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봉원사 명부전 존상(1704년)의 복장 유물과 발원문 분석

        유근자(Yoo, Geun-Ja) 보조사상연구원 2021 보조사상 Vol.61 No.-

        본 논문은 서울 봉원사 명부전 존상의 복장 유물과 조성발원문을 분석한 것으로, 2019년에 조사된 복장 유물과 조성발원문(1704년) 및 무독귀왕상 지물의 묵서 자료(1858년) 등을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봉원사 명부전 존상은 조각승 색난이 1704년(숙종 30)에 17명의 조각승들과 함께 양평 용문사에서 조성되었고 1858년에 이곳으로 이안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복장 유물의 현황, 발원문의 분석, 명부전 존상의 이운(移運) 등을 다루었다. 복장 유물은 목제 후령통과 이것을 감싼 청초폭자를 위주로 살펴보았다. 조선시대 불상에서 발견된 후령통은 대부분 금속제이고 형태는 원통형(圓筒形)과 합형(盒形)으로 구분된다. 그런데 봉원사 명부전 존상에서 수습된 7점 목제 후령통은 표주박 형태로 유례가 없는 특이한 예에 속한다. 조각승 색난은 양평 용문사에서 1704년에 현 봉원사 명부전 존상을 조성했는데 그는 고흥 능가사의 승려로 주로 전라도 지역에서 활동하였다. 그런데 경기 지역으로 그의 활동 범위가 확대된 데에는 계파 성능이 주도한 1703년의 화엄사 각황전 불상 조성과 관계된 것으로 짐작된다. 계파 성능은 숙종을 비롯한 왕실의 시주로 각황전 불상의 조성을 주관했고, 이때 색난은 여러 조각승들과 함께 불상 제작에 참여했기 때문에, 왕실 원찰이었던 양평 용문사 명부전 존상이 1704년에 조성되는데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양평 용문사에서 1858년에 봉원사로 명부전 존상을 이운한 원인은 순원왕후 김씨의 1주기와 관계된 것으로 추정하였다. The Buddhist Statues enshrined at the Myungbujeon Hall of the Bongwonsa Temple were investigated the Bokjang [Enclosed Relics] on July, 2019. The main issue addressed in this paper is to determine when the Buddhist statues were produced through analysis of Balwonmun on Creation (1704) - a document recoding the creation purpose of Buddhist statues and the names of the people who involved in the project, Writing on the bottom of wooden box (1858) that Mudokgwi is hold - recording the place where the wooden box be enshrined. The Buddhist Statues were created in 1704 and were originally enshrined in a temple called Yongmunsa Temple in Yangpyeong, Gyeonggi-do, and moved to Bongwonsa Temple in 1858. Among the Bokjang relics of statues, the most noteworthy objects are the Huryungtong and the Cheongchopokja[blue-dyed cloth] wrapped around Huryungtong. During the Joseon Dynasty, most of the Huryeongtongs were made of metal and were cylindrical or bowl-shaped. Most of the fabric that wraps the huryeongtong is yellow and is called Hwangchopokja. On the other hand, the 7 Huryungtongs of Myungbujeon of Bongwonsa Temple are made of wood, and have a bowl-shaped body with a gourd-shaped lid. The cloths wrapped arround the Huryungtongs are blue-colored Cheongchopokja. The Buddhist statues at the Myungbujeon hall of Bongwonsa Temple are large statues built in 1704 by Saeknan, a monk sculptor who was active in the late 17th and early 18th centuries, along with 17 monk sculptors. This fact indicates that the activities of a monk sculptor Saeknan have expanded from Jeolla-do area to Gyeonggi-do area, and occupies an important place in the history of Buddhist sculpture of the late Joseon Dynasty.

      • KCI등재

        학술상 순상논문 : 간다라(Gandhara) 출가유성불전도(出家踰城佛傳圖)의 연구

        유근자 ( Geun Ja Yoo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08 禪文化硏究 Vol.4 No.-

        본 논문은 석존의 일대기를 표현한 불전도상 중 간다라의 <출가유성> 불전도에 관한 것으로 지역과 시대에 따라 어떤 도상 변화를 보이는지를 살펴보고, 특히 간다라 지역의 <출가유성도>에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인물과 구도를 통하여 동서문화 교류의 영향을 밝히고자 하였다. 우선 인도와 간다라 지역의 <출가유성도>의 도상적 특징을 비교해 보면, 산치 제1탑문의 <출가유성>은 상징 즉 불족적(佛足跡)과 산개(傘蓋)로 석존을 표현한 무불상시대의 <출가유성>을 보여주고 있다. <출가유성> 장면을 탑문에 조각한 것으로 보아 <출가유성>의 비중이 다른 불전도 장면에 비해 중요하게 다루어진 것으로 여겨진다. 반면, 간다라 지역의 <출가유성> 장면에서는 불상 불표현에서 벗어나 처음으로 인간의 모습 석존을 표현하고 있다. 간다라 <출가유성> 불전 도상에 등장하는 조익관을 쓰고 무장을 한 천신, 카필라 성의 여신, 숄을 걸친 밤의 여신과 같은 인물들은 인도적인 인물이 아니라 동서 문화의 교류를 반영한 것으로 파악된다. 카라치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정면관의 <출가유성>에 나오는 무장을 한 천신과 로리안탕가이 출토 <출가유성>에 나타난 석존의 출가를 인도하는 무장에 대해서는 ``비사문천``, 혹은 ``마라``라는 설이 있지만 여러 경전에 많은 신들이 등장하기 때문에 그렇게 보기는 어렵고, 그 도상은 <사천왕봉발>의 비사문천, 또는 판치카 도상과 유사한 것으로 보아 간다라의 신상(神像)표현의 하나로 보인다. 간다라의 <출가유성>이라고 하는 특수한 주제를 통해 살펴본 동서문화 교류는 이민족의 불교 인식과 더불어 이를 또 하나의 지역적인 특수성을 지닌 도상으로 정착시켜 나가는 과정임을 알 수 있게 한다. 불교 문화교류 상에서 가장 주목되는 것 가운데 하나가 바로 하위신(下位神)들의 영향 관계인데, 간다라의 <출가유성> 불전도에서 그 단서를 찾을 수 있다는 데 중요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In this study, among the arts of the Buddha`s life story, the reliefs of the Great Departure of Prince Siddhartha, specially, in Gandhara have been investigated to understand the changes in iconographical meanings of Buddha`s life story according to the time and geographical location, by analyzing the characters and compositions appearing in the images. Compare to other images, the fact that the image of the Great Departure of Prince Siddhartha is sculptured on the torana of Sanchi Stupa-1 is suggesting the importance of the Great Departure in the life story of the Buddha. Buddha is depicted as symbolic images like Buddha`s Foot Print and/or Chattras in the relief of the Great Departure of Prince Siddhartha of Sanchi Stupa-1, Madhya Pradesh, India. In contrast, the appearance of Buddha is depicted as a feature of human for the first time in the reliefs of Great Departure of Prince Siddhartha in Gandhara. It seems that the images of armed God, goddess of Kapilavastu, and goddess of Night (Nyx) that appear in the Great Departure of Prince Siddhartha in Gandhara, reflect the features of cross-cultural creatures between Western and Asian countries but not the regional characters of India. It is hard to accept the suggestions that the images of armed God at the Karachi Museum or armed warrior from Loriyan Tangai in Gandhara as Vaisravana or Mara, because many other Gods appear in several kinds of Buddhist scriptures (Sutra). In addition, their appearances have some analogy to the image of Vaisravana in the Offering of the Four Bowls or image of Panchika. Thus, it seems that their images indicate some kinds of Gandharan Gods showing in Gandharan Buddhist`s arts. In this study, through the Great Departure of Prince Siddhartha in Gandhara, it was found that the evidence of cultural exchanges between Western and Asian regions revealed as a process of establishment of iconography reflecting region-specific characteristics as well as interpopulational understanding of Buddhism. Also, it was able to find clues to the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among Gods in lower classes that is one of the most attracting points in studying the exchange of Buddhist culture.

      • KCI등재후보

        특집논문 : 화계사 불교미술의 성격과 시주자

        유근자 ( Geun Ja Yoo ) 한국불교사연구소 2014 한국불교사연구 Vol.4 No.-

        본고는 화계사 불교미술의 성격과 시주자의 분석을 통해 조선말기 화계사가 갖고 있는 성격을 규명한 것이다. 화계사(華溪寺)는 ‘궁(宮) 절’로 불릴만큼 조선말기 왕실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이 사찰은 흥선대원군을 비롯하여 신정왕후(神貞王后, 1808~1890) 조씨와 효정왕후(孝定王后, 1831~1904) 홍씨 등 고종 때 내명부(內命婦) 비빈(妃嬪)들과 상궁(尙宮)들의 많은 후원을 받았다. 화계사는 1866년에 흥선대원군의 지원으로 중창이 이루어지면서 궁중과 밀접한 관계가 형성되었다. 1875년에는 궁중에서 수를 놓아 만든 관음보살도(刺繡觀音菩薩圖)가 화계사로 옮겨졌고, 이것을 계기로 1876년에는 관음전이 중수(重修)되었다. 또한 1878년에는 왕실의 비빈들과 상궁들의 시주로 명부전(冥府殿)이 건립되었고, 그 안에 후불도(後佛圖) 및 시왕도(十王圖)가 봉안되기에 이르렀다. 화계사의 불교미술 중 화계사 밖에서 제작되었거나 또는 다른 곳에 봉안되어 있던 것들이 옮겨져 왔던 것이며 그 예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첫째, 1875년에 순종의 탄생을 기념하기 위해 왕실에서 조성한 자수관음보살도(刺繡觀音菩薩圖)가 있다. 둘째, 1649년에 황해도 배천 강서사(江西寺)에서 조성된 지장삼존상(地藏三尊像) 및 시왕상(十王像) 등이 있다. 셋째, 소백산 희방사(喜方寺)에서 1683년에 조성된 범종(梵鐘)과 해남 미황사에서 1742년에 만든 운판(雲版), 그리고 1879년에 일본 교토에서 주문 제작해 가져온 중종(中鐘) 등이 있다. 반면에, 화계사에서 조성한 불교미술은 대부분 불화(佛畵)들로, 대웅전·명부전·관음전·산신각에 봉안되었던 것들이다. 화계사 불교미술이 갖는 성격은 크게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하나는 영가를 천도하는 명부신앙(冥府信仰)과 관련된 것이고, 다른 하나는 생자(生子) 및 무병장수 기원과 관련된 것이다. 특히 화계사는 주로 왕실 및 왕실 관계자가 시주자로 참여하고 있기 때문에, 왕실의 왕자 탄생 및 천도(遷度)와 관련된 불사(佛事)가 이루어졌다. 많은 불교미술이 다른 곳에서 화계사로 옮겨올 수 있었던 이유도 이와 관련이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 Hwagyesa temple had a close connection with the Royal Palace of late Joseon dynasty of Korea, and it was often referred to as ‘Temple of the Royal Family’. During the reign of emperor Kojong (1852~1919), Hwagyesa temple had gained royal support especially from Queen Shinjeong of the Pungyang Jo family (神貞王后, 1808~1890; mother of King Heonjong), Queen Hyojeong of Namyang Hong family (孝定王后, 1831~1903; wife of King Heonjong), Queens and the royal concubines (妃嬪), and Ladies of Court (especially Sanggoong, 尙宮) as well as Heungseon Daewongun. Hwagyesa temple was renovated under the auspices of Heungseon Daewongun in 1866, and this led to this temple become closely associated with Royal Family. In 1875, a Embroidery Image of Avalokitesvara (刺繡觀 音菩薩圖) created by Ladies of Court (內命婦) was brought to Hwagyesa temple from the in the Royal Palace. With this enshrinement, the Hall of the Avalokitesvara (觀音殿) was renovated in 1876. In addition, Myungbujeon (冥府殿; the Hall of Ksitigarbah Bodhisattva and Ten Kings of Hells) was constructed with the support of Queens and Ladies of Court, and then the Buddhist Painting Behind the Buddha Statue (後佛圖) and the Painting of Ten Kings of the Hells (十王圖) were enshrined there in 1878. Many of the Buddhist arts had been brought to Hwagyesa temple from the another places originally created or enshrined. Those include (1) the Embroidery Image of Avalokitesvara (刺繡觀音菩薩圖) created in 1875 to celebrate the birth of King Soonjong (son of Emperor Kojong), (2) the Ksitigarbha Bodhisattva Triad Statues (地藏菩薩三尊像) and the Statues of Ten Kings of the Hells (十王像) created in 1649 at the Kangseosa temple (江西寺) located in Baecheon, Hwanghae-do province, (3) the Great Bell (梵鐘) created in 1638 at the Heebangsa temple (喜方寺) of Sobaeksan mountain, (4) Cloud-shaped gong (雲版) created in 1742 at the Mihwangsa temple (美黃寺) of Haenam, Jeonnam province, (5) Custom-made Middle-sized Bell (中鐘) created in 1879 at Kyoto, Japan. On the other hand, most of the Buddhist arts created at the Hwagyesa temple were Buddhist Paintings. They had been enshrined in the Main Buddha Hall (大雄殿), the Myungbujeon (冥府殿), the Hall of Avalokitesvara (觀音殿), and the Mountain God Shrine (山神閣). The Bulsa (佛事, the work of doing Buddhist-work, any deed or service, and building temples, or offering to the Buddha) of Hwagyesa temple was achieved by the support from Royal Family for the celebration of the birth of prince and for the relief of the spirit of King`s children died at a very young age. It might be expected that the biggest reason why so many Buddhist arts had been brought to Hwagyesa temple from the another places is the participation of Royal Family to support this temple. The Buddhist arts of Hwagyesa temple in late Joseon dynasty was closely associated with religious beliefs on Relief of Spirit of the Deceased, and on Hope for Birth of Son and on Wish for Good Health and Long Life.

      • KCI등재

        조선후반기 제2,3기 불상조성기를 통한 불상의 조성 배경 연구

        유근자 ( Geun Ja Yoo ) 한국불교미술사학회(한국미술사연구소) 2013 강좌미술사 Vol.40 No.-

        이 논문은 조선후반기 제2기(1725∼1800)와 제3기(1801∼1910)에 제작된 불상 조성기를 분석해 그 불상이 조성된 배경을 연구한 것이다. 첫째, 불상조성기의 구성에 대해 고찰하였고 둘째, 불상 조성기에 나타난 불상의 원 봉안처와 불상의 이동에 대해 고찰하였다. 조선후반기 제2·3기의 불상들은 제1기와 마찬가지로 불상들의 이동이 상당히 많았던 것을 살필 수 있었다. 섯째, 조선후반기 제2·3기 불상조성기 緣化秩에 나타난 證明과 化主를 분석해 당시 불교계를 주도하던 승려들과 佛事와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넷째, 조선후반기 제2·3기의 가장 두드러진 변화는 시주층이 다양화되고 있음을 살필 수 있었다. 조선전기부터 내려오던 非僧非俗의 社長輩가 조선후반기 제1기인 17세기에는 불사의 새로운 주도층인 居士와 舍堂으로 나뉘어 등장하고 있었다. 이러한 흐름은 제2기인 18세기에도 계속되고 있음을 고찰하였다. 다섯째, 불상조성기 내용 가운데 조각승의 명칭과 이 시기에 활동한 다양한 조각승들의 流派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여섯째, 조선후반기 제2·3기 불상조성기에 나타난 조성배경에 대해 살펴보았다. 조선후반기 제2·3기는 사회변동이 심했던 시기로서 불상 조성은 양적으로 제1기에 비해 현격히 줄어들었으나, 그 중에서도 가장 많이 조성된 불상은 아미타불상과 관음보살상이었다. In this study, the historical backgrounds of the foundation of Buddhist sculptures were investigated in the second period(1725∼1800) and the third period(1801∼1910) of late Joseon dynasty by analyzing the records describing the projects as forms of document or inscription. The changes in the places of enshrinement of buddhist sculptures from the original place to other place were generally observed as shown in the first period(1608∼1724) of Joseon dynasty. After appearing on the record as new classes in the first period(1608∼1724), Geosa(居士, a male devotee of Buddhism) and Sadang(舍堂, a female devotee of Buddhism) still played major roles as Siju(施主, a donator who makes offerings to a priest or to the temple) or Hwaju(化主, the priest who begs for alms preaching the Buddha-dharma to the people) in second period (1725∼1800) and the third period (1801∼1910) of late Joseon dynasty Among nany monk-sculptors(彫刻僧), HaCheon(夏天), SangJeong(尙淨), InSeong(印性) played active roles as independent groups. Number of constructions of buddhist sculptures had decreased prominently in the second and third periods of late Joseon dynasty. In general, Avalokitesvara Bodhisattva statues(觀音菩薩像) and Amitabha statues(阿彌陀佛像) were constructed in these periods.

      • KCI등재

        토함산 석굴 금강역사의 도상 연구

        유근자 ( Geun Ja Yoo ) 한국불교미술사학회(한국미술사연구소) 2015 강좌미술사 Vol.44 No.-

        본 연구는 토함산 석굴의 전실(前室)과 본실(本室)을 연결하는 연도(羨道) 입구에 배치된 금강역사의 도상적 연원을 고찰한 것으로, 특히 한쌍으로 표현되고 금강저를 들지 않은 권법(拳法) 자세의 도상 파악에 주안점을 두었다. 우리나라에서 금강역사상은 삼국시대 분황사 모전석탑에 처음으로 등장하며, 통일신라시대 부터는 석탑·사리기·토함산 석굴 등 불교미술 속에 다양한 모습으로 표현된다. 이러한 흐름은 조선시대에 까지 이어지는 데, 조선후기에는 사찰입구의 금강문과 명부전에도 배치되기에 이른다. 이 때의금강역사의 역할은 석가모니불을 호위(護衛)하거나 불법(佛法)을 수호(守護)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금강역사에 대하여 크게 세가지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첫째, 금강역사에 대한 다양한 명칭과 역할에 대해 고찰한 것으로, 시대에 따라 금강역사의 역할이 붓다의 호위자에서 도량신(道場神)으로 확대되어 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금강역사의 도상에 관한 고찰로 금강역사의 지물(持物)인 금강저(金剛杵)의 특징 및 금강역사의 수(數)의 변화에 주목하였다. 셋째, 토함산 석굴의금강역사의 배치와 도상에 대한 해석으로, 이 금강역사 도상은 634 년에 조성된 분황사 모전탑의 금강역사상을 모델로 하고 있다고 추정하였다. 분황사 모전석탑의 금강역사상은 우락부락한 얼굴 표정을 하고 있으며, 입을 벌리고 있는 상(像)과 입을 다물고 있는 상(像)이 쌍으로 배치되어 있고, 지물인 금강저를 들고 있지 않다. 이는 5 세기 후반에서 6 세기 경에 나타난 중국의 금강역사 상을 반영한것으로 보인다. 토함산 석굴에 나타난 신장상들의 배치법(팔부중, 금강역사, 사천왕, 제석천·범천 순)과 가장 유사한 예는 화엄사 4 사자삼층석탑의 부조상이다. 토함산 석굴의 금강저를 들고 있지 않은 권법(拳法)자세의 금강역사 도상은 화엄사 4 사자삼층석탑에서도 일부 나타나고 있다. 화엄사 4 사자석탑에서는 1 명은 권법 자세, 1 명은 금강저를 들고 있는데, 권법 자세를 취한 금강역사가 제석천과 함께 배치된 경우에는 제석천이 금강저를 들고 있기 때문에 금강역사는 금강저 대신 권법 자세를 취하고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This study was focused on the iconographic origin of Vajrapani reliefs on both walls of the entrance to corridor connecting front chamber and main chamber of Tohamsan Grotto(Seokguram), which were represented as pair and as empty hands. In Korea, Vajrapani first appears on the Stone Brick Pagoda of Bunhwangsa Temple at the period of the Silla Dynasty. From the period of United Silla through Joseon Dynasty, Vajrapani appears very frequently in Buddhist arts such as Stupa, Sarira Reliquary, and Tohamsan Grotto. In the late period of Joseon Dynasty, Vajrapani was represented in Geumgangmun (金剛們) and even in Myungbujeon (冥府殿). This study was focused on the iconographic origin of Vajrapani reliefs on both walls of the entrance to corridor connecting front chamber and main chamber of Tohamsan Grotto(Seokguram), which were represented as pair and as empty hands. In Korea, Vajrapani first appears on the Stone Brick Pagoda of Bunhwangsa Temple at the period of the Silla Dynasty. From the period of United Silla through Joseon Dynasty, Vajrapani appears very frequently in Buddhist arts such as Stupa, Sarira Reliquary, and Tohamsan Grotto. In the late period of Joseon Dynasty, Vajrapani was represented in Geumgangmun (金剛們) and even in Myungbujeon (冥府殿). This study was focused on the iconographic origin of Vajrapani reliefs on both walls of the entrance to corridor connecting front chamber and main chamber of Tohamsan Grotto(Seokguram), which were represented as pair and as empty hands. In Korea, Vajrapani first appears on the Stone Brick Pagoda of Bunhwangsa Temple at the period of the Silla Dynasty. From the period of United Silla through Joseon Dynasty, Vajrapani appears very frequently in Buddhist arts such as Stupa, Sarira Reliquary, and Tohamsan Grotto. In the late period of Joseon Dynasty, Vajrapani was represented in Geumgangmun (金剛們) and even in Myungbujeon (冥府殿). This study was focused on the iconographic origin of Vajrapani reliefs on both walls of the entrance to corridor connecting front chamber and main chamber of Tohamsan Grotto(Seokguram), which were represented as pair and as empty hands. In Korea, Vajrapani first appears on the Stone Brick Pagoda of Bunhwangsa Temple at the period of the Silla Dynasty. From the period of United Silla through Joseon Dynasty, Vajrapa.i appears very frequently in Buddhist arts such as Stupa, Sarira Reliquary, and Tohamsan Grotto. In the late period of Joseon Dynasty, Vajrapani was represented in Geumgangmun (金剛們) and even in Myungbujeon (冥府殿).

      • KCI등재

        강릉 보현사 목조문수보살좌상의 복장 유물과 중수발원문의 분석

        유근자(Yoo, Geun-Ja) 동국역사문화연구소 2021 동국사학 Vol.72 No.-

        본 논문은 2018년에 조사된 강릉 보현사 목조문수보살좌상[老文殊菩薩像]의 복장 유물과 중수발원문(1599년)을 분석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중요한 사실 가운데 하나는 보현사 목조문수보살좌상의 중수발원문(1599년)에는 오대산 상원사 상은 ‘童子文殊像’으로, 강릉 보현사 상은 ‘老文殊像’으로 기록되어 있다는 것이다. 이는 조선시대에 ‘동자문수상’과 ‘노문수상’을 한 쌍으로 중수한 현존하는 유일한 예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보현사 목조문수보살좌상의 조성 시기는 양식 특징으로 보아 고려 말에서 조선 초로 추정되며, 복장물의 분석을 통해 15세기와 16세기에 두 차례 걸쳐 중수된 것이 확인되었다. 1차 중수는 상원사 목조문수동자좌상이 조성된 1466년에 이루어졌고, 2차 중수는 상원사 목조문수동자좌상과 함께 1599년에 실시되었다. 2차 중수 때 상원사 상은 ‘동자문수상’으로, 보현사 상은 ‘노문수상’으로 인식되었다. 1차 중수에 관한 기록은 없지만 황초폭자, 후령통, 전적 등 복장 유물이 1466 년에 조성된 상원사 목조문수동자좌상의 유물과 거의 유사한 것으로 보아 1466년에 1차 중수가 이루어진 것으로 파악된다. 1599년 보현사 목조문수보살좌상의 중수는 智雲과 普明 등의 승려들이 주도하였고, 의승군으로 활동한 學明이 중수발원문을 쓴 것으로 보아 이 중수는 왜란으로 죽은 자들을 위한 영가 천도와 연관된 것으로 보인다. 보현사 목조문수보살좌상의 황초폭자와 후령통은 상원사 목조동자문수좌상의 그것들과 마찬가지로 1466년에 조성되었고, 중수발원문은 1599년에 추가한 것이다. 황초폭자에 기록된 ‘王妑尹氏’는 세조비 정희왕후로 추정해 1466년 1차 중수의 시주자로 해석하였다. This paper was written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sis of the Bokjang relics (1466) and the ‘Balwonmun on Refurbishment of the Statue’ (1599) found in the wooden seated Manjushri statue of the Bohyunsa Temple, Gangneung, investigated in 2018. One of the more meaningful facts revealed in this study is that the Manjushri statue of Sangwonsa temple is recorded as “youthful Manjushri” and the statue of Bohyunsa temple is recorded as “old-aged Manjushri”. This is the only extant case of refurbishment as a pair of ‘youthful Manjushri’ and ‘old-aged Manjushri’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 production period of the Manjushri statue of Bohyunsa temple is estimated from the end of Goryeo to the beginning of the Joseon Dynasty in view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yle. The statue appears to have been refurbished twice, in the 15th and 16th centuries. The first refurbishment of the statue of Bohyunsa temple was made in 1466 when the Manjushri statue of Sangwonsa temple was produced. The second refurbishment was done together with the statue of Sangwonsa temple in 1599. At this time, the Manjushri statue of Sangwonsa temple was recognized as “youthful Manjushri” and the statue of Bohyunsa temple as “old-aged Manjushri”. Although there is no record of the first refurbishment, it is believed that the first refurbishment of the Manjushri statue of Bohyunsa temple was carried out in 1466, as Bokjang relics such as the Hwangcho- pokja and Huryungtong are almost similar to those found in the Manjushri statue of Sangwonsa temple produced in 1466. In 1599, the refurbishment of the wooden seated Manjushri statue of Bohyunsa temple was led by monks such as Ji-un(智雲) and Bo-myeong( 普明). And since monk Hak-myeong(學明), who was active as a Ui-seung-gun(義僧軍, monk soldier), wrote the Balwonmun, it seems that this project is related to the pray for the souls of the people who died in the Japanese invasion to go to the world of paradise. The Hwangcho-pokja and Huryungtong of the Manjushri statue of Bohyunsa temple were made in 1466 as were those of the Manjushri statue of Sangwonsa temple, and the ‘Balwonmun on Refurbishment of the Statue’ was additionally enshrined in 1599. It seems that Qeen Jeong-Hee, the wife of King Sejo, supported the refurbishment project of the Manjushri statue of Bohyunsa temple in 1466, as the letters ‘王妑 尹氏’ are written on the Hwangcho-pokja wrapped around Huryungtong (1466).

      • KCI등재

        황수영박사(黃壽永博士)의 한국 불상 연구

        유근자 ( Geun Ja Yoo ) 한국불교미술사학회(한국미술사연구소) 2014 강좌미술사 Vol.43 No.-

        이 논문은 황수영 박사의 불상에 관한 연구를 크게 여섯 가지 주제로 압축하여 고찰한 것이다. 첫째, 서산마애불상과 태안마애삼존불상 등 백제의 마애불상에 관한 연구에서, 서산마애삼존상에 대한 황수영박사의 연구는 그의 불상 연구에 관한 첫 논문이라는 점에서 주목되며, 서산마애삼존상을 학계에 처음으로 소개한 것이라는 데 의의가 있다. 또한 서산마애삼존상의 존명을 관음보살·석가여래·미륵보살로 해석했으며, 조성연대를 600 년대 초로 편년한 것이 주목된다. 둘째, 충남 연기군 비암사(碑巖寺) 불상군에 관한 황수영박사의 연구는, 금석문 연구에도 매진하였던 그의 연구 방법론과 미술사가 절묘한 조화를 이루어 낸 성과물이라고 할 수 있다. 셋째, 반가사유상에 관한 연구에서 가장 이슈가 되는 것은 반가사유 자세에 대한 해석인데, 크게싯닷타 태자사유상이라는 설과 미륵보살상이라는 설이 있다. 황수영박사는 미륵보살상이라는 후자설을 주장하였는데, 근거로 신라 화랑 김유신이 이끄는 화랑의 무리를 ‘용화향도(龍華香徒)’라고 한 점과, 삼국시대에 특히 미륵신앙이 유행하였다는 사실을 제시하고 있다. 넷째, 삼화령 미륵삼존상에 관한 황수영박사의 연구에서 가장 주목되는 바는, 경주 남산에서 옮겨온 이 삼존상을 .삼국유사.의 내용과 연결시켜 ‘삼화령 생의사 미륵세존’으로 해석한 점이다. 다섯째, 황수영박사는 신라 석굴사원과 석굴암에 관한 연구에서 문무대왕릉(文武王陵)과 석굴암이 긴밀한 관계가 있음을 고증하였으며, 석굴암 본존불의 명호(名號)가 일반적으로 석가불로 통칭되고 있는 것과 달리 아미타불로 주장하였다. 여섯째, 고려시대의 철불과 석불에 관한 황수영박사의 연구는, 하남 하사창동 철조석가여래좌상의 조성 연대를 고려 초로 편년한 것과, 관촉사 보살상의 명호를 관음보살로 해석한 점이 가장 주목되는 바이다. This study summarizes the research works on the Buddhist sculptures of Korea carried out by Dr. Hwang Soo-Young (former Professor of Dongkuk University, Korea). Firstly, Dr. Hwang’s first article, just on the research field of Buddha’s sculptures, was about the study on Rock-carved Buddha Triad in Seosan (located at Yonghyeon-ri, Unsan-myeon, Seosan, Chungcheongnam-do). It is known that he played a critical role in introducing the Rock-carved Buddha Triad in Seosan. He interpretated each of imaged as Avalokitesvara Bodhisattva, Sakyamuni and Maitreya. He estimated creation period of statues as around A.D. 600 (Baekje Kindom). Secondly, it is impressive that Dr. Hwang showed harmonised research approach methodologies of epigraphy and art history on the study of “Buddha Statues at Biamsa in Yeongi-gun”. Thirdly, on the study of “Statue of semi-seated meditating Bodhisattva (半跏思惟菩薩像)”, Dr. Hwang insisted that the image of statue is to be Maitreya rather than Siddhartha based in the historical context of the period it was created. His conclusion was based on the following reasons: (1) there was a trend of Maitreya Belief throughout the society, and (2) the members of Hwarang (花郞) under General Kim Yushin (595~673) were called as “Yonghwahyangdo (龍華香 徒)” which has meanning of Maitreya. Fourthly, the study on “Buddha Triad in Samhwaryoung (三花嶺三尊像)”, which were originally found in Namsan, Kyongju, is one of his major research works. He suggested that the image of principal statue of “Buddha Triad in Samhwaryoung” is to be “Maitreya Buddha in Samhwaryoung Saengeuisa Temple (三花嶺生義寺彌勒)”. It is noteworthy that he interpretated the image of principal statue as Maitreya and named in connection with the record of 『Samguk Yusa (三國遺事)』. Fifthly, through the research on Seokguram, he made it clear that Tomb of King Munmu (文武 大王, 626~681) is closely related to the Seokguram. It is widely believed that Buddha statue in Seokguram is the image of Sakyamuni. However, Dr. Hwang interpreted the image as Amitabha rather than Sakyamuni. Finally, Dr. Hwang revised the creation period of the Iron Buddha statue in Hanam (河南下司 倉洞鐵造釋迦如來坐像). It had been estimated that the statue was created around 8th century (Silla kingdom), however, he estimated that it was created in early Koryo kingdom (10th century). He interpreted the image of Standing Stone Bodhisattva statue in Gwanchoksa Temple (灌燭寺菩薩像) as Avalokitesvara Bodhisattva.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