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3D 애니메이션을 응용한 패션 일러스트레이션 연구

        윤지선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사진의 발명이래 지속적으로 주어진 새로운 매체의 출현은 미술 영역에서 단지 새로운 형식의 개발이 아니라 한사회의 문화 형식을 지배하고, 문화변동의 주 요인이 되어 왔다. 컴퓨터 그래픽스와 인터넷의 발달로 현대 시각 세계는 멀티 미디어의 시대로 들어섰고, 더욱 놀라운 속도로 발달해 가고 있다. 매체를 통한 예술의 기능이 발전하고 있으며, 그 영역 또한 확장되며 연계되어 발달하고 있다. 오늘날 이미지의 창조와 제작은 실로 컴퓨터의 도움을 많이 받고 있으며, 시각 처리 기법은 컴퓨터 그래픽스, 즉 디지털 영상 기술로 통합되고 있다. 1990년 대 이후 급격한 발전을 보인 컴퓨터 그래픽스 분야 중에서도 3D 애니메이션의 발전은 실로 괄목할 만하다. 영화, 방송의 특수효과나 일부 장면에 단편적으로 보이던 3D 애니메이션의 기술은 현재 실사와 같은 장면을 구사하는 풀 애니메이션 영화를 만들 정도로 발전되었으며, 광고, 게임, 웹 등의 디자인에서도 가장 각광받는 기술이며 극히 작지만 패션 분야에서도 3D 애니메이션을 시도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평면으로 보이는 화면 속에 3차원 공간의 깊이와 움직임을 가지는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을 만들어 내는 작업은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이 컴퓨터 그래픽스의 발전에 따라 더욱 많은 형태로 발전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의 3D 애니메이션 도입이 충분히 일러스트레이션의 기능을 수행하며 많은 효과를 보여줄 수 있음을 작품 제작을 통해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현실감 있는 동작을 보여주기 위하여 전문 모델의 움직임을 모션 캡 쳐(Motion Capture) 기술을 응용하여 가상모델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3차원 공간 속에 동영상의 일러스트레이션을 제작하였는데, 3D 애니메이션이 가지고 있는 시각성과 청각성을 상징하면서 형태 면에서는 심미적인 시각성을 가지고 있는 악기의 형태를 디자인의 모티브로 사용하였다. 연구 내용 및 방법은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의 기본적 개념과 역사를 문헌을 통하여 고찰하고, 그 표현 기법을 분류하여 보았으며 컴퓨터 그래픽스 기법을 사용하기 위한 프로그램과 그 예를 찾아보았고, 3D 애니메이션의 이론적 고찰에 들어서서는 3D 애니메이션의 개념과 그 발달사, 그리고 구성요소를 고찰하며, 그것이 현대 디자인에 활용된 예를 살펴보았다. 작품 제작에 있어서는 정교한 인체와 의상표현을 위해 알리아스/웨이브 프론트 (Alias/Wavefront)사의 마야(MAYA)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3D 애니메이션의 조명 효과를 부각시키는 원색적이고 선명한 색채를 주조로 한 8개의 3D 패션 일러스트레이션 작품을 디자인하였다. 본 연구의 작품제작을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패션 일러스트레이션 분야에서 컴퓨터 그래픽스 기법은 드로잉, 채색, 이미지 합성, 특수효과 첨가 등의 용도로 많이 활용되어 왔고, 더욱 다양하게 활용 될 가능성이 있다. 둘째, 동영상의 3D 애니메이션이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에 활용됨으로 3차원의 가상공간안에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이 존재하게 되었으며, 시간의 변화와 움직임에 따른 의상의 형태 변화를 표현하는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이 가능하게 하였다. 셋째, 옷감의 표현 기능을 갖추고 있는 마야 프로그램을 사용함으로써, 3D 그래픽에서 옷감을 표현하고, 그 두께와 무게, 재질감의 조절이 가능하였다. 넷째, 동영상 작품 제작에 있어 모션 캡쳐를 사용하여 일반 애니메이션으로 표현하기 불가능한 자연스러운 동작을 가상 모델에게 심어줄 수 있었으며, 이로 인해 실재와 유사한 표현의 일러스트레이션이 가능 하였다. 본 연구는 3D 애니메이션을 통해 패션일러스트레이션에 3차원의 세계를 만들어 주고, 움직임을 가지도록 하여 한 차원 진보된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3D 애니메이션으로 표현되는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은 컴퓨터 상에서 실재와 같이 의상을 인물에 적용해 볼 수 있는 기회를 만들 수 있어 웹상에서 활용 가치가 높으며, 디테일의 자세한 클로즈 업이나, 움직임에 따른 의상의 세밀한 관찰이 가능하여 디지털 갤러리에서 사용되는 선택적 뷰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발전된 3D 동영상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을 만들기 위해, 동영상이 의상의 표현에 있어서 줄 수 있는 이점들을 적극적으로 연구하고, 3D 컴퓨터 그래픽스로서 가능한 실사와 같은 효과들을 다양하게 활용하는 방법을 찾는 것이 앞으로 중요한 과제가 될 것이다. Graphic media has developed rapidly since the invention of photography, and it has transformed modern civilization as well as modem art. Computer graphics technology and the Internet have allowed art to expand creating an entirely new world of digital multi-media. Modem art depends on computer graphics technology in many ways, and 3D animation technology plays major role in the production of modem design. In the field of fashion, there has not been a large movement to use 3D applications. At this point, what is important now is not to follow the rapid change of new technology, but to lead culture by standing at the forefront of technology. This study is to expand the world of fashion illustration from 2D space to the virtual reality of 3D space by using 3D animation techniques. To make the motion of virtual model as real as possible, an optical motion capture system was used to digitize the real model, and the shapes of musical instruments were selected for design motive to symbolize the dud-characteristics of 3D animation namely that it presents not only image but also sound. The development of the theoretical background is begins with examination of the concept and the history of fashion illustration via documented resources. The technique of expression in fashion illustration was classified by methodology into specific orders. The leading computer graphics software packages used in fashion illustration were selected and examined thru theory and examples. 3D animation was researched theoretically to define the key concept and structural elements and to study its history. The case study of the use of 3D animation in modern design is also included in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3D animation. Based on the result of the theoretical study, 8 designs of 3D fashion illustration were made by using MAYA(Alias/Wavefront) 3D animation software.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2D computer graphics were used in fashion illustration in a variety of uses including drawing, painting, adding special effects, composition and modification of images. Second, the application of 3D animation techniques to fashion illustration enabled the existence of fashion design in a virtual space and allowed for the constant simulation of clothes which changed constantly with the movement of the human body. Third, the realistic expression of cloth was simulated by using MAYA, which made it possible to designate the weight and the thickness of the cloth. Last, using motion capture technology resulted in the realistic movement of the virtual model, thus helping to create a very realistic clothing simulation. This study suggests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the domain of fashion illustration into virtual 3D space and movement thru the techniques of 3D computer animation. In conclusion further study of the advantages of 3D animation technology which is applicable to fashion illustration is necessary to develop 3D animated fashion illustration.

      • 고전소설을 활용한 공감적 듣기 교육의 방안 연구 : <춘향전>, <홍계월전>을 중심으로

        윤지선 아주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고는 공감적 듣기 교육의 필요성을 규명하고자, 공감적 듣기의 개념을 살펴보고 공감적 듣기 내용 체계가 실려 있는 고등학교 교과서 『국어Ⅰ』의 학습목표, 학습활동을 살펴보았다. 이 때 2011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화법 내용 중, 공감적 듣기 영역의 내용 성취 기준에서 제시하고 있는 항목들을 얼마만큼 고려하여 제시하고 있는지에 중점을 두어 살펴보았으며, 그 결과를 토대로 고전소설을 활용한 공감적 듣기 교육의 가능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1인칭 주인공 시점 등이 많은 현대소설에 비해, 전지적 작가시점이 대부분인 고전소설은 캐릭터 한 쪽에 치우치지 않고 모든 인물의 감정, 갈등 등을 구체적으로 알 수 있어 화법 교육에 활용하기에 이점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고는, 전지적 작가시점이며 작품 속 주인공들의 대화가 두드러지게 대비되어 나타나 보이는 <춘향전>과 <홍계월전>을 선정하였다. <춘향전>은 공감적 듣기가 잘 드러나는 경우, <홍계월전>은 공감적 듣기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로, 두 작품의 비교를 통해 공감적 듣기를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다. 공감적 듣기 교육의 방향을 잡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선행연구들을 통해 논의 된 ‘들리기 ▹ 듣기 ▹ 깨닫기’의 공감적 듣기 단계와 그 각각의 단계별 특성, 교육 내용을 정리, 보완해 새로운 공감적 듣기 모형을 개발하였다. 공감적 듣기 모형과, 『국어Ⅰ』 속 공감적 듣기 영역의 학습활동을 고려해 <춘향전>, <홍계월전>을 활용한 공감적 듣기 교육의 방안을 연구하였다.

      • 가정과 연계한 인성교육이 유아의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윤지선 순천향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논 문 요 약 가정과 연계한 인성교육이 유아의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윤 지 선 순천향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지도교수 고영미) 본 연구는 가정과 연계한 인성교육이 유아의 자아개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과 연계한 인성교육이 유아의 자아개념 전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가정과 연계한 인성교육이 유아의 자아개념 하위요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대상은 아산시에 위치한 A어린이집의 만 5세 1학급 유아 14명과 I어린이집의 만 5세 2학급 36명으로 총 50명(남: 25명, 여: 25명) 이었다. A어린이집에 재원중인 유아 14명(남: 7명, 여: 7명)을 실험집단으로, I어린이집의 유아 36명 중 18명(남: 9명, 여: 9명)을 비교집단A로, 18명(남: 9명, 여: 9명)을 비교집단B로 선정하였다. 대상 유아의 평균연령은 5년 7개월이었다. 유아의 자아개념 검사 도구는 이현경(2004)이 개발한 자아개념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이 도구는 ‘인지적 자아’, ‘사회적 자아’, ‘정서적 자아’, ‘신체적 자아’의 4개 하위요소 총 73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구절차는 검사자 훈련 및 예비연구, 예비실험, 본 실험의 순으로 이루어졌다. 검사자 훈련는 2016년 2월 22일부터 2월 24일까지 3일 동안 이루어 졌고, 예비연구는 2016년 3월 2일부터 3월 4일까지 3일 동안 이루어 졌다. 본 조사는 사전검사, 실험처치, 사후검사의 순으로 이루어졌다. 사전검사는 2016년 3월 7일부터 3월 11일까지 5일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유아의 자아개념 검사는 교실과 별도로 떨어진 상담실에서 본 연구자가 오후 자유선택활동시간에 일대일 면접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실험처치는 2016년 3월 14일부터 5월 6일까지 8주간 이루어졌다. 실험집단은 오후 자유선택활동시간에 어린이집 및 가정과 연계한 인성교육을 각각 총 16회 실시하였으며, 비교집단A는 오후 자유선택활동 시간에 어린이집에서 실험집단과 동일하게 총 16회의 인성교육을 실시하였고, 비교집단B는 어린이집 연간교육에 의한 인성교육을 실시하였다. 사후검사는 사전검사와 동일한 방법으로 2016년 5월 9일부터 2016년 5월 13일까지 이루어졌다.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자아개념 사전점수를 공변인으로 통제한 후 사후점수를 일원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모든 처리는 SPSS 18 Window용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가정과 연계한 인성교육이 유아의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자아개념 전체는 가정과 연계한 인성교육을 실시한 실험집단과 어린이집 연간교육에 의한 인성교육을 실시한 비교집단B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F=5.666, p=.0026). 이러한 결과는 가정과 연계한 인성교육이 유아의 자아개념 전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정과 연계한 인성교육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유아들이 비교집단A와 비교집단B의 유아에 비해 자아개념의 하위 요인인 ‘인지적 자아(F=3.629, p=.034)’, ‘사회적 자아(F=4.094, p=.023)’, ‘정서적 자아(F=3.567, p=.036)’, ‘신체적 자아(F=7.446, p=.002)’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가정과 연계한 인성교육이 유아의 자아개념 하위요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이 논문은 2016년 8월 순천향대학교 대학원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유아교육)학위 논문임.

      • 상업지역의 공공성 증진을 위한 공개공지 개선방안

        윤지선 단국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기후변화에 따른 폭염 등 기후재난 심화, 공원에서의 여가수요 증가, 시민참여 및 커뮤니티 활성화 등 변화된 환경에 의한 도시 내 공원녹지 확보에 대한 수요는 급증하고 있으나 상업지역내에서는 공원을 추가 확보하고 조성하는 것은 어렵다. 하지만 공원을 대체할 수 있는 공간이 바로 공개공지이며, 공개공지는 도심 내의 또 다른 공원으로서 도시민들이 이용할 수 있는 사유지 내에 조성된 공공의 휴식공간이다. 용인시의 경우 공개공지의 59.6%가 상업지역에 입지하고 있어, 공개공지는 상업지역의 공원녹지 확보에 매우 유효한 수단이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도심 내 가장 공원녹지 확보가 어려운 상업지역에서 공개공지의 공원녹지로서의 기능에 가장 중점을 두되, 상업지역을 활성화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수행하기 위하여 관련 제도 및 선행연구 분석, 국내외 사례조사, 현장조사, 전문가 조사를 실시하였다. 현장조사의 조사항목은 공개공지에 대한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상업지역 공공성 증진을 위하여 필요한 평가항목으로 총 30개소를 대상으로 조성 및 이용 현황과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전문가 조사는 현장조사 분석 결과를 토대로 전문가 FGI(Focus Group Interview)를 통해 계획 요소의 적정성, 타당성을 평가한 후 예비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설문 내용 보완 수정 후 본 조사를 실시하여 공개공지의 계획방법론 및 제도적 개선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먼저 현장조사는 입지, 접근성, 주변지역 및 시설과의 연계성, 도입시설, 이용 및 쾌적성, 기타의 6개 대항목, 18개 소항목으로 구분하였으며, 개별필지로 개발된 곳과 지구단위계획 및 대규모 개발사업에 따라 조성된 곳에서는 공개공지 주변 오픈스페이스나 가로환경과의 연속성과 연계성, 이용의 3가지 항목에서 가장 큰 차이를 보였다. 또한 전체 공개공지에서는 시설물의 경우 벤치, 앉음벽, 파고라 등은 평균 3종 이상이 설치되어 있어 양호하였으나 조경식재 수종과 방법이 매우 한정적이었으며 불투수 포장이 대부분으로 친환경성이 결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일부 사유화 된 공간으로 이용되거나 청소 불량 등 관리의 문제점도 나타난다. 전문가 조사에서는 공개공지와 공원녹지 선행연구 분석과 현장조사 결과를 토대로 입지, 이용 활성화, 공간 환경, 관리의 4개 대항목, 각 대항목별 4개 소항목을 두고 관리에 대해서는 2개 소항목으로 설정하여 조사한 결과 입지는 접근성과 연계성, 개방성, 위치적절성 순으로 중요성이 평가되었고, 이용활성화 부문은 저층부와의 관계, 안전성, 쾌적성, 편의성 순으로, 공간 환경 부문은 녹지, 저영향개발, 특화설계, 경관 그리고 관리는 유지관리체계 구축과 주민참여 순으로 조사되었다. 공개공지 유형은 입지 선정과 함께 주변 시설, 건축 용도와 연계가 될 수 있도록 계획되어야 하며, 기존의 쌈지공원(소공원) 형식으로 획일적으로 조성하기 보다는 지역 특성, 주변 환경, 건축물의 용도 등을 고려하여 보행중심인 경우 보행통로형, 가로특화형을 적용하고, 이용 및 활동 중심인 경우 이벤트광장형으로 조성하고, 휴식이나 사교적 기능이 강조되는 경우 공원쉼터형, 환경적 기능이 중요시 되는 경우 생태녹지형 등의 유형으로 적용하여 건축물과 단지의 용도에 부합되는 것을 제안하였다. 기본계획 단계에서 공개공지 유형을 검토를 하고, 건축부서에서 건축물의 용도, 저층부 시설, 공개공지 면적, 위치 등을 협의하여 최종 입지를 선정하면 공원부서에서는 건축 용도와 부합하는 공개공지 유형과 조성계획 등을 검토하는 업무 프로세스의 필요성도 강조하고자 한다. 공개공지 공간구성에 있어 상업지역의 활성화를 위하여 모든 공개공지는 1층 상업시설들의 용도와 연계하고, 자유로운 출입이 가능한 구조로 조성하는 것이 필요하다.아울러 무조건적인 조형물, 식재가 아니라 건축물의 규모나 공개공지의 면적, 크기, 예상활동 등에 부합되는 조형물과 조경계획이 이루어져야 한다. 저층부 용도 등에 따라 동적, 정적 활동 공간 설정이 선행되어야 하고, 이에 따른 시설률이 협의되어야 한다. 동적 활동이 예상되는 공간은 녹지보다는 시설공간을 확보하여 선적, 면적으로 누구나 접근 및 보행, 활동이 자유로울 수 있도록 개방감을 부여하고, 유니버설디자인을 통해 단차 없이 조성되어져야 한다. 정적 활동 공간의 경우녹지율을 높이고 다층식재, 계절감 및 지역성을 나타내는 수종 선정 등 소공원과 같은 공간으로 조성하는 것을 제안하였다. 이와 함께 상업지역 공개공지의 효율적 유지관리 및 공간 활용을 위한 명확한 관리주체와 체계적인 관리시스템 구축 그리고 건축주와 행정기관, 주민 간의 거버넌스 구축 등을 제시하여 공적공간으로서 지속가능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도심 특히 인구밀도가 높은 상업지역내 공원이 확보되기 어려운 실정을 감안하여 공원녹지로서 공개공지의 공공성을 제고하고자 진행한 연구이지만 용인시 상업지역 30개소만을 대상으로 조사된 결과라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향후 공개공지가 공원녹지로서 공익성을 충분히 발휘하고 있는 국내외 선진도시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여 공개공지 계획 시 녹지·생태 분야에 대한 더욱 세부적인 설계지침이나 가이드라인 등이 마련되길 기대한다.

      • 자연휴양림 숙박시설의 친환경성 비교 검토 연구

        윤지선 단국대학교 부동산·건설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research was studied about eco-friendly construction directions of lodging facilities in nature recreation forest lodging facilites in Gyeonggi-do, because it causes damages of forest when it was constructed. I researched around the 11 nature recreation forest construction by using these method which are a green house certification system or analyses regarding development of eco-friendly production, an evaluation basis of a green certification system etc. that should be evaluation item for comparing eco-friendly of nature recreation forest lodging facilities. I can provide useful information to make the eco-friendly lodging facilities which is regarded minimizes damage of forest, and taken environmental ecology, an energy efficiency, and landscape by this result of research when eco-friendly lodging facilities are constructed. This result of research can become a summary as follows. The first, arrangement of a building or a form shall be consist in the multilateral sides of that are I take elements various topographical climate (an incline, a direction, sunshine, a mining, ventilation etc.) to minimize natural damage and an environmental load, and to be able to raise efficiency of an energy etc. The second, Building materials should be used recycling of resources and circular possible materials by getting a related indicator or institutional basis along nature recreation forest construction. Also, It needs to select building materials as considering surrounding environment, and development is required in various materials that eco-friendly is high considering location environments. The third, on maintenance effort regarding the existing resources, quantitative damage of forest appeared to most a lot of things in case of large scale lodging facilities. Therefore, in order to to minimize damage, effort to keep the existing forest and vegetation, the soil etc. in good condition is necessary, in the ways like biotop-transplant or maintenance-transplant. The fourth, around nature recreation forest lodging facilities, there was hardly a form space of creatures or biotop. so, natural restoration should be performed by using wild-native species and avoiding disturbance of creature-scenery in case of slope restoration around lodging facilities The fifth, for the side of protective scenery surrounding nature recreation forest lodging facilities, design should consider conditions of location, and natural balance than personalities. A dvanced country policy for nature recreation forest is utilizing it to a place of experiences and education by expansion opportunity of a nature recreation forest to all people Within the range that it don't destroy nature. Our country should consider this policy during developing sound forest rest culture and operating it eco-friendly.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내 자연휴양림 숙박시설의 친환경성에 대하여 비교 검토해 봄으로서 자연휴양림 조성 시 산림의 훼손을 야기하는 숙박시설의 친환경적인 조성방향에 대하여 연구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자연휴양림 숙박시설의 친환경성을 비교 검토해 볼 수 있는 친환경건축물 인증제도나 자연친화적인 산지의 개발, 녹색인증제도의 평가기준 등에 대한 분석을 통해 본 연구에 적용 가능한 평가항목을 선정하여 경기도 내에 조성된 11개의 자연휴양림 조성사례를 중심으로 조사․분석 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자연휴양림 숙박시설의 조성 및 유지 관리 시 산림의 훼손을 최소화하고 환경과 생태, 에너지 효율, 경관 등을 고려한 친환경적 숙박시설을 만들어 가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 될 수 있다. 첫째, 건물의 배치와 형태에 있어 산간지역의 지형과 기후(경사, 방향, 일조, 채광, 통풍 등) 등 다양한 요소들 고려하여 자연의 훼손과 환경부하를 최소화하고 에너지의 효율 등을 높일 수 있도록 다각적인 측면에서 건물의 배치나 형태가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건축 재료는 자연휴양림 시공에 따른 관련 지침이나 제도적 기준 등을 마련하여 자원의 재활용과 순환이 가능한 자재들이 사용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입지환경을 고려하여 주변 환경에 맞는 건축 재료를 선택하고 친환경성이 높은 다양한 소재들에 대한 개발도 요구되어 진다. 셋째, 기존 자원에 대한 보존 노력에 있어서는 대규모 숙박시설인 휴양관의 경우 산림의 양적 훼손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이를 최소화하기 위해 임상을 그대로 보전할 수 있는 산림비오톱이식이나 임상보전이식과 같은 방법으로 기존 산림과 식생, 표토 등을 보전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넷째, 자연휴양림 숙박시설 주변 생태환경은 기존의 산림생태계 이외에 생물들의 서식공간이나 비오톱 등이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숙박시설 주변에 발생하는 사면녹화에는 생물 종의 교란이나 경관적 이질감을 형성하지 않도록 자생종을 사용하고 기존 생태계의 자연스런 천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유도해야한다. 다섯째, 자연휴양림 숙박시설 주변의 경관 보호 및 조화의 측면에서 자연휴양림의 입지 조건을 고려한 숙박시설 유형 선택 및 디자인의 개발이 요구되어 지며, 너무 두드러지는 독특함이나 개성보다는 자연과 가장 잘 어우러질 수 있는 시설의 설치가 필요하다. 선진국의 자연휴양림 정책을 보면 자연을 최대한 훼손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자연휴양림을 개발·조성하여 전 국민에게 자연휴양림의 이용기회를 확대 제공함으로서 체험 및 교육의 장으로 활용하고 있다. 이는 앞으로 우리나라가 건전한 산림휴양문화를 정착시키고, 발전시켜 나가며 자연휴양림을 친환경적으로 조성·운영해 가는데 중요한 지침으로 삼아야 할 것이다.

      • 이강백 희곡의 공간 연구

        윤지선 부산교육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이강백 희곡에 나타난 공간 구조를 분석하고, 공간의 의미와 특성을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강백은 등장인물의 성격이나 이데올로기, 작가가 가진 세계관을 담아내는 장치로 알레고리, 우화의 기법을 사용한다. 이러한 기법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공간을 구성하고 의미를 확장한다. 이에 공간 구조의 특징과 공간의 의미를 밝혀 이강백 희곡을 새로운 시선으로 바라볼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두고자 한다. 희곡에서 공간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뉘어 설명된다. 배우의 몸짓과 행동이 이루어지고 관객이 구체적으로 지각할 수 있는 공간인 무대공간과 관객이나 독자의 상상에 의해 구현되는 드라마 공간이 그것이다. 각각의 공간은 인물 간의 갈등을 구조화하는 의미조직자의 기능을 담당한다. 특히 초기 단편작은 이질적 자질을 가진 공간으로 이분화해서 인물 간의 갈등을 심화시키고 있다. 「다섯」,「파수꾼」,「알」은 지배-피지배 계층 간의 대립을 수직적 공간 분할을 통해 보여준다. ‘무대 공간인 배 밑 창고’, ‘망루’, ‘박물관’은 피지배계층이 존재하는 공간으로 폐쇄적이고 좁은 공간적 특성을 가진다. 반면, 드라마 공간인 ‘바다’, ‘황야’, ‘숲 속’은 지배계층이 존재하는 공간으로 개방적이며 넓은 공간적 특성을 가진다. 이는 자아가 상실되어 가는 인간을 그린 「셋」,「보석과 여인」에서도 마찬가지다. 폐쇄적이고, 외부와 단절된 ‘뜨거운 햇살 아래 자극적 긴장이 있는 도시’, ‘보석세공인의 방’에서 실존을 자각하는 비극적 공간을 존재적 공간과 대비시키고 있다. 또한 「미술관에서의 혼돈과 정리」,「내가 날씨에 따라 변할 사람 같소?」에서는 대립적 자질을 지닌 현실적 공간과 이상적 공간으로 이분화해서 극을 이끌기도 한다. 한편 이강백은 갈등 구조를 심화시키기 위해 공간을 이분화하는 것 외에 작가의 세계관을 드러내고 주제를 표출하는 장치로 공간을 이용한다. 즉 주요 공간 속에 사건이 발생하고, 해결되는 과정을 보여준다. 「족보」에서 ‘지하실’이나 ‘올가미’는 종험 일가의 죄를 고발하는 공간으로 죄의식이 없는 인물에게 죄의식을 불러일으킨다. 「쥬라기의 사람들」이나 「호모세파라투스」의 ‘14번 갱’, ‘늪’ 또한 마찬가지다. ‘14번 갱’의 사고로 인해 심화된 갈등은 ‘14번 갱’에서 해소의 실마리를 가지게 되고, ‘늪’은 분단된 상황을 쉽게 빠져 나올 수 없음을 시사하는 공간으로 의미를 가진다. 「물거품」에서는 무형과 유형의 대립을 각각 ‘연못’과 ‘거울’을 통해 나타낸다. 이와 같이 이강백은 공간의 특성을 통해 인물과 사건의 성격을 제한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무대 공간뿐만 아니라 드라마 공간을 무대 공간과 대비시켜 인물의 특성을 고착화하기도 하고 작가의 세계관을 심화시켜 표현하기도 한다. 이강백은 현재에도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는 만큼 그의 작품에 대한 꾸준한 연구가 있어야 하겠다.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structure of space which appears in Lee Kang Baek's plays and studying meaning and characteristics of space. He uses techniques of apologue and allegory as the device to contain characters' personality, ideology or the writer's view of the world. He constructs space and expands its meaning in order to use these techniques effectively. Accordingly, we are to open possibilities to look at his plays with new eyesight by clarifying features of space structure and its meaning. In the play, space is explained being largely divided into both ways: the stage space where actors(actresses)' gesture and behavior are done and the audience can perceive in the concrete and drama space embodied by the audience or readers' imagination. Each space plays a role of the organizer of meaning that structuralizes conflicts between characters. Especially, his early short stories deepen conflicts between characters by dualizing into space with heterogeneous properties. 「Five」,「A guard」,「Eggs」show antagonism between the ruling-ruled classes through vertical space division. While ‘a storage under the ship’, ‘An observation tower’, ‘A museum’ are spaces where ruled classes exist and they are stage spaces which are provided as closed and narrow spaces, ‘The sea’, ‘The wasteland’, ‘Inside the forest’ are spaces where ruling classes exist and open and broad spaces, and they are provided as drama spaces, which are not reconstructed on the real stage but exist. The situations are like the preceding also in「Jewelry and women」,「Three」in which humans that the "I" is being lost, are described. Tragic space realizing existence and existential space are contrasted each other in 'the jeweler's room' 'a city of sensational tension under the hot sun, which is closed and disconnected from the outside world'. And plays are developed divided into two parts of ideal space and realistic space with oppositive properties in「confusion and order in an art gallery」,「Do you really think I am such a person who changes according to the weather?」. Meanwhile, Lee Kang Baek uses space as the device to show the author's view of the world and express the theme besides dividing space into two parts in order to deepen the conflict structure. Namely, he shows the process that incidents occur and are settled in main spaces. In「A family record」‘the basement’ or ‘trap’ is the space where the crime of Jonghum's family is accused and they awake characters without a sense of sin to quilt feeling. 'The 14th drift', 'the swamp' are the same in「People in the Jurassic period」or 「Homoseparatus」. The conflict deepened due to an accident of 'the 14th drift' got to have a clue to be settled in 'the 14th drift'‘, ‘The swamp’ has the meaning as space to suggest that it is not easy to escape from the separated situation. In「The bubble」the contrast between immateriality and materiality is shown respectively through 'a pond' and ' a mirror'. As mentioned above, in many cases Lee Kang Baek limits characteristics of characters and incidents through peculiarities of space. And he fix characteristics of characters still more by contrasting drama space with stage space besides visualized stage space or expresses the author's view of the world deepening it. As he is currently showing positive activity in writing, it should be followed to study his work more ceaselessly.

      • 『남도제 시나위』굿거리 장단의 音樂構造 : 피리선율을 중심으로

        윤지선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남도제 시나위』의 선율분석, 특히 주선율을 담당하는 피리 선율을 중심으로 이 곡의 음악적 특징을 밝히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다. 남도제 시나위는 무속에서 주로 사용되던 음악으로서 이 곡의 구성원리와 음악적인 특징을 밝히기 위해 국립국악원 민속연주단이 연주한 남도제 시나위 중에서 굿거리 을 중심으로 선율을 종지형에 따라 단락별로 구분하였다. 연구방법은 각 단락을 선율분석 및 음계, 리듬으로 구분하여 고찰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제 1단락은 1마디부터 5마디까지 5마디로 구성되어 있고 12/8박자로 시나위에서 가장 많이 반복되는 주제선율이 제시된다. 선율분석에 있어서는 동일선율 및 동일리듬과 동일선율과 다른리듬, 다른선율 및 다른리듬을 사용하였고 음계는 黃음을 중심으로 黃- 太- 仲- 林-南의 5음으로 평조 선율로 구성되어 있다. 리듬은 굿거리 장단을 기본으로 '4박(□□□□)'의 형태인 리듬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 2단락은 6마디부터 8마디까지 3마디로 구성되어 있고 선율분석에 있어서는 동일선율 및 다른리듬과 동일선율 및 동일리듬이 사용되었다. 음계는 1단락과 동일하게 黃음을 중심으로 黃- 太- 仲- 林-南의 5음으로 평조 선율로 구성되어 있다. 리듬은 1단락과 유사한 형태로 구성된다. 제 3단락은 9마디부터 27마디까지 19마디로 다양한 리듬의 변화를 발견할 수 있으며 선율분석에 있어서는 동일선율 및 다른리듬과 다른선율 및 다른리듬, 동일선율 및 동일리듬 그리고 옥타브 위, 아래 음들이 반복되어 사용되었다. 음계는 黃음을 중심으로黃- 夾- 仲- 林- 無의 5음으로 계면조 선율로 구성되어 있다. 리듬은 잇단음표를 사용하여 리듬의 변화가 다양하게 나타난다. 제 4단락은 28마디부터 35마디까지 8마디로 구성되어 있고 선율분석에 있어서는 동일선율 및 동일리듬과 다른선율 및 다른리듬, 동일리듬 및 다른선율을 사용하고 있다. 음계는 仲음을 중심으로 仲- 林-無- 黃-太의 우조 선율로 구성되어 있으며 리듬은 기본 리듬을 중심으로 변화되어 있다. 제 5단락은 36마디부터 39마디까지 4마디로 구성되어 있고 선율분석에 있어서는 다른선율 및 다른리듬과 동일선율 및 다른리듬, 동일선율 및 동일리듬을 사용하고 있다. 음계는 黃음을 중심으로 黃- 太- 仲- 林- 南의 평조 선율로 구성되어 있다. 리듬은 붓점 리듬이 사용되어 곡의 분위기를 바꿔주고 있다. 제 6단락은 40마디에서부터 51마디까지 12마디로 구성되어 있고 선율 분석에 있어서는 동일선율 및 다른리듬과 동일선율 및 동일리듬, 반복을 사용하고 있다. 음계는 3단락과 동일한 음계를 사용하고 있으며 리듬은 앞단락의 긴장감에서 점점 차분해지는 리듬으로 바뀌면서 안정된 리듬의 형태를 사용하고 있다. 제 7단락은 52마디부터 67마디까지 16마디로 구성되어 있고 선율분석에 있어서는 동일선율 및 동일리듬과 다른선율 및 다른리듬 그리고 canon형자 반복을 사용하고 있다. 음계는 3, 6단락과 동일한 음계를 사용하고 있으며 리듬의 변화를 높여 긴장감을 더해주는 역할을 하고 옥의 단조로움을 벗어나는 형태를 사용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남도제 시나위』의 음악분석을 알아본 결과 선율과 리듬의 변화가 나타났고 음의 기능 및 음계는 5음계의 우조와 평조, 계면조 선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규칙적인 리듬형에서 다양하게 변화되는 형태로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investigate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Namdo-je Sinawi’, which used to be accompanied with shaman ceremony, through analysis on its melody and musical structure Principally on the part of Piri leading its main and most melody throughout. For the research, the melody of 'Namdo-je Sinawi' performed by the Polk Performance Group of The National Center for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had been examined and 'Googguri Jangdan', its structure and musical scale were investigated and followed by detail studies on the analysis of melody, musical scale and rhythm per each section classified by the last tones thereof. The results of which are to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Section-1 consists of 5 phrases from Phrase-1 to Phrase-5 of 12/8 beat and introduces main melody repeats most frequently and effects strongly to the entire melody of Sinawi. In this section, have been used the unison with isorhythm, unison with different rhythm, and different melody with different rhythm. The musical scale has been composed of 5tones of 黃-太-仲-林-南 in Pyung-Jo with 4 beat rhythm based on 'Googguri Jangdan'. The Section-2 consists of 3 Phrases from Phrase-6 to Phrase-8 of 12/8 beat. In this section, have been used the unison with different rhythm and unison with isorhythm. The sequence, unison, and sequence by change of rhythm have been used in this section, and the musical scale has been composed of 6 tones of 黃-太-仲-林-南 in Pyung-Jo with the rhythm similar to that of the Section-1. The Section-3 consists of 19 phrases from Phrase-9 to Phrase-27 of 12/8 beat with various changes of rhythm. In this section, have been used the unison with different rhythm, different melody with different rhythm, unison with isorhythm, and shifting up/down of octave repeatedly. The musical scale has been composed of 5 tones of 黃-來-仲-林-無 in Gyemyun-Jo with various changes of rhythm by using multiplets. The Section-4 consists of 8 Phrases from Phrase-28 to Phrase-35 of 12/8 beat. Unison with isorhythm, different melody with different rhythm, and isorhythm with different melody have been used in this section. The musical scale has been composed of 5 tones of 仲-林-無 -黃-太 in Woo-Jo with change of rhythm based on its main rhythm. The Section-5 consists of 4 phrases from Phrase-36 to Phrase-39 of 12/8 beat. Different melody with different rhythm, unison with different rhythm, and unison with isorhythm have been used in this section. The musical scale has been composed with 5 tones of 黃-太-仲-林-南 in Pyung-Jo with changes on musical atmosphere. The Section-6 consists of 12 phrases from Phrase-40 to Phrase-51 of 12/8 bent. In this section, hare been used the unison with different rhythm, unison with isorhythm and repetition. The musical scale has been composed of 5 tones of 黃- 來-仲-林-無 in Gyemyun-Jo just same with those of the Section-3. The strenuous rhythms prevailing over the former section are relieved gradually to be stable in this section. The Section-7 consists of 16 phrases from Phrase-52 to Phrase-67 of 12/8 beat. The unison with isorhythm, different melody with different rhythm, canon and repetition have been used in this section. The musical scale has been composed with 5 tones of 黃-來-仲-林-無 in Gyemyun-Jo as with those of the Section-3 and Section-0, which breaks the music from monotony by enhancing the variation of its melody and rhythm. Through the examination and musical analysis on 'Namdo-je Sinawi' referred above, it has been known that techniques of changing rhythm and melody were used and the musical scales were composed with 5 tones in Woo-Jo, Pyung-Jo and Gyemyun-Jo with various changes and shifts from regular rhythmic patterns.

      • 동화를 활용한 균형적 언어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언어 표현력 및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윤지선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동화를 활용한 균형적 언어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언어표현력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동화를 활용한 균형적 언어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언어표 현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2. 동화를 활용한 균형적 언어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인천광역시 I어린이집 만 5세 유아 40명을 실험집단 20명과 비교집단 20명으로 선정하여 유아의 언어표현력 그림 검사와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관찰 척도를 실시하였다. 실험 절차는 예비 연구, 예비 실험, 사전 검사, 실험 처치, 사후 검사의 순서로 이루어졌으며, 실험 처치가 이루어지기 전 사전 검사를 통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동질성을 알아보았다. 실험집단은 동화를 활용하여 균형적 언어교육 프로그램을 주 2회씩 총 15회를 실시하였다. 측정 도구로 유아의 언어표현력 검사도구는 조경미(1984)의 언어능력검사 중에서, 유아 자신의 생각이나 느낌을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을 언어표현력이라고 규정한 ‘언어 표현력 검사’ 부분만을 발췌하여 사용하였다.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측정은 김영옥(2003)의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평가 척도를 간편형 척도로 재구성한 서소정(2006)의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평가 간편형 척도에서 나누기, 도움주기, 감정이입과 조절하기, 지도성의 4개 하위 영역, 14문항으로 측정하였다. 자료 처리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유아의 언어 표현력 및 친사회적 행동에 대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두 집단의 평균과 표준 편차를 산출하고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의 평균에 대한 t-test를 실시하였다. 두 집단 간의 의미 있는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사전검사 점수를 공변량(covariate)으로 하고, 사후검사 점수를 종속변인으로 하여 공변량분석(ANCOVA)을 하였다. 분석은 SPSS 12.0 Program을 사용하여 유의도 p&#10216;.05 수준에서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화를 활용한 균형적 언어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언어표현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동화를 활용한 균형적 언어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친사회적 행동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동화를 활용하여 균형적 언어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유아들이 일과 운영 계획에 의한 언어교육을 실시한 통제집단의 유아들에 비해 언어 표현력과 친사회적 행동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effects of the Balanced Literacy Program on children’s language expressions and positive pro-social behaviors. This study is based on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addressed. 1. What effects do children's Balanced Literacy Program activities using fairy tale have on their language expression ? 2. What effects do children's Balanced Literacy Program activities using fairy tale have on their children’s positive pro-social behaviors? The subjects of the study included 40 children under 5 years old were selected in the city of Incheon. The experimental group was composed of the 20 children and the control group was composed of the other 20 children. Before conducting any tested both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in positive social behavior category and conducted a picture testing to identifying each child’s language expression. The method used to test children’s language expression was adopted from “Test for language Expression” which was defined as children’s ability to properly and accurately express feelings and thinking in the “Research and Test for Verbal Expression” Kyung Mi Cho (1984). Positive pro-social behavior was measured, using Simplified Criterion for testing children’s positive social behavior by So Jung Seo (2006), which is a simplified version of “Measuring Children’s Positive Social Behavior” by Young Ok Kim (2006). The criterions pecifically used were sharing, helping, empathy and controlling, and leadership, 4 subcategories making total of 14questions. To analyze the data, the average and the standard deviation were first calculated for both groups and T-test was conducted for the averages of pre-test data and post-test data. To figure out if there is a meaningful differentiation between the two groups’ test results, ANCOVA was used with pre-test data as covariate and with post-test data as dependent variable. The method of analysis was SPSS 12.0 program and verified the hypotheses with a level of significance of p&#10216;.05. The test result is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that played Balanced Literacy Program activities using fairy tale statistically higher level of language expression than the control group that participated in Whole Literacy activities.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that played Balanced Literacy Program activities using fairy tale showed statistically higher level of positive pro-social behavior than the control group that participated in Whole Literacy activities. This study reveals that children who played Balanced Literacy Program activity improved in their language expression and positive social behavior than children who played Whole Literacy Program activ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