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신세대주부의 가사노동가치인식 및 가사노동수행과 가정생활만족도

        유애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신세대 주부의 가사노동에 대한 가치인식 및 가사 수행 그리고 가정생활 만족도의 실태를 파악하고, 가치인식 및 가사노동 수행이 가정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우리 사회에서 점점 그 중요성이 간과되어온 가사노동이 주부들에 의해서 얼마나 가정에서 행하여지고 있으며, 이러한 사회풍조 속에서 가사를 담당하고 있는 주부들은 자신들이 수행하고 있는 일에 대해 어떠한 가치를 가지고 있는지를 밝히고자한다. 뿐만 아니라 우리 사회가 주부들이 수행하는 가사노동의 중요성을 간과하고 있는 동안에도 우리 주부들은 가사노동을 끊임없이 수행되고 있으며, 이렇게 가정에서 주부들에 의해 이루어지는 노력이 사회 발전의 원동력이 되어 왔다는 사실을 다시 한 번 생각해 볼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고, 나아가서는 가사노동과 관련하여 주부들이 느끼는 만족감과 그로 야기되는 가정생활에 대한 만족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특히, 앞으로 오랜 세월 동안 우리 가정의 가사노동을 담당할 것이라고 여겨지며, “신세대”라는 용어가 등장할 만큼 기성세대와는 다르다는 신세대 주부는 가사노동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며, 어느 정도의 가사노동 수행을 하고 있는지, 그리고 이러한 부분들은 그들이 지각하는 가정생활에 대한 만족도와 어떠한 관계에 있는지를 밝히는 것이 본 연구의 과제이다. 조사대상은 서울시, 대전 광역시, 전북 전주시, 그리고 전북 익산시에 거주하는 자녀가 있는 35세이상의 주부 320명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한 후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PC SPSS Window 7.5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연구분석을 위해 빈도분석, t-test,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각 측정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α계수에 의해 내적일치도를 산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신세대 주부들이 가사노동에 가지는 가치는 그다지 높은 편도 낮은 편도 아니었다. 대다수의 주부들이 척도의 중간 정도 수준으로 가사노동의 가치를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신세대 주부들의 가사노동 수행능력은 척도의 중간 정도 수준이었다. 그리고, 개인·가정환경적 변인과 가사노동에 대한 가치인식과 가사노동 수행능력을 분석한 결과 막내자녀 연령과 가사노동에 대한 가치인식의 정도가 가사노동 수행능력에 대한 유의한 변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신세대 주부들의 가사노동 선호도는 척도의 중간이하 수준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인·가정환경적 변인 및 가사노동에 대한 가치인식과 가사노동 선호도를 분석한 결과 월평균 수입, 거주지역, 가사노동에 대한 가치인식의 정도가 가사노동에 대한 선호도에 영향을 주는 변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신세대 주부들의 가사노동 수행시간은 평균 6.3시간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인·가정환경적 변인 및 가사노동에 대한 가치인식과 가사노동 수행시간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막내자녀연령, 거주지역, 취업여부, 그리고 가사노동에 대한 가치인식의 정도가 가사노동 수행 시간에 대한 유의한 영향력을 가지는 변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신세대 주부들의 가정생활만족도의 수준은 척도의 비교적 높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80.6%에 해당하는 주부들이 가정생활만족도가 높은 집단에 속하는 것으로 조사결과 나타났다. 여섯째, 가정생활 만족도에 대한 제 변인들의 영향력을 검증하기 위해 중회귀 분석을 실시한 결과, 가사노동에 대한 가치인식의 정도, 가사노동 수행능력, 가족수, 막내자녀 연령, 월수입, 결혼지속년수, 그리고 가사노동 조력자 여부가 영향력을 미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수로 나타났다. 일곱째, 가정생활 만족도에 대한 제 변인들의 영향력을 검증하기 위해 중회귀 분석을 실시한 결과, 가사노동에 대한 가치인식의 정도, 가사노동 수행능력, 가족수, 막내자녀 연령, 월수입, 결혼지속년수, 그리고 가사노동 조력자 여부가 영향력을 미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수로 나타났다. 여덟째, 신세대주부의 개인·가정환경적 특성 및 가사노동가치인식과 가정생활만족도간의 관계를 가사노동수행요소(가사노동수행능력, 가사노동선호도, 가사노동수행시간)가 매개하는지를 살피기 위해 경로분석을 실시한 결과, 가사노동수행시간이 막내자녀연령과 가정생활만족도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결과는 우리 사회의 신세대 주부들의 가사노동 실태를 제공하고, 신세대 주부들의 가정 생활에서 그들의 가정생활 만족도를 결정짓는 요소가 어떠한 것들인지를 밝혀주었다. 이는 가사노동을 담당하고 있는 주부들의 복지와 나아가서는 가사노동의 혜택을 받고 있는 가족 구성원 즉, 사회구성원들의 복지와 관련된 분야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major questions of this study are whether and how the consciousness of value to housework and the performance of housework are related to the family life satisfaction in young housewives. The understanding of how housework is performed and how important young housewives may think housework is would be obtained by the results acquired, hence an opprotunity to improve housewives´ life satisfaction and family life satisfaction. In addition, while the importance of housework, still performed by housewives, has been ignored, the fact that housewives have kept performing housework to maintain the stability of their home and how they have contributed to society´s wellbeing should be reminded. In order to achieve the goals of the study, I examined the following : 1) whether and how a housewife´s personal characters and her consciousness of value to housework were related to her performance of housework 2) how all the independent variables considered in the study were related to the dependent variable, housewives´ family life satisfaction and 3) whether the relationship between a housewife´s personal characters and her consciousness of value to housework and her family life satisfaction were meditated by the housewife´s performance of housework. A wife´s performance of housework has been defined by three sub-variables throughout the study, the ability of housework, the degree of preference for housework, and the amount of time she performs housework. For those issues stated above, a theoritical framework was set by literature reviews and applied to an empirical test. 320 housewives, ranging in age from 27 to 35, were studied, and the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ies, percentile,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Cronbach´s alpha value, t-test, regression, and path analysi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 1. The significant variables influencing the housewives´ ability to perform housework are the age of the youngest child and the degree of their consciouness of value to housework. The older their youngest child is, and the more the degree of their consciousness of value to housework is, the better they may perform housework. 2. The degree of young housewives´ preference for housework may be influenced by the monthly income of their household, the area in which each of them lives, and the degree of their consciousness of value to housework. 3. The amount of the time that young housewives perform housework can influenced by the age of their youngest child, the area in which each of them lives, whether they are employed, and the degree of their consciousness of value to housework. Whether a young housewife is employed or not is epecially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even among those significant variables stated above. For example, when a young housewife has a job, she tends to spend less time on housework than an unemployed housewife does. 4. The significant variables influencing the degree of young housewives´ family life satisfaction are the number of their family member, the age of their youngest child, the monthly income of their household, whether they have anyone helping their household labor, the degree of their consciousness of value to housework, and their ability to perform housework. Among those significant variables, the degree of a housewife´s consciousness of value to housework is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on her family life satisfaction. The more the degree of a housewife´s consciousness of value to housework is, the more she may be satisfied with her family life. To conclude, this study contributes to our understanding of young housewives´ tendency toward housework and their life satisfaction. The findings especially support that a housewife´s life satisfaction and her housework performance are influenced by her consciousness of value to housework. This implies the importance of exploring the symbolic meaning of housework in attempts to understand women´s current and future position in the household and their life satisfaction.

      • 모빌리티 서비스를 위한 참조 모델 기반의 자율주행 자동차 빅데이터 수집 및 분석 플랫폼 구축

        유애리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order to reduce the risk of autonomous vehicle passengers due to the limitations of sensor technology, research on connected self-driving cars that receive data from surrounding vehicles and infrastructure and use it for driving is active. The environment where infrastructure and connected autonomous vehicles are connected is called C-ITS and can guarantee the comfort and safety of passengers. This paper proposes a reference model of autonomous vehicle big data in C-ITS environment and designs a platform environment that utilizes it. This shows the need for collecting big data for autonomous vehicles and aims to make up for the shortcomings of the infrastructure-oriented road traffic information collection system. In this paper, the requirements of store LDM of data sent and received in and out of C-ITS environment, autonomous vehicle open data set, sensor data format were checked and the reference model was designed. In addition, a pipeline that collects big data generated from autonomous vehicles and a platform that can be stored and analyzed from vehicles were designed using Hadoop, Spark, Kafka, Zeppelin, and MariaDB of Hadoop Ecosystem. The proposed pipeline and platform were built using a docker container and experimented with BDD 100K open data set and actual vehicle driving data with sensors. It measures the delay time of data transmission and receipt and presents a plan to utilize the platform. 센서 기술의 한계에 따른 자율주행 자동차 탑승자의 위험성을 감소하기 위해 주변 차량 및 인프라로부터 데이터를 전달받아 주행에 활용하는 커넥티드 자율주행 자동차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다. 인프라와 커넥티드 자율주행 자동차가 연결된 환경을 C-ITS라 하며 탑승자의 편안함과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다. 본 논문은 C-ITS 환경에서 자율주행 자동차 빅데이터의 참조모델을 제안하며 이를 활용하는 플랫폼 환경을 설계한다. 이는 자율주행 자동차 빅데이터의 수집 필요성을 보이며, 인프라 중심의 도로 교통 정보 수집 시스템의 단점을 보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논문에서는 C-ITS 환경에서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저장소 LDM의 요구사항, 자율주행 자동차 오픈 데이터 세트, 센서 데이터 포맷을 확인하고 참조 모델을 설계하였다. 또한, 자율주행 자동차에서 생성된 빅데이터를 차량으로부터 수집하는 파이프라인과 저장 및 분석할 수 있는 플랫폼을 하둡 에코시스템의 하둡, 스파크, 카프카, 제플린과 마리아DB를 사용하여 설계하였다. 제안한 파이프라인과 플랫폼은 도커 컨테이너를 사용해 구축하였으며, BDD 100K 오픈 데이터 세트와 센서가 탑재된 실제 차량 주행 데이터로 실험을 수행한다. 이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 지연 시간을 측정하고, 플랫폼을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 구매의사결정 과정에서 소비자의 지각된 불확실성 유형과 불확실성 감소 행동에 관한 연구 : 정성적·정량적 연구의 통합적 접근

        유애리 전남대학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불확실성에 대한 선행 연구들에서 간과하고 있는 일반적인 구매의사결정 과정에서의 소비자 불확실성에 대해 다루고자 한다. 즉, 일상적인 구매나 의사결정 상황에서 소비자들이 경험하게 되는 불확실성의 유형에 대해 살펴보고, 이런 불확실성을 감소시키기 위한 행동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불확실성 유형과 불확실성 감소 행동 간의 관계에 대한 실증적 검증과 함께 소비자의 기질적/상황적 특성의 조절효과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그간 심도 있게 다루어지지 못했던 일반적인 구매의사결정 과정에서의 불확실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정보의 증가, 선택지의 증가, 환경의 변화 등의 이유로 나날이 증가하는 소비자 불확실성의 중요성을 제시하고, 소비자가 지각하는 불확실성 유형과 불확실성 감소 행동에 대해서 세부적으로 밝혀보고자 한다. 정성적 연구와 정량적 연구의 통합적 접근방법을 통해 불확실성 유형과 불확실성 감소 행동에 대해 새로이 개념을 정의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불확실성 유형과 감소행동을 파악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밝혀진 요인들 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검토하고자 한다. 소비자들이 불확실성을 경험했을 때 실제 불확실성 감소행동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살펴보고, 소비자의 기질적(성별)/상황적(오프라인 구매/온라인 구매) 특성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확인하고자한다. 연구자는 본 연구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정성적 연구와 정량적 연구를 통합하는 통합적 설계를 활용하였다. 정성적 연구 방법으로는 심층면접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얻은 결과를 기반으로 예비조사와 정량적 연구를 통한 실증적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혼합연구방법을 채택한 이유는 정성적 연구를 통해 부족한 선행연구들의 내용을 수정·보완하고 정성적 연구 결과를 토대로 정량적 연구를 실시함으로서 정성적 연구에서 부족한 객관성과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는 총 3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1단계에서는 응답자와의 자유로운 심층면접을 통해 소비자의 불확실성 경험에 대해 살펴보았다. 2단계에서는 정성적 연구에서 도출한 소비자의 불확실성 유형에 대해 예비조사를 실시하였다. 3단계에서는 정성적 연구와 예비조사를 통해서 확정된 설문 문항을 기반으로 정량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심층면접을 토대로 소비자들이 경험하는 불확실성 유형은 제품성능, 가격, 정보, 판매원, 기업, 유통경로, 자신의 선택, 정보보안, 미래 상황에 대한 불확실성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불확실성 감소 행동으로는 정보탐색 활동, 제품에 대한 회상적 행동, 판매원에 대한 회상적 행동, 판매원의 추천 수용행동, 지인의 추천 수용행동, 사회제도적 보증의 활용 행동 등으로 나타났다. 예비 조사는 정성적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불확실성 유형에 대한 경험빈도, 중요도, 감정 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응답자 158명은 9가지 불확실성 유형들을 자주 경험하고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그리고 미래 상황을 제외한 8가지 불확실성을 해결하기 위해서 주변의 도움을 필요로 함이 밝혀졌다. 정량적 연구는 정성적 연구와 예비 조사를 통해 획득한 불확실성 유형과 불확실성 감소 행동들을 기반으로 개념들 간의 관계를 실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비자들이 경험하는 불확실성(제품성능, 가격, 정보, 판매원, 기업, 자신의 선택, 유통경로, 정보보안)은 불확실성 감소 행동(정보탐색, 제품 회상, 사회제도적 보증, 판매원 회상, 판매원 추천, 지인 추천)과 정(+)의 영향을 가질 것이라는 가설을 부분적으로 지지하였다. 둘째, 다양한 불확실성 유형에 따라 나타나는 소비자의 불확실성 감소 행동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도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 셋째, 소비자의 불확실성 감소 행동이 불확실성과 구매의도와의 관계에서 매개 역할을 할 것이라는 가설을 부분적으로 지지하였다. 넷째, 소비자들이 경험하는 불확실성이 불확실성 감소 행동에 미치는 정(+)의 영향은 소비자의 기질적/상황적 특성에 따라 달라질 것이라는 가설도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 본 연구의 학문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인 구매의사결정 상황에서 소비자가 경험하는 다양한 불확실성 유형과 불확실성 감소에 대한 연구의 토대를 제공했다. 둘째, 소비자가 경험하는 불확실성을 감소시키기 위한 다양한 행동들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문헌고찰과 소비자 심층 면접을 통해 각 불확실성 유형에 대해 소비자가 보이는 불확실성 감소 행동을 유형화하고 이의 중요성을 확인시켰다. 셋째, 소비자의 구매의사결정 과정에서 불확실성을 경험하는 경우 상황적 특성인 구매형태는 불확실성 감소행동에 많은 영향을 미치지 않고 있음을 규명하였다. 이를 통해 향후 소비자의 불확실성에 대한 연구에 있어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구분보다는 통합적인 시각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넷째, 정성적 연구방법인 심층면접의 한계점을 정량적 연구를 통하여 보완하였다. 본 연구의 실무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최근 마케팅 시장의 심각한 사회 현상으로 대두되고 있는 소비자의 구매의사결정 과정에서의 불확실성과 불확실성 감소 행동에 대한 유형화를 통해 실무적 중요성과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둘째, 불확실성 감소 행동의 상대적 효과 분석을 통해 소비자의 불확실성 유형에 따른 적절한 마케팅 전략 수립의 가이드라인을 제공할 수 있다. 이는 각 불확실성 유형에 맞는 불확실성 감소 행동을 예측하고, 상황에 적절한 불확실성 감소 행동을 유발하는 전략이 필요함을 제시하고 있다. 셋째, 불확실성 유형과 구매의도와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소비자의 기질적 특성인 성별의 조절효과에 대해 밝힘으로서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소비자의 불확실성 감소 전략을 수행할 때에도 특성에 따라 소비자를 세분화하고, 그에 맞는 마케팅 전략 수행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경험빈도와 중요성이 나날이 증가하고 있는 불확실성 유형과 불확실성 감소 행동들에 대해 정성적 연구와 정량적 연구의 통합적 접근을 통해 학문적 및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이를 통해 불확실성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는 소비자의 구매의사결정 과정의 문제들을 해결해주고, 기업이나 판매원의 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 일본 마쓰리(祭り)에 대한 문화교육적 고찰

        유애리 경희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마쓰리(祭り)는 일본의 전통신앙인 신도(神道)에 그 뿌리를 두고 있고, 신도의 무대인 신사(神社)의 제례로서 일본의 전통문화이자 정신문화로 현재에 이르고 있다. 유구한 역사를 갖고 있는 전통적인 마쓰리를 비롯하여 현대에는 제의(祭儀)적 의미를 갖지 않는 축제나 이벤트까지 마쓰리로 불리면서 매우 다양한 종류의 마쓰리가 일본 전국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우리나라 학습자가 배우는 일본어 교과서에는 이와 같이 다양한 마쓰리 중에서 일본을 대표하는 마쓰리 몇 가지만을 담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그 안에서 ‘마쓰리’라는 문화요소에 대한 보다 정확한 설명과 이해가 필요하다. 마쓰리라는 문화요소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돕기 위해 중등 교과서 속의 마쓰리에 대한 현황 및 문제점을 분석하였고 마쓰리 교육에 있어서 보완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본고의 연구 목적이다. 연구방법으로 제7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일본어Ⅰ 교과서 12권과 2007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일본어Ⅰ교과서 6권에 나타난 일본문화요소에서 ‘마쓰리’라는 용어가 붙은 일본문화요소를 모두 수집하였다. 그리고 각 교과서에서 ‘마쓰리’에 대해 어떻게 설명하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이 두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일본어Ⅰ 교과서를 분석한 결과 문화소개 부분에서 ‘마쓰리’에 대한 설명은 매우 불충분하고 축제적 이미지가 강했다. ‘마쓰리’라는 용어가 붙은 일본문화요소로는 교토(京都)의 기온마쓰리(祇園祭り), 도쿄(東京)의 간다마쓰리(神田祭り), 오사카(大阪)의 덴진마쓰리(天神祭り) 그리고 유키마쓰리(雪祭り), 다나바타마쓰리(七夕祭り), 히나마쓰리(雛祭り)가 대표적으로 나타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은 전통적 마쓰리, 현대적 마쓰리, 연중행사로서의 마쓰리로 분류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세 종류의 마쓰리가 함께 등장함으로써 우리나라 학습자들이 마쓰리를 단순히 축제로 오해할 수 있고, 연중행사에서도 마쓰리라는 말을 씀으로 인해 ‘마쓰리’ 본연의 의미가 애매해 질 수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마쓰리 설명에 대한 보완 방안을 전통적 마쓰리에서 찾아 보았다. 교토 야사카신사(八坂神社)의 기온마쓰리, 도쿄 간다신사(神田神社)의 간다마쓰리, 오사카 덴만궁(天満宮)의 덴진마쓰리에서 알 수 있듯이 일본을 대표하는 전통적 마쓰리들은 모두 신도의 무대인 신사의 제례이다. 마쓰리가 이루어지는 기간은 오랫동안 이어져 온 농경생활주기와 일본의 기후조건이 무관하지 않았고, 난폭한 성격의 제신(祭神)에게 정성들여 제사지내어 신을 진정시키는 것은 아주 옛날부터 일본에 내려왔던 자연재해를 신의 분노로 여겨온 사상인 것이다. 또한 마쓰리의 클라이막스인 미코시(神輿) 행차로 인해 마을이나 시가지를 정화시키고 복을 받기 위함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우리나라에서 일본 문화교육에 있어서 ‘마쓰리’를 설명할 때 신사의 제례, 시기적 특성, 제신의 특성, 미코시의 의미를 보완한다면 ‘마쓰리’가 갖는 본래의 의미와 상징성을 더욱 잘 전달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Matsuri(祭り) has its roots in Shinto(神道), the traditional religion of Japan and an ancestral ritual of Shrine(神社), the place for Shinto. It remains Japan’s traditional culture and spiritual culture until now. Matsuri includes traditional ones with rich history and it also is used to refer to modern-day events or festivals without ritualistic(祭儀) meaning. Various ypes of Matsuri can be found throughout Japan. In Japanese textbooks with which Korean learners use contain details about a few Matsuri that represent Japan among various types of Matsuri. Therefore, more accurate details and understanding of the cultural element, which is ‘Matsuri’,would be required. In order to assist in correctly understanding the cultural element, Matsuri, this study analysed the current state and issues with Matsuri from the textbooks used in secondary schools and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uggest ways to improve the education on Matsuri. For research methods, Japanese cultural elements with the term ‘Matsuri’found in twelve high school textbooks for Japanese I from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and six high school textbooks for Japanese I from 2007 Revised Educational Curriculum were collected. Furthermore, the way Matsuri was explained in each of the textbooks was analysed as well. The explanations about ‘Matsuri’ from the culture section in the high school textbooks on Japanese I from the two curriculums were very inefficient and gave Matsuri an image of a festival. Japan’s cultural elements with the term, ‘Matsuri’ include Gion Matsuri(祇園祭り) in Kyoto(京都), Kanda Matsuri(神田祭り) in Tokyo(東京), Tenjin Matsuri(天神祭り) in Osaka(大阪) Yuki Matsuri(雪祭り), Tanabata Matsuri(七夕祭り) and Hinamatsuri(雛祭り) and they are the representative Matsuri. Matsuri can be classified into traditional Matsuri, modern Matsuri and Matsuri as an annual event. With these three types of Matsuri, Korean learners can easily misunderstand Matsuri as simply a festival. By using the term for annual events, its inherent meaning can become vague. This thesis explored ways to improve explanations on Matsuri from traditional Matsuri. As evident from Kyoto Yasaka Shrine(八坂神社)’s Gion Matsuri, Tokyo Kanda Shrine(神田神社)’s Kanda Matsuri, Osaka Tenman-gū(天満宮)’s Tenjin Matsuri, traditional Matsuri which represent Japan were all ancestral rituals of Shrine, the temple for Shinto. The periods of Matsuri were not unrelated to the long-standing agricultural cycles and Japan’s climate condition. Also calming the Gods by holding rites to temperament gods(祭神) comes from a way of thinking that natural disasters were believed to be from the wrath of gods. Also, it is safe to say that traditionally the climax of Matsuri, Mikoshi(神輿) was held to clean up the towns and urban areas and to get blessing. In conclusion, if the rites in Shintos, periodical characteristics, characteristics of gods and the significance of Mikoshi can be supplemented when explaining Matsuri for the education on Japanese culture in Korea. I believe the inherent meaning and symbolism of ‘Matsuri’ can be communicated more effectively.

      • 한국의 TV토론제도의 발전배경에 관한 연구 : 대통령 후보 TV합동토론회의 현황과 과제

        유애리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한국에서도 1997년 제 15대 대통령선거를 계기로 본격적인 미디어 정치의 등장이라는 새로운 정치환경이 조성되었다. 그 가운데 가장 의미 있는 미디어의 역할은 후보들간의 TV토론이었다. 정치가 유권자 다수의 동의에 바탕을 둔 권력을 배경으로 이루어지는 사회적 활동이란 점에서 권력을 얻기 위해 대중을 설득하는 가장 효과적인 수단인 TV가 선거 운동의 중심에 서게 되었다. 대통령 선거운동 기간 동안 4차례 실시된 대통령후보 초청 TV합동토론회는 각 후보에 대한 지지도의 상승과 하강을 가져올 만큼 정치적 영향력을 발휘했다. 이 토론회는 유권자가 후보를 인지하는 경로로 작용하며, 지지후보를 선택하는데 결정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어 미디어시대의 대통령선거를 주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통령 선거의 후보초청 TV합동토론회는 한국정치의 고질병이던 과거의 세몰이식 '바람정치', 고비용 저효율의 낡은 정치 문화를 변화시켰다. TV토론 도입이 다른 나라에 비해 늦었지만 선거법으로 후보자를 초청해 TV토론을 열도록 법제화된 유일한 국가이다. 미국 등 다른 나라의 TV 토론이 방송사의 중계프로그램으로 운영되는 깃과는 달리 공식적인 선거과정으로 TV토론이 실시되므로 토론 과정의 역동성보다는 공정성이 특징이기도 하다. 15대에 이어 16대 대통령 선거에서 치러진 후보자 TV합동토론회는 공정성을 기조로 한 규격화된 진행으로 정책토론의 장으로 충분치 못하고, 의제 설정도 광범위하고, 사회자의 역할이 제한되어 정책대결 양상을 보여주기에는 역부족이었다. 또한 다른 나라TV토론에서는 보기 힘든 3후보를 초청한 토론 형식으로 치러져 쟁점이 부각되지 못한 토론회가 되었다. 유사이래 대통령 선거에서 처음 실시된 15대의 후보자 TV 합동토론회는 평균 시청률이 50%가 넘어 큰 반응을 얻었으나 15대와 크게 달라진 점이 없던 16대 후보초청 TV합동토론회는 시청률이 35%로 크게 떨어졌다. 집권 5년의 한국의 운명을 좌우할 대통령을 뽑는 중요한 선택을 위한 제도로는 아직도 불안정하고 개선되어야 할 점이 많다는 것을 시사하는 수치라 하겠다. 유권자들에게 가장 영향을 미친 미디어 선거운동 방식으로 공식 선거운동 기간에 마련되는 후보 초청 TV합동토론회에 관한 연구는 한국의 건전한 선거문화 발전을 위해 필요하다. 이미 외국에서 시행되어 제도화된 토론 형식을 모방해 사회자 1인과 초청 후보의 질문, 답변, 반론, 재반론으로 이어가는 토론 진행과 짧은 답변 시간은 후보자나 유권자인 시청자에게 낯선 제도이다. 토론 문화가 발달하지 않은 점을 고려해 한국식 토론문화를 새롭게 개발하고 유권자에게 후보결정을 돕는 정책대결을 유도하는 TV토론이 되도록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그 점에서 한국의 TV토론제도가 어떻게 발전해왔는지 그 배경과 특성을 살피고, 다른 나라의 TV토론제도를 비교하는 것을 이 논문의 연구문제로 삼았다. TV토론이 유용한 선거의 도구가 되려면 유권자를 토론의 주체로 인정하는 제도로 변화되어야 한다. 민주주의 실현의 전제 조건인 '유식한 유권자'의 창출과 더불어 유권자들이 참여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라는 점에서 유권자가 토론의 주체가 되는 것은 당연하다. 그러므로 TV토론의 중심은 '선택되어지는' 후보자가 아니라 '선택하는' 유권자 중심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정책 대결 양상을 보이는 양강 구도의 2인 토론, 유권자의 이해를 반영한 의제 선택, 깊이 있게 주제에 천착할 수 있는 토론 형식과 토론의 흐름을 이끄는 사회자의 재량권 확대로 변화되어야 한다. The new political environment was triggered in 1997 by the advent of full-scale mass communication politics in the 15th presidential election of Korea. The most significant media-oriented roles were played by the televised-candidates debates. Analysis of the debates reveals that the televised broadcasting is centered on the election campaign as an effective mean for persuading the mass of people, since politics is the social activity based on the power coming from views of the majority. Quadruply-held TV debates of combined candidates during the 1997 presidential campaign exhibited the political influence with the rise and the fall of popular upholding for each applicant. Recent studies on the combined 'IT' debates showed that they would take the initiative of presidential election in the age of public communication, acting as useful channels for the voters to recognize the applicants and functioning as decisive tools for the supporters to select candidates. The joint TV debates in presidential campaign have changed the old-passioned political culture of Korea, which was characterized by the chronic disease of high-cost and low-efficient system, known as the impetuous politics of general public flocking en masse. In spite of the belated introduction of TV debates compared with other countries, Korea is the only legislative country that could hold the debating TV program by inviting candidates according to the election laws. Contrary to TV debates as hook up programs operated by television broadcasting company in many other countries including U.S.A., the debates of Korea were carried out as formal election processes, characteristic of fair debating courses rather than dynamic ones. Since the combined TV debates were held and uniformly progressed on the basis of fairness in the 16th election of Korea following the 15th one, the result was not well enough to become a policy-debating place and favorable enough to have a showdown with many policies, for the agenda of the discussion were not only diverse but the role of chairman was limited. Furthermore the issues in the debates were not stood out in strong relief because they were conducted in the manner of argumentation with 3 candidates invited, which were not easily shown in many other countries. The televised debates during the 15th great election had acquired an epoch-making audience rating of 50%, however, the ratings of TV debates in the 16th campaign fell down to 35% because the debates were not so much different from the former ones. These above value indicate that these systems, as important criteria for choosing a president who will be responsible for the fate of future Korea during his 5-year term, were unstable yet and still left something to be improved As united-televised-candidates debate is a method of media election campaign which is extremely influential upon voters, the research of it is necessary for creating sound election culture. The mimicked debating form, operated and institutionalized by foreign countries, which comprises a series of question-response-objection-repeated objection process between a chairman and a invited candidate with a short defence time allowed, is an unfamiliar system to both candidates and voters, the TV audience.. The undeveloped debating culture of Korea taken into consideration, more studies on TV debates are required for developing a new debating culture in our nation and inducing policy confrontation that helps voters decide candidate. In this respect, this study is here presented for having an opportunity to look at the circumstance and the character in which the system of Korea was evolved and further figuring out the comparisons of the foreign TV debating system with ours.

      • UCC를 활용한 영어 수업 : 언어적·정의적 효과에 관한 연구

        유애리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ttempts to find out the effect of using User Created Contents(hereafter UCC) on language learning in English classes. For the sake of this research, the researcher asked forty-one(41) freshmen(experimental group) to fill out questionnaires and perform tests(Pre-test & Post-test); that is, the forty-one(41) freshmen filled out the questionnaires and performed the tests before and after they had taken the English class using UCC five(5) times for nine(9) weeks. Also, the researcher requested thirty-nine(39) freshmen(controlled group), who had not taken the English Class using UCC, to fill in the questionnaire and take the test(Post-test only) when the forty-one(41) freshmen(experimental group) filled in the questionnaire and took the Post-test. As a result, the researcher carried out research on the linguistic and affective influence of using UCC in English classes; moreover, this research on using UCC in English classes suggests better ways to apply UCC to English language teaching/learning. The following are the main findings of the research. First, using UCC in English classes had an affirmative effect on the students' general ability in English, particularly their English writing ability. Second, using UCC in English classe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students' participation in learning/studying English, and their desire for English learning. Indeed, this research revealed the affirmative effects of using UCC in English classes on writing competence, learning participation, and learning desire of the students. As a consequence of the research, English language teaching/learning should make full use of UCC as a media material, which comprises multi-media,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dvanced digital devices, etc. in order to make language teaching/learning more effective. For example, this research displayed the affirmative effect on the students' writing ability in English; therefore, UCC should be utilized for teaching/learning English writing to develop the learners' competence. In the future, the environment of English language teaching will be improved. For instance, a blueprint of media-based Instruction, such as the English class using UCC, various media materials, and use of other diverse media will be produced in order to carry out the media-based English instruction in actuality. In conclusion, based on this study, the researcher expects efficient language teaching and effective language learning in English classes will be possible through the active use of media/media materials, such as UCC. 본 연구에서는 지식정보화, 다매체 · 다문화 등의 사회변화에 따른 영어 교육에 대한 사회적 · 개인적 요구를 반영한, 멀티미디어 자료와 정보 통신 기술(ICT) 도구 및 첨단 디지털 기기를 활용한 매체 기반 영어 수업인 UCC를 활용한 영어 수업을 구안하여, 그 언어적 · 정의적 효과를 살펴보고 영어 교육에 있어서 UCC 매체의 활용 방안을 모색하고자하였다. 대학교 1학년 80명을 대상으로 실험 집단 41명은 9주 5차시 UCC를 활용한 영어 수업에 참여했고, 사전과 사후 언어적 · 정의적 영역 평가 및 설문에 참여하였다. 비교 집단 39명은 위 실험 수업에 참여하지 않았고, 사후 평가 및 설문이 진행된 동일한 시기에 언어적 · 정의적 영역 평가 및 설문에 참여하였다. 즉, 본 논문은 UCC를 활용한 영어 수업과 언어적 · 정의적 영역 평가지 및 설문지를 사용하여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UCC를 활용한 영어 수업은 첫째, 학습자들의 전반적인 영어 능력과 특히, 영어 쓰기 능력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둘째, 학습자들의 영어에 대한 참여도 및 학습욕구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었다. 영어 수업 · 학습에서 UCC와 같은 멀티미디어 매체들을 적극적으로 활용한다면 학습자들이 영어를 더욱 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고, 효과적인 영어 수업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특히, 영어 쓰기 교수 · 학습 과정에서 UCC와 같은 다양한 멀티미디어 매체들을 충분히 활용한다면, 쓰기 능력에 대한 긍정적인 효과와 영어에 대한 참여도 및 학습욕구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에 의해 학습자들의 영어 쓰기 능력 향상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매체 기반 영어 수업이 학교에서 실제적으로 실행되기 위해서는 현 영어 교육 과정에 맞는 매체 기반 영어 수업의 청사진이 필요하며, 다양한 매체를 활용한 수업 교재 및 교구들이 개발 · 제작되어야 하겠다. 앞으로 우리나라 영어 교육에서 각종 멀티미디어 자료와 정보 통신 기술(ICT) 도구 및 첨단 디지털 기기를 활용하는 매체 기반 수업을 보다 적극적으로 진행하여, 교사들에게는 효율적인 영어 수업이 또한, 학생들에게는 효과적인 영어 학습이 가능해지길 기대한다.

      • 졸겔 합성법을 이용한 LixLa3Zr2O12 계열 세라믹 고체전해질의 제조 및 특성연구

        유애리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Rechargeable lithium-ion batteries have been widely used as energy sources for a variety of electronic devices, such as smartphones and laptop computers because of their high energy densities. Recently, some researchers have tried to solve the safety concerns by eliminating the liquid electrolyte. Instead, the pair builds an entirely solid-state battery that uses a ceramic electrolyte to separate the lithium anode from the cathode. A property of interface between solid electrode and electrolyt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keys to fabricate all-solid-state lithium ion battery. The lithium garnet ceramic has been considered as one of promising solid-state electrolytes for secondary lithium batteries. Li7La3Zr2O12(LLZO) has recently become of high interest as a result of its potential as a solid state Li-ion conductor, because it has good ionic conductivity (>10-4S/cm) and stable interface against lithium. In this study, we have fabricated, optimized and characterized two kinds of Al-doped LLZO powders by solid-state synthesis and by sol-gel processing. And the two kind of LLZO powders were compared in terms of processing window and powder size. And Nb-doped Li6.2La3Zr2-xNbxO12(LLZNO) nanopowders were prepared by the modified sol–gel process from the stoichiometric mixtures. Optimal sol-gel mixing order and sintering conditions were obtained for high Li ion conductivity with pure cubic structure and little second phase such as Pb-deficient pyrochlore and LaAlO3. 현재 리튬 이차전지는 주로 모바일 기기의 전원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대용량화 기술의 발전에 따라 자동차 및 에너지 저장장치 등의 용도로 사용이 확대되고 있다. 리튬 이차전지가 다양한 용도로 응용 가능성이 제시되고 현실화 되면서 고용량, 고출력을 비롯하여 안정성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었다. 또한 저가격화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특히 시장이 큰 중대형 리튬 이차전지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각국 간의 경쟁이 치열하다. 이 논문에서는, 첫째, 가넷구조의 LLZO계열의 고체전해질의 합성법의 비교를 통해 Al을 첨가한 최적조성도출을 통한 나노 분말화 및 안정적인 큐빅상 형성을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때의 변수들은 Li, Al의 조성 및 상형성 온도인 calcination 온도를 700~1000℃로 설정하였다. 두 번째로는 첫 번째 실험을 통한 cubic상 형성원리 및 특성을 가지고 Nb을 첨가한 LLZO 세라믹 고체전해질의 이온전도도 향상을 위해 급속 유도 가열 프레스(Rapid induction hot press, RIHP) 공정을 실험을 진행하였다. 그리고 위의 실험조건을 가지고 기조의 가넷구조의 고체전해질이 가지는 단점인 높은 공정온도, 낮은 이온전도도를 보완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