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도시 스프롤 지수와 중심도시와의 네트워크를 통한 전국 대도시권의 확산 패턴 분석

        윤국빈,우명제 한국지역개발학회 2018 한국지역개발학회 학술대회 Vol.2018 No.11

        우리나라는 경제 성장과 더불어 도시의 성장도 함께 이루어져 왔다. 이 과정에서 일부 도시는 대도시로 성장하였고, 이들 대도시로의 인구 및 산업 등의 집중도 나타났다. 대도시는 이러한 집중 현상을 감당하기 어려워졌고, 우리 생활에 있어서도 도시 내 혼잡 증대, 외부 불경제 등이 나타남에 따라 인구가 도시의 외곽으로 이동되는 역도시화 현상도 발생하게 되었다. 서울이 이러한 과정을 겪게 되면서, 대도시 내 규제 정책 등이 나타나기 시작했고, 이는 지방 대도시의 정책에도 반영되기 시작했다. 특히, 지방 대도시는 제조업 기반의 산업구조이나, 대도시 내 규제 정책에 따라 기존의 제조업 시설들이 도시 외곽으로 이동하게 되어, 산업의 역도시화 현상이 발생하게 되었다. 즉, 수도권과 지방은 각각 인구와 산업이라는 측면에서 역도시화 현상을 경험하면서 대도시권화와 네트워크 증대라는 필연적 결과를 얻게 되었다. 그러나 대도시권 내에서도 광역행정 부재, 광역 기반시설 부족, 외부불경제 등의 부정적 영향이 나타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구의 확산과 토지이용의 증대, 도시 네트워크의 광역화라는 세 가지의 측면을 반영하여 전국 대도시권의 확산 패턴을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시간적 범위는 2010년부터 2015년, 공간적 범위는 국가교통DB에서 제공하는 읍 · 면 · 동 단위의 광역도시권으로 설정으로 한다. 본 연구의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 및 토지 자료를 통한 스프롤 지수와 대도시와의 네트워크에 따른 통행량 비중 등을 통해 각 광역대도시권별 군집분석을 실시한다. 둘째, 도출된 각 광역대도시권의 군집별로 속성별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사회적, 경제적, 물리적 등의 지표를 T-검정으로 식별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각 대도시권의 확산 형태와 패턴을 규명하며, 각 광역대도시권의 상황에 따른 광역적 차원의 관리방안 수립에 정책적 시사점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대도시와의 상호작용이 교외도시 성장 및 쇠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전국 5대 광역대도시권을 중심으로

        윤국빈 ( Yoon Gukbin ),우명제 ( Woo Myungje ) 한국지역개발학회 2019 韓國地域開發學會誌 Vol.31 No.1

        Interactions of suburban cities with a central city as well as their proximity to the central city may have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their growth or decline. However, existing studies have focused on local factors to examine urban growth or decline without full considerations of interactions with their central cities. This paper aims to estimate the effects of the interactions between central city and suburban cities on the growth or decline of suburban cities using a simultaneous equations model for the five largest metropolitan regions. Three models for population, employment, and GRDP are specified with interaction variables, measured by travel O/D data between central cities and suburban cities, as exogenous variables. The results show that the interaction patterns and their effects are different between the capital region and other regions. For example, while the commuting from suburban cities to a central city is negative to population growth of suburban cities, positive in the capital region. The results imply that such interactions as well as local factors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for developing urban regeneration policies for suburban cities at the regional level.

      • KCI우수등재

        일제강점기 조선시가지계획령에 고시된 부산 소재 도시공원의 변천

        김영하,윤국빈,강영조,Kim, Yeong-Ha,Yoon, Guk-Bin,Kang, Young-Jo 한국조경학회 2017 韓國造景學會誌 Vol.45 No.1

        본 연구는 일제강점기에 계획된 부산 도시공원 32개소를 대상으로 도시의 성장과 발전에 따른 공원의 변화과정을 고찰했다. 특히, 도시공원의 변화과정을 도시계획적 관점에서 검토하기 위해 부산시에서 편찬된 도시계획사 관련 서적, 부산시보 고시공고, 도시공원 유원지 녹지현황 내부 자료, 결재문서 등을 조사 분석했다. 그 결과, 일제강점기 일본 거류지역 일본인에 의해 조성된 대정공원, 고관공원, 용두산공원은 시가지 공원계획 이전부터 공원으로 이용되었으며, 이러한 공원을 포함한 1944년 법적으로 명시한 32개소의 공원은 방재기능을 고려하여 계획되었다. 해방이후, 한국전쟁의 혼란한 시기와 도시계획 재정비로 인해 공원부지는 무허가 건축물 난립, 주택건설, 상업지, 공공청사 및 학교 건립 등으로 이용되었으며, 그에 반해 도심지에 위치한 도로공원과 대부분의 소공원은 폐지되었다. 하지만, 그린부산 정책과 더불어 일제강점기 당시 도심 외곽에 계획된 미집행 공원은 도시 성장으로 도심지에 위치한 주요 공원으로 자리 잡아, 쾌적한 도시형성을 위한 공원사업으로 연지공원, 양정공원, 당곡공원이 조성되고 있다. 이렇게 일제강점기에 계획된 32개소의 공원은 부산 도시형성 과정의 시대상을 반영하여 폐지 또는 조성되었다. 폐지된 공원은 개발압력에 토지매입 효율성이 낮다고 판단된 공원이며, 조성되고 있는 공원은 개발이 용이하지 못했던 위치에 입지한 공원이다. 따라서, 공원이 사회공통자본으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공원 부지의 토지매입 여건에 대한 충분한 검토가 필요한 것으로 밝혀졌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rocess of change of 32 urban parks designated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 according to growth and development of the city in Busan. Particularly, researching included analyizing books, notification, data, and documents relevant to the history of urban planning published by Busan city. As a result, Daejeong Park, Gokwan Park, and Yongdusan Park had been utilized by Japanese residents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 before planning of urban parks, and 32 parks legally specified in 1944 were planned by considering the prevention against disasters. After emancipation, there were an unauthorized building, housing construction, business district, public office, and school facility in the sites of the parks due to the influence of the Korean War and reorganization of urban planning. The majority of parkways and small parks downtown were eliminated. However, unexecuted parks that the government had designed on the edge of tow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have become major parks downtown through the city's growth. Yeonji Park, Yangjeong Park, and Danggok Park have been being building as a business of parks for a comfortable city, forming downtown along with the Green-Busan Policy. Thus, 32 parks designated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 have made or got out of use reflecting on the phases of the times of modern Korean society. It turns out that these parks need an investigation about condition for land possession and purchase of the site of the parks in order for social common capit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