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교 공모교장의 적응과정 사례연구

        유경훈 ( Kyung Hoon Ryu ),김병찬 ( Byung Chan Kim ) 한국교육인류학회 2012 교육인류학연구 Vol.15 No.3

        본 연구는 국내 교장공모제의 확대시행에 따라 단위학교 내에서 교장공모제를 중심으로 나타나는 현상과 의미에 대한 심도 깊은 이해가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이에 따라 초등학교 공모교장은 어떠한 경험과 적응과정을 거치고 있으며, 그 특성은 무엇인지를 파악해보는 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국내의 초등학교 한 곳을 대상으로 참여관찰과 심층면담 중심의 질적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공모교장의 적응과정으로는 크게 ``눈치 보며 다가가기``, ``뜸 들이고 친분 쌓기``, ``자극주고 정리해주기``, ``올바른 방향으로 이끌어가기`` 등으로 특징지어져 나타났으며, 이와 같은 공모교장 적응과정의 특성은 ``고립``, ``인내``, ``딜레마``, ``주체성`` 등의 네 가지 주제로 구분되어 나타났다. This research was initiated based on the need for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open recruitment system of principals(ORSP) in component schools, following the expanded enforcement of the ORSP. In order to study the experience and adaptation process of openly recruited principal(ORP), we conducted a qualitative case study focused on 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depth research of an elementary school in Korea. According to results of the research, the adaptation processes of ORP include, ``approaching carefully``, ``proceeding slowly``, ``organizing after stimulation`` and ``leading to the right direction``. The main characteristics of the adaptation processes of ORP can be categorized as ``isolation``, ``patience``, ``dilemmas`` and ``identity``.

      • KCI등재

        교사가 경험하는 갈등 양상과 원인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1급 정교사 자격연수에 참여한 중등 과학교사들을 중심으로

        유경훈(Ryu Kyung-Hoon),김병찬(Byeong-chanKim) 한국교육행정학회 2015 敎育行政學硏究 Vol.33 No.3

        본 연구는 교사가 학교에서 경험하는 갈등양상과 의미를 심층적으로 파악해보고자, 26명의 중등학교 과학교사들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질적 사례 연구를 수행하였다. 과학교사들의 갈등요인에 따라 갈등양상은 크게 다섯 가지 유형으로 구분되어졌는데, 먼저 학생으로 인한 갈등양상은 ‘방치와 포용’, ‘무시와 설득’으로 특징지어졌으며, 교육과정 및 교과서로 인한 갈 등양상은 ‘정답과 진실’, ‘유지와 조정’, ‘얕은 지식과 깊은 이해’로, 수업운영방식으로 인한 갈 등양상은 ‘하향과 상향’, ‘지식전달과 원리이해’, ‘순응과 고수’로, 교사로서의 지식 및 업무과 중으로 인한 갈등양상은 ‘겉핥기와 제대로’, ‘이론과 실제’, ‘과업과 본업’으로 특징지어졌다. 끝으로 제도 및 여건에 따른 갈등양상은 ‘대입과 정규교육과정’, ‘현실과 이상’, ‘강의와 실습’ 으로 특징지어져 나타났다. 과학교사의 갈등양상은 개인적 측면에서 발생하는 갈등이라 하기 보다는 국내의 교육체제와 문화, 학교교육현실 속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할 수밖에 없는 갈등 으로 밝혀졌으며, 이러한 갈등은 교사의 역할과 존재 자체에 대한 본질적 측면의 고민과 혼 란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research conducted a qualitative case study by selecting 26 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ers as research participants, in order to comprehend in depth the conflict aspect and the cause that teachers experience.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 science teachers' conflict aspect was largely divided into five. First, conflict aspect due to students appeared 'neglecting and tolerance', 'negligence and persuasion', 'prerequisite leaner and non-prerequisite learner', conflict aspect due to curriculum and textbook appeared 'correct answer and truth', 'maintenance and control', 'shallow knowledge and deep understanding', and conflict aspect due to lack of teacher's knowledge and preparation appeared 'downward and upward', 'knowledge transmission and motivation', 'adaptation and adherence'. conflict aspect along with institution and condition appeared 'college entrance and regular curriculum', 'reality and ideality', and 'lecture and practice'. Science Teachers' conflict aspect was determined to be the conflict that occurs inevitably in Korean educational system, culture, and school reality, rather than that occurs in the personal aspect, and this conflict appeared to imply worry and confusion in the essential aspect of teacher's role and the existence itself.

      • KCI등재
      • KCI등재

        혁신 고등학교 운영과정의 특징에 관한 문화기술적 사례연구:양가성(ambivalence)을 중심으로

        유경훈(Ryu Kyung-Hoon) 한국교육행정학회 2014 敎育行政學硏究 Vol.32 No.4

        본 연구는 문화기술적 사례연구를 수행하여 단위학교에서 학교혁신이 어떠한 과정과 경험 을 통해 운영되고 있는지에 연구의 초점을 맞추고, 혁신학교 중 한 곳인 희망고등학교를 참 여지로 선정하여, 혁신학교 학교혁신 과정의 특징과 의미를 밝혀보고자 하였다. 희망고 학교 혁신 과정의 특징은 크게 네 가지 측면으로 구분되어 나타났다. 먼저 교육목표 측면에서는 ‘전인적 성장을 위한 교육’과 ‘입시를 위한 교육’으로, 교사역할 측면에서는 ‘자발적 헌신’과 ‘불가피한 희생’으로, 권한부여 측면에서는 ‘이상적 자율’과 ‘왜곡된 자율: 사유화’로, 그리고 공동체 측면에서는 ‘적극적 참여’와 ‘의도적 회피’로 각각 특징지어졌는데, 이러한 희망고의 학교혁신 과정은 작용과 반작용의 서로 다른 가치가 갈등하고, 공존하는 ‘양가성 (ambivalence)’의 특징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희망고의 학교혁신 과정은 양가성 의 특징 속 두 개의 상반되거나 모순된 상태로 공존하는 가치 사이에서 이를 ‘조율’하고, ‘융 화’해가는 과정이었다. In this study I focused on the process and experience through which school innovation is operated among innovation schools. I selected the high school level which the precedent studies have rarely handled and Huimang High School the participant location for this study, and conducted ethnographic case study focused on 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ing. I analyzed characteristics and its meaning of the process of school innovation management in HHS. These characteristics of the process of school innovation management in HHS appeared as ‘whole-person growth’ and ‘education for entrance examination’ in terms of educational purpose, as ‘commitment’ and ‘sacrifice’ in terms of teachers’ role, as ‘autonomy’ and ‘privatization’ in terms of authorization, and as ‘participation’ and ‘evasion’ in terms of community. Consequently, the process of school innovation in HHS was the processes of ‘adjusting’ and ‘harmonizing’ two values directly-opposed and contradictory in the characteristics of ambivalence, to get more positive results.

      • KCI등재

        교육대학원 경험 의미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유경훈(Ryu,Kyung-Hoon),김병찬(Kim,Byeong-Chan)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1 敎育問題硏究 Vol.0 No.39

        본 연구는 우선적으로 교육대학원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교육대학원 재학생들의 관점에서 교육대학원 경험의 의미를 도출해보고자 한다. 재학생들이 교육대학원 교육과정 중에서 어떠한 경험을 하고 있으며, 그러한 경험을 통해서 학생들이 어떠한 의미를 구성하게 되는지 파악하고, 그에 따른 교육대학원의 현황과 문제점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국내 교육대학원 한 곳의 졸업생들을 대상으로 심층면담 중심의 질적 사례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교육대학원 재학생들은 “알아서 살아가기”, “얕은 수업듣기”, “현실의 벽 맞닥뜨리기”, “양다리 걸치기”, “교사자격증 남기기” 등의 경험을 하고 있으며 이러한 경험을 통해서 얻게 된 교사자격증에서 교육대학원의 가장 큰 의미를 찾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research began with recognition for the need to comprehend what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ctually entails.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an in-depth research was devised to comprehend from graduate students’ perspective the actual experience of attending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e set out to discover what kind of experiences the graduate students face during their studies. By aggregating and analyzing these experiences and lessons, we aim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e of graduate study program in education and identify the problems propagating from the status quo. The study was conducted via in-depth interviews of graduated students focusing on Education in one of major universities in Korea. Result of this study revealed that students are experiencing the following issues, “Surviving without help,” “Low quality class standards,” “Having to face the real world,” “Studying with a backup plan,” and “Graduating with just a certificate.” And from these calamities, they are struggling to ascertain the true meaning and purpose of their chosen field of study.

      • KCI등재

        핀란드 교육개혁의 특징 분석

        유경훈 ( Ryu Kyung-hoon ),임종헌 ( Lim Jong-heon ),김병찬 ( Kim Byeong-chan ) 안암교육학회 2017 한국교육학연구 Vol.23 No.1

        본 연구는 성공적인 교육개혁을 이루어오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 핀란드 교육개혁의 주요 내용들을 다각적으로 살펴보고, 교육개혁 추진 과정과 배경, 정책, 맥락을 종합적으로 이해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핀란드 교육개혁의 역사적-사회적 배경과 교육 및 사회체제를 살펴보고, 핀란드 교육개혁 관련 정책들의 핵심내용과 가치, 성과 등을 교육단계별 정책과 교육과정 정책으로 구분하여 정리해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분석결과들을 바탕으로 핀란드 교육개혁의 특징과 의의를 도출하고,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핀란드의 교육개혁은 첫째, 사회적으로 공유된 책임감을 바탕으로 관련기관 간의 단계적이고 대대적인 협의와 협력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 둘째, 각 교육개혁 정책 간에 긴밀히 연계되어 형성, 운영되고 있다는 점, 셋째, 사회적 분위기와 필요, 요구에 의해 형성되고 운영되고 있다는 점, 넷째, 안정적 복지예산과 선순환 구조로 연결되어 있다는 점, 다섯째, 핀란드의 사회적으로 깊이 내재되어 있는 기본가치를 지향한다는 점 등이 핀란드 교육개혁 의 주요 특징인 것으로 나타났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multilaterally examine the main contents of Finnish educational reform recognized as successful educational reform policies, and also to comprehensively understand the process and context of pushing ahead those policies. Thu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historical/social backgrounds and social system of Finnish educational reform policies, and also to divide the core contents, value, and performance of Finnish educational reform into policies in each educational stage and policies of educational process. Based on such results of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Finnish educational reform were drawn. The main characteristics of Finnish educational reform were like below. First, they are performed through the phased and extensive consultation and cooperation between relevant institutes based on socially-shared responsibility. Second, they are formed/operated as each educational reform policy is closely connected with each other. Third, they are formed and operated by social atmosphere, necessities, and demands. Fourth, they are connected with stable welfare budget in the virtuous circle structure. Fifth, they aim for the basic value deeply inherent in the society of Finland.

      • KCI등재

        초등학교 기간제 교사의 학교에서의 삶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유경훈(Ryu Kyung-Hoon),최승천(Choi seung-Cheon),김병찬(Kim Byeong-Chan)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1 敎育問題硏究 Vol.0 No.41

        본 연구는 현재 학교교육에서의 비중이 날로 커지고 있는 기간제 교사에 대한 이해를 돕는데 그 목적을 두고, 기간제 교사의 학교에서의 삶과 문화를 심층적으로 분석해보려는 시도를 해보았다. 한 초등학교의 기간제 교사들을 대상으로 참여관찰과 심층면담 중심의 문화기술적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그들의 삶과 문화에 대한 특징들을 유형화하고 현상을 파악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결과, 기간제 교사의 삶과 문화의 주요 특징으로는 “교사가 되어보기”, “구분 없이 살아가기”, “자격지심 갖기”, “기간제 교사로 살아남기”, “교사로 성장해가기” 등이 있는데, 기간제 교사는 꿈꿔오던 교사가 되어서 정규교사들과 구분 없이 어울리며 살아가지만, 정규직이 아니라는 상황에서 발생하는 자격지심과 불안감을 느끼기도 한다. 그리고 이러한 삶 속에서 많은 것을 배우고 느끼며 교사로서 성장해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research began with recognition for the need to comprehend period-limit teachers who's part in the education system is growing rapidly. During this study, we've performed ethnographical research focused on 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s to an elementary school's period-limit teachers. We've attempted to find distinctive features and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their school lives and schooling cultures. Result of this study revealed that some distinctive features such as “experiecing life of a teacher”, “mingle with regular teachers”, “inferiority complex”, “Surviving as a period-limit teacher”, “growing as a teacher”, etc. existed in the school life and schooling cultures of period-limit teachers. The results show that even though the period-limit teachers are living their dream of becoming a teacher along with regular teachers, the period-limit teachers also feel anxiety and experience inferiority complexes due to their statuses. They also learn and develop as teachers.

      • KCI등재

        ‘교육행정학연구’ 게재 논문의 연구 동향 특징 분석: 연구주제 및 연구방법을 중심으로

        김병찬(Byeong-chanKim),유경훈(Ryu Kyung-Hoon) 한국교육행정학회 2017 敎育行政學硏究 Vol.35 No.4

        본 연구는 한국교육행정학회 창립 50주년을 맞이하여, 한국교육행정학회의 대표적인 학술 지이면서 한국 교육행정학 연구의 보고인 ‘교육행정학연구’에 게재된 논문들의 경향과 특징을 분석하여 한국 교육행정연구의 흐름을 되돌아봄과 동시에, 향후의 학문적 발전과제 및 실제 적 의의를 탐색하고자 수행되었다. 이에 따라 ‘교육행정학연구’에 게재된 논문 1433편을 연구 대상으로 삼아 연구주제, 연구방법을 중심으로 시기별로 범주화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연구주제 측면에서의 분석결과로는, 첫째, ‘교육행정학연구’에 게재된 논문들의 연구 주제가 점차 다양화되어가고 있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발표된 연구주제의 비중은 시대적 흐 름이나 현장에서의 관심에 상당히 민감하게 대응하며 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 째, 시대가 지나면서 교육행정 이론을 다룬 연구들의 비중이 오히려 상당히 감소했다는 특징 이 나타났다. 다음으로 연구방법 측면에서의 분석결과로 첫째, 시대에 따라 특정 연구방법으 로의 편중현상이 나타났다. 둘째, 연구방법의 편중현상이 나타나기는 하지만, 꾸준히 연구방 법의 다원화 경향이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교육행정학연구’는 지난 30여 년간 이러한 교육행정과 관련된 다양한 연구와 관련 논의를 지속적으로 이끌어오면서 한국 교육행정학의 이론적 기틀과 실천적 기반을 마련 해 주었다는데 적지 않은 의의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와 함께 ‘교육행정학 연구’의 보다 큰 발전과 약진을 위한 과제들도 남아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study aimed to look back the flow of researches on Korean educational administration, and also to research the academic tasks for the future development and the actual significance, by analyzing the trend of these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Therefore, it analyzed 1433 these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for about 33 years focusing on research theme & method by categorizing them. In the results of analysis in the aspect of research theme, first, the research theme of these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has been gradually diversified. Second, the percentage of the published research themes has been changing by quite sensitively responding to time flow or field interest. Third, the percentage of researches on theories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has been considerably decreased as time passed. In the results of analysis in the aspect of research method, first, there was the unequal distribution of specific research methods depending on time. Second, in spite of the unequal distribution of research methods, there was a continuous tendency to diversify research methods. In conclusion, the significance of ‘The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is to establish the theoretical/practical basis of Korean educational administration. However, there are certainly tasks for greater development and rapid progress of 'the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 KCI등재

        초·중학교의 기초학력 향상방안 연구

        임종헌(Lim, Jong-heon),유경훈(Ryu, Kyung-ho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20

        본 연구는 우리나라 기초학력 교육의 현황과 특징을 분석하여, 기초학력 교육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안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A교육청의 초등학교 및 중학교 교사, 기초학력 컨설턴트, 학생, 학습종합클리닉센터 근무자, 대학생 보조강사 등의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2015년 9월부터 11월까지 약 4개월 동안 심층면담 중심의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교육과정 및 교육방법 영역에서는 ‘문제 풀이 반복식의 보충수업’, ‘학생의 개별특성과 부진요인이 반영되지 않는 교육’, ‘성장 없이 형식적 통과만 강조하기’ 현상이 나타났으며, 지원체제 및 학교문화 영역에서는 ‘비교과적인 학습종합클리닉센터’, ‘교사의 전문성 이상을 요하는 업무’, ‘떠밀려 업무를 맡게 되는 저경력 교사들’, ‘학점을 받기 위해 형식적으로 활동하는 대학생보 조강사’의 현상이 나타났다. 학생 및 학부모 영역에서는 ‘의지와 의욕이 부족한 학생 들’, ‘이루어지기 어려운 가정 연계 교육’, ‘낙인효과를 우려하는 학부모들’의 현상이, 행정 구조 영역에서는 ‘늦어버린 학생선별 시기’, ‘형식적인 기초학력 컨설팅’, ‘항상 부족한 기초학력 예산’, ‘부담스러운 행정 업무’ 현상이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통해 기초학력 교육에 있어서 학생들의 특성을 고려한 교육과정 운영, 학생 참여 및 활동 중심 수업의 운영, 기초학력 관련 교원들의 업무 경감, 학교와 외부 지원 기관 간의 연계성 강화, 학생의 점수가 아닌 성장 중심의 중장기 교육 운영 등을 제언하였다. This research aims to figure out the problems on education for basic academic skills in elementary school and middle school and explore the way to improvement. To this end, we conducted in-depth interview with teachers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basic academic skill consultants, general education clinic staff, teacher assistant(college students) us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he results shows that problems of ‘supplementary lesson of problem solving repetition’, ‘education lack of reflecting individual characteristic and poor factors’, and ‘emphasis on passing the exam without growth’ exist in the field of education process and methods. There are also problems of ‘non-curricular general education clinic’, ‘work load beyond teachers’ profession’, ‘unskilled teachers forced to undertake duty’, and ‘teacher assistants fastening on credits’ in support system and school culture. Drawing on the research result, the operation of curriculum reflecting individual characteristics, participation and activity-oriented class, reduction of teachers burden on basic academic skills, enhancement of ties between schools and support institutions, and emphasis on students’ growth in the long-term not the score in short-term are significant in management of basic academic skills

      • KCI등재

        창의적 사고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정의적 특성변인에 관한 연구 - 성취동기를 중심으로

        김청자(kim chung-ja),유경훈(ryu kyung-hoon) 한국영재교육학회 2005 영재와 영재교육 Vol.4 No.2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reativity and achievement motivation.<BR>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questions was made.<BR>  1. Is creativity correlated with achievement motivation?<BR>  2. Dose a student"s achievement motivation explain the creativity?<BR>  3. Does a creativity high level group makes any difference in the achievement motivation?<BR>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50 students. The creativity was measured by TTCT, the achievement motivation was measured by Herman"s test.<BR>  Total 250 TTCT and questionnaires were given to the boys and girls of forth and fifth grades who attended two primary schools. Of 250 questionnaires, only 237 were return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the 12.0 SPSS program. The data were also tested by using the correlation and regression.<BR>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BR>  1. There is a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sum of creativity and sum of achievement motivation including sub area. There is also a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creativity subfactor and achievement motivation.<BR>  2. The achievement motivation subfactors (Risk-taking behavior, Upward mobility, time perspective)significantly explain the creativity.<BR>  3. The student whose creativity subarea level is high have achievement subfactors (Upward mobility) explain 3 creativity subarea and Risk-taking behavior explain 1 creativity subarea.<BR>  Creative researchers have generally agreed that motivation is more effective in creative performance than any other reasons.<BR>  The results of this study clearly supported revised view of achievement motivation.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education of creativity will be adapted by the sub area type of motiv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영재들의 중요한 요인으로 인정되는 창의성과 성취동기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다.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TTCT를 사용하여 창의성을 측정하였으며 동기영역의 측정은 Herman의 성취동기 검사를 이용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창의성과 성취동기는 전체적으로 상관이 있었으며 하위요인별로도 상관이 있었다. 둘째,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창의성을 설명하는 성취동기의 하위요인을 살펴보았다. 창의성 전체는 성취동기의 하위요인 중 모험행동, 시간지각, 지위상승 요인들의 순으로 설명력이 높았다. 유창성은 모험행동 요인이 가장 잘 설명했으며, 독창성은 시간지각, 추상성은 지위상승, 정교성은 성취행동 요인이 의미있는 설명력을 나타냈다. 창의성 하위요인별 상위 25%의 학생들에게 있어서의 특성을 알아본 결과 독창성은 모험행동 요인이 가장 잘 설명하였으며, 유창성, 추상성, 정교성은 지위상승 요 인이 의미있는 설명력을 보여주었다. 앞으로는 아동들의 창의성 교육에 있어서 창의성의 하위요인별로 통기유형을 파악하고 동기유발을 할 수 있는 프로그램과 연관지어 차별화된 창의성 교육이 실시되어야 할 것이며 창의성이 높은 아동에게도 효과적일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