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토포필리아 관점의 도시 브랜딩 특성에 관한 연구

        유승희 ( Ryu¸ Seunghee ),황용섭 ( Hwang¸ Yongseop ),김주연 ( Kim¸ Jooyu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7

        (연구배경 및 목적) 세계의 각 도시들은 대외적으로는 국가경쟁력 강화와 대내적으로는 지역 발전을 위해 적극적으로 도시 브랜딩을 활용하고 있다. 도시 브랜딩은 심볼, 로고 등 그래픽적 아이덴티티 확립에서 도시의 특색을 반영한 공간으로 그 범위가 확장되고 있다. 도시 브랜딩의 목적은 그 도시가 의도한 가치를 소비자들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도시를 기억하여 재방문하도록 유도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서는 소비자 입장에서 공간을 기억하는 가치기반의 관점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 토포필리아는 공간과 장소의 개념을 분리하여 물리적인 환경인 ‘공간’이 공간에 대한 개인의 경험과 정서적 교류를 통해 특정한 ‘장소’로 인지된다는 이론이다. 이에 본 연구는 소비자 인식 가치에 기반한 토포필리아 관점에서 도시 브랜딩의 공간의 특성이 성공적인 도시 브랜딩 공간에서 어떻게 효과적으로 발현되고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먼저, 토포필리아와 도시 브랜딩의 개념을 기존 문헌과 연구를 통해 재정립하고, 토포필리아와 도시 브랜딩의 특징을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토포필리아 관점에서 도시 브랜딩의 공간 특성을 도출하였다. 이후 도출한 특성을 중심으로 대상 공간을 선정하여 사례 연구를 진행한다. 대상 공간은 성공적인 도시 브랜딩의 공간 4곳을 선정하여 각 공간에서 도출된 특성이 어떻게 발현되는지 분석하였다. (결과) 본 연구에서는 토포필리아 관점으로서 도시 브랜딩의 공간 특성 중 정체성 지각과 상징적 태도의 역사성이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상징적 태도의 상징성과 경험적 신뢰의 안전성에서 높게 나타났다. 이는 도시의 특색을 반영하고 잘 보존된 도시 브랜딩의 역사적 문화적 공간은 시각적 자극과 개인의 경험을 통해 특정 장소로 인식 전환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요소로 의미가 크다고 유추할 수 있다. (결론) 도시 브랜딩에서 공간은 시각적 자극과 동시에 경험을 통한 정서적 교류의 매개체이다. 기존 공간이 가지고 있는 역사적 환경적 요소를 정체성을 기반으로, 상징적으로 잘 보존하고 현대적으로 경험 가능한 공간으로 전략적으로 활용할 때 소비자들에게 가치 있는 특정 장소로 인식되고 오랫동안 기억될 수 있다. 이는 도시 브랜딩은 역사적 가치 공간을 잘 보존하고, 그 공간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해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활동이 도시 브랜딩의 성공적인 결과로 귀결됨을 알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도시의 문화적 역사적 이해를 바탕으로 현대 소비자 가치기반의 니즈를 파악하여 과정을 수행할 때 도시 브랜딩의 공간으로 성공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 있음을 유추할 수 있다. (Background and Purpose) Cities around the world are actively using urban branding to strengthen national competitiveness and internally develop the region. Urban branding is moving away from establishing graphic identities such as symbols and logos in spaces that reflect the city's characteristics. The purpose of urban branding is to encourage consumers to positively recognize the intended value and to remember the city and return. This requires a value-based approach that makes spaces memorable from a consumer’s perspective. Topophilia is the theory that "space", a physical environment that separates the concept of space and place, is perceived as a specific "place" through personal experiences and emotional exchanges. From a Topopilia perspective based on consumer awareness values, the study explores how the nature of urban branding effectively manifests and influences the characteristics of urban branding in a successful urban branding space. (Method) First, the concept of topopilia and urban branding was redefined through existing literature and research, and the characteristics of topopilia and urban branding were derived. Based on this,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urban branding were derived from a Topopilia perspective. The target space was select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derived, and a case study was used to analyze how the characteristics derived from each space are expressed. (Results) In this study, the historicity of identity perception and symbolic attitudes was high among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urban branding from a Topopilia perspective. It also appeared high in the symbolism of symbolic attitudes and the safety of empirical trust. This reflects the city's characteristics and shows that the historical cultural space of well-preserved urban branding has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changing perceptions through visual stimulation and personal experience. (Conclusions) In urban branding, space is a medium of visual stimulation and emotional exchange through experience. Based on the identity of the historical environmental elements of the existing space, it can be recognized and remembered as a specific place of value for consumers when strategically utilized as a symbolically well-preserved and modernly experienced space. It should be noted that urban branding preserves historical value spaces well, and actively using modern reinterpretations results in successful urban branding. This allows us to identify the needs of modern consumers’ values based on the cultural and historical understanding of a city; from this, we can infer that the process has a successful outcome.

      • KCI등재

        프로젝트 접근법을 수행한 교사들의 실천적 지식의 변화 탐색

        유승희(Ryu, Seunghee) 한국열린교육학회 2014 열린교육연구 Vol.22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유ㆍ초등 교사가 프로젝트 접근법을 현장에서 수행하면서 교사로서 어떤 실천적 지식의 변화들이 일어났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방법은 질적 연구 중 포커스 그룹(focus-group)의 토의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radley가 제안한 영역분석, 분류분석, 성분분석의 방법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아동들은 무한한 잠재가능성의 존재이며 독자적 개성을 가진 존재임을 인식하게 되고 적절한 "흥미"에서 출발하면 아동들은 내적동기를 가진 탐구의 주체자가 될 수 있다는 아동중심적 아동관, 지식관 및 수업관의 변화를 가져오게 되었다. 둘째, 교사들은 아동들과 소통이 원만하게 이루어지고 학교생활이 즐겁고 행복하니 보람을 느끼고 소집단 중심의 상호조정적 협력을 통해서 아동들이 자기 주도적으로 탐구해 나가는 구성주의적 교육방법에 자신감을 가지게 됨으로써 교사들의 교직적 삶과 교육방법에 대한 긍정적 변화를 가져 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hanges that occurred in teachers whilst carrying out the project approach in the classroom. This study's intent was to suggest the meaning of project approach to the teachers who implement it, and to contribute to the academic field as a whole. The study had one main question: What changes do teachers show whilst carrying out the project approach? In order to answer this question a Focus Group Interview was hired as a study method, and the interview data collected was analyzed through what Spradley suggested, which is domain analysis, taxonomic analysis, and componential analysis. Using purposive sampling, twenty-five teacher participants with more than three years of experience in the project approach were gathered. The participants are divided into four groups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homogeneity and segmentation. The study period was from December, 2012 to June, 2014.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Child-centered views are established. (1-1) Teachers came to have child-centered views whilst carrying out the project approach by becoming aware that children are in existence with unlimited potentiality and individuality. (1-2) Teachers came to have child-centered views on knowledge and instruction, understanding that starting from the children's interests leads them to the subjects who explore things with internal motivations. (2) Teachers' lives and their teaching methods changed. (2-1) Teachers were encouraged to teach in school, having harmonious interactions with their children and watching them having happy school lives. (2-2) Teachers came to have confidence in applying constructivistic teaching methods, watching that their children intercoordinate and voluntarily plan and proactively explore. In conclus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project approach applied to the educational field helped teachers establish child-centered views on education, positive values on their own lives and educational methods, which shows that it is a significant educational and instructional theory.

      • KCI등재

        도시브랜딩을 위한 공간 업사이클링 특징에 관한 연구 - 칠성조선소 업사이클링을 중심으로 -

        유승희 ( Ryu Seunghee ),김주연 ( Kim Jooyu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3

        (연구배경 및 목적) 현대의 각 도시들은 경쟁력 확보를 위해 도시 브랜딩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또한, 20세기 이후 산업 구조 변화에 따라 도시 공간에서 도시 재생은 중요한 키워드로 이미 자리 잡고 있다. 이에 기능이 다한 공간을 재해석하여 가치를 더하는 공간 업사이클링에 주목하였다. 본 연구는 도시 브랜딩 관점에서 공간의 범위를 공공 사업 공간에서 상업공간으로 확장하고, 도시의 가치를 담고 있는 상업공간에서 공간 업사이클링이 어떻게 효과적으로 발현되는지 특성을 연구한다. 도시 브랜딩에서 문화 중심형 도시 재생은 큰 역할을 해오고 있다. 이에 재생의 개념을 공공 디자인에서 상업공간으로 확장하여 공간 업사이클링이라는 사회적 트렌드를 반영하고 도시 브랜딩을 구현하는데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먼저, 공간 업사이클링과 도시 브랜딩의 개념을 기존 연구를 통해 재정립하고, 공간 업사이클링 특성과 도시 브랜딩의 특징을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도시 브랜딩에서의 공간 업사이클링의 특성을 제시하였다. 이후 도출한 키워드와 새롭게 제시한 특성을 중심으로 사례 연구를 진행한다. 대상 공간은 속초시를 대표하는 산업인 기존 조선소를 업사이클링한 공간으로 속초시에서 도시 브랜딩 사업의 긍정적 본보기로 평가되고 있는 칠성조선소로 선정하여 대상 공간에서 각 특성이 어떻게 발현되는지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본 연구에서는 공간 업사이클링 특성의 조형적, 문화적 특성과 도시 브랜딩 요소에서 정체성과 상징성이, 공간 업사이클링 특성의 기능적 특징과 도시 브랜딩의 요소에서는 차별성과 신뢰성이 각각 연관성이 높은 요소로 분석되었다. 또한, 선행 연구를 통해 제시한 도시 브랜딩에서 공간 업사이클링 특성은 상징적 조형성, 문화적 정체성, 기능적 차별성이 대상 공간에서 동일하게 높은 적용도로 분석되었다. 위와 같은 연관성은 도시의 특색을 가진 특정 공간에 문화적, 사회적 특성을 스토리에 반영하고, 지역 가치의의 희소성을 가진 디자인 요소와 기능을 유지하는 공간 업사이클링은 도시 브랜딩 요소로서도 그 의미가 크다고 유추할 수 있다. (결론) 도시 브랜딩에서 공간 업사이클은 기존 공간이 가지고 있는 지역 사회적, 문화적 요소를 시각적, 심미적으로 표현될 때 소비자들에게 진정성 있는 공간으로 인지될 수 있다. 또한 기존 공간의 용도와 기능을 적극 활용하고 지역 특색의 체험을 유도하는 활동은 곧 도시 브랜딩의 활동으로 귀결되어 진다. 이는 지역 문화에 대한 이해가 바탕으로 과정을 수행할 때 진정성 있는 공간으로 의미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Background and Purpose) Modern cities are actively using urban branding to gain a competitive advantage. In addition, urban regeneration in urban spaces has already been established as an important keyword as the industrial structure has been changing since the 20th century. This was noted for space upcycling, which adds value by reinterpreting the space with a function. From an urban branding perspective, the study expands the scope of space from a public space to a commercial one and studies the characteristics of how space upcycling is effectively expressed in commercial spaces that contain urban values. Culturally-oriented urban regeneration has played a big role in urban branding. We want to expand the concept of regeneration from public design to commercial space to reflect the social trend of space upcycling and how it affects the implementation of urban branding. (Method) First, the concept of space upcycling and urban branding was established through existing research, and the characteristics of space upcycling and urban branding were derived. Based on this, it presented the characteristics of space upcycling in urban branding. We will, then, conduct a case study focusing on the derived keywords and newly proposed characteristics. The Chilsung shipyard was selected as the target space that is evaluated as a positive example of urban branding business in Socho City as a space that upcycled the existing shipyard; it is an industry representing Socho City, comparing and analyzing how each characteristic is expressed in the target space. (Results) In this study, the formative, cultural,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space upcycling characteristics, identity and symbolism in urban branding elements, and elements of urban branding were analyzed as factors that were highly related to discrimination and reliability. In addition, space upcycling characteristics in urban branding presented through prior research were analyzed with the same high application of symbolic formativeness, cultural identity, and functional discrimination in the target space. These associations reflect cultural and social characteristics in a particular space with city characteristics, and it can be inferred that space upcycling, which retains design elements and functions with the scarcity of local values, is also significant as an urban branding element. (Conclusions) In urban branding, space upcycling can be perceived as an authentic space for consumers when the local social and cultural elements of the existing space are visually and aesthetically expressed. In addition, activities that actively utilize the uses and functions of existing spaces and encourage local experiences soon become urban branding activities. This was meant to be a truly authentic space when conducting courses based on an understanding of local culture.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