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프랑스어 접두 파생의 특징

        유종숙(You, Jong-Suk)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5 코기토 Vol.- No.77

        본 연구에서는 언어 구성의 기본단위로 인식되는 단어를 새롭게 생성하는 중요한 방법 중 하나인 파생의 특징을 프랑스어를 대상으로 하여 살펴보았다. 접두 파생과 접미 파생의 차이점은 접사의 위치 뿐 아니라 품사 변화의 유무로도 나타나는데, 일반적으로 접미 파생은 품사변화를 초래하지만 접두 파생은 어간의 품사 범주를 그대로 유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M. Riegel et al.의 연구에서는 접두 파생도 접미 파생만큼 체계적인 변화는 아니지만 어느 정도 품사의 범주 변화를 일으키는 것을 지적하고 있다. 단어의 통시적 변화를 관찰해보면, 어간으로부터 파생어가 생성되는 과정을 이해할 수 있다. 하지만 공시적 관점에서 보면, 현재 파생어는 사용되는 반면에 어간은 사용범위가 제한되거나 소멸되는 비대칭 현상을 비록 광범위한 차원은 아니라 할지라도 어느 정도 목격할 수 있다. 그리고, 접두 파생으로 인한 의미변화를 살폈을 때, 본 연구에서 한정한 범위 내에서는 어간과 파생어 사이에 소속 또는 대립의 의미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분석할 수 있었다. 접두사의 의미 유형이 파생어의 의미를 결정하는 요인이지만, de-를 중심으로 관찰하면 접두사의 형태와 의미가 일대일 대칭을 이루지 않는 점을 알 수 있다. 이는 하나의 언어형태가 그에 상응하는 의미에 연결된다는 일반적 인식에 반하는 현상이므로 앞으로도 계속적인 연구, 천착이 필요한 부분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프랑스 언어학 , 지역학 : 총칭성과 < - 는 > 의 관계 - 모든 < 남자는 부엌에 들어가면 못 쓰는 법 > ?

        유종숙(Jong Suk You) 한국프랑스학회 1999 한국프랑스학논집 Vol.27 No.-

        Le point de depart du present travail a tk une hypothse : $quot;L`lment c vient se greffer 1`expression nominale enrique, lorsque celle-ci se fre un genre ou une espce.$quot; Les faits linguistiques noun montrent qu`il n`en est pas ainsi. Certes, les SN gnriques qui indiquent les genres sont marquis par c dans la plupart des cas, mais il ne faut pas en conclure que marque la g8nricitk des SN, ou qu`on puisse tablir un rapport direct entre et la gnricit. L`explication se trouve. nous semble-t-il, dans la combinaison des deux faits: i) c sert marquer le caractre connu (la Clark) du mot-support, ii) le SN gnrique indiquant un esp8ce/genre fait partie de la connaissance

      • KCI등재

        Thème synthétique et thème analytique

        유종숙(YOU Jong-suk) 한국프랑스문화학회 2005 프랑스문화연구 Vol.11 No.-

        담화분석에서 주제연구는 주제의 정의가 명확하지 않아서 그 분석에 어려움이 있다는 비판을 많이 들어왔다. 일반적 사전 정의인 ‘화재 sujet de discussion’, 또는 ‘담화대상ce dont on parle’이라는 개념을 사용하여 분석하기 때문에, 하나의 분석대상으로부터 여러 주제가 도출될 수 있는 결점이 꾸준히 제기되었다. 그러나 담화의 정보구조를 살펴보면 대체적으로 이미 알고 있는 사실에 새로운 내용을 덧붙여 나가면서 진행되는 것이 일반적으로, 그를 분석대상으로 삼는다면 미비하나마 현존하는 ‘주제’라는 개념을 사용하는 것이 편리한 것은 사실이다. 프랑스어의 주제연구에서 그 개념에 대한 논쟁이 더욱 활발한 이유는 한국어와는 달리 확실한 주제 표지 형태(‘-는)가 없는 사실에서 연유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본 연구에서는 프랑스어를 대상으로 하는 주제논의에서 연구대상이 되는 주제의 확인방법에 기준하여 주제를 두 범주로 나누어 보았다. 첫째, 분석대상의 내용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중심의미를 뽑아내는 방법을 따를 경우에는 종합적 주제에 해당하며, 둘째, 분석대상을 이미 알고 있는 어떤 사실과 새로운 내용으로 이루어진 정보구조로 파악하는 분석적 방법을 택할 경우에는 분석주제인 것이다. 이러한 구분은 ‘주제’라는 동일한 개념의 용어를 사용하면서도, 그 분석방법에 따라 전혀 다른 대상을 주제로 파악할 수 있는 결과를 어느 정도 정리해주는 효과가 있으며, 특히 한국어-프랑스어 비교연구를 할 때 연구의 범위를 한정해 줄 수 있으므로 주제연구에 있어서는 꼭 필요한 작업이다.

      • KCI등재

        < - 는 > 의 선행어의 기지성 - 왜 < 어떤 사람은 매일 거짓말만 한대 > 가 말이 되는가 ?

        유종숙(Jong Suk You) 한국프랑스학회 1998 한국프랑스학논집 Vol. No.

        Dans ce travail, nous aeons examinrs le caractre connu que 1$quot;on peut attribuer i3 un lment note par le syntagme (expression indFnie + Au premier abord, une expression indfinie ne semble pas compatible avec, que 1`on prend commun~ment pour le marqueur de theme. Cependant, plusieurs types de combinaison (expression indFnie +) s$quot;avrent parfaitement interprtables. Cela nous amine conclure que, comme wa japonais, Bert marquer le caractire connu la Clark, i) soit de 1`lment auquel est attach. ii) soit de 1$quot;ensemble des individus auquel celui-ci appartient. I1 nous a galement rtes possible de constater que ce trait de c est commun deux fonctions que 1$quot;on attribue c : i) celle de marquer le thyme : ii) celle de marquer le contraste. 6) Nous dsignons par ce terme 1`expression, essentiellement nominale dans cet expose. laquelle est attach.

      • KCI등재

        프랑스 음악축제

        유종숙(YOU Jong-suk) 한국프랑스문화학회 2005 프랑스문화연구 Vol.10 No.-

        La fête de la musique est née en France en 1982 avec l’arrivée des socialistes au pouvoir. C’est une fête conçue par les initiatives de Jacques Lang, ministre de la culture de François Mitterrand. Pour une fête voulue par la politique culturelle de l’Etat, c’en est un cas de succès exceptionnel. Quelques caractéristiques en témoignent : participation active d’une grande partie de la population, y compris les artistes (les amateurs et les professionnels) et les collectivités locales ; le principe de gratuité appliqué partout ; son développement rapide au-delà des frontières. Si l’on compare la fête de la musique à d’autres fêtes traditionnels ou populaires, on peut dire qu’elle comporte moins les propriétés générales de fêtes décrites par H. Cox, à savoir la liminalité ou l’excessivité, mais qu’elle fait valoir plutôt les traits du néo-tribalisme soutenu par M. Maffesoli. En tant qu’une théorie décrivant le monde post-moderne, le néo-tribalisme met l’accent sur la façon dont les gens se regroupent selon les goûts, les valeurs propres à chacun, et les affinités électives qui en découlent. Le succès de la fête de la musique, qui avait largement dépassé la prévision des organisateurs, pourrait s’expliquer en partie du caractère néo-tribal du monde post-moderne.

      • KCI등재후보

        프랑스 음악축제의 현대적 의미

        김문겸(KIM Moon-Kyum),유종숙(YOU Jong-Suk) 한국프랑스문화학회 2010 프랑스문화연구 Vol.20 No.-

        Depuis son origine, l'Humanité connaît la fête. Tout au long de l'histoire des hommes, les fêtes ont fait partie intégrante des sociétés, quel qu'elles soient, et revêtent ainsi un caractère universel. Mais est-ce que les fêtes d'hier sont les mêmes que celles d'aujourd'hui? Nous avons cherché à répondre à cette question dans cet article. Dans la première partie, nous avons observé des analyses de la fête dans les sociétés traditionnelles, dont les points essentiels convergent en gros à la liminalité, l'excès ou le côté orgiaque des moments de fête par rapport à la vie courante. Pour voir si ces caractéristiques sont perpétrées dans les fêtes de nos jours, nous avons pris comme exemple la fête de la musique en France, une fête assurément contemporaine puisque née en 1982. La description de la fête de la musique et l'analyse de son succès nous montrent, d'une part, qu'il s'agit d'une fête pacifiée, selon le terme employé par Elias & Dunning, et d'autre part, que cette fête ressort du néo-tribalisme, théorie soutenue par M. Maffesoli, expliquant la façon dont les gens se regroupent dans le monde post-moder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