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위장관 ; 혈류가 유지된 채 분리된 흰 쥐 결장에 대한 Urocortin 1의 영향

        유일영 ( Il Young You ),이승호 ( Seung Ho Lee ),김기배 ( Ki Bae Kim ),이희승 ( Hee Seung Lee ),장종순 ( Jong Soon Jang ),연명호 ( Myeong Ho Yeon ),한정호 ( Joung Ho Han ),윤순만 ( Soon Man Yoon ),채희복 ( Hee Bok Chae ),박선미 ( S 대한소화기학회 2015 대한소화기학회지 Vol.65 No.5

        Background/Aims: Urocortin 1, a corticotropin-releasing factor related peptide, increases colonic motility under stressful conditions.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urocortin 1 on colonic motility using an experimental model with isolated rat colon in which the blood flow and intestinal nerves were preserved. Furthermore, we assessed whether this effect was mediated by adrenergic or cholinergic nerves. Methods: Colonic motility was measured in the proximal and distal parts of resected rat colon. The colon resected from the peritoneum was stabilized, and then urocortin 1 (13.8, 138, 277, and 1,388 pM) was administered via a blood vessel. Motility index was measured in the last 5 min of the 15 min administration of urocortin 1 and expressed as percentage change from baseline. Subsequently, the change in motility was measured by perfusing urocortin 1 in colons pretreated with phentolamine, propranolol, hexamethonium, atropine, or tetrodotoxin. Results: At concentrations of 13.8, 138, 277, and 1,388 pM, urocortin 1 increased the motility of proximal colon (20.4±7.2%, 48.4±20.9%, 67.0±25.8%, and 64.2±20.9%, respectively) and the motility of distal colon (3.3±3.3%, 7.8±7.8%, 71.1±28.6%, and 87.4±32.5%, respectively). The motility induced by urocortin 1 was significantly decreased by atropine to 2.4 2.4% in proximal colon and 3.4±3.4% in distal colon (p<0.05). However, tetrodotoxin, propranolol, phentolamine, and hexamethonium did not inhibit motility. Conclusions: Urocortin 1 increased colonic motility and it is considered that this effect was directly mediated by local muscarinic cholinergic receptors. (Korean J Gastroenterol 2015;65:283-290)

      • SCOPUSKCI등재

        말기 신부전 환자에서 첫 12 개월간의 투석 후에 자율신경과 말초신경 기능의 변화

        임정묵(Joung Muk Leem),김혜영(Hye Young Kim),권순길(Sun Gil Kwon),박영선(Young Sun Park),유일영(Il Young You),홍의실(Eui Sil Hong),엄재호(Jae Ho Earm),이현희(Hyun Hee Lee),이경무(Kyung Mu Lee) 대한신장학회 2002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Vol.21 No.5

        목 적 : 말기 신부전 환자에서 투석요법이 자율신경 및 말초신경 기능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서는 상반된 견해를 보고하고 있고, 아직까지 전향적 연구는 부족한 상태이다. 이에 저자들은 투석을 시작하는 말기 신부전 환자에서 첫 12개월간의 투석요법이 자율신경 및 말초신경 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투석을 시작하는 말기 신부전 환자 25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대상환자를 혈액투석군 (14명)과 복막투석군 (11명) 또는 당뇨군 (11명)과 비당뇨군 (14명)으로 나누어 비교하였다. 자율신경 기능은 Ewing 등이 제안한 종합테스트법으로 평가하고, 말초신경 기능은 Medelec Pre-mierer^plus 근전도 기기를 이용하여 정중신경 운동전도속도를 측정하였으며, 투석 시작 전과 투석 12개월 후에 반복 검사하였다. 결 과 : 투석 시작 전의 자율신경 기능은 대상 환자 모두에서 교감신경 장애와 부교감신경 장애를 보였다. 투석 12개월 후 시행한 자율신경 기능검사는 투석 시작 전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혈액투석군과 복막투석군, 당뇨군과 비당뇨군 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투석 시작 전의 정중신경 운동전도속도는 혈액투석군과 복막투석군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 투석 12개월 후 에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당뇨군에서는 투석 시작 전에 6명이 비정상 전도속도를 보였으나, 투석 12개월 후에는 2명이 악화되어 총 9명에서 비정상 전도속도를 보였고, 투석 시작 전 49.4±5.0 m/sec에서 투석 12개월 후 46.2±4.6 m/sec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비당뇨군에서는 투석 12개월 후에 비정상 전도속도를 보였던 4명 중에서 3명이 정상화되었으며, 투석 12개월 후 당뇨군과 비당뇨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 론 : 투석을 시작한 말기 신부전 환자에서 첫 12개월간의 투석요법은 투석방법에 관계없이 자율신경 기능장애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러나 말초선경 기능장애는 비당뇨병성 투석환자에서 투석요법으로 일부 호전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 The efficacy of dialysis on the autonomic and peripheral nerve function has been a subject of considerable debate. In addition, no longitudinal study on the course of uremic neuropathy in end-stage renal disease (ESRD) during dialysis has been reported. We carried out a prospective study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alysis on the autonomic and peripheral nerve function during the first 12 months of dialysis. Methods : Twenty-five patients with ESRD (14 on HD and 11 on CAPD; 11 diabetic and 14 nondiabetic) were enrolled. Autonomic nerve function test and median nerve conduction velocity study were done at the initiation of dialysis and then repeated after 12 months of dialysis. Results : At the initiation of dialysis, sympathetic nerve function and parasympathetic nerve function were abnormal in all HD and CAPD patients. After 12 months of dialysis, no significant changes occurred in autonomic function te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utonomic function test between HD and CAPD patien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edian nerve conduction velocity between HD and CAPD patients after 12 months of dialysis. At the initiation of dialysis, 6 of 11 diabetic and 4 of 14 non-diabetic patients had abnormal median nerve conduction velocity. After 12 months of dialysis, normalization of median nerve conduction velocity occurred only in 3 non-diabetic patients. There was a singinficant difference in median nerve conduction velocity between diabetic and non-diabetic patients after 12 months of dialysis. Conclusion : We conclude that dialysis does not significantly alter the autonomic nerve function during the first 12 months of dialysis, but may improve the peripheral nerve function in non-diabetic uremic patients.

      • KCI등재

        담낭선종 혹은 선종연관 병변의 조직 병리학적 분석

        이승호 ( Seung Ho Lee ),이달식 ( Dal Sik Lee ),유일영 ( Il Young You ),전원중 ( Won Joong Jeon ),박선미 ( Seon Mee Park ),윤세진 ( Sei Jin Youn ),최재운 ( Jae Woon Choi ),성노현 ( Ro Hyun Sung ) 대한소화기학회 2010 대한소화기학회지 Vol.55 No.2

        목적: 담낭 선종에서 암종으로 진행 여부를 알아보기 위해 담낭 절제술을 시행한 검체에서 담낭 선종과 선종 연관병변의 조직학적 특징을 조사하였다. 대상 및 방법: 1,847예의 담낭절제술을 받은 환자에서 담낭 선종 26예, 상피내암 9예, 침윤성 선암 28예를 포함한 63예의 담낭 절제 조직을 대상으로 하였다. 한 명의 병리 의사가 선종과 선종의 바탕 위에 국소적인 악성화 혹은 선암에서 발견되는 선종 잔류조직 등 선종 연관 병변을 조사하였다. 담낭 선종은 형태학적으로 관형, 관유두형, 유두형으로 분류하고, 구성하는 표피세포에 따라 담상피, 위상피화생, 장상피화생으로 분류하였다. 양성 선종과 암성 선종에서 환자의 나이와 병변의 크기를 비교하였다. 결과: 전체 담낭 절제술에서 선종 연관병변은 1.8%에서 발견되었다. 상피내암 9예와 침윤성 암종 28예 중에서 선종 연관 병변은 각각 7예, 1예가 있었다. 선종에 동반된 암종 8예는 모두 고분화암이었고, 단일 병변이었다. 암성 선종은 양성 선종에 비하여 종양의 장경이 컸고(1.8 cm 대 0.9 cm, p=0.01), 환자들의 나이가 많았지만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다(57세 대 47세, p=0.09). 선종을 구성하는 상피 세포 및 형태학적 분류에 따라 양성 선종 혹은 암성선종의 빈도는 차이가 없었다. 담낭 선종에서 악성 변화를 보인 선종은 23.5%였다. 결론: 담낭 선종은 드문 질환이나 악성화 진행은 자주 발견되었다. 암성 선종은 상피내암이 많고, 고분화암이며, 단일 병변이었다. 담낭 선종은 전암성 병변으로 담낭 선종-선암 연속은 담낭암 병인 중의 하나로 생각한다. Background/Aims: In order to determine the malignant potential of gallbladder adenoma for progression to carcinoma, we evaluated the histopathologic features of adenoma and adenoma-related lesions on cholecystectomized specimens. Methods: Among 1,847 cholecystectomized specimens, 63 specimens from 26 benign adenomas, 9 carcinomas in situ (CIS), and 28 invasive carcinomas were selected. A pathologist reviewed all specimens and selected benign adenomas, CIS in the adenoma, and adenoma residue in invasive carcinomas. Adenomas and adenoma- related lesion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morphology (tubular, tubulopapillary, and papillary) and the consisting epithelium (biliary, pyloric metaplasia, and intestinal metaplasia). The age and the size of the benign adenomas and carcinomas in the adenoma were also compared. Results: Adenoma and adenoma-related lesions were found in 34 out (1.8%) of all resected gallbladder. Among 9 CIS and 28 invasive carcinomas, adenoma-related lesions were detected in 7 and 1 case, respectively. All eight carcinomas arising in the adenoma were well-differentiated solitary tumors. The diameters of the carcinomas in the adenoma were, on average, larger than that of the benign adenomas (1.8 cm vs. 0.9 cm, p=0.01). The patients with carcinomas in the adenoma were, on average, older than those with benign adenomas, although the difference was insignificant (57 years vs. 47 years, p=0.09). The morphology and consisting epithelium did not differ between the benign adenomas and carcinomas in the adenoma. The malignant transformation occurred in 23.5% of adenomas. Conclusions: Gallbladder adenoma is a rare disease, although malignant transformation occurs frequently. Adenoma is a precancerous lesion and the adenoma-carcinoma sequence is one of the gallbladder cancer carcinogenesis. (Korean J Gastroenterol 2010;55: 119-126)

      • KCI등재

        쥐의 결장운동에서 Neuropeptide Y의 작용기전

        나병규 ( Byung Kyu Nah ),전원중 ( Won Joong Jeon ),유일영 ( Il Young You ),채희복 ( Hee Bok Chae ),박선미 ( Seon Mee Park ),윤세진 ( Sei Jin Youn ),고병성 ( Byung Sung Ko ) 대한내과학회 2008 대한내과학회지 Vol.75 No.2

        목적: Neuropepetide Y (NPY)는 다양한 생리작용이 있으나 작용기전에 대해서는 명확하게 밝혀져 있지 않다. 흰쥐의 근위부와 원위부 결장 운동에서 NPY의 작용과 기전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상장간맥동맥을 포함하여 분리한 흰쥐 결장에서 NPY를14 pM, 70 pM, 140 pM과 280 pM을 단계적으로 동맥으로 투여하여 근위부와 원위부 결장 내압을 측정하였다. 운동성은 각 농도 별 약물 투여 시 운동지수를 계산하여 %변화로 표시하였다. 약물투여에 의한 억제 실험은 근위부와 원위부에 각각 140 pM의 NPY 투여 때와 비교하였고 먼저 atropine, tetrodotoxin (TTX), propranolol, hexamethonium과 phentolamine 각각을 관류시킨 후 NPY를 같이 투여하면서 운동성 변화를 측정하였다. 결과: NPY(14 pM, 70 pM, 140 pM, 280 pM)를 투여할 때 근위부 결장에서 수축반응은 각각 28.5±28.2%, 48.4± 34.3%, 122.9±97.3%, 68.2±28.1%이었으며, 원위부 결장에서는 각각 44.9±25.9%, 103.8±72.0%, 237.1±131.0%, 93.0± 63.9%로 기저치에 비해 근위부와 원위부 결장에서 모두 수축반응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근위부와 원위부에서 NPY의 농도가 높을수록 농도 의존적으로 수축 강도는 유의한 증가를 나타냈다. 원위부에서 근위부보다 수축반응이 더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NPY(140 pM)에 의해 증가되는 결장운동은 atropine, TTX, propranolol전 처치에 의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억제되었지만, phentolamine과 hexamethonium 전 처치에는 억제되지 않았다. 결론: NPY는 흰쥐 결장운동을 촉진시키는 작용이 있으며, 이러한 결장 평활근 수축 촉진 작용은 무스카린 수용체를 통한 콜린동작성 신경 또는 베타 아드레날린동작성 신경의 영향 하에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Backgrouond/Aims: Neuropepetide Y (NPY) is involved in the regulation of several gut functions, but the neuronal action of NPY has not been fully investigated.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 and mechanism of action of NPY on motility in the proximal and distal rat colon. Methods: Rat colon with an intact superior mesenteric artery was isolated. After a basal period, NPY was administered at concentrations of 14 pM, 70 pM, 140 pM, and 280 pM. Intraluminal pressures were monitored in the proximal and distal colon. The contractile response was expressed as a percent change of motility indices over the basal level. After a pre-infusion of atropine (AT), tetrodotoxin (TTX), propranolol, hexamethonium, and phentolamine, NPY was infused at a concentration of 140 pM, and pressures were monitored. Results: NPY increased the colonic motility at concentrations of 14, 70, 140, and 280 pM in the proximal colon (28.5±28.2%, 48.4±34.3%, 122.9±97.3%, 68.2±28.1%, respectively) and in the distal colon (44.9±25.9%, 103.8±72.0%, 237.1±131.0%, 93.0±63.9%, respectively) in a dose-dependent manner. The enhancing effect of NPY (140 pM) on colonic motility was significantly suppressed by pretreatment with atropine, propranolol, and TTX. However, the effect of NPY was not inhibited by hexamethonium or phentolamine. Conclusion: NPY increases colonic motility. The enhancing effect of NPY on colonic motility may require cholinergic input via muscarinic receptors or adrenergic input via beta-receptors. (Korean J Med 75:186-193, 2008)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