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학교 1학년 국어교과서 현대소설 단원의 성차별적 내용에 관한 연구

        윤경미 서울시립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의 목적은 현대소설 단원에 나타나는 성차별적 요인을 분석하여 그 결과를 바탕으로 학생들이 국어교육을 통해 양성평등 의식을 형성하도록 이바지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우선 현행 중학교 1학년 국어 교과서의 현대소설 분야에서 양성평등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분석하였다. 2장에서는 양성평등의 이론적 배경과 양성평등의 개념과 목적에 대해 살펴보았다. 덧붙여 교육에서의 양성평등의 정책변화도 함께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중학교 1학년 국어 교과서에서 현대소설 단원의 성차별적 내용을 분석하였다. 작가, 소설 속 인물에 대한 탐구, 주제, 성차별적 언어, 삽화에서의 여성의 희소성의 항목으로 나누어 검토하였다. 특히, 소설 속 인물에 대한 탐구는 성별, 직업, 성격, 비중의 항목으로 세분하여 검토하였다. 중학교 1학년 국어교과서에 수록된 현대소설의 작가는 30명인데 이중 남성 작가가 21명이었다. 작가의 남성편중이 결국 소설 속 인물이 남성 중심적인 경우가 대부분이고 성차별의 양상으로 나타났다. 인물들의 직업에서는 학생이 가장 많았다. 교과서를 배우는 사람이 학생이어서 그렇다고 할 수 있다. 학생을 제외한 직업을 살펴보면 남성은 상인, 경찰, 교사, 농부, 회사원 등 다양한 직종에 종사하는 반면, 여성은 가정주부이거나 직장인, 또는 직업을 알 수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여성에 대한 직업적 차별이 여전히 존재하는 현실을 고려한다면 성에 따른 직업의 차이를 소설에서도 볼 수 있는 것은 학생들에게 직업에 대한 성차별 의식과 편견을 갖게 한다. 인물들의 성격을 살펴보면, 여자의 성격과 태도는 한두 작품을 제외하고는 감정적, 정서적이고 희생적이며 참고 견디고 인내하는 소극적인 성격으로 묘사되는 반면, 남성은 이성적, 합리적이고 적극적이며 모험적이고, 문제 해결적인 태도를 갖는 것으로 묘사되고 있다. 등장인물들의 비중에서도 직업에서 드러난 것처럼 여성은 남성의 보조역할을 하거나 여성이 아예 등장하지 않는 경우도 많다. 여성이 남성과 대등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경우는 거의 없고 남성이 대부분 사건을 해결하고 주제를 이끌어 가고 있다. 주제 면에서도 남성이 주인공인 경우는 개인적인 ‘순수한 사랑의 감정’부터 ‘민족의 수난을 함께 극복해 나가는 의지’를 가진 사회적 차원으로 다양하고 폭넓게 제시하고 있다. 여성이 주인공인 경우는 지극히 개인적인 감정에 머물러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언어에서도 여성에게만 강조되는 덕목이 자주 등장하였고, 교사라고 하면 당연히 남자이고 여자가 교사인 경우는 여교사로 표현되었다. 삽화는 293장면의 삽화에서 남성만 등장하는 삽화가 148장면이었다. 여성만 등장하는 삽화는 27장면이었고, 남녀 모두가 등장하는 삽화가 118장면이었다. 남성만 등장하는 삽화의 장면이 50%가 넘는다. 이는 등장인물의 비율과도 연계된다고 할 수 있다. 남성 작가 위주의 남성인물 중심의 소설이 교과서에 많이 실린 결과이다. 이를 바로잡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이상의 중학교 1학년 국어교과서의 현대소설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현대소설에서의 뚜렷한 성차별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양성 평등한 국어교육을 위해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교과서를 집필할 때 국내외 여성 작가의 작품을 적극 발굴하여 교과서에 실을 필요가 있다. 여성 작가의 작품이 남성 작가의 작품보다 여성 주인공의 등장인물이 더 많고 여성에 대한 다양한 모습을 묘사한 작품이 많을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둘째, 성역할의 고정관념 탈피를 위한 작품을 찾아내야 한다. 현 교과서에 실려 있는 작품들은 현대소설이라 해도 근대화 초기 또는 여성의 직업이나 사회적 지위가 오늘날과는 상당히 거리가 있어 보이는 작품들의 비중이 높다. 여성의 지위가 과거보다는 높아졌으나 여전히 현실적 장벽이 존재하는 것을 보여주는 작품이나 또는 여성이 현실적 장벽에도 불구하고 그것을 이겨내고자 노력하는 모습을 담은 작품들을 찾아야 한다. 학생들이 공감할 수 있는 작품들을 교과서에 좀 더 많이 실어야 한다. 현시대를 반영하는 작품들을 좀 더 많이 실어야 한다. 셋째, 교사의 역할을 좀 더 강화해야 한다. 학생들에게 가장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람이 교사인데 교사들의 인식개선이 우선적이다. 지속적인 인식개선 교육과 함께 학교현장에서의 교사들 간에도 양성 평등한 의식이 자리 잡아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imed to contribute to this by analyzing the factors that appear in the contemporary novel form the students based on the results of gender equality awareness through the Korean education. Chapter 2 discussed the concept and purpose of gender equality, theoretical background. In addition, also it looked at changes in the policy of gender equality in eduction. Chapter 3 in 1st grader’s Korean textbook in middle school analyzed the gender discrimination of contemporary novel section. The review was divided into Author, the quest for the fictional character, themes, sexist language, the scarcity of women in the illustrations. In particular, the quest for the fictional character was reviewed by subdivided by gender, occupation, personality, and importance. Writers of contemporary novel contained in the 1st grader’s Korean textbook in middle school were 30. Male writer was 21. Male bias of the writer eventually fictional character is male -dominated and appeared as if most aspects of gender discrimination. The most common occupation of the fictional character is student. The reason is because most people learn the textbooks students. Look at the job, except for students, while the men engaged various occupation such as traders, police, teachers, farmers, office workers, but women were in most cases housewives or office workers or jobless. Having a occupational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can still be seen in the difference between the job by sex, considering the present reality and modern novel have the students awareness of gender discrimination in the job. Looking at the nature of the character, women are described emotionally, sacrificial, endured and patiently personality, but men are described having a rational, reasonable, active, adventurous and problem solving attitude. As revealed in the profession in the proportion of female character in many cases does the secondary role of a male or female does not appear at all. Women seldom occupy a comparable position as men. Men are going to lead the subject to resolving most cases. Men′s main character have presented widely trivial emotions from diverse social dimension with willingness to overcome out with the suffering of the nation at the subjects. In most cases, women′s main character are stuck in very personal feelings. In linguistic terms only female virtues were often appears to be emphasized. Naturally speaking of teachers say man, woman teacher was always represented by female teacher. Illustrations 293 illustrations of scenes from the men only had scenes featuring 148 illustrations. Only women illustrations are 27 featuring, 118 was illustrated scenes that appeared in both genders. The scene of the episode in the novel that only men appeared more than 50%. This can also be said to be linked to the ratio of the characters. This is a result of the central male character of a male writers novels published in many textbook. The effort to correct it is necessary. Through the above analysis of the modern novel, first grader’s Korean textbook was found a clear pattern of gender discrimination in the contemporary novel.

      • 거문고 독주곡 [출강] 연구

        윤경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1964년 김용실이 작곡한 북한의 거문고 독주곡 <出鋼>의 음악구조를 분석하고 그 작품에 내재된 새로운 주법을 밝히고자 함이 목적이다. 연구방법은 먼저 단악장으로 되어 있는 <출강>의 전체적 구조를 속도, 박자, 조의 변화에 따라 제A부분, 제B부분, 제A' 부분으로 나누고 각 부분별로 형식, 리듬, 음계, 선율형태 및 구조를 분석하고 곡 전체에 나타나는 주법을 정리하여 연구 하였다. 제A부분은 a + b + c +d +a’ 로 이루어졌으며, 속도♩=144, (4)/(4)박자이다. 리듬은 拍節的인 리듬을 반복하면서 장단의 역할을 하고 있다. 음계는 C를 주음으로 하는 C , D , E^(♭), F , G , B^(♭),의 6음 음계이다. 선율 진행 및 구조에 있어서는 선율이 고음역에서 이루어지며 상행진행과 반복법이 사용되었다. 선율의 구성음과 음들의 기능으로 보아 육자백이 토리와 유사한 점이 나타나며, 변청(제32마디-제40마디)되는 특징과 메나리 토리의 선율(제41마디-제48마디)이 삽입되어 나타나고 있다. 제B부분 e + f + coda 로 이루어졌으며, 속도 ♩.=92, (12)/(8) 박자이다. 리듬은 전통적인 3 박자계의 리듬을 반복하고 있으며 음계는 D음을 주음으로 하는 D, E, G, A, B, C의 6음 음계이다. 선율형태 및 구조에 있어서는 반복법, 확대 및 축소, 변형이 사용되었다. 제A’부분은 a’ +b’ +c’ +d’ +a” + coda 로 이루어졌으며 리듬, 음계, 선율형태 및 구조가 제A부분으로 환원되고 있다. coda부분의 리듬은 32분음표의 빠른 진행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으며 선율형태 및 구조는 ‘스르렁 주법’의 다양한 활용으로 종지하고 있다. 전반적으로 <출강>은 제A, A’ 부분의 拍節的인 리듬형태가 사용되면서 고음역의 상행선율을 반복하는 動的인 선율과 제B부분의 전통적인 리듬의 서정적인 선율은 북한음악의 격정적인 서정성이 잘 나타난 곡이라 하겠다. This thesis has the purpose to analyze the musical structure of “Chulgang” composed in 1964 by Yong Sil Kim, North Korean musician and to examine the new rendition technique in his work. First, I classified the whole structure of “Chulgang” which is composed of one movement into Part A, Part B and Part A’ according to the Variation of tempo, rhythm, and Key and studied the form, rhythm, scale, melody type, structure and rendition of whole movement. Part A is composed of a + b + c + d + a and has the tempo ♩=144, (4)/(4) measure. It repeats metronymic rhythm and performed the beat. The scale is six-noded with C, D, E^(♭), F, G, B^(♭). The major notes of part A are C. Considering melody and structure, this part is performed at high register and used upward progress and repeating method and has the variation of center tone (tune 32 ~ tune 40) and shows the melody of MENARI mode between tune 41 and tune 48. Part B is composed of e + f + Coda and has the tempo ♩. = 92, (12)/(8). The rhythm repeats the traditional 3-beat system and used the scale is six-note, D, E, G, A, B, C with D as a major note. Repeating method, enlarging and reduction, transformation are used in melody type and structure. Finally, part A’ is consist of a’ + b’ + c’ + d’ + a” + Coda and revived the rhythm, the scale, the melody type and the structure into the part A. Rapid progress of thirty-second note is outstanding the rhythm of Coda and this part terminates by using “SEUREURUNG rendition” in melody and structure. Overall, “Chulgang” shows the dynamic melody using metronymic rhythm and repeating upward progress and high-register in part A an A’ and has the characteristic showing the strong emotion and delineative feeling of North Korean music.

      • 지문을 통한 촉각의 시각화

        윤경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We do not merely see an object through our eyes, but we also communicate with images in relation to other senses such as hearing, smell, taste, and touch. Up to now, however, we have admitted the priority of vision, and in particular, fine art is totally dependent on vision, unlike other artistic fields. Today, it is necessary to include the sense of touch as visual media including television and computers have appeared, but study on the tactual sense is very poor in the field of art. This thesis is to prepare an opportunity to study expression methods for activating “tactual sense” along with “vision.” This study focused on the possibility of the tactual sense experience through vision to be developed as a new trial of art by moving out of the optical boundary in paintings based on an interaction between vision and tactual sen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lies in acquiring a tactual sense experience through vision in paintings by actually producing works while studying the “possibility of visual expression with a vehicle of tactual sense in paintings.” This study mentions the theoretical background in Chapter Ⅱ and the development of visual expression of the tactual sense in Chapter Ⅲ. In Chapter Ⅱ, the study revealed the importance of sensual experience in artistic cognition and focused on tactual sense experience through vision theoretically based on researches by Gilles Deleuze, an aesthetic materialist specialized in synthesis among the senses, and Maurice Merleau-Ponty, a phenomenologist. It was found through theoretical research that the tactual sense experience in paintings can be made possible in an indirect form when identified visual expressive factors that may deliver tactual sense experience are applied to paintings. After all, the tactual sense experience is the experience of the eye, that is, a visual experience. Therefore, this study furnished an opportunity to understand diverse expression techniques for visualizing the tactual sense by introducing plane works by Robert Maurice, Cheon Gwang-Yeop, and Hong Sun-Ju, and analyzing how they developed their works and with which intentions and techniques In Chapter Ⅲ, the study reviewed the procedure of developing my works. I created works with ink shading and the repetition and reiteration of points and lines by analyzing the nature of fingerprints as a material for works, expanding fingerprints by using paper, brush, and ink that make people experience the feel of materials instead of simply making descriptions, and introducing the formative order of fingerprints that allow people to feel the tactual sense. I treated fingerprints as a material for work in that fingerprints represent the sense of touch best as a part of the hand that touches and contacts an object actively, and they allow us to obtain the sensitivity of tactual sense through organic order such as the changes of the rhythm of points and lines and repetitiveness, which are found in the shape of fingerprints. The repetition and reiteration of points and lines that expressed fingerprints formed a “distance with tactual sense” between our eyes and the work. The work gradually becomes extended and flexible, and the work is focused on the innate nature of fingerprints. Also, the study reviewed how traditional paper and Indian ink materials contribute to the pursuit of the visualization of tactual sense, and the work was prepared by using this feature. The feature of tactual sense that traditional paper has and the change of the shading of ink appearing on the traditional paper can deliver a much greater tactual sense to us. Furthermore, the use of ink that is available for Balmuk(a spread technique of painting in Indian ink) allows us to feel the touch of hands as it expresses a soft texture. Subsequently, it was shown that a tactual sense may be experienced through vision in paintings with these expression techniques by using materials that deliver the sensitivity of the tactual sense and expressing visual factors that enable us to feel a tactual sense. Finally, this study mentioned from how I first became interested in the tactual sense to an analysis on my personal individual works. I expect that this study will awaken dormant sensitivity by exchanges of tactual sense, which is a physical sense for paintings reliant on vision, and open up the possibility to new expressions of art. 다른 예술의 분야와는 달리 미술은 그 전달방식이 거의 전적으로 시각에 의존되어진다. 그러나 우리는 눈을 통해 단순히 대상을 보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시각을 통해 청각, 후각, 미각, 촉각 등 감각들 간의 관계 속에서 이미지와 소통을 이룬다. 일상생활에서 우리는 자연스럽게 눈을 통해 시각과 촉각을 동시에 인지하고 있다. 우리는 차가운 물이나 타는 듯한 빨강을 본다고 말할 때, 우리의 지각이 시각과 촉각 경험들의 융합 속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여기서 미술은 ‘촉각’을 매개로 하는가에 대해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자는 ‘회화에서는 촉각적 경험을 할 수 있는 것인가’, ‘만지거나 접촉하는 등의 직접적인 촉각을 경험하기 힘든 평면의 그림에서 촉각적 경험이 가능한 가’를 고찰해보고 촉각을 느끼게 하는 시각적인 표현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Ⅱ장 이론적 배경에서는 예술적 인식에서 감각적 경험의 중요성을 밝히고 감각들 간의 공감각성에 대한 유물론적 미학자 질 들뢰즈와 현상학자 모리스 메를로-퐁티의 연구를 근거하여 시각을 통한 촉각 경험에 대해 연구한다. 그리고 촉각을 시각화하는 몇몇 작가들의 평면 작품을 소개하여, 그들이 어떤 의도와 방식으로 작품을 전개해 나가는지 분석해봄으로서 본 연구의 의미를 다시 한 번 생각해보는 기회를 갖는다. 이를 통해 Ⅲ장에서는 본인의 작품 전개하는 과정에 대해 고찰한다. 본인은 능동적으로 대상을 만지고 접촉하는 손의 일부이며 접촉의 감각을 가장 잘 대변하고 있는 지문을 작품의 소재로 다루었다. 지문의 형상에서 찾아볼 수 있는 점과 선의 리듬의 변화, 반복성 등 유기적 질서를 통해 촉각적 감성을 얻을 수 있는지를 연구하였다. 그리고 한지와 수묵 재료가 촉각의 시각화를 꾀하는 데 어떤 도움을 주는지에 대해 살펴보고 이를 응용하여 작품을 제작하였다. 한지 위에서 생기는 먹의 농담 변화가 우리에게 훨씬 촉각적인 감성을 전달할 수 있고, 지문을 확대하여 점, 선의 반복과 중첩을 통해 파묵의 매끄럽지 않은 선과 부드러운 발묵으로 질감을 표현하여 촉각을 시각화(視覺化)하였다. 마지막으로 본인 작품을 촉각에 대한 관심을 갖게 된 작품부터 시작하여 개별적인 작품 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를 통해 시각에 의존하는 그림을 ‘촉각’이라는 신체 감각과의 교류에 의해 잠들어 있는 감성을 깨우고, 예술의 새로운 표현 가능성을 열어주는 것이기를 기대한다.

      • 軍談小說에 나타난 '苦難克復過程' 硏究 : <趙雄傳> <劉忠烈傳>을 中心으로

        윤경미 水原大學校 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필자는 군담소설에 대한 具體的이고 分析的인 檢討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하고, 군담소설이 構造的인 側面에서 갖는 여러 가지 사실에 흥미를 가지고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다. 무엇보다 다른 소설에 비해 고난 극복 과정이 잘 드러나는 것에 더욱 큰 관심을 갖고, 군담소설에서 보이는‘고난극복과정’을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특히 창작 군담 소설로 창작 당시 큰 인기를 끌었던 것으로 보이는 <趙雄傳>과 <劉忠烈傳>에서 보이는 고난 극복 과정의 양상을 검토해 보고, 그 의미를 찾는데 중점을 두었다. 우선 <조웅전>과 <유충렬전>의 내용을 분석하고 성격별로 공통된 요소를 분류하며, 주인공뿐만 아니라 주인공 측 인물들의 고난 극복 과정에도 초점을 맞추어 논의를 전개했다. 먼저 성격별로 고난의 양상을 살펴본 결과 이별, 방해자의 등장, 방랑이라는 점에서 공통적인 요소를 찾을 수 있었다. 고난 극복 과정의 양상은 인물과 사건으로 각각 나누어 살펴보았는데, 두 소설에 공통적으로 과거에 주인공으로부터 은혜를 입은 사람ㆍ노인ㆍ도사가 고난극복에 도움을 준 인물로 등장하며, 꿈ㆍ칼ㆍ편지 약동물 신적 예감ㆍ영웅적 능력이 고난 극복에 큰 역할을 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물론 <조웅전>과 <유충렬전>은 세부적이 면에서는 적지 않은 차이를 보이기도 한다. 그러나 군담소설로써, 우선 두 작품 모두 조선조 인기 있던 작품이라는 점에서 공통점을 찾을 수 있고, 특히 여러 가지 고난 상황이나 극복 과정에서 여러 가지 공통점을 찾을 수 있다. 두 작품 모두 간신의 탄압으로 인한 정치적 박해로, 주인공측을 충신으로 표방하고 이와 맞서는 세력을 간신으로 설정하여, 간신의 모함에 의한 실세와 몰락을 고난 상황으로 서술하고 있다. 또한 결국에는 여러 인물과의 사건이 연계되어 실세를 회복해 가는데 초점을 맞추어 내용을 전개하고 있다. 이 같은 작품의 양상은 조선조의 당쟁으로 인한 권력다툼과 상통되는 점으로 볼 수 있다. 결국 정치적 현실이 작품에 간접적으로 투영되었으리라고 본다. 즉 평민이 되었던 권력층이 전대의 영화와 부귀를 동경했을 것이고 현실적으로 권력 회복의 어려움을 알고 하나의 꿈으로나마 소설에 투영시켜 정계에 재진출을 성취하려 했던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그러므로 군담소설의 작자층은 선대에서나 당대에서 권력층의 횡포에 원한이 맺히고 울분이 쌓였던 인물이라고 추정할 수 있다. 독자층 역시 현실적인 권력구조에 불만을 품었던 사람들이었을 것이다. 현실에 주어진 고난이 조금이나마 극복될 수 있도록, 독자층은 이런 작품을 통해 위안을 얻고 희망을 가졌으리라고 본다. 이런 고난 극복 과정은 작자층이나 독자층 모두에게 현실의 활력소가 되었을 것이고 허구로써나마 성취감을 맛보게 했을 것이다. 그러나 주인공의 활약과 실세한 인물의 복권과정은 현실과는 거리가 멀어 보인다. 국가의 위기적 전란에 주인공의 활약은 대개가 초자연적이며 도술적인 능력을 바탕으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초능력을 발휘해서 고난을 극복해 간다는 이야기는 비현실적이라는 요소로 작용해서, 실제 삶에 있어서는 고난을 극복해 가는데 별다른 도움을 주지 못했을 것이다. 그런 점에서는 한계를 보여 준다. 누구나 살아가는데 고난은 닥치기 마련이다. 그리고 고난은 언젠가는 극복해야 하는 일이다. 그래서 고난 극복 과정을 주제로 다루는 일은 참으로 의미 있는 일이라 하겠다. 이들 작품을 통해 이것이 읽혀지던 시대에 살던 독자들의 고난을 이해하고, 오늘날 우리에게 닥친 고난은 무엇인지, 그리고 어떻게 해결해 가야 하는지 생각해 보는 시간을 가질 수 있으리라 여겨진다. 미흡하나마 필자가 연구한 두 작품을 통해 다시 한 번 자신을 돌아보는 계기가 마련되었으면 한다. I started to study specific and analyzable examination on Kundam novel (that means relating to war) and I was interested in various fact in real situation of Kundam novel. First of all, I was really interested in the process of overcoming sufferings, comparing with other novels and I intended to study 'the process of overcoming sufferings' in Kundam novel. Especially, which heightened its popularity in releasing them examined the aspect of the process of overcoming sufferings and also focused on the real meaning of it. At first, I analysed the contents of 'Chowoongjun' and 'Yuchungyuljun' and classified common elements by characters and develop argument focusing on not only the process of overcoming sufferings a hero but also those of characters around hero. After resulting in the process of overcoming sufferings by characters, farewell, the obstructor's appearance and common elements in a wandering aspect. The aspects of the process of overcoming sufferings was divided with two, characters and a happening. They are Dosa (a spiritual guide in Buddhism), seniors and those who received benefits from a hero. And also dream, knife, letter, medicine, animals, spiritual presentiment and heroic ability they had an important and outstanding part to overcome sufferings. In 'Chowoongjun' and 'Yuchungyuljun' there was a few differences in detail aspects. However, as a Kundam novel, there were common points regarding on bestseller in the Chosun period. Particularly, we can find out a variety of common points to overcome sufferings. Two works consists of political persecution resulting from 'Kanshinr(a treacherous subject) pressure, setting up characters as a loyal retainer and 'Kanshinr(a treacherous subject), those who oppose to them. It describes the sufferings conditions and collapse by Kanshin's false incrimination. Finally, the contents concentrated on restoration of real power and developed it connecting with various characters and events. We can prospect this work was in accord with a power struggle which resulted in faction in Chosun period. It reflected the real political situation indirectly. The upper class that consists of common people want to anticipate wealth and prosperity and they hope to realize this dream to reflect this novel. This is another method to realize their dream come true. The author of Kundam novel would be person who had struggled authority oppression and also readership of the novel would express their disapproval of realistic power structure. To overcome suffering in real situation, the reader could have consolation and expectation though this novel. The authors and reader can have a vitamin of realities of life through the process of overcoming sufferings and experience their accomplishment through a fiction novel. It seems that hero's activity and the process of restoration of civil right are far from our real life. The hero's activity was based on the ability of supernatural and magical arts to cope with the threat of war. This kind of novel would be sort of impractical elements from this point of overcoming sufferings. There was a little support to overcome sufferings in real life and we can see limitation of this novel. Everyone muddles through the bitter of life. We have to get over all hardships someday. I was really fascinated with selecting 'overcoming sufferings' as a topic of the novel. We can understand and realize their age and the process of overcoming suffering through this novel at that time. We can think about our hardship which faces with us and solution to overcome it through the novel. I'll do the work to the best of my ability to study and I hope two novels will be a best method to retrospect our life once again.

      • 보육교사의 정서성, 건강상태 및 조직 건강성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윤경미 충북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This study reviewed the burnout experienced by 376 child-care teachers working at child-care centers located in the three cities of Cheonan, Cheongju and Sejong, and analyzed how the emotionality, health status and organizational health affects such burnout. The subjects were also analyzed for a comparison amongst themselves based on the criterion of whether they received financial support from the government. The results were analyzed using SPSS 18.0.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differences across groups in major variables in accordance with general backgrounds of all child-care teachers showed a difference in positive and negative affectivity depending on job experience, monthly salary and marital status. Physical health showed a difference depending on age, job experience, monthly salary, work hours and marital status, while mental health showed a difference depending on age and job experience.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climate differed across job experience and number of teachers. Burnout differed across job experience, marital status, work hours and number of teachers. Second, an analysis on child-care teachers in accordance with whether they received governmental financial support or not, differences were large in major variables. In child-care teachers working at centers not receiving financial support, there was a difference in positive affectivity across age, job experience, monthly salary and marital status, while negative affectivity differed across age, job experience and monthly salary. Physical health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age and job experience, while mental health showed a difference across job experience levels. Organizational climate and burnout differed across job experience. In child-care teachers working at child-care centers that do not receive governmental financial support, positive affectivity showed difference across job experience, work hours and marital status while mental health differed across age.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climate and burnout differed across different number of teachers employed at the center. Third, the factors significantly affecting the burnout of overall child-care teachers were identified as monthly salary, work hours, number of teachers, positive affectivity, negative affectivity, physical health, mental health and organizational climate. Fourth, an analysis of child-care teachers working at centers receiving governmental financial support and those working at centers not receiving governmental financial support showed that factors that affect burnout differed across these two groups. Child-care centers working at child-care centers that do not receive government support saw a significant effect by monthly salary, work hours, negative affectivity, physical health and the leadership of the president of the center. For child-care teachers working at child-care centers that do receive government support, age, job experience, work hours, marital status, number of teachers at the center, physical health, mental health and organizational climate were proven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presents measures to reduce and prevent the burnout of child-care teachers. The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d a basic set of data for establishing a tailored measure for each type of child-care centers depending on whether they receive governmental financial support. Key words: child-care teacher, emotionality, health status, organizational health, burnout

      • 협상 준비 활동 구성에 따른 고등학생의 협상 수행 양상 연구

        윤경미 한남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oday’s diversifying society, problems arise frequently due to conflicts of various interests, and as a member of society, human beings have no choice but to find ways to resolve them. The ability to negotiate is important in modern society to resolve any conflicts we might encounter. Despite the importance of negotiation education, however, not much research has been conducted in this field. Even though teachers show interest in the negotiation discourse, there is a tremendous lack of materials for negotiation discourse or task compositions for field teachers. For this reason, the negotiation class has to rely on textbooks and it is often difficult to reconstruct classroom activities based on the level of the learners or the situation of the classes. In particular, many studies have suggested that the necessity of the negotiation preparation stage be recognized through the teaching/learning model and be included in the stages of teaching activity. However, studies that specifically implement the contents of the learning activities required for the negotiation preparation stage are insufficient. The negotiation unit of the textbooks do present enough activities that recognize the procedure and importance of negotiation, but it is rare that the negotiation preparation stage was specified and presented so that the learner could be immersed in the negotiation. In this study, we analyzed how learners perform negotiations by organizing teaching activities for the ‘negotiation preparation stage’ after reconstructing the negotiation unit in the textbooks and putting these activities into authentic classroom instruction. We aim to confirm the effects of subdividing and presenting the ‘negotiation preparation activities’ on the improvement of leaners’ negotiation skills and specify the contents of the negotiation preparation activities. To this end, a study on the contents of Korean language course negotiations and a study on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strategies of the Korean language course were examined as theoretical backgrounds. The contents of negotiation education presented in the Korean language course and the textbooks were thoroughly reviewed focusing on “pre-negotiation activities” in the negotiation section of the Korean language textbook for the first year of high school. Based on these prior studies, curriculum and textbook analysis, a negotiation class model was designed and three classes of the first grade were selected to conduct negotiation activities. Questionnaires and testimonies from the learners were collected before and after the activities to analyze changes in learners’ attitudes towards negotiation. In the course of the class learner’s performance was recorded and transcribed for the analysi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omparison group and the experimental group depending on whether the agenda was presented in advance. Compared with the comparison group that was not presented the agenda in advance, the experimental group performed all the steps they need to express their basic position at the beginning of the negotiation with a relatively clear understanding of the agenda. In addition, it was revealed that negotiations proceeded well by utilizing the strategies that designed to present the agendas as a united form for they have better understanding of each other.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presenting the agenda in advance in the pre-negotiation activities can be a requirement for facilitating negotiation. Second, when the activities related to establishing the priorities in agenda were provided as a negotiation preparation activity,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meaningful pattern of negotiation. The learners of the experimental group started negotiation by making their position clear related to the priorities in the negotiation, and changed the mood of negotiation by inferring the priorities of each agenda of the other party. They finally came to an agreement using negotiation strategies such as ‘the search for mutual interests and common interests’, ‘mutual refutation of each other’s differences in position’, ‘persuasion to induce consent’, and ‘induction of agreement through concession.’ This suggests that the activity of identifying the priorities of the agenda in the negotiation preparation activity is quite meaningful. Third, we could find a meaningful result when activities related to setting target points and concessions were provided as negotiation preparation activities. The experimental group used the negotiation srategy to reach a compromise by repeating the process of confirming and revising the opponent’s goals and concessions, assessing the negotiable area, revising the proposal, and making proposals of combining other agendas. This shows that pre-negotiation activities for setting target points and concessions have a positive effect on learners’ negotiation performance. Fourth case was when activities related to preparing creative alternatives were provided as negotiation preparation activities. Most of the experimental group made creative alternatives, and applied them to the negotiation process to easily adjust the negotiation agenda. This has important implications that suggesting the activity to prepare creative alternatives in the pre-negotiation stage develops learner’s negotiation skill, if the comparison group suffered from difficulties in negotiating due to the fierce disagreement between the two sides. Alth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delivered, the topic of the negotiation itself was difficult for learners to follow and the fact that it was about the price exchange are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However, it is meaningful to implement the details and elements of specific activities in the preparation stage for negotiation and provide them to learners. We’ve found that providing specific activities in the preparation stage for negotiations positively affects the learner’s ability to perform negotiations and that makes this study meaningful. Through this study hopefully various negotiatio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based on learner’s actual negotiation performance patterns will be further studied. 다변화하는 현대 사회에서는 다양한 이익의 충돌로 인한 갈등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고,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인간은 갈등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을 찾을 수밖에 없다. 어떤 상황에서든 경험할 수밖에 없는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 현대 사회에서 협상 능력은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협상 교육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협상 교육에 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다. 또한 협상 담화에 대한 현장의 관심에도 불구하고 현장 교사를 위한 협상 담화자료나 과제 구성에 대한 자료가 턱없이 부족하다. 때문에 협상 단원 수업은 교과서에 의존할 수밖에 없어 학생의 수준이나 교실 내 상황에 따른 수업 활동 재구성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다. 특히 여러 연구에서 교수・학습 모형을 통해 협상 준비 단계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교육 활동 단계에 포함해야 함을 제시하고는 있으나, 협상 준비 단계에서 필요한 학습활동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구현한 연구는 아직까지 부족한 실정이다. 교과서 협상 단원의 경우에도 협상의 절차와 중요성을 인식하는 활동은 충분히 제시하고 있었지만, 학습자가 협상에 몰입할 수 있도록 협상 준비 단계를 구체화하여 제시한 경우는 드물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교과서의 협상 단원을 재구성하여 학습자에게 필요한 ‘협상 준비 단계’의 학습활동을 구성한 뒤, 이를 실제 교실 수업에 투입하여 고등학생의 협상 수행 양상을 분석함으로써 그 양상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협상 준비 단계’에서 협상 과제를 분석해 보는 활동을 세분화하여 제시하는 것이 학습자의 협상 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협상 준비 활동의 내용을 구체화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이론적 배경으로는 국어과 협상 교육 내용에 관한 연구와 국어과 협상 교수・학습 방법 및 전략에 관한 연구를 살펴보았다. 또한 국어과 교육과정의 협상 교육 내용과 고등학교 1학년 국어 교과서의 협상 단원에서 ‘협상 전 준비 활동’을 중심으로 단원의 구성을 검토하였다. 이러한 선행 연구와 교육과정, 교과서 분석을 바탕으로 협상 수업 모형을 설계하고 고등학교 1학년 세 개 학급을 선정하여 협상 수업을 실시하였다. 협상 전, 후로 설문지와 소감문을 작성하여 학습자의 협상에 대한 태도 변화를 분석하였다. 수업 과정에서 모둠별로 이루어진 협상 녹음 파일을 전사하여 협상 수행 양상을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로, 안건 제시 유무에 따른 양상을 바탕으로 비교집단과 실험집단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안건을 제시해 주지 않은 비교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실험 집단은 안건에 대한 비교적 명확한 이해를 바탕으로 협상 초반의 기본 입장을 밝히는 단계를 모두 무난히 수행하였으며 서로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안건을 묶어 제시하는 전략을 활용하며 수월하게 협상이 진행되는 양상을 드러내었다. 이를 통해 협상 전 활동에서 안건을 미리 제시해 주는 것이 협상의 수월성을 높이는 조건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로 안건의 우선순위 선정과 관련된 활동을 협상 준비 활동으로 제공한 경우 실험집단에서 유의미한 협상의 국면이 나타났다. 실험집단의 학습자는 협상 수행에서 우선순위와 관련된 입장을 밝히며 협상을 시작하였으며, 상대측의 안건별 우선순위를 추론하여 협상의 흐름을 조절하였다. 특히 ‘상대방 이익과 공동의 이익에 대한 탐색’. ‘서로의 입장 차이에 대한 상호 반박’, ‘동의를 유도하는 설득’, ‘양보를 통한 합의 유도’ 등의 협상 전략을 활용하며 협상의 흐름을 조절하고 합의에 도달하는 국면이 드러난 것은 협상 준비 활동에서 안건의 우선순위를 파악하는 활동이 상당히 의미 있음을 시사한다. 세 번째로 목표점과 양보점 설정과 관련된 활동을 협상 준비 활동으로 제공한 경우이다. 실험 집단은 상대와 자신의 목표점과 양보점을 확인하고 수정하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협상 가능 영역을 가늠하며 제안을 수정하고, 다른 안건과 묶어 제안하면서 타협점을 찾아가는 협상 전략을 사용하였다. 이는 목표점과 양보점 설정에 대한 협상 전 활동이 학습자의 협상 수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보여준다. 네 번째로 창의적 대안 마련과 관련된 활동을 협상 준비 활동으로 제공한 경우이다. 실험집단은 대부분 창의적 대안을 만들었으며, 협상의 조정 과정에 적용하여 협상 안건을 수월하게 조정하는 모습을 보여 주었다. 비교 집단이 양측의 극명한 의견 대립으로 협상이 조정되지 않아 어려움을 겪은 것과 비교한다면 협상 전 단계에서 창의적 대안 마련하기 활동을 제시하는 것이 학습자의 협상 수행의 수월성을 높인다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지만, 협상 과제가 학습자에게 어려운 과제였고 가격 교환 구조로 되어 있었던 점은 이 연구의 한계이다. 그러나 협상 준비 단계의 구체적인 활동의 내용과 요소를 구현하여 학습자에게 제공한 것은 의미가 있다. 또한 협상 준비 단계 활동을 구체적으로 제공하였을 때 학습자의 협상 수행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이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이 연구를 통해 학습자의 실제 협상 수행 양상을 바탕으로 한 다양한 협상 교수・학습 방안이 연구되길 기대한다.

      • 학습조직 구축요인이 구성원이 인식하는 조직의 혁신성에 미치는 영향

        윤경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know the effect of dimensions of learning organization on innovativeness that the members of organization recognize in organization. To do that, the general tendency toward the extent of dimensions of learning organization and innovativeness is investigated and an analysis that verifies the meditating causes of structural level in a relation between the people level within dimensions of learning organization and innovativeness is carri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ings. First, is it possible to predict the causes of the people level (create continuous learning opportunities, promote inquiry and dialogue, encourage collaboration and team learning, empower people toward a collective vision) and the causes of structural area (establish system to capture and share learning, connect the organization to its environment and provide strategic leadership for learning) within dimensions of learning organization ? Second, is the causes of the people level (create continuous learning opportunities, promote inquiry and dialogue, encourage collaboration and team learning, empower people toward a collective vision) within dimensions of learning organization able to predict the innovativeness that the members of organization recognize? Third, does the causes of the structure level (establish system to capture and share learning, connect the organization to its environment and provide strategic leadership for learning) well mediate with a relationship between the people level within dimensions of learning organization and the innovativeness that the members of organization recognize? For this study, the survey has been conducted against 300 men and women who are working at 15 enterprises and public offices and total 207 questionnaires have been finally analyzed. The collected data has been analyzed using SPSS 12.0 for windows program so that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have been implemented.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ings. First, the seven dimensions of learning organization strongly correlated with each other. Besides, the dimensions of learning organization are highly correlated with the innovativeness. Second, apart from promoting inquiry and dialogue of the people level within dimensions of learning organization, the rest of three variables of the people level predicts the structure level within dimensions of learning organization. Among them, establishing system to capture and share learning shows the meaningful value in creating continuous learning opportunities(ß = .47) and encouraging collaboration and team learning(ß = .31) among three variables except empowering people toward a collective vision. Connecting the organization to its environment is predicted by creating continuous learning opportunities(ß = .25), encouraging collaboration and team learning(ß = .28) and empowering people toward a collective vision(ß = .32). Providing strategic leadership for learning is predicted by creating continuous learning opportunities(ß = .26), encouraging collaboration and team learning(ß = .20) and empowering people toward a collective vision(ß = .31). Third, creating continuous learning opportunities(ß = .17) and empowering people toward a collective(ß = .33) of the people level within the dimensions of learning organization predict directively the innovativeness Fourth, the result of verifying meditating effect of the structure level in a condition of restricting that the people level within the dimensions of learning organization explains the innovativeness is as followings. First of all, in the event of creating continuous learning opportunities, when meditating variable is inputted, the perfect meditating effect have arisen. In the event of empowering people toward a collective vision, when meditating variable is inputted, the partial meditating effect that is reducing the power of explanation(ß = .28) has arisen. If investigating the predictive power of the meditating variables, establishing system to capture and share learning(ß = .21) and providing strategic leadership for learning(ß = .20) are capable for predicting the innovativeness. In these results of this study, the members of the domestic organization have the provision of the continuous learning opportunities and the encouragement of collaboration and team learning and shows the cognition toward the structural effort for establishing learning organization when the empowerment that is handed over the leadership about learning is well prepared, In particular, apart from the precedent study, a reason for high prediction by encouragement of the team learning is that the members of domestic organization attains great importance to group implementation rather than individual implementation. Furthermore, in order to urging the innovativeness in organization, it is implied that establishing learning organization is in need. In particular, the organization makes up environment where the members continuously study and provides the leadership to learning so that the innovativeness where the members accept new things at ease and are adapted for the work is improved. At this time, if the physical system that supports learning and the strategic leadership are accompanied, the effect will be increased. Namely, it implies that the infrastructure should be supported to continue the learning of the members. However, the limit of this study is as followings. First, in this study, the members analyze the subjectively cognized index. In reality, it is not analyzed that how the objective index such as the policy being implemented in real company, organizational structure, organizational culture, organizational vision, actual leader's behavior and actual result of the innovativeness is related to the subjective index. Thus, it is necessary to discover how the cognition of the members differ from the reality. Second, as the researcher arbitrarily conducted sampling collection, the organizational speciality and conservative culture are not reflected. The learning organization and innovativeness are the variables that show very different results according to the organizational atmosphere and culture. However, as the data being used in this study is arbitrarily collected by the researcher, a variety of organizations are mixed. Accordingly, if the study is implemented in consideration of the organizational culture and atmosphere of the particular enterprise, the more authentic results would be acquired. Third, as the meditating effect of the structure level with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ople level and the innovativeness in this study is only verified, the point that what the effect the people level is received by backup of the people level is not analyzed. According to Marsick and Watkins(2003), in order that the organization attains the goals in a status of established learning organization, not only role of the people level is sufficient. Thus,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difference of cognition toward the people level according to supports of the structure level.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조직 구축요인이 조직의 구성원이 인식하는 혁신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학습조직 구축정도, 혁신성에 대한 일반적 경향을 살펴보고, 학습조직 구축요인 중 사람 영역과 혁신성 간의 관계에서 구조 영역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방식으로 분석이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 다룬 연구문제는 아래와 같다. 첫째, 학습조직 구축요인 중 사람 영역의 요인들(지속적 학습기회 창출, 대화와 연구의 활성화, 협력과 팀 학습의 격려, 조직의 비전형성과 일치를 위한 임파워먼트)은 조직의 구성원이 인식하는 혁신성을 예측하는가? 둘째, 학습조직 구축요인 중 사람 영역의 요인들(지속적 학습기회 창출, 대화와 연구의 활성화, 협력과 팀 학습의 격려, 조직의 비전형성과 일치를 위한 임파워먼트)은 학습조직 구축요인 중 구조 영역의 요인들(학습을 찾고 공유하는 시스템, 조직과 외부의 연계, 전략적 리더십의 제공)을 예측하는가? 셋째, 학습조직 구축요인 중 구조 영역의 요인들(학습을 찾고 공유하는 시스템, 조직과 외부의 연계, 전략적 리더십의 제공)은 학습조직 구축요인 중 사람 영역과 조직 내 구성원이 인식하는 혁신성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가? 본 연구를 위하여 국내의 15개 기업 및 공공기관에 재직 중인 남, 여 직원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총 207부를 최종으로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for window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연구문제에 따라 빈도분석, 기술통계, 상관분석, 다중 회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조직 구축요인의 일곱 개 요인은 서로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또한, 학습조직 구축요인은 혁신성과도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둘째, 학습조직 구축요인 중 사람 영역의 대화와 연구의 활성화를 제외하고 나머지 세 변인은 학습조직 구축요인의 구조 영역을 예측하였다. 이 중, 학습을 찾고 공유하는 시스템은 세 변인 중 조직의 비전 형성과 일치를 위한 임파워먼트를 제외한 지속적 학습기회 창출(ß = .47)과 협력과 팀 학습의 격려(ß = .31)만이 유의미한 예측 값을 보여주었다. 조직과 외부 환경의 연계는 지속적 학습 기회 창출(ß = .25), 협력과 팀 학습의 격려(ß = .28)조직의 비전 형성과 일치를 위한 임파워먼트(ß = .32)에 의해 예측되었다. 전략적 리더십의 제공은 지속적 학습 기회 창출(ß = .26), 협력과 팀 학습의 격려(ß = .20), 조직의 비전 형성과 일치를 위한 임파워먼트(ß = .31)에 의해 예측되었다. 셋째, 학습조직 구축요인 중 사람 영역의 지속적 학습기회 창출(ß = .17)과 조직의 비전 형성과 일치를 위한 임파워먼트(ß = .33)만 혁신성을 직접적으로 예측하였다. 넷째, 학습조직 구축요인 중 사람 영역이 혁신성을 설명하는 부분을 통제한 상태에서 학습조직 구축요인 중 구조 영역의 매개 효과를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먼저, 지속적 학습기회 창출의 경우, 매개 변수가 투입되자 완전 매개 효과가 일어났다. 조직의 비전 형성과 일치를 위한 임파워먼트의 경우, 매개변수가 투입되자 설명력이 감소(ß = .28)하는 부분 매개 효과가 일어났다. 매개 변수들의 예측력을 살펴보면, 학습을 찾고 공유하는 시스템(ß = .21)과 전략적 리더십의 제공(ß = .20)이 혁신성을 예측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국내 조직의 구성원들은 지속적으로 학습의 기회를 제공받고, 협력과 팀 학습을 권장 받으며, 학습에 대한 주도권을 위양 받는 임파워먼트가 갖추어졌을 때 조직이 학습조직을 구축하기 위한 구조적인 노력을 하고 있음을 인식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선행연구와 달리 협력과 팀 학습의 격려에 의한 예측력이 높은 것은 국내 조직의 구성원들이 개인적이기보다는 집단적인 수행을 중요시하고 있음을 알 수 있게 해주었다. 또한, 조직에서 혁신성을 촉구하기 위해 학습조직을 구축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특히, 조직은 구성원들에게 지속적으로 학습을 해야 하는 분위기를 조성해주고, 학습에 주도권을 부여함으로써 구성원들이 새로운 것을 빨리 받아들이고 업무에 적용하려는 혁신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때 학습을 지원해주는 물리적 시스템과 전략적 리더십을 수반한다면 구성원들의 혁신에 대한 노력은 그 효과가 더욱 커질 것이다. 즉, 조직 차원에서도 구성원들에게 학습을 지속시킬 수 있는 인프라구조의 설계를 지원해주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의 제한점을 가진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구성원들이 주관적으로 인식한 지표들만 분석하고, 실제 조직에서 시행되는 정책이나 조직 구조, 조직 문화, 조직의 비전, 실제 리더의 행동, 혁신성의 실제 결과 등의 객관적인 지표들이 주관적인 지표들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에 대해 분석하지 못하였다. 그러므로 구성원들의 인식이 실제와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규명할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는 연구자가 편의대로 표집하여 조직의 특수성과 고유 문화가 반영되지 못하였다. 학습조직과 혁신성은 조직의 분위기나 조직문화에 따라 매우 다른 결과가 나올 수 있는 변인들이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쓰인 연구 데이터는 연구자가 편의대로 표집을 하여 매우 다양한 조직이 혼재되어 있다. 따라서 특정 기업의 조직 문화나 분위기 등을 고려하여 본 연구를 시행한다면 보다 확실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학습조직 구축요인 중 사람 영역과 혁신성 간의 관계에서 구조 영역의 매개 효과만을 검증하느라 구조 영역의 뒷받침에 의해 사람 영역이 어떤 영향을 받는지에 대한 점을 분석하지 못하였다. Marsick과 Watkins(2003)에 의하면 학습조직이 구축되어 조직이 성과를 달성하려면 사람 영역의 역할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고 하였다. 이에 구조 영역의 지원에 따른 사람 영역의 인식에 차이를 분석해볼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