were written to reflect the level of cognitive development of children. It also suggests that even children's workbooks have tried not only to criticize and point out phenomena or problems, but to make more practical alternatives.

      • KCI등재
      • KCI등재

        삽교(삽橋) 안석경(安錫儆)의 『지문(識聞)』에 대한 일고찰(一考察)

        윤지훈 ( Ji Hun Yoon ) 한국한문교육학회 2008 한문교육논집 Vol.31 No.-

        본고는 안석경의 경전 해석서인 『지문』의 편찬배경과 체재 및 특징적 면모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지문』은 안석경이 유가 경전을 나름의 관점에서 해석한 일종의 경전 주석서로서, 이는 그가 부친인 안중관의 저술의식과 경전을 문장학습에 적극 활용하려는 자신의 문학론에 영향을 받아 저술된 것이다. 체재는 현재 남아 있는 판본을 기준으로 8개 항목에 총 453조목의 해설이 수록되어 있다. 『지문』은 해설 방식에 있어서 크게 두 가지 특징을 지니고 있다. 첫째는 경전을 주자학의 관점에서 이해하고 이를 재해석하려는 경향이고, 둘째는 편장자구법을 활용하여 경전문장을 구조적으로 분석하는 한편, 그 속에서 자구 운용의 수사법을 탐구하려는 경향이다. 첫 번째가 경전의 내용을 해설한 것이라면, 두 번째는 주로 경전의 문장을 형식적 차원에서 분석하여 각각의 결과물을 도출한 것이다. 이러한 그의 경전 해석 방식은 당대 농암계 문인들의 문학적 성향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어 주목된다.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look into compilation-backing, structure, and a distinctive feature of 『Jimun(識聞)』: interpreting the Scriptures written by An Seok-gyeong. It is a kind of a commentary for him to explicate on the Confucian Scriptures from his own standpoint. The origin he compose 『Jimun(識聞)』 is on his literary theory to try to utilize writing-awareness of An Jung-kwan, his father and to attempt to make use of the Scriptures for learning a sentence positively. The structure consists of explanation with 8 points and 453 articles on the edition left to date. 『Jimun(識聞)』 has two features in a commentarial form: the tendency to understand and re-interpret the Scriptures on the doctrines of Chu-tzu(朱子), to seize the principal purport of them by analyzing the sentences of them organically with making use of Bianchangjagufa(編章字句法), and to investigate the literary factors in them. The first is for explaining the contents of them. The others are mainly the case where to draw each conclusion by analyzing the sentences of the Scriptures formally, and also the features need to be paid attention because closely related with the inclination of the literary men of Nongam-group at that time.

      • KCI등재

        차기 한문과 교육과정 개발 방향

        윤지훈 ( Yoon Ji-hun ) 한국한문교육학회 2021 한문교육논집 Vol.57 No.-

        본고는 2022 개정 교육과정의 각론 개발을 목전에 둔 시점에서 2022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의 개발 방향을 탐색해보았다. 2022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의 전반적인 체계를 설정하기 위해 교과 역량과 함께 교과목 재구조화 방안을 살펴본 후, 각 교과목별 성격, 목표, 내용 체계 등의 설정 방향을 차례로 살펴본 것이다. 2022 개정 교육과정은 자기주도성 및 삶과 연계한 미래 역량 함양이 가능하고 고교학점제를 원활히 지원할 수 있으며,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교육내용을 강화하고 학습자와 교사의 자율성을 담보할 수 있는 교육과정을 추구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본고에서는 한문 교과를 둘러싼 대내외적 변인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교과 학습 내용과 직접적으로 연관되는 지식 또는 기능적 요소와 관련이 있는 것은 의사소통 역량, 한문 문해 역량, 문화 이해 역량을 기본 역량으로 설정하고, 특정되지 않는 형태로 형성되는 태도나 가치 요소를 많이 지니고 있는 정보 활용 역량과 자기주도적 학습 역량을 기대 역량으로, 교수ㆍ학습 방법과 관련이 깊고 한문과 기본 역량 함양에 도움을 주는 역량을 창의적 사고 역량, 인성 역량, 심미적 감성 역량을 지원 역량으로 재구조화할 것을 제안하였다. 다음으로 본고는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한문 교과의 교과목 재구조화 방안과 그에 따른 교과목별 성격, 목표, 내용 체계 설정 방향에 대해 살펴보았는데, 일반 선택 과목의 경우 수능 시험에서 존속되는 것을 고려하여 현재 ‘한문Ⅰ’ 수준에서 과목을 개설할 필요가 있고, 융합 선택 과목은 실용적 성격을 강화한 과목을 개설할 필요가 있으며, 진로 선택 과목은 일반 선택 과목의 내용을 심화 학습할 수 있는 과목을 개설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고, 이에 입각하여 교과목의 재구조화 및 교과목별 성격, 목표, 내용 체계 설정 방향을 살펴보았다. With the development of the 2022 revised curriculum just around the corner, this paper explored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2022 revised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In order to establish the overall system of the 2022 revised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the curriculum restructuring plan along with the curriculum competency was examined, and then the characteristics, goals, and content system of each subject were examined one after another. The 2022 revised curriculum is expected to foster self-directedness and future competencies linked to life, smoothly support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strengthen educational content for a sustainable future, and pursue a curriculum that guarantees autonomy of learners and teachers. Therefore, this paper proposed to restructure subject competency into communication competency, Classical Chinese literacy competency, cultural understanding competency, information utilization competency, self-directed learning competency, creative thinking competency, personality competency, and aesthetic sensibility competency.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general elective courses need to be opened at the previous level, convergence elective courses need to be opened with practical characteristics, and career elective courses need to be restructured and subject character, goal, and content system established.

      • KCI등재

        집중이수제(集中履修制) 시행(施行)에 따른 중학교(中學校) 한문(漢文) 교과서(敎科書)의 편찬(編纂) 방안(方案)

        윤지훈 ( Ji Hun Yoon ) 동방한문학회 2011 東方漢文學 Vol.0 No.47

        본고는 ``2009 개정 교육과정``이 일선 학교 현장에 적용되기 시작한 현 시점에서 ``2009 개정 교육과정``의 핵심 개념인 집중이수제와 이에 따른 한문과의 향후 전망, 그리고 중학교 한문 교과서의 편찬 방향 등을 살펴본 것이다. 집중이수제는 일선 단위 학교에서 교과 시간의 운영을 자율로 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로서, 학습자의 학습 부담 경감과 단위 학교 교육과정 운영의 자율화를 표방하는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시행과 맞물려서 우리나라 교육 현장에 도입·시행되었다. 그러나 입시 위주의 교육이 만연해 있는 우리나라의 특수한 상황 속에서 집중이수제는 아직까지 순기능보다 역기능을 많이 양산하고 있다. 즉, 한문과와 같이 수업 시수가 적은 군소 교과들의 경우, 수업 시수 20% 자율적 증감 방안과 함께 시행되는 집중이수제로 인해 전체 수업 시수와 이수 학기가 급격히 감소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 보도된 조사 결과에 따르면, 한문은 과거 4~6단위로 편성되어 짧게는 2년에서 길게는 3년을 배우던 것이,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시행 이후 점차 2개 학기에 4단위 이수로 굳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므로 중학교 한문 교과서도 이러한 현실을 고려할 때 어떠한 형태로든지 지금의 체제와는 다른 새로운 형태로의 변화가 필요하다.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의해 편찬될 새로운 교과서는 학습 내용을 치밀하고 알차게 구성하여 일선 학교들이 점차 수업 개설의 범위를 넓힐 수 있도록 집필되어야 한다. 그리고 교과서의 편제는 집중이수제의 시행으로 인해 학교마다 개설되는 학기와 수업 시수가 다를 수 있으므로 현재와 같이 1, 2, 3의 세 권으로 할 것인지, 1, 2, 3을 하나로 묶어 통권으로 편찬할 것인지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해 봐야 하겠다. 또한 구성 체제는 각 소단원마다 제시된 본문을 위주로 수업이 진행될 수 있도록 구성하되, 교과서에 서술되는 학습 내용 중에서 가능한 중복되는 것들은 배제하고 학년별, 혹은 단원별로 새롭게 추가되는 학습 내용을 중심으로 점차 난이도를 높이는 방향으로 나아가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At this time when starting to enforce the new curriculum of 2009 in the front-line schools, this is for checking the followings: the intensive course program, which is the core notion in the new curriculum of 2009, the outlook on the subject of Hanmun from the program, the direction of compiling its textbook for middle-school students, etc. As what makes front-line local schools be able to freely manage school hours, the program is imposed on the educational arena with the new curriculum of 2009, which advocates both the relief from the learning burden for learners and the freedom to manage curricula in local schools. However, it still bears adverse effect more than good effect in the special circumstances of Korea where the education focused on the entrance exam is prevalent. That is, in such subjects as Hanmun, it has fewer days of education than other major subjects do, both the whole days of education and the semesters for completing a course are dropping sharply because the intensive course program is conducted with the measure to freely regulate 20 percent of the days for their education. Latest reports say that the course of Hamun has gradually confirmed in only four steps during two semesters since the new curriculum of 2009 was put into effect, while it needed 4 to 6 steps during 2 to 3 years before. Therefore, considering this in the textbook of Hanmun for middle school students, it is necessary to change it to the new form different from its current form no matter what it is. The new textbook by the new curriculum of 2009 should be written, with meticulous and solid learning contents put in it, to widen the range of class the front-line schools open step by step. And we need to think more deeply whether the number of its volume should be 3 ,as it is now, or it should be comprised of the consecutive number of volumes because by conducting the intensive course program both semester and class opened in one school can be different from them in another. Also, it is desirable that though the body text every lesson presents is made the primary object for the course, what is overlapped is avoided as possible, and what gradually makes the level of difficulty higher around the learning contents added newly at every grade or lesson organically.

      • KCI등재

        포스트코로나시대의 교과서 개발과 적용의 지향

        윤지훈 ( Yoon Ji-hun ) 한국한문교육학회 2021 한문교육논집 Vol.56 No.-

        본고는 시대의 변화에 맞춰 학교 교육의 방향도 다양한 변화를 예고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학교 교육에서 교수ㆍ학습 활동의 주요 기재로 활용하고 있는 교과서 역시 기존의 틀을 깨고 변화된 시대상을 반영할 수 있는 방향으로 개선해 나갈 필요가 있다는 전제하에 현재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교과서 관련 정책의 현안을 짚어보고, 포스트코로나시대에 걸맞은 교과서상과 교과서 개발 및 적용의 방향을 검토해 보았다. 검토 결과 현재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교과서 관련 정책은 다양한 디지털 콘텐츠를 활용하여 교사가 온ㆍ오프라인 교육에 적합한 온라인 교과서를 저작하여 사용하는 체제를 구축한다는 것이 핵심이었다. 따라서 이러한 정책 기조에서 부합하는 교과서 편찬을 위해서는 교과서를 서책뿐 아니라 다양한 온라인 콘텐츠를 활용하여 제작한, 교육과정 정합성을 충족시키는 넓은 의미의 교수ㆍ학습 자료로 정의할 필요가 있으며, 많은 내용을 다루기보다는 교과의 기본 개념과 원리를 탐구할 수 있는 형태로 조직되어야 하고, 다양한 형태의 온ㆍ오프라인 수업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개별 콘텐츠들의 완성도를 높이면서도 활용성 제고를 위해 유연한 구조의 콘텐츠를 개발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그리고 이렇게 개발된 교과서는 흥미 유발과 학습 동기 부여, 핵심적 교과 지식 전달, 다양한 학습 자료 제공을 중심으로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direction of school education and textbook development and application that reflects various changes in line with the change of the times.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analyzed the current issues of textbook-related policies promoted by the government, and reviewed the concept of textbooks in the post-corona era and the direction of textbook development and application. As a result, the government's current policy on textbook was to establish a system in which teachers produce and use online textbooks suitable for online and offline education by utilizing various digital contents. Therefore, in order to compile textbook that conform to this policy stance, it is necessary to define them as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that meet the convergence of the curriculum by utilizing books and online contents. Also it should be organized in a form that allows us to explore the basic concepts and principles of the subject rather than addressing much of the content. Finally, it was necessary to develop flexible structure contents that would effectively respond to various forms of online and offline classes. In addition, the developed textbooks were considered desirable to focus on motivating interest and motivating learning, conveying core curriculum knowledge, and providing various learning materials.

      • KCI등재

        조선 후기 문인들의 왕수인(王守仁) 문학에 대한 인식과 평가

        윤지훈 ( Ji Hun Yoon ) 근역한문학회 2011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33 No.-

        This study is prepared for checking what the literary men at the second half of Joseon Dynasty regarded WangShouren[王守仁]`s literature as. A review of their appraisals reveals that his literature totally was appreciated, while he was harshly criticized academically. That they fully appreciated it resulted from their affirmative realization of literary identity based on ``buyirenfeiyan[不以人廢言]``, even if there was a matter of degree from person to person. They realized that he predicated upon ``quwenchangshi[去文尙實]`` made use of the rhetoric of pianzhang[篇章] such as kaihe[開闔], yiyang[抑揚] and more, and then states their various aspects of criticism for his writing. Especially, both the way to make the point clear, which is indicative, to the point, and unquestionable, and the vigor of writing down attracted their attention. That is, WangShouren[王守仁] partially got the credit for literature and its service, although was criticized academically by the literary men at the second half of Joseon Dynasty.

      • KCI등재

        랑산(朗山) 송지양(宋持養)과 『중향만필(衆香漫筆)』에 관한 일고(一考)

        윤지훈 ( Ji Hun Yoon ) 동방한문학회 2013 東方漢文學 Vol.0 No.55

        본고는 19세기 소론계 문인의 한 사람인 宋持養의 생애와 문학관을 확인하고, 그의 대표작인 『중향만필』의 특징과 내용에 대해 살펴보았다. 검토 결과 송지양은 徐有구, 徐瀅修 등 외가인 달성서씨 문사들의 영향 속에서 학문을 형성해 나갔으며, 같은 賞心契의 계원이었던 洪錫謨, 洪敬謨 등 소론계 豊山洪氏 집안의 자제들과 돈독한 관계를 맺으며 청년기를 보냈다. 그는 1810년 관계에 진출한 후 35년간 여러 관직을 등을 두루 역임하였고, 은퇴 후에는 시를 짓고 묵첩을 완상하면서 시간을 보내다 생을 마쳤다. 또한, 그는 문학에 있어 창작 과정에서 작용되는 정신 활동, 즉 작가가 자신의 존재를 망각한 채 심미 대상 속에 몰입되어 창작 주체와 창작 대상 사이의 간격이 사라져 버린 물아혼융의 경계인 ‘神境’을 일관되게 추구하고 있었다. 그의 『중향만필』은 1825년에 서유구의 권유로 금강산을 유람하고 쓴 산수유기 작품으로, 외형상 종래 날짜와 여정에 따라 서술되는 서술 방식에서 벗어나 작가의 견문과 체험, 의론을 자유로운 필기의 형식으로 써내려가는 ‘筆記雜錄化’의 방식을 사용하였으며, 금강산의 승경과 그곳에서 받은 흥취, 자연을 통해 깨달은 이치 등을 적재적소에 배치하여 ‘景→情→議’로 진행되는 과정에 창작 과정에서 작용하는 정신 활동인 ‘신경’이 자연스레 구현될 수 있도록 하였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This is to check up the life and viewpoint on literature of a man, Songjiyang, one of the, by looking into the features and details of his most famous work, Junghyangmanpil. As a young man, he was more familiar with two of Sangsimgye, Hongseokmo and Hongkyeongmo, the sons of Nongsan Hong`s family in Soron party, as well as developed the study under the influence of the literary men such as Seoyugu and Seohyeongsu in his mother`s side of Dalseong Seo`s family. For 35 years after entering government, in 1810, He had been in various positions. He took the retired life to write poems and appreciate scrapbooks till the end of his days. He only sought ‘Sinkyeong’, a kind of spiriting which works in the process of writing literary works: that is what a writer is immersed into aesthetic objects with himself lost and then the distance between the subject and object of the creation is gone. Junghyangmanpil was written as a travel essay by landscape writing in 1825, when he went sightseeing to Mt. Keumgang as Seoyugu recommending. He drained it from being described according to the date and schedule formally, with a way of Pilgijabrokhwa, which is to write the observation, experience, and discussion as a free-formed essay. I think that it is remarkable for him to realize Sinkyeong smoothly on shifting from views to sentiments to discussion by felicitously arranging the views, flavors of Mt. Keumkang, the order of nature from it, and so on.

      • KCI등재

        백급(Bletilla striata Reichenbach fil.) 분획물의 항산화, 항염증 효과와 화장품소재로서의 연구

        윤지훈(Ji-Hun Yoon),박성근(Seong-Geun Park),이미지(Mi-Ji Lee),박진영(Jin-Young Park),서교성(Kyo-Seong Seo),우경철(Kyung-Chul Woo),이창언(Chang-Eon Lee) 한국생명과학회 2013 생명과학회지 Vol.23 No.9

        항산화, 항염증 효과는 화장품 소재에서 중요한 요소이다. 항산화, 항염증은 피부노화 예방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백급은 이전부터 약리활성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왔다. 실험재료는 백급의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물분획물을 사용하였다. 항산화 효과는 DPPH, ABTS+ radical scavenging 실험으로 확인하였다. 다양한 분획물중, 백급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LPS에 유도된 nitric oxide의 생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을 증명하였다. 게다가, nitric oxide 생성의 상위 기작인 iNOS, COX-2 단백질 발현도 저해하였다. 우리는 백급 분획물의 항산화, 항염증 효과가 항 노화 및 피부염증 개선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기대한다. The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active ingredients in cosmetics are very important. The effects are closely related to the prevention of skin aging. Among medicinal plants, Bletilla striata Reichenbach fil. has well-known pharmacological activity. Extracted samples were prepared using sequential fractionation of ethyl acetate, butanol, and water. The antioxidant effect of the fractions was confirmed by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mong the various fractions of B. striata Reichenbach fil., ethyl acetate was associated with a reduction in nitric oxide production, which was induced by LPS (lipopolysaccharide) treatment in a dose-dependent manner. In addition, the production of iNOS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and COX-2 (cyclooxygenase-2), which are upstream regulators of nitric oxide production, was also inhibited. Thus, the ethyl acetate fraction of B. striata Reichenbach fil. appears to be a potential active ingredient for use in cosmet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