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중등 SW 교육 현황 및 추이 분석 : 교육정보화 실태조사(2014-2016)을 중심으로

        윤일규,김한성,Yoon, Ilkyu,Kim, Hansung 한국정보교육학회 2018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2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매년 우리나라의 전체 초중등학교를 대상으로 주기적으로 조사되고 있는 '교육정보화 실태조사'의 기초 데이터를 활용하여 2018년부터 필수화를 앞두고 있는 국내 SW 교육 준비 현황을 객관적으로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교육정보화 실태조사 지표인 인적, 물적, 활용 지표 중 SW 교육과 관련된 지표를 추출하고 2014년부터 2016년까지 3개년 간의 국내 교육정보화 수준의 추이 변화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보교과를 담당하는 전체적인 교사 수는 3개년 간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중학교의 정보 교과 담당교사 중 정보 컴퓨터 정교사 자격증 소지자 비율은 2014년(71%)부터 2016년(54%)까지 지속적으로 줄어들고 있으며, 타교과로 이동하는 정보 컴퓨터 전공 교사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역설적인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 둘째, 예산 및 인프라와 관련한 추이 분석 결과, 2014년부터 초 중등 학교운영비 대비 교육정보화 예산의 총액이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초등학교의 정보(컴퓨터) 관련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비율은 2015년 87.7%, 2016년 84.6%로 낮아졌으며, 중학교의 정보(컴퓨터) 교과 교육 운영 학교 비율 또한 2014년 34.8%, 2015년 30.8%, 2016년 28.2%로 점차 낮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초 중등 공교육 현장에 SW 교육의 안정적인 정착을 위한 방안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objectively the current state of preparation of SW education in Korea based on the survey of educational technology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which is investigated periodically every year. For this purpose, we extracted indicators related to SW education from educational technology level indicators such as human, material, and utilization and analyzed the change in the level of domestic educational technology level from 2014 to 2016.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ratio of teachers who have informatics teacher certificates among middle school informatics teacher is continuously decreasing from 2014(71%) to 2016(54%), and the number of information and the number of informatics teachers moving from informatics subject to other subjects is steadily increasing. On the other hand, there is a paradoxical situation in which the total number of teachers in informatics subject is continuously increasing for three years. Secondly, the total amount of ICT related budgets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has been steadily decreasing since 2014. Thirdly, The ratio of informatics(computer) related creative activities in elementary schools dropped to 87.7% in 2015 and 84.6% in 2016. Also, the ratio of informatics subject operating school in middle school is gradually decreasing from 34.8% in 2014, 30.8% in 2015, and 28.2% in 2016.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this study suggested a method for stable settlement of SW education in elementary and secondary public education field.

      • 핵심 역량 중심 평가 문항 개발 위한 “정보” 교육과정 탐색: 2015 개정 중학교 교육과정 중심으로

        윤일규 ( Ilkyu Yoon ),이원규 ( Wongyu Lee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6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 No.1

        전 세계적으로 핵심 역량 중심 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학습자들의 창의적 문제해결능력 향상을 위한 핵심 역량 중심의 교육과정으로의 개혁이 가속화되고 있다. 정보교과 학습을 통해서 기대할 수 있는 IT 역량은 학습자들의 창의·융합적 문제해결능력을 향상시키고 지식정보화 사회를 주도하기 위해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역량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핵심 역량 중심의 정보교과 평가 문항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로써 ACM의 IT 역량에 기초하여 2015 개정 중학교 정보교과 교육과정 내용체계를 분석하였다.

      • KCI등재

        창의적 정보과학교육이 학부모와 초등학생의 정보과학교육에 관한 가치 인식에 미치는 영향 분석

        윤일규 ( Ilkyu Yoon ),김자미 ( Jamee Kim ),이원규 ( Wongyu Lee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5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18 No.5

        본 연구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창의적 정보과학교육 이후, 학부모와 학생의 정보과학교육에 대한 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분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정보교과에서는 많은 연구들은 학생의 교과 내용에 대한 효과에 집중하고 있으며, 학부모에 대한 인식 연구는 거의 진행되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학부모들이 인식하는 정보과학교육에 대한 가치에 집중하였으며, 실질적으로 학부모들이 정보교과 학습 지지에 관련 있는 정보과학교육에 대한 가치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분석하였다. 따라서 학부모와 학생의 인식 차이 검증을 실시하지 않았고, 각 집단이 인식하는 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다중회귀분석으로 진행하여 보다 구체적인 영향력을 산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분석결과, 학부모가 인식하는 학생의 정보과학교육에 대한 가치 인식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흥미 및 만족도 변인이며, 학생들은 자기효능감의 변인이 정보과학교육에 대한 가치 인식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variables affecting parents’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value of computer science after creative computer science education, through multiple regression. Many researches on Informatics subject have focused on the effect of the subject contents on students but hardly dealt with parents’ recognition. Thereupon,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the value of computer science recognized by parents and analyzes variables substantially affecting value variables of computer science related to parents’ support for learning Informatics subjects. This paper did not verify the difference in recognition of parents and students but calculated more concrete influence by conducing multiple regression on the variables affecting the value recognized by each group. This is one of the reasons why this study is meaningful.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analysis, variables affecting the value of parents on computer science the most are interest and satisfaction, and in students’ case, self-efficacy is the variable affecting the value of computer science the most.

      • 전국민 양질의 AI교육 기회 제공을 위한 AI교육 가이드라인 개발

        윤일규(Yoon, IlKyu),조향숙(Cho, HyangSook),이현숙(Lee, HyunSook),김종범(Kim, JongBum),나찬열(Na, ChanYeol)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21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5 No.2(B)

        2019년 12월 관계부처 합동으로 발표된 「AI 국가전략」에서는‘모든 국민이 AI를 잘 활용하는 나라’를 추진전략으로,‘직군별 AI 기술감수성 함양, AI 평생교육체계화’를 추진과제로 제시하였다. 이러한 추진과제 달성을 위해서는 AI시대 모든 국민의 AI 활용 능력과 이해력을 향상하기 위한 교육 전략과 지원 방안 수립이 요구된다. 즉, AI에 따른 사회 혜택에서 배제되거나 불이익을 받는 국민이 없도록 사회구성원 모두를 대상으로 세대·직군 등을 망라하는 범국가적인 양질의 AI교육 전략 수립이 필수적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가 코로나 19 이후 뉴노멀 시대를 선도할 수 있도록 모든 국민의 AI 활용 능력과 이해력을 향상하기 위한 전국민 AI 교육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자 한다. 첫째, 전 국민이 갖추어야 할 AI 역량을 설정하기 위하여 AI 전문가 및 AI 관련 교육 전문가를 대상으로 델파이(Delphi) 조사과정과 그 결과를 제시하였다. 3차에 걸친 델파이 조사 결과 도출된 AI 핵심역량은 적응력, 공익적 사고, 창의융합적 사고, 협업 능력, 컴퓨팅 사고, 인공지능 소양 등 6가지이다. 둘째, 전국민 양질의 AI교육 기회 제공을 위한 ‘전국민 AI교육 가이드라인’을 제안하였다. 전국민 AI교육 가이드라인은 AI의 발전에 따른 급격한 사회 변화에 적응하고, AI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자신의 생활, 직업 등 다양한 분야의 문제를 능동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역량을 함양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본 연구를 통해서 제안하는 가이드라인은 AI시대를 영위하기 위한 AI 기술에 대한 이해뿐만 아니라 윤리적 활용을 핵심 영역으로 다룬다. 전국민 AI교육 가이드라인은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대학교(비이공계 전공자), 대학교(이공계 전공자), 일반인 수준으로 구분하여 개발하였으며, 인공지능 이해, 인공지능 적용, 인공지능 윤리의 3개 영역으로 구성하였다. ‘전국민 AI교육 가이드라인’은 AI 시대를 영위하기 위해서 모든 국민이 AI 기초 소양, AI 활용 능력, AI 윤리 의식을 함양하고 AI 기초 개념과 원리, 다양한 AI 모델 활용을 바탕으로 당면한 분야의 문제를 창의·융합적이며 효율적으로 해결하는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 KCI등재

        초·중등 학부모의 정보교육에 대한 인식 분석을 통한 정보교과 공교육 정착 방안 탐색

        윤일규 ( Ilkyu Yoon ),김현철 ( Hyeoncheol Kim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8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2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의 핵심 주체인 초·중등 학부모의 ‘정보’ 교육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여 2018년부터 필수화를 앞두고 있는 ‘정보’ 교과의 공교육 현장 적용으로 인해 발생가능 한 다양한 사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합의점과 안정적인 공교육 정착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2017년 K대학교의 SW교육 가치확산을 목적으로 운영된 초등학교와 중학교 학습자 대상 SW 캠프 참여 학생의 학부모를 대상으로 ‘정보’ 교육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고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및 중학교 학부모 모두 정부의 SW인재양성정책에 높은 관심을 나타내고 있으나, 정부에서 추진 중인 SW인재양성 정책의 시의성과 교육 정책 수립 및 지원에 대해 불신을 드러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교 및 중학교 학부모들은 ‘정보’ 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에 대해 높은 인식을 보이고 있으며, 고등학교에서도 정보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등학교 및 중학교 학부모들은 현행 ‘정보’ 교육 시수가 충분하지 않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보’ 교육의 공교육 정착을 위한 선행 요인으로 초등학교와 중학교 학부모 모두 전문 역량을 갖춘 교원확보가 중요하다고 응답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초·중등 공교육 현장에 ‘정보’ 교육의 안정적인 정착을 위한 방안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erception of elementary and secondary parents on ‘Informatics’ education to solve the various social problems that can occur due to the application of mandatory ‘Informatics’ subject and find the stable public education settlement plans. For this purpose, we conducted and analysis of questionnaire survey on ‘Informatics’ education for parents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tudents who participating the SW education camp in K university.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both of elementary and secondary parents show high interest in the SW education policy of the government, but they are showing distrust about the timeliness of the actual SW education policy and the support of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Secondly, both of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parents showed high awareness of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Informatics’ education and they recognized that ‘Informatics’ education should be done in high school. Thirdly, parents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perceive that there is not enough time for ‘Informatics’ education and both of elementary and secondary parents to secure teachers with professional competence as a leading factor for stable settlement of ‘Informatics’ education in public education field. In this study, we suggested the stable settlement plans in public education field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 인공지능(AI)교육 니즈 분석을 통한 정책 활성화 방안

        윤일규(Yoon IlKyu)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22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6 No.1

        한국과학창의재단은 교육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재원으로 2014년부터 학교 현장의 SW·AI교육 확산 및 현장 안착을 위한 다양한 지원을 추진해 왔다. 2021년부터 새롭게 시작된 인공지능(이하, AI)교육 선도학교 사업은 학교 중심의 우수 AI교육 교수학습모델을 발굴·확산하고, 지역 중심의 AI교육 확산을 위한 거점 역할을 강화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21년 AI교육 선도학교 소속 교사, 수혜학생, 학부모 대상 실태조사 및 효과성 조사 결과를 분석하였고, 이를 토대로 현장 밀착형 AI교육 활성화 정책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 정보교과교육 : 정보교과교육에서 문제해결력 향상을 위한 퍼즐간 상관성 연구

        장선희 ( Sun Hee Jang ),김자미 ( Ja Mee Kim ),노현아 ( Hyuna Noh ),윤일규 ( Ilkyu Yoon ),심재권 ( Jae Kwoun Shim ),이원규 ( Won Gyu Lee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1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15 No.2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학습자의 문제해결력을 강조하고 있다. 본 연구는 퍼즐 활용을 통해 알고 리즘 설계 과정을 경험하도록 하여 프로그래밍 교육에서 프로그래밍을 쉽고 재미있게 받아들이는지를 검증하였다. 또한, 퍼즐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서로 관련성이 높은 퍼즐들을 찾아냈다. 본 연구에서는 퍼즐활용 수업의 교수-학습 방법과 지도 방안을 실제 학습에 적용하고 관련 퍼즐을 제공한다. 이로써, 학생들의 문제해결력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의의를 둔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