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주도 공공 관정 지질주상도 DB 구축 소개

        박성현,고기원,박준범,문덕철,윤우석,Pak, Song-Hyon,Koh, Giwon,Park, Junbeom,Moon, Dukchul,Yoon, Woo Seok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15 자원환경지질 Vol.48 No.6

        제주도 수문지질 종합 해석시스템 구축 연구의 일환으로 수행된 제주도 공공 관정 지질주상도 데이터베이스 구축결과를 소개한다. 1970년대부터 개발된 제주도 전역의1,200여 개 공공 관정의 지질주상도를 수문지질 조사소(炤)${\Pi}$맙$^{\circ}$ 범용할 수 있도록 6개의 속성 테이블로 구분하여 세부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분석을 수행한 결과, 기존 공공 관정지질주상도 이용에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1) 지질주상도 암석명의 통일성 결여, (2) 화산쇄설층 및 사력층 개념 정립 필요, (3) 대수층 정보 불포함, (4) 상당수 관정에 대한 스크린설치 구간 심도 미기재, (5) 지질주상도 작성자별 기재 사항 및 내용상의 상이성 등이다. 연구팀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지질주상도상의 화산암 및 퇴적암 명칭을 재정립함과 아울러, 상용화된 데이터베이스 형식의 지질주상도 프로그램을 이용해 표준화된 입력과 출력형식 생성이 가능한 제주도 공공 관정 지질주상도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새롭게 설계된 입력 테이블을 이용한 지질주상도 프로그램은 데이터베이스 입력 형식 기반을 가지고 있어, 사용자가 지정한 표준화된 입력 구조를 통해 지질, 관정 시추 및 시험 데이터들을 저장하여 데이터베이스화 함과 동시에 지질주상도와 단면도 출력에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지하수 관측 및 양수시험 결과 등의 새로운 자료도 데이터베이스 구조의 변경없이 쉽게 추가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구축된 지질주상도 데이터베이스는 향후 개발되는 관정들의 표준 데이터베이스 기준으로 활용됨으로써, 일관성 있는 지질주상도 작성과 수문지질 종합연구에 크게 도움이 될 전망이다. 또한, 현재 추진 중인 제주도 수문지질 해석시스템 개발과 기후변화에 대응한 통합수자원관리계획 기반기술을 뒷받침해 주는 초석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introduces newly implemented geological well logs database for Jeju public water wells, built for a research project focusing on integrated hydrogeology database of Jeju Island. A detailed analysis of the existing 1,200 Jeju Island geological logs for the public wells developed since 1970 revealed six major indications to be improved for their use in Jeju geological logs DB construction: (1) lack of uniformity in rock name classification, (2) poor definitions of pyroclastic deposits and sand and gravel layers, (3) lack of well borehole aquifer information, (4) lack of information on well screen installation in many water wells, (5) differences by person in geological logging descriptions. A new Jeju geological logs DB enabling standardized input and output formats has been implemented to overcome the above indications by reestablishing the names of Jeju volcanic and sedimentary rocks and utilizing a commercial, database-based input structured, geological log program. The newly designed database structure in geological log program enables users to store a large number of geology, well drilling, and test data at the standardized DB input structure. Also, well borehole groundwater and aquifer test data can be easily added without modifying the existing database structure. Thus, the newly implemented geological logs DB could be a standardized DB for a large number of Jeju existing public wells and new wells to be developed in the future at Jeju Island. Also, the new geological logs DB will be a basis for ongoing project 'Developing GIS-based integrated interpretation system for Jeju Island hydrogeology'.

      • 제주도 송악산 응회환에서의 화산-대기-해양의 상호작용

        손영관(Young Kwan Sohn),손찬우(Chanwoo Sohn),윤우석(Woo Seok Yoon),정종옥(Jong Ok Jeong),윤석훈(Seok-Hoon Yoon),조형성(Hyeongseong Cho) 대한지질학회 2021 대한지질학회 학술대회 Vol.2021 No.10

        송악산은 제주도 남서부 연안에 만들어진 현세의 응회환이다. 송악산 응회환은 대부분 대기 하 환경에서 화쇄난류에 의해 쌓였으나 기저부와 중간 부분에는 파도의 작용으로 쌓인 층이 협재되어 있다. 기저부의 층은 송악산 분화 초기 조간대에 쌓인 화산재가 평소 날씨의 파도 및 조석 작용에 의해 형성되었다. 중간의 층은 분화 도중 발생한 폭풍해일의 영향으로 해수면이 높아진 상태에서 파도의 작용을 받아 형성되었다. 송악산 응회환은 하모리층으로 명명된 해성퇴적층에 의해 덮여 있는데, 이 층은 송악산의 분화가 끝난 후 응회암이 침식 및 재동되어 해수면 변동의 영향을 받으며 형성된 층이다. 이처럼 송악산은 분화 이전부터 이후까지 고해수면의 기록을 잘 간직하고 있다. 송악산 분화 도중 내습한 태풍을 전후하여 쌓인 응회암 내에서는 화산쇄설물의 화학조성, 입자조성(이질물질의 함량), 그리고 조직의 큰 변화가 관찰된다. 태풍에 수반한 기압 변화나 육지/해양의 조석작용을 새로운 마그마의 상승 그리고 이에 따른 화산쇄설물의 화학조성 변화와 연관 짓기는 어려웠으나 화산쇄설물의 조직 변화는 태풍과 밀접한 연관이 있었던 것으로 해석된다. 태풍 이전에 분출한 화산쇄설물은 물에 불포화되어 있어 점착력에 의해 서로 들러붙은 조직을 보여주고 있으나 태풍 기간 중에 분출한 화산쇄설물은 화산쇄설물이 물에 포화되어 있어 이런 조직을 보여주지 않는 대신 응회암 내부에 기공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태풍의 내습에 의해 응회환 하부 다이아트림의 내부 환경에 큰 변화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태풍에 수반된 강우가 응회환의 분화구 내부로 직접 유입되거나 지하 경로로 스며들어 다이아트림을 채우고 있던 화산쇄설물이 일시적으로 물에 과포화되는 일이 발생하였을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따라서 송악산은 화산이 주변 환경과 서로 밀접하게 상호작용을 하며 형성된 특이한 사례로 평가된다.

      • 통계적 축소법을 이용한 한반도 인근해역의 미래 표층수온 추정

        함희정(Ham, Hee-Jung),김상수(Kim, Sang-Su),윤우석(Yoon, Woo-Seok) 강원대학교 산업기술연구소 2011 産業技術硏究 Vol.31 No.1

        Recently, climate change around the world due to global warming has became an important issue and damages by climate change have a bad effect on human life. Changes of Sea Surface Temperature(SST) is associated with natural disaster such as Typhoon and El Nino. So we predicted daily future SST using Statistical Downscaling Method and CGCM 3.1 A1B scenario. 9 points of around Korea peninsular were selected to predict future SST and built up a regression model using Multiple Linear Regression. CGCM 3.1 was simulated with regression model, and that comparing Probability Density Function, Box-Plot, and statistical data to evaluate suitability of regression models, it was validated that regression models were built up properly.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나노크기의 Fe/Ti 혼합광촉매의 제조 및 가시광선 활용 타당성 조사

        설용건,이태규,전명석,주현규,윤우석 한국화학공학회 2000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HWAHAK KONGHA Vol.38 No.4

        본 실험에서는 광촉매의 빛의 흡수파장을 가시광선 영역으로 이동시키고,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Fe^(3+)를 2.5-99.5 ㏖%의 농도범위로 TiO₂에 첨가한 혼합광촉매인 Fe/Ti를 제조하였다. 제조한 Fe/Ti 혼합광촉매의 특성을 UV/VIS, TEM-EDP, XRD, EDAX, 그리고 XPS를 사용하여 관찰하였으며, dichloroacetic acid(DCA)의 광분해 반응속도와 actinometry를 통한 빛의 세기(2.68 μE/sec)측정을 통하여 농도별 혼합광촉매의 photonic efficiency를 조사하였다. TEM-EDP와 XRD pattern의 관찰결과, 입자의 지름이 약 4 ㎚인 anatase TiO₂임을 확인하였으며. Fe^(3+)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Fe/Ti의 빛의 흡수파장 onset이 순수 TiO₂와 비교하여 red-shift되는 것이 밝혀졌다(10% Fe/Ti의 경우 순수TiO₂보다 약 0.5eV감소). EDAX결과로부터 제조된 혼합광촉매가 이론적인 Fe 농도와 근사함을 확인하였으며, XPS로 Fe(III)의 존재를 관찰할 수 있었다. Photonic efficiency는 본 실험조건하에서 10 ㏖% Fe/Ti의 경우 0.22로 최대이었는데, 이는 다양한 혼합광촉매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경향으로 dopant의 함유량이 증가할수록 점진적으로 전자트랩 효과에 의하여 광촉매 효율이 상승하다가, 적정농도 이상이 첨가되는 경우에는 오히려 전자/정공 트랩장소간의 거리 감소와 띠에너지 감소로 인하여 전자-정공의 재결합이 촉진되기 때문이다. 또한 가시광선의 DCA 광화학반응에의 활용정도를 cut-off filter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385 ㎚ cut-off 필터를 사용하였을 경우 순수 TiO₂는 분해반응을 유발하지 않았으나, 10 ㏖% Fe/Ti의 경우에는 320 ㎚ cut-off 필터를 사용한 순수 TiO₂정도의 분해 속도를 보여주었다. 이 결과로부터, 제조된 Fe/Ti 혼합광촉매의 400 ㎚부근 흡수가 광활성을 지닌 띠에너지 전이흡수이며, 이를 이용하여 유기물질을 분해할 수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In this study, iron-doped TiO₂(Fe/Ti) mixed oxide nanoparticles were prepared with the Fe^(3+) content varying from 2.5 up to 99.5 ㏖% to shift the absorption onset into the visible part, and to enhance the efficiency by retarding the e^--h^+ recombination. While they were characterized by UV/VIS, TEM-EDP, XRD, EDAX, and XPS, photonic efficiency was also investigated with the degradation rate of dichloroacetate (DCA) and light intensity measured by actinometry (2.68μE/sec). TEM-EDP and XRD showed that particles were in the form of anatase with the diameter of ca. 4 ㎚. Appreciable red-shift in UV/VIS absorption spectra was observed with the addition of Fe, starting UV/VIS absorption in the case of 10% Fe/Ti at around 0.5 eV less than in nano-sized pure TiO₂(around 3.42 eV). EDAX verified that the amount of Fe in the prepared mixed oxides was obtained as wished, and XPS revealed that Fe(III) existed in TiO₂lattice. Measured photonic efficiency turned out to be increased up to 0.22 at 10 ㏖% Mo, and then decreased as Fe content kept increasing higher than that. This was explained by the changing prevailing phenomena - electron trapping and recombination - as the amount of dopant increased. While photocatalytic decomposition of DCA was not taken place with pure TiO₂ using a 385 ㎚ cut-off filter, DCA degradation rate with 10% Fe/Ti was the same as that with pure TiO₂with a 320 ㎚ cut-off filter under the same experimental conditions. From this result, it was concluded that the absorption of light around 400 ㎚ was for the bandgap transition and could be used to degrade the contaminated organ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