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내시경하 중재적 방사선시술 시 간호사의 방사선 방어행위 영향 요인

        윤보영 울산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내시경하 중재적 방사선시술에 참여하는 내시경실 간호사의 방사선 방어행위에 관련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시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서울특별시 및 6개의 광역시, 8개의 도 지역에 소재한 30개의 다 기관 내시경실에서 방사선 관련 업무를 시행하는 간호사 188명을 대상으로 2019년 3월 22일부터 2019년 4월 10일까지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 수집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cheffé 사후검정,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 대상자의 평균 나이는 37.2±7.4세였고, 임상경력은 14.2±7.7년, 내시경실 경력은 평균 8.3±5.9년이었다. 내시경 하 중재적 방사선 시술에 1시간 미만으로 참여하는 대상자는 34.6%였다. 방사선 관련 교육을 받은 대상자는 75%였고, 그 교육이 ‘도움이 되었다’ 라고 응답한 자는 42.6%이었다. 대상자 중 97.9%는 병원 인증 평가를 받은 근무기관에 소속되어 있었다. 2. 대상자의 방사선 방어지식 정도는 16점만점에 평균11.11±2.30점이었고 방어태도는65점만점에 평균60.09±6.70점, 방어행위는75점만점에 평균67.93±8.64점, 자기효능감은90점만점에 평균67.33±8.46점, 안전문화는 85점만점에 60.59±13.06점이었다. 3. 방사선 방어 행위는 행정구역(F=5.14, p=.007), 직위((F=4.29, p=.018), 납 앞치마 성능 정기 점검(F=2.80, p=.006), 방사선 방어 프로토콜 비치(F=2.53, p=.012), 방사선 관계 종사자 정기 건강검진 경험 유무(F=2.46, p=.015)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4. 방사선 방어 행위와 방사선 방어태도 r=.708(p=<.001), 자기효능감 r=.356(p=<.001), 안전문화 r=.326(p=<.001), 방사선 방어지식 r=.289(p=<.001)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5. 방사선 방어 행위에 미치는 영향 요인은 방사선 방어태도와 안전문화이며, 방사선 방어 태도가 높을수록(β=0.63, p<.001), 안전 문화 수준이 높을수록(β=0.15, p=.013) 방사선 방어행위를 잘 이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방사선 방어태도의 향상을 위해서는 방사선 및 방어 관리에 대한 정확한 지식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며 이는 의료 현장을 바탕으로 전문성을 갖춘 방사선 안전 관리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방사선 관계종사자의 의무교육 법제화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그리고 적극적으로 방사선 방어태도를 실천하기 위해서 업무량 조절 및 방어용구와 시설 확보 등 충분히 활용 가능한 방어 환경이 전제 되어야 하고 내시경실 방사선 방어관리 지침 구축 및 평가기준마련 등의 병원의 행정과 정부 측면에서의 접근이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부서의 안전문화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 경영진, 리더, 간호사가 각자의 위치에서 안전에 대해 충분히 지각하고 적극적으로 의견을 공유하며 규정 및 절차를 실천하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타 직종과 함께 일하는 환경일수록 서로를 배려하며 적극적으로 Speak Up할 수 있고 서로의 안전행위에 대해 지지하고 격려하는 분위기 조성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학교체육 경험에 대한 인식이 생활체육 참여에 미치는 영향

        윤보영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체육 경험에 대한 인식이 생활체육 참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함으로써 학교체육의 중요성을 부각시키며, 궁극적으로 학교체육과 생활체육 활성화를 위하여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경기 지역에서 활동하는 생활체육 참여자 중 20대 남성 총 302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학력, 생활수준, 직업, 중․고등학교 시기의 체육과목 성적으로 구성된 개인적 특성 변인들과 생활체육 참여 종목 수, 참여 빈도, 참여 기간 등의 생활체육 참여에 관련한 변인들에 따른 과거 중ㆍ고등학교시기에 경험한 정규 체육수업, 방과 후 체육활동, CA체육활동, 학교스포츠클럽 등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조사하였다. 자료 분석 방법으로는 빈도분석,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 t-test, 사후분석으로 Duncan을 사용하였다. 이상의 연구방법을 통해 자료 분석을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개인적 배경에 따른 학교체육 경험 인식의 차이 1. 학력에 따른 학교체육 경험 인식의 차이는, 대학교 진학 이상 대상자들보다 고등학교 졸업 대상자들의 학교체육 경험 인식도가 높게 나타났다. 대체로 학력 수준이 낮을수록 학교 체육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생활수준에 따른 학교체육 경험 인식의 차이는, 대체로 생활수준이 높을수록 학교체육에 대하여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직업에 따른 학교체육 경험 인식의 차이는, 대체적으로 학생, 공무원, 회사원보다 자영업종사자들과 취업준비생들이 학교체육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중․고등학교 시기의 체육 성적에 따른 학교체육 경험 인식의 차이는, 중․고등학교 시기의 체육 성적이 높을수록 학교체육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생활체육 참여도에 따른 학교체육 경험 인식의 차이. 1. 생활체육 참여종목 수에 따른 학교체육 경험 인식의 차이는, 1종목의 생활체육만 참여하고 있는 대상자들보다 2종목 이상의 생활체육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대상자들의 학교체육 경험 인식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학교체육활동에 대하여 긍정적 인식을 가지고 있을수록 다양한 생활체육 종목에 참여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2. 생활체육 참여빈도에 따른 학교체육 경험 인식의 차이는, 대체로 생활체육 참여빈도가 높을수록 학교체육에 대한 경험 인식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교체육활동에 대하여 긍정적 인식을 가지고 있을수록 생활체육활동에 잦은 빈도로 참여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3. 생활체육 지속시간에 따른 학교체육 경험 인식의 차이는 대체적으로 생활체육 지속시간이 높을수록 학교체육에 대한 경험 인식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학교체육활동 경험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오랜 시간 동안 생활체육활동에 참여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4. 생활체육 참여기간에 따른 학교체육 경험 인식의 차이는, 생활체육 참여 기간이 길수록 학교체육에 대한 경험 인식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대체적으로 학교체육활동 경험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오랜 기간 생활체육 활동에 참여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how to affect the perception of school physical education on participation in sport for all and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school physical education, and ultimately to provide basic data necessary for the activation of school physical education and sport for all.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we pursued an investigation on 302 men of the twenties who participated in the sport for all in Seoul and Gyeonggi area.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school physical education in middle and high school in the past by individual peculiarities variables of occupation, educational background, etc. and by the variables of ‘sport for all' of the number of sports of participation, frequency of participation, duration of participation, etc. of ‘sport of all'. Frequency analysis, One-way ANOVA, t-test, Duncan were used as data analysis methods. As a result of the data analysi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Differences in Recognition of School Physical Education Experience By Individual Background 1.Differences in perception of school physical education experience according to education level showed that the lower the education level is, the more positive perception about school physical education they have by and large. 2.The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school physical education experience according to the level of living showed that mostly, the higher the standard of living is, the more positive perception of school physical education they have. 3.The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school physical education experience according to occupation showed that the self-employed and the job-seeking students had more positive perceptions of school physical education than students, civil servants, and office workers. 4.The difference of perceptions of experiencing school physical education according to the physical education achievement in middle and high school period showed that the higher the physical education achievement is, the more positive perception about school physical education they have. Second. The Difference in Recognition of School Physical Education Experience by the Participation in Sport for All. 1.The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school physical education experience according to the number of sports of participating sport for all showed that the subjects who participated in more than two sports of ‘sport for all' had a higher perception of school physical education than those who participated only in one sport of ‘sport for all'. 2.The difference in perception of school physical education experience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participation in sport for all showed that the higher the frequency of participation in sport for all is, the higher the perception of school physical education is on the whole. 3.The difference of perception of school physical education according to the duration of sport for all showed that overall, the higher the duration of sport for all is, the higher the perception of school physical education is. 4.The difference in perception of school physical education experience according to the period of participating in the sport for all showed that the longer the period of participation in the sport for all is, the higher the perception of school physical education is.

      • 보육시설 평가인증제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비교

        윤보영 성신여자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평가인증시설과 평가미인증시설의 보육교사와 학부모를 대상으로, 평가인증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살펴봄으로써 평가인증제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성공적인 평가인증의 정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평가인증제도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에는 차이가 있는가? 1-1) 평가인증제도에 대한 평가인증시설 교사와 평가미인증시설 교사의 인식에는 차이가 있는가? 1-2) 보육시설 평가인증의 준비과정에 대한 평가인증시설 교사와 평가미인증시설 교사의 인식에는 차이가 있는가? 1-3) 보육시설 평가인증 이후 보육시설 평가인증에 대한 평가인증시설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2. 평가인증제도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에는 차이가 있는가? 2-1) 평가인증제도에 대한 평가인증시설 학부모와 평가미인증시설 학부모의 인식에는 차이가 있는가? 2-2) 보육시설 평가인증의 준비과정에 대한 평가인증시설 학부모와 평가미인증시설 학부모의 인식에는 차이가 있는가? 2-3) 보육시설 평가인증 이후 보육시설 평가인증에 대한 평가인증 시설 학부모의 인식은 어떠한가? 본 연구에서는 서울에 위치한 국?공립 보육시설을 중심으로 평가인증을 받은 보육시설 교사 120명과 학부모 120명, 아직 평가인증을 받지 않은 보육시설 교사 120명과 학부모 120명을 대상으로 총 48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이 중 회수된 399부를 최종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검사도구는 교사용검사지는 오민수(2006), 황인숙(2006), 박복매(2005)의 설문지를, 학부모용 검사 도구는 조영자(2006), 김정희(2004), 이경채(2003)의 연구를 기초로 김신영(2007)이 작성한 설문지를, 각각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회수된 설문지는 SAS 9.1을 이용하여 자료 분석을 하였고 인구변인의 특성을 나타내기 위해 빈도분석을 하였고 인증시설과 미인증시설에 따라 보육시설 평가인증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검증 및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평가인증제에 대한 인식을 살펴본 결과, 평가인증시설 교사는 평가미인증 시설 교사에 비해 평가인증제의 필요성에 대해 더 높게 인식하였다. 평가인증시설 교사가 평가인증 설명회 및 토론회, 교사 교육, 안내 책과 보육관련 인터넷 사이트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 또한 평가인증제에 대해 접한 반면 평가미인증시설 교사는 주로 교사교육을 통해서였다. 또한 국가정책을 따라가기 위해 평가인증을 신청한다는 의견이 많았다. 둘째, 준비과정에 대한 인식을 살펴본 결과, 평가인증시설 교사와 미인증시설 교사 모두 평가인증의 조력자로서는 보육정보센터를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증 유효기간 3년을 짧게 인식하고 있었다. 두 집단 모두 평가인증을 위해 하루 12시간 이상을 일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평가인증시설 교사들이 3년 뒤에 다시 평가인증을 신청하겠다는 응답이 높은 반면 평가미인증 시설 교사들은 신청하지 않겠다는 응답이 높았다. 셋째, 자체점검에 대한 전반적 사항에 대한 인식을 살펴본 결과, 두 집단 모두 자체점검 기간이 너무 짧다고 응답하였고 자체점검 과정 중 가장 어려웠던 점으로는 ‘바쁜 보육시설 일정으로 부족한 시간’을 꼽았다. 넷째, 보육시설 교사들의 평가인증 지표항목에 대한 인식을 알아본 결과, 두 집단 모두 자체 점검 과정에서 가장 먼저 준비하기 시작한 영역과 기준점수를 통과하지 못할 것으로 예상되는 영역으로 ‘보육환경’을 꼽았다. 평가인증결과 확인된 긍정적 효과로는 ‘물리적 환경의 질적 향상’이 가장 많았던 반면 ‘교사의 질적 향상 및 근무 조건 개선, 운영의 투명성 향상’은 미비하게 나타났다. 다섯째, 조력과정에 대한 인식을 살펴본 결과, 평가인증 시설 교사가 평가미인증 시설의 교사보다 조력을 신청하지 않았다는 응답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력 중 가장 도움이 된 내용으로 평가인증시설 교사가 워크숍이나 대소집단 교육을 꼽은 반면, 평가미인증교사는 온라인을 통한 동영상이나 문서, 사이버상담이나 전화상담이 도움이 된다고 답하였다. 여섯째, 평가인증 이후 만족도를 살펴본 결과, 인증시설 교사들은 전반적으로 평가인증 제도에 대해 만족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평가인증제가 보육시설 홍보에도 큰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하였다. 평가인증제도에 대해 만족하지 않는 이유로는 과중한 업무로 인한 불만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그러나 전문성 향상에는 높은 인식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평가인증제도가 평가인증 시설 학부모와 평가미인증 시설 학부모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두 집단 모두 평가인증통과 여부에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아직까지 보육시설 선택을 좌우하는 이유로 나타나지는 않았다. 평가인증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은 평가인증 시설 학부모가 평가미인증 시설 학부모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평가인증이 필요한 이유로는 ‘시설과 환경의 개선’이라는 응답이 29.30%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여덟째, 평가인증 준비과정에 대한 인식을 살펴본 결과, 평가인증시설 학부모는 평가미인증 시설 학부모보다 오리엔테이션, 월안, 주안, 가정통신문, 홈페이지, 게시판, 개별알림장, 대화수첩, 부모-교사간의 대화, 부모교육 등을 통해 평가인증 준비과정에 대해 더 많이 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홉째, 평가인증 이후의 학부모의 만족도를 살펴본 결과, 평가인증 시설 학부모는 평가인증통과에 매우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보육시설 선택 시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recognition of teachers and parents who were in certification facility and non-certification facility on evaluation certification of educare centers in an attempt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accreditation system. The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as below: 1. Are there any differences between the teachers in their recognition of the accrediting system? 1-1. Are there any differences between the teachers who were in certification facility and non-certification facility in their recognition of the accrediting system? 1-2. Are there any differences of teachers who were in certification facility and non-certification facility in their recognition of making preparations for being accredited? 1-3. What is the perception of the teachers on the accrediting system after being accredited? 2. Are there any difference of the parents about the accrediting system? 2-1. Are there any difference of the parents who were in certification facility and non-certification facility about the accrediting system? 2-2. Are there any difference of parents who were in certification facility and non-certification facility on making preparations for being accredited? 2-3. What is the perception of the parents on the accrediting system after being accredited?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20 teachers and 120 teachers in certification facility and 120 teachers and 120 teachers in non-certification facility located in Seoul. A total 48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of which 399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by study for teachers used the questionnaire developed by Oh(2006), Hwang(2006), and Park(2005) and for parents used the Cho(2006), Kim(2004), Li(2003). Data were analyzed by SAS 9.1 and statistical data on frequency were obtained to find out about a pervasive trend in teachers and parents views. t-test and χ ²-test were carried out to track any possible differences in their awareness.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a view of the accrediting system,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awareness of the teachers who were in certification facility and of the teachers who were in non-certification facility as most the teachers who were in certification facility were well aware of it while the teachers who were in non-certification facility didn't know well about it in advance. There were many answers that teachers who were in certification facility came to know the system of evaluation certification in the explanation conference on evaluation certification and a forum, teacher education, guide book and internet site about nurture and it shows the improvement of furnish information. Second, as for outlook on the preparation process for being accredited, teachers who were in certification facility and in non-certification facility recognized that own checking and validity for 3 years is short and it should be elongated with constant instruction and management. Third, regarding a view of self-inspection, both groups recognized that a term for self-inspection is short and answerd the most difficult point is short of times as busy educare center schedule. Fourth, the recognition about index item of evaluation certification of teachers who were in certification facility and in non-certification facility was like this. Teachers who were in certification facility and in non-certification facility talked about nurturing environment as a priority for the increase of quality in nurturing out of seven index item. Fifth, concerning opinions on advisers of the preparation process for being accredited, teachers who were in certification facility didn't apply for the advisers more than teachers who were in non-certification facility and it show that there were not enough programs of advisers in nurture information center. Sixth, in terms of satisfaction with being accredited, they expressed satisfaction with that in general. But they didn't think the accredited daycare centers were fully publicized. It shows that there weren't formed the services after being accredited. Seventh, concerning influences of evaluation certification in a educare center system on parents who were in certification facility and non-certification facility, both groups were influenced by the evaluation certification in a educare center system. But the influences didn't have an effect on choice of the educare center. Eighth, as for outlook on the preparation process for being accredited, parents who were in certification facility were more known about the preparation process than parents who were in non-certification facility in the monthly planner, weekly planner, bulletin board, information letter to parent, homepage, individual notice, communication note, parent-teacher communication, parent education. Ninth, in terms of satisfaction with being accredited, parents who were in certification facility expressed satisfaction with that in general and it influenced on the choice of children's educare center.

      • 중학생의 정서조절능력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 공격성의 매개효과

        윤보영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of middle school students' emotion regulation ability, aggression, and smart phone addiction an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aggression on the relation between emotion regulation ability and smart phone addiction. For this purpose, 803 middle school students (365 male, 438 female) in Seoul, Gyeonggi, and Chungcheong area completed emotion regulation ability scale, peer conflict scale, and smart phone addiction scal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20.0 and AMOS 21.0. Based on the data,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were perfor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emotion regulation ability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overt aggression and relational aggression, which were the subtypes of aggression, and with smart phone addiction. Also, overt aggression and relational aggression presented positive correlation with smart phone addiction. Second, emotion regulation ability had significantly negative effect on smart phone addiction while each of overt aggression and relational aggression had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smart phone addiction. Third, the mediating effect of overt aggression was not significant when the emotion regulation ability's mediated aggression to examine the effect on smart phone addiction; yet, the mediating effect of relational aggression was found significant. Fourth, the effect of emotion regulation ability of the male students presented significant difference on overt aggression compared with the female ones; however, the other paths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s. This study were meaningful since the mediating effect of overt aggression and of relational aggression on smart phone addiction was independently examined. Based on the finding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were discussed along with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본 연구는 중학생의 정서조절능력, 공격성,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를 살펴보고 정서조절능력과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에 대한 공격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 경기 및 충청 지역에 거주하는 중학생 총 803명(남학생 365명, 여학생 438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측정도구는 정서조절능력 척도, 또래갈등 척도, 스마트폰 중독 척도가 사용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0.0과 AMO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기술통계 분석, t검정, 상관분석, 회귀분석, 구조방정식 등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조절능력, 공격성, 스마트폰 중독의 상관 분석 결과, 정서조절능력은 공격성의 하위변인인 외현적 공격성, 관계적 공격성, 스마트폰 중독과 모두 부적 상관을 나타났다. 또한 공격성의 하위변인인 외현적 공격성, 관계적 공격성은 각각 스마트폰 중독과 정적 상관을 나타났다. 둘째, 정서조절능력, 공격성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정서조절능력은 스마트폰 중독에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미쳤으며, 공격성의 하위변인인 외현적 공격성, 관계적 공격성은 각각 스마트폰 중독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서조절능력이 공격성을 매개하여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공격성의 하위변인인 외현적 공격성의 매개효과는 유의미 하지 않았으며, 공격성의 하위변인인 관계적 공격성의 매개효과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남·녀 성별에 따른 연구모형의 타당성을 알아보기 위해 다집단 분석을 실시한 결과, 정서조절능력이 공격성의 하위변인인 외현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에서만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크게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다른 경로에서는 남·녀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들을 통하여 정서조절능력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서 공격성의 하위변인 외현적 공격성과 관계적 공격성 각각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것과 관계적 공격성이 중요한 매개요인임을 확인한 것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의 시사점 및 제한점에 대해서 논의하고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군소로부터 글리코사미노글리칸의 추출 정제 및 세포주를 이용한 기능성 탐색

        윤보영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Chondroitin sulfate와 heparin등의 GAGs는 포유동물의 조직에서 널리 분포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포유동물이 주 원료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 여러 가지 질병으로 인한 안전성이 보장되지 않는 단점으로 인해 그 대상이 해양생물로 바뀌어 가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 또한 원료의 단가가 매우 높고 주원료인 상어, 고래, 다랑어류의 어획량이 감소하고 있어 대체 자원의 탐색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는 남해안 일대에서 여름철에 어획되어 부산과 경남지역을 중심으로 특정 지역을 위주로 소비되는 군소를 이용해 GAGs를 추출 정제하고 그 기능성을 검색하고자 하였다. 군소의 PS 추출에서 가수분해 효소로는 Flavourzyme 500 MG가 가장 우수하였다. 당도 및 ethanol 사용량에 따른 영향을 알아본 결과 Brix는 60일 때 가장 우수한 추출율을 나타내었고, ethanol 사용량은 5배를 사용하였을 때 가장 효과적인 추출율을 나타내었다. 군소 PS를 위한 최적 조건은 Flavourzyme 500 MG를 이용하여 60℃에서 15시간 반응 후 Brix를 60으로 조절한 상태에서 ethanol을 5배량 사용이었다. Ion-chromatograpy를 통해 정제된 군소 GAGs는 N-acetylglucoamine, N-acetylgalactosamine이 70% 이상을 차지하는 다당복합체인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주 구성분이 heparin 또는 heparan sulfate일 것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연구가 더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군소로부터 추출한 PS와 정제한 GAGs의 기능성을 확인해 본 결과 대식세포주인 RAW 264.7을 통해 세포독성은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NO 생성량, TNF-a, IL-6 생성량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군소 PS와 GAGs는 대식세포를 직접적으로 활성화 시켜 면역증강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위암 세포주인 AGS를 통해 100 μg/mL 농도에서 배양 72시간 후 약 40%에 가까운 위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 나타내었고, 정상세포 IEC-6에는 독성을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군소로부터 추출 정제된 PS와 GAGs는 면역증강을 위한 기능성 식품 및 약제 원료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보여 주었으며, 위암 치료제로서의 개발 가능성도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Glycosaminoglycans such as heparin and dermatan sulfate are usually extracted from mammalian tissues. Some have recently been isolated from marine invertebrates. Marine origin may constitute a safer alternative with no infectious risk due to viruses or to prions. In this study, we extracted a whole polysaccharidic fraction from the Aplysia kurodai and screening its functional properties using cell lines. The most effective enzyme was Flavourzyme for extracting polysaccharides from Aplysia kurodai. And the optimum condition of hydrolysis was incubation at 60℃ for 15 hr. Precipitation of polysaccharides were depended on brix and ethanol volume. The most effective concentration of Brix was sixty and ethanol volume was three times. The purified sample from Aplysia kurodai extracts respected heparin or heparan sulfate. The functional activities of extracts were investigated using cell lines. The extracted polysaccharides and its fraction from DEAE-Sepharose fast flow 6B chromatography did not show the toxicity on RAW 264.7 cell line in the range of 10-200 ug/mL, but increased the cell growth rate. The extracted polysaccharides and its fraction also increased the formation of NO, interleukin (IL)-6 and tumor necrosis factor (TNF)-α on RAW 264.7 cell. Particularly, the polysaccharides fraction inhibited the proliferation rate of stomach cancer cell line, AGS, up to 40% for 72 hr incubation, but did not the intestinal epitherial IEC-6 cell lines. The polysaccharides and its response from Aplysia kurodai suggest the potential source to increase immune function and to inhibit the proliferation rate of the stomach cancer.

      • SCC/AEB 레이더의 위험 표적 식별 알고리즘 개발

        윤보영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Radar is developed to measure the range and the position of the target. However, during the measuring process there might be problems such as ‘False Alarm’, ‘Mis-Detection’. ‘False Alarm’ means misjudgement of detecting a target when there are actually nothing in the observing range. While ‘Mis-Detection’, on the contrary, is the case that the radar could not detect the targets exist in the observing range. These problems also happen in the case of FMCW(Frequency Modulation Continuous Wave) radars which are used in many cars. In 2014, Euro NCAP(New Car Assessment Program) adopted AEB(Autonomous Emergency Braking). After that the number of cars applying SCC/AEB keeps growing. These cars need to meet the requirements of AEB test method. These are 3 kinds of test methods, CCRs/CCRm/CCRb(Car to Car Rear stationary/moving/braking). These methods means AEB has to meet different conditions that when the front target vehicle is stationary(CCRs), or moving at same speed of user’s car(CCRm), or doing constant deceleration(CCRb). Therefore, cars applying with AEB (FMCW radars) should stop going if there is a resting car in the front, and should keep moving when detected obstacles on the ground. However, conventional AEB has some problems in this detecting process. In this paper, we suggest new algorithm to solve the problems of CCRs of AEB. The new algorithm uses PCA(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nd SVM(Support Vector Machine). In the last part, to verify the algorithm, we also made a comparison of the accuracies of these three cases : 1. Applying experimental data directly to SVM. 2. Applying experimental data to SVM after specific data processing. 3. The algorithm in this paper which applying experimental data to PCA and SVM after specific data processing. And by comparing the three cases we can conclude that using the algorithm proposed in this paper has a quite high accuracy. 레이더(Radar)는 표적과의 거리 및 위치를 측정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그러나 기본적으로 False Alarm과 Mis-Detection의 문제가 발생한다. False Alarm이란 실제로는 표적이 없는데 레이더에서는 표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고, Mis-Detection은 실제로는 표적이 있는데 레이더에서는 표적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다. 이는 차량용 레이더인 FMCW(Frequency Modulation Continuous Wave)에서도 문제가 된다. 2014년 유럽 자동차 안전성 평가기관인 Euro NCAP(New Car Assessment Program)에서 AEB(Autonomous Emergency Braking)항목을 추가한 이후, SCC(Smart Cruise Control)/AEB가 적용된 차량이 늘어나고 있다. 또한 적용된 차량은 AEB 테스트 방법을 만족해야 한다. 테스트 방법은 CCRs/CCRm/CCRb(Car to Car Rear stationary/moving/braking) 3가지가 있다. CCRs는 전방의 Target Vehicle이 정지해있는 상황에서 AEB 시스템을 만족하는 것이고, CCRm은 전방의 Target Vehicle이 등속 운전하고 있는 상황에서 AEB 시스템을 만족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CCRb는 전방의 Target Vehicle이 등감속도 운전을 하고 있는 상황에서 AEB 시스템을 만족하는 것이다. 차량용 레이더가 장착된 차량이 전방의 정지 차량을 만난 경우에는 차량으로 인식해서 멈추어야 하고, 전방의 바닥 구조물을 만난 경우에는 단순한 바닥 구조물로 인식하고 그대로 주행해야 한다. 하지만 현재는 AEB 시스템의 인식과정에서 문제점이 나타난다. 그래서 연구의 범위를 AEB 시스템에서 CCRs로 한정한 후, 이에 대하여 새로운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새로운 알고리즘은 머신러닝 기법 중 PCA(Principal Component Analysis)와 SVM(Support Vector Machine)을 이용한다. 마지막으로 새로운 알고리즘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하여 실험 데이터를 그대로 SVM과정을 거친 인식 정확도, 실험 데이터에 처리를 한 후 SVM과정을 거친 인식 정확도, 새로운 알고리즘인 실험 데이터에 처리를 한 후 PCA와 SVM과정을 거친 인식 정확도를 비교한다.

      • 해결중심 집단 상담이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 향상과 대인관계 개선에 미치는 효과

        윤보영 韓南大學校 敎育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해결중심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실시하고 이에 참여한 학생들의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 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해결중심 집단 상담은 아동들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킬 것인가? 둘째, 해결중심 집단 상담은 아동들의 대인관계를 향상시킬 것인가? 이러한 연구문제들에 제시한 효과들을 검증하기 위하여, 연구자가 근무하는 대전 S초등학교 5학년 학생 중 희망자 14명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각 7명씩 나눈 후 실험집단에 대하여 10회기의 해결중심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적용하였으며, 집단 상담 사전·사후의 학교적응도 검사를 실시한 결과를 가지고 t-test 를 하였고, p<.01, p<.05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지를 나타내는지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해결중심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 개선을 위하여 해결중심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연구에 투입한 선행연구들을 참조하여 본 연구의 대상에 알맞게 수정·보완하여 재구성하였으며, 집단상담은 매 회기 50분 내외로 하여 주 2회 총 10회기를 연속적으로 실시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과정을 거쳐 얻어진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해결중심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은 자아존중감 향상에 관한 사전-사후 검사의 비교에서, 사후 검사의 비교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t=2.35, p<.05). 둘째, 해결중심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 보다 대인관계 개선에 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t=2.77, p<.05). 이와 같은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결론을 내리면 다음과 같다. 해결중심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문제에 처한 아동이 스스로 자신의 문제를 인식하고, 문제 해결을 위한 목표 성취 행동을 조직·수행할 수 있다는 확신을 가지게 하여 아동에게 힘과 권한을 부여하였다. 또한, 문제보다는 긍정적이고 성공적인 면, 해결에 초점을 두고 변화 가능성을 강조함으로써, 자신에 대한 긍정적으로 태도를 가지게 하여, 자아존중감을 증진시키고 대인관계의 개선을 가져올 수 있었음을 알 수 있다. Objective of the research which it sees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t composes one solution focused group counselling program with the object and it executes. It examines an effect in self esteem and personnel relationship improvement of the students who participate to this program. It will reach it set two research problems. First, the solution focused group counselling will improves self esteem filling of the children. The second, solution focused group counselling will improve the personnel relationship of the children.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s which it presents in like this research problems, 14 people person who wishes in the electrification S elementary school 5 grade students where the researcher works test group and control group each 7 people after sharing, against test group to apply the solution focused group counselling program of 10 anniversary. The solution focused group counselling program which it uses from the research which it sees for the self esteem and a personnel relationship improvement of the students amendment - complemented properly in the object of the research which tries to refer to the preceding researches which commit a solution center group consultation program in research it re-composed, the group consultation did with every anniversary of death 50 minutes and it executed week 2 total 10 anniversary . With above it passes by a research process and it gets the result of position research. First, test group it applies a solution focused group counselling program the regarding a self esteem improvement - from comparison of the time after prosecuting attorney, the comparison of the time after prosecuting attorney was visible difference. Second, test group it participates to a solution center group counselling program control group it does not participate compared to regarding a personnel relationship improvement, it was visible a consideration difference statistically. With this result of research it hands down a conclusion with base and with it is same. Solution center group counselling program the aim accomplishing conduct a problem solving the child who is placed in problem recognizes the problem of oneself, for system - it will be able to accomplish a force and an authority in the child and to do to have a firm belief it gave. If also, problem compared to affirmative and successful, focus it will let in solution and it emphasizes a change possibility with, it will do to oneself and to have an attitude affirmatively, it will increase a self esteem and there is a possibility which it will bring the improvement of personnel relationship there is a possibility of knowing.

      • IP 망에서 액티브 패킷의 경로 설정 및 신뢰성 전송 방안에 관한 연구

        윤보영 이화여자대학교 과학기술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인터넷이 급격하게 확산되고 인터넷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늘어남에 따라서 네트워크에 대한 요구는 점점 복잡해지고 있다. 사용자의 망에 대한 요구 기능을 시기 적절하게 반영하고 네트워크에 유연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액티브 네트워크라는 새로운 네트워크 개념이 등장하였다. 액티브 네트워크란 라우터나 스위치가 프로그램 실행 능력을 가지고 있어서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있거나 중간 노드의 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하는 패킷을 처리하여 패킷에 다양하고 유동적인 처리를 행할 수 있는 환경을 가진 망을 말한다.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있는 액티브 패킷은 기존의 IP 패킷과는 달리 목적지가 아닌 중간의 액티브 라우터에서 실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하나의 프로그램을 수행하기 위한 액티브 패킷들이 같은 액티브 라우터를 경유해야함은 물론이고 모든 패킷들이 손실 없이 도착해야 정상적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액티브 패킷을 전송하기 전에 액티브 라우터의 주소를 찾기 위한 패킷을 보냄으로써 다음 경로를 정하는 경로 설정 기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수신자가 손실을 감지하여 송신자에게 재전송을 요구하도록 하는 신뢰성 전송 방식을 제시하고 이 두 가지 기법을 이용하여 액티브 패킷 의 경로 설정과 신뢰성 전송을 보장하는 액티브 엔진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액티브 엔진을 모델링하여 성능을 평가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는 액티브 엔진이 경로 설정과 신뢰성 전송의 기능을 제공함에도 불구하고 전체 패킷 전송 시간이 길지 않고 처리율도 크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또한 네트워크 내에서 액티브 라우터의 개수가 증가할수록 지연이 짧아짐을 보여주었다. Active Networks are a novel approach to network architecture in which the switches of the network perform customized computations on the messages flowing through them. Active Networks, unlike the traditional networks are not a just passive carrier of bits but provide the capability for the user to inject customized programs into the networks. Active packets for one program should pass the same active nodes without any loss of packets so that the active nodes would interpret these programs and perform desired operation. In this research, the routing scheme is proposed that active packets for performing one program pass the same active nodes. Before transmitting a flow of active packets, a control packet is forwarded to the destination in order to find the intermediate active nodes. When the first active node receives the control packet and returns its own address to a sender, the sender starts to transmit active packets. This scheme is suitable for this network environment that the nodes have no information about the intermediate active nodes. The scheme for the reliable transmission of active packets is also proposed. The sequence number is assigned to every active packet. If a receiver detects the loss of active packet checking the sequence number, a receiver requests the retransmission of the lost packet to the previous active node. This local error recovery mechanism reduces the latency of recovery. The active engine is proposed to provide a routing scheme and a reliable transmission scheme. The simulation of the proposed active engine is performed.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active engine has the low latency and the high perform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