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유아교사의 뇌 선호유형과 창의적 인성간의 관계

        윤정진(Jeong-Jin Youn),김형재(Hyoung-Jai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교사의 좌우뇌 선호도와 창의적 인성과의 관계를 통해서 창의성 증진에 관련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유치원 및 어린이집 교사 205명을 대상으로 뇌 선호유형과 창의적 인성을 측정하였으며 검사도구는 McCanthy(1993)의 HMI(Hemispheric Mode Indicator)를 류명희(2004)가 번역한 검사와 Torrance(1998)의 자기보고식 창의적 성격검사(WKOPAY)를 사용하였다. 자료의 처리는 Pearson의 상관분석과 One-way Anova를 실시하였다.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첫째, 우뇌 선호도가 높아질수록 창의적 인성 및 탐구심은 높지만 자신감은 낮았다. 그러나 뇌 선호도와 권위의 수용, 적극적 상상력 및 타인에 대한 의식은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뇌 선호유형에 따라 창의적 인성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우뇌 선호형 교사가 창의적 인성이 가장 높았으며 좌뇌 선호형과 통합뇌형 교사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뇌 선호유형에 따라 창의적 인성 하위요인의 차이는 자신감, 탐구심, 타인에 대한 의식에서 유의한 집단 간 차이를 보였으며, 권위의 수용이나 적극적인 상상력은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between preschool teachers' hemispheric mode indicator and creative personality. The subjects were 205 preschool teachers from kindergarten or nursery school in Busan. The McCanthy(1993)'s HMI(Hemispheric Mode Indicator) and Torrance(1988)'s WKOPAY(What Kind Of Person Are You?) were us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preschool teachers' hemispheric mode indicator and creative personality. Results of this study as follows ; first, the hemispheric mode indicator of right hemispheric dominance were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to the creative personality and inquisitiveness but negatively correlated to self-confidence among elements of creative personality. Second, the creative personality was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hemispheric dominance types. That is, the creative personality of right hemispheric dominanc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left or exhibit balanced hemispheric dominance but it was no difference between left hemispheric dominance and exhibit balanced hemispheric dominance.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self-confidence, inquisitiveness, and awareness of others but no difference Acceptance of Authority and Disciplined Imagination among elements of creative personality according to hemispheric dominance types.

      • KCI등재후보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은유분석을 통해 본 창의·인성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 탐색

        윤정진 ( Jeongjin Youn ),정수정 ( Sujeong Jeong ),임홍남 ( Hongnam Im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4

        창의·인성이 핵심역량으로 대두되며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창의·인성교육이 실시되고 있지만 그 의미가 모호하다. 이에 수업의 주체자이자 창의·인성을 발현할 주체인 대학생들이 창의·인성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살펴봄으로써 미래 교육방향을 탐색해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연구방법은 은유 분석을 활용한 개방형 설문조사이며, 연구대상은 대학생 198명이다. 본 연구 결과 대학생들은 창의·인성에 대해 무궁무진한 것, 환경과 노력에 의해 변하는 것, 삶의 토대가 되는 것, 가능성이 발현되도록 하는 것, 삶에서 필수적인 것, 인식이 전환되는 것이라고 인식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미래사회가 창의·인성과 관련한 역량을 더욱 중요하게 요청하고 있는 시점에서 그 주체인 대학생들이 인식하는 창의·인성의 의미를 되짚어보며 창의·인성 교육의 의미를 재정립하고 이를 지원하기 위한 교육방향 등을 모색하는 실마리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Creativity personality are emerging as core competencies, and creativity personality education for university students is being conducted, but the meaning is ambiguous. In this regard, Explore the future direction of education by examining how university students, who are the subjects of classes and who will express creativity personality, perceive creativity personality. Therefore, the research method of this study is an open-ended survey using metaphorical analysis, and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198 university students.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university students believe that creativity personality are infinite, change by environment and effort, become the basis of life, enable possibility, perceive as essential to life, and change perception. In this study, it is possible to look back on the meaning of creativity personality recognized by university students at a time when the future society demands more importance on creativity personality, redefine the meaning of creativity personality education, and suggest educational directions to support it. It is meaningful.

      • KCI등재

        한국과 일본의 유치원 언어교육과정 비교

        윤정진(Youn Jeong Jin),박은희(Park Eun Hee) 동아시아일본학회 2011 일본문화연구 Vol.38 No.-

        This study is to review the kindergarten curriculum between Korea and Japan focused on language curriculum. To this end, authors of this study analyzing 7th edition of kindergarten curriculum announced by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handbook, and the 2008 reformed guidelines of kindergarten curriculum announced by Japanes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handbook. Through this study, we find out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educational goals, objectives, content, and guiding principles of kindergarten curriculum between two countries.

      • KCI등재

        포스트 코로나 시대 창의·인성교육을 위한 융복합 온라인 수업모형 개발연구

        윤정진(Youn, Jeong J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

        본 연구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 창의·인성을 향상하기 위해 융복합 온라인 수업모형을 개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연구를 기초로 융복합 창의·인성교육에 적절한 창의·인성요소를 추출하였고 여러 분야의 전문가가 협력하여 8편의 영화를 활용한 온라인 수업모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수업모형을 대학 교양 교과에 적용하였고 학습자의 수업 소감문 분석과 전문가의 수업모형 평가로 수업모형의 적절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의 수업모형은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하고 창의·인성을 향상에 도움이 되었다. 전문가 평가 결과에서도 본 수업모형은 수업계획 및 자료선정이 적절하고 온라인 수업이 전반적으로 잘 운영된 것으로 나타났다. 개발된 창의·인성교육을 위한 융복합 온라인 수업모형이 대학생의 창의·인성을 증진하고 긍정적인 효과를 유도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본 연구에서는 탐색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onvergence online class model, to help improve creativity and personality in the post-corona era.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based on literature research, this study extracted the creative and personality elements appropriate for creative and personality education. Experts in various academic fields cooperated to develop an online class model using eight movies. The developed class model was preliminarily applied to university students. The appropriateness of the class model was confirmed through the analysis of both learners and experts evaluations. As a result, the overall satisfaction level of the learners was high. The class model of this study was effective in inducing the interest of various types of learners and improving their overall creativity and personality. In regard to the results of the expert evaluation, the online class was generally well operated. This study explored the possibility of a convergence online class model for the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efforts of university student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디지털 큐레이션 시스템을 활용한 영상기반 교육에 참여한 대학생의 창의.인성 변화 인식 연구

        윤정진(Jeongjin Youn),정수정(Sujeong Jeong),임홍남(Hongnam 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6

        목적 본 연구는 디지털 큐레이션 시스템을 활용한 영상기반 창의⋅인성 교양강좌에 참여한 대학생들의 창의⋅인성 변화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았다. 방법 이를 위하여 본 교양강과를 수강한 B시의 D대학교 대학생에게 설문을 배부하였으며, 그 중 자발적 참여자 56명이 연구 참여자로 선정되었다. 이 중 응답이 부족한 1부의 설문을 제외하고 최종 55명의 연구 참여자의 설문을 개방코딩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본 교양강좌를 수강한 대학생들은 여러 상황을 경험하고 새로운 산출물을 생성하게 되었다는 점에서 창의적 문제해결력이 증진되었으며, 자신의 생각을 돌아보고, 자기이해를 재정립해나가게 되었다고 밝혔다. 또 다르게 생각하고, 폭넓게 수용하며 관점이 확장되었다고 밝히며 창의⋅인성이 함양되었다고 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변화하는 시대 흐름에 맞춰 비대면 온라인 학습 플랫폼으로써의 교육 방법으로 요구되는 창의⋅인성을 교육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소개와 함께 그에 참여한 학생들의 이야기를 들어봄으로써 미래 창의⋅인성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해주는 길잡이가 되어줄 연구로서 의미가 있다. Objectives In this study, the perception of the change of creative personality of university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general education on image-based creative personality education using a digital curation system was examined. Methods For this purpos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university students at University D in B city who had taken this general education, and among them, 56 voluntary participants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Of these, the questionnaires of the final 55 research participants were analyzed using the open coding method, except for the first part of the questionnaire with insufficient responses. Results University students who took this general education said that their creative problem-solving skills were improved in that they experienced various situations and created new products, and they were able to reflect on their own thoughts and redefine their understanding. In addition, they said that they thought differently, accepted widely, and that their point of view was expanded and that their creativity was cultivated. Conclusions In this study, the direction of future creative personality education by listening to the stories of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it along with an introduction to the method that can educate the creative personality required as an educational method as a non-face-to-face online learning platform in line with the changing trends of the times. It is thought to be meaningful as a study that will serve as a guide for presenting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