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삶과 교육에서의 앎의 의미를 통해 본 창의ㆍ인성교육의 방향 탐색

        임홍남 ( Hongnam Im ),윤정진 ( Jeongjin Youn ),전란영 ( Ranyeong Jeon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2

        본 연구는 삶과 교육에서 제시하고 있는 앎의 의미를 고찰해보고 이를 통해 창의ㆍ인성교육의 방향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흔히 앎은 지식과 동의어로 사용되는데, 지식의 특성은 고정적인 반면 알아가는 과정은 늘 변화에 놓여 있어 유동적이고, 변화 가능한 특성을 지닌다. 본 연구는 현재까지 한국의 창의ㆍ인성 교육이 기존의 교육적 지식의 관점에서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이에 대한 대안적 관점으로 삶에서의 앎의 의미로 다시 본 창의ㆍ인성 교육의 방향을 제안해보았다. 그 결과 본 연구는 살아가며 스스로 깨우치는 교육, 각기 다른 삶에 따라 다르게 발현되는 교육, 삶에서의 앎을 기저에 둔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는 창의ㆍ인성교육의 본질을 되짚어보며, 미래교육을 위한 바람직한 방향을 모색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will examine the meaning of knowing presented in life and education and seek the direction of creative personality education. Knowing is commonly used as a synonym for knowledge considered fixed. However, the process of knowing is always subject to change and has a fluid characteristic. Therefore knowing has a changeable characteristic. This study proposed the direction of creative personality education, which was re-examined as an alternative to Korean creative personality education in terms of existing educational knowledge. As a result, this study presented the direction of self-learning creative personality education in life, creative personality education that is expressed differently depending on different lives, and creative personality education based on knowing in lif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looked back on the essence of creative personality education and sought its desirable direction.

      • KCI등재

        유년시절 놀이 경험이 창의인성교육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대학생들의 생각 연구

        임홍남(Hongnam Im),정수정(Sujeong Jeong),윤정진(Jeongjin Youn)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22 생태유아교육연구 Vol.21 No.4

        본 연구는 이전의 경험을 회상하여 자신을 되돌아보고 반성해볼 수 있는 성인을 대상으로 놀이 경험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창의인성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대학생들에게 개방형 설문연구를 진행하였다. 자발적으로 연구참여에 응한 연구참여자는 257명이며, 부실 응답이 있는 설문 33편을 제외하고 총 224명이 연구참여자로 선정되었다. 수집된 자료를 개방코딩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학생들은 유년시절 놀이 경험 중 함께 하는 협동놀이를 통해 사회적으로 적절한 행동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게 되었으며, 다양한 체험 놀이를 바탕으로 자기 자신과 세상에 대한 경험의 폭과 이해가 확장되었다고 하였다. 또 대학생들은 정답 없는 만들기 놀이로 창작성과 자신감이 함양되었으며, 자유롭게 놀이를 변형하는 구성놀이를 통해 융통성 있는 문제해결법을 찾게 되었다고 하였다.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유년기 놀이 경험이 창의인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미래 세대인 현재의 영유아가 겪고 있는 놀이 경험을 돌아보게 하고 그 의미를 짚어봄으로써 창의인성교육에 도움을 주는 교육의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perception of play experiences and targets adults who can introspect and reflect on their previous experiences. For this purpose, an open-ended questionnaire was conducted with university students interested in creativity. There were 257 voluntary research participants in the study. Thirty-three questionnaires with poor responses were excluded, and 224 were used in the research.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with open coding are as follows. University students said they developed the ability to perform socially appropriate behaviors through cooperative play during their childhood play experiences, and thought they learned to understand themselves and the world through these experiences. University students believed their creativity and self-confidence were nurtured by formulating games without correct answers during childhood and that they learned flexible problem-solving methods by freely transforming games.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childhood play experiences on adult university students' creativity, so they can review the play experiences of current infants and young children, the future generations, and examine how education promotes a creative personality. It is meaningful in that it guides the direction of creative personality education.

      • KCI등재
      • KCI등재

        은유분석에서 나타난 공동체에 대한 부모의 인식 고찰 : 영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를 대상으로

        안세정 ( Ahn Sejung ),임홍남 ( Im Hongnam ),김은주 ( Kim Eunju ) 열린부모교육학회 2017 열린부모교육연구 Vol.9 No.1

        본 연구는 은유분석을 통해 영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들이 공동체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P시와 K시에 거주하는 부모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였으며, 149명이 응답하였다. 그 중 이유진술문과 관련이 적은 설문지 1부를 제외한 148부가 최종 연구 대상으로 선정되었으며 이를 분석하고 범주화 및 수치화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부모들이 인식하는 공동체의 유형을 `함께 하는 것`, `협력, 공생이 이루어지는 것`, `유기적 연결망을 이루는 것`, `나눔과 배려를 실천하는것`, `질서유지를 위해 노력하는 것`, `공동목표를 지향하는 것`, `각자 제 역할을 다하는 것`으로 나누어볼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부모들이 공동체가 각 참여자의 주체적인 참여를 통해 실현되는 것이며 공동체를 지속시키기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고 인지한다는 점을 말해준다. 따라서 주체적인 공생관계를 꾀하는 공동체를 지향하는 자녀양육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해줄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how parents who have infant children perceive `community` through metaphor analysis. For this purpos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200 parents who live in P city and K city, and 149 of them responded. 148 out of these were selected as the final study subjects except for one questionnaire with little relevance to the reason statement. The results were deduced by analyzing, categorizing, and quantifying the questionnaires. The result showed that the types of `communities` that parents perceive could be categorized into `to be together`, `to cooperate and coexist`, `to form an organic network`, `to practice sharing and caring`, `to try to keep order`, `to pursue a common goal`, and `to fulfill each other`s rol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parents perceive that community is realized through autonomous participation of each member and efforts are needed to sustain a community. Therefore, it is thought that this study will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direction of child-rearing that pursues a community for autonomous symbiotic relationship.

      • KCI등재

        디지털 큐레이션 시스템을 활용한 영상기반 교육에 참여한 대학생의 창의.인성 변화 인식 연구

        윤정진(Jeongjin Youn),정수정(Sujeong Jeong),임홍남(Hongnam 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6

        목적 본 연구는 디지털 큐레이션 시스템을 활용한 영상기반 창의⋅인성 교양강좌에 참여한 대학생들의 창의⋅인성 변화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았다. 방법 이를 위하여 본 교양강과를 수강한 B시의 D대학교 대학생에게 설문을 배부하였으며, 그 중 자발적 참여자 56명이 연구 참여자로 선정되었다. 이 중 응답이 부족한 1부의 설문을 제외하고 최종 55명의 연구 참여자의 설문을 개방코딩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본 교양강좌를 수강한 대학생들은 여러 상황을 경험하고 새로운 산출물을 생성하게 되었다는 점에서 창의적 문제해결력이 증진되었으며, 자신의 생각을 돌아보고, 자기이해를 재정립해나가게 되었다고 밝혔다. 또 다르게 생각하고, 폭넓게 수용하며 관점이 확장되었다고 밝히며 창의⋅인성이 함양되었다고 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변화하는 시대 흐름에 맞춰 비대면 온라인 학습 플랫폼으로써의 교육 방법으로 요구되는 창의⋅인성을 교육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소개와 함께 그에 참여한 학생들의 이야기를 들어봄으로써 미래 창의⋅인성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해주는 길잡이가 되어줄 연구로서 의미가 있다. Objectives In this study, the perception of the change of creative personality of university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general education on image-based creative personality education using a digital curation system was examined. Methods For this purpos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university students at University D in B city who had taken this general education, and among them, 56 voluntary participants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Of these, the questionnaires of the final 55 research participants were analyzed using the open coding method, except for the first part of the questionnaire with insufficient responses. Results University students who took this general education said that their creative problem-solving skills were improved in that they experienced various situations and created new products, and they were able to reflect on their own thoughts and redefine their understanding. In addition, they said that they thought differently, accepted widely, and that their point of view was expanded and that their creativity was cultivated. Conclusions In this study, the direction of future creative personality education by listening to the stories of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it along with an introduction to the method that can educate the creative personality required as an educational method as a non-face-to-face online learning platform in line with the changing trends of the times. It is thought to be meaningful as a study that will serve as a guide for presenting

      • KCI등재

        대학생의 시민의식 발달궤적과 생애목표의 영향

        전란영 ( Ranyeong Jeon ),윤정진 ( Jeongjin Youn ),임홍남 ( Hongnam Im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시민의식 발달궤적을 살펴보고 개인의 생애목표가 시민의식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을 확인하여 대학생의 시민의식 향상 방안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마련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종단연구2005의 7-10차 연도 자료를 사용해 2년제 대학 이상에 재학하는 3,406명을 분석하였다.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을 실시하고 잠재성장모형으로 발달궤적을 확인하였으며 생애목표의 예측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종합하면 첫째, 대학생의 시민의식은 시간이 흐르면서 그 수준이 점점 높아지는 발달궤적을 보였다. 둘째, 대학생의 생애목표 중 자기성장과 가정화목은 시민의식 초기치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고, 가정화목은 시민의식의 변화율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명예, 물질적 부, 인간관계 생애목표는 시민의식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대학생의 시민의식의 변화양상을 밝혀주며 시민의식 향상을 위해 자기성장과 가정화목 생애목표에 초점을 두는 것이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evelopmental trajectory of citizenship among college students. This study examined how different types of life goals effect on college student’s citizenship. The participant sample was derived from the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2005 (KELS 2005) 7-10th data, and the data of 3,406 college students collected was analyzed. To process the result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coefficients, latent growth curve modeling were employed. As a result, first, college student’s citizenship changed in linear manners. It increased gradually over the three points. Secondly, self enhancement goal and family happiness goal affected the intercept of college student’s citizenship. Only family happiness goal affected the change of college student’s citizenship.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revealed the developmental trajectory of college student’s citizenship and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life goals for improving citizenship.

      • KCI등재

        은유분석을 통해 본 창의·인성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 탐색

        윤정진 ( Jeongjin Youn ),정수정 ( Sujeong Jeong ),임홍남 ( Hongnam Im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4

        창의·인성이 핵심역량으로 대두되며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창의·인성교육이 실시되고 있지만 그 의미가 모호하다. 이에 수업의 주체자이자 창의·인성을 발현할 주체인 대학생들이 창의·인성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살펴봄으로써 미래 교육방향을 탐색해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연구방법은 은유 분석을 활용한 개방형 설문조사이며, 연구대상은 대학생 198명이다. 본 연구 결과 대학생들은 창의·인성에 대해 무궁무진한 것, 환경과 노력에 의해 변하는 것, 삶의 토대가 되는 것, 가능성이 발현되도록 하는 것, 삶에서 필수적인 것, 인식이 전환되는 것이라고 인식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미래사회가 창의·인성과 관련한 역량을 더욱 중요하게 요청하고 있는 시점에서 그 주체인 대학생들이 인식하는 창의·인성의 의미를 되짚어보며 창의·인성 교육의 의미를 재정립하고 이를 지원하기 위한 교육방향 등을 모색하는 실마리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Creativity personality are emerging as core competencies, and creativity personality education for university students is being conducted, but the meaning is ambiguous. In this regard, Explore the future direction of education by examining how university students, who are the subjects of classes and who will express creativity personality, perceive creativity personality. Therefore, the research method of this study is an open-ended survey using metaphorical analysis, and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198 university students.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university students believe that creativity personality are infinite, change by environment and effort, become the basis of life, enable possibility, perceive as essential to life, and change perception. In this study, it is possible to look back on the meaning of creativity personality recognized by university students at a time when the future society demands more importance on creativity personality, redefine the meaning of creativity personality education, and suggest educational directions to support it. It is meaningfu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