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강원지역 결구상추에 발생하는 병해충의 종류와 발생양상

        원헌섭,황세정,이재홍,이안수,강성희,정태성,홍대기 한국응용곤충학회 2017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7 No.10

        본 연구는 강원지역 신소득 작물인 결구상추의 지역별 병해충 발생 추이에 대한 자료를 축적하고자, 2017년5월부터 10월까지 홍천 등 3개 지역 결구상추 주산지에서 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사결과 병해로는 무름병, 균핵병,세균성점무늬병이 발생하였는데 지역별 발생양상을 보면 재배기온이 높은 춘천지역에서 무름병이 높았고, 홍천에서는 균핵병, 횡성에서는 세균성점무늬병이 주로 관찰되었다. 끈끈이 등 페로몬트랩을 이용한 해충 발생양상 조사결과 총채벌레, 파밤나방, 멸강나방, 담배나방, 담배거세미나방, 왕담배나방, 도둑나방이 발생하였다. 총채벌레의경우 지역별 발생양상은 차이가 있었으나 결구상추 재배기간 동안 지속적인 발생을 보였고, 나방류에서는 파밤나방이가장 많이 발생하였다. 또한 홍천지역에서는 달팽이가 가을재배 시에 발생되어 결구상추에 직접적인 피해를 주는것도 확인 하였다.

      • KCI등재

        강원지역 가지과 작물 바이러스 발생현황

        원헌섭,박동권,권순배,조순옥,강성희,이재홍,황세정,정태성,김미경,최홍수,홍대기 한국식물병리학회 2019 식물병연구 Vol.25 No.1

        This study researched the current occurrence status of viral diseases of solanaceous crops in the main production areas of Gangwon region, for four years from 2014 to 2018. From 2014 to 2018, in eight cities and counties including Chuncheon, CMV, BBWV2, PMMoV, TSWV, and PVY occurred in chilli peppers. In case of tomato, the research was performed in 2017 and 2018 while TSWV and TYLCV were verified in Chuncheon, Hoengseong, and Cheorwon. Especially, TYLCV occurred in Chuncheon region for the first time in 2017, which was verified in 2018. Lastly, the current occurrence status of viral diseases of bell peppers was researched in seven cities and counties like Gangneung, Hoengseong, and Cheorwon from 2015 to 2018. In the results, CMV, BBWV2, PMMoV, PepMoV, and TSWV were verified in bell peppers of Gangwon region. During the research period, there were no crops suspected or infected by BWYV, so that it is judged that there is no villiferous or infected aphid by this virus in Gangwon-do. Such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used as the basic data for the stable production of crops through the early prevention of plant diseases occurring in the solanaceous crops of Gangwon region.

      • KCI등재

        Effects of cold and room temperature storage on the sprouting and marketability of early-grown spring potatoes

        원헌섭,한규석,이영훈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024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Vol.31 No.1

        Three spring potato varieties (Atlantic, Chubaek, and Superior) were cultivated for 80, 90, and 100 days and compared in terms of their total and marketable yields and specific gravities. Subsequently, changes in the quality parameters (weight loss, sprouting rate, disease incidence, dry weight, and specific gravity) of potatoes cultivated for 100 days were monitored during two-month storage in improved and semi-underground warehouses at 4℃ and room temterature. The productivities of Atlantic, Superior, and Chubaek were maximized at cultivation periods of 100, 100, and >90 days, respectively. In all cases, cold storage resulted in <5.3% weight loss and no marketability loss. However, two-month room temperature storage resulted in pronounced marketability loss due to weight loss (6.2, 7.3% and 10.9% for Atlantic, Superior, and Chubaek, respectively) and sprouting (in ~13%, >75%, and 99% of Atlantic, Superior, and Chubaek tubers, respectively). The marketability of Atlantic, Superior, and Chubaek during cold storage was maintained for >2, ~2, and <2 months, respectively. All varieties were characterized by rapid sprouting, low dry weight and specific gravity, and rapid marketability loss during storage.

      • 시설토마토 주요해충의 발생양상과 천적을 활용한 방제시기

        정태성,이재홍,이남길,원헌섭,권순배,황미란,김인종,최병렬 한국응용곤충학회 2016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6 No.04

        최근 소비자들의 소비패턴 변화로 친환경 농산물 요구도가 급증하여 친환경 농산물 시장규모가 2020년에는 6.6조원(한국농 촌경제연구원)으로 확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친환경 농산물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병해충이 친환경적으로 관리되어 야 하며 그 방안의 하나로 천적을 이용한 해충의 방제는 필수적이나 천적만을 이용한 관리방법은 그 효율이 낮을 수밖에 없다. 따라서 천적과 활용 가능한 저독성 약제 및 친환경자재를 포함한 종합적인 관리방안이 필요하다. 국내에서 토마토는 100% 시설재배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13년 6,054ha였던 재배면적이 `14년 7,070ha로 16%나 증가되고 있고 강원도에서는 860ha가 재배되고 있는 작물이다. 이러한 시설토마토의 주요해충 발생양상과 천적을 활용한 방제시기를 설정하기 위해 `15년 춘천지역의 3개 농가에서 반촉성재배(2월~6월)와 억제재배(7월~12월)시기에 주요해충 발생과 천적을 투입효과 등을 조사하였다. 시설토마토 해충조사 결과 온실가루이, 총채벌레, 아메리카잎굴파리가 주요해충으로 조사되었으며, 온실가루이의 경우 육안조사보다 끈끈이트랩 (노란색10×25cm)을 이용한 예찰이 효과적이었고 억제재배 시기에 온실가루이좀벌을 9월 상순부터 1주 간격 2회와 10월 상순 1주 간격 4회 방사를 하여 밀도가 증가 되는 것을 억제 할 수 있었다. 총채벌레의 경우도 끈끈이트랩(청색10×25cm)을 이용한 예찰이 효과적이었으며 발생량이 적어 미끌애꽃노린재를 9월 상순에 1회 방사만으로 밀도를 억제 할 수 있었다. 아메리카잎굴파리는 일부 농가에서만 8월 중순부터 피해엽이 발생하기 시작하였으며 굴파리좀벌을 9월 상순과 10월 중순 2회 방사로 밀도를 억제 할 수 있었다.

      • 강원지역 돌발, 남방계해충의 발생 실태

        황세정,원헌섭,이재홍,이안수,황미란,정태성,홍대기 한국응용곤충학회 2017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7 No.10

        본 연구는 강원지역에 발생하는 돌발해충과 남방계해충의 실태를 조사하고 기후변화에 대한 효과적인 대응과돌발, 남방계해충의 피해양상을 확립하는데 목표를 두었다. 올해 춘천의 12월 하순부터 2월 상순까지 동계 최저온도확인결과 평년대비 약 0.5~4℃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미국선녀벌레의 경우 올해 강원지역 인삼에서 약충이가지당 최대 13마리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7월 상순 발생밀도가 최대인 것을 확인하였다. 방제가 되지 않은인삼포장 주변 아까시나무에서는 7월 중순 가지당 최대 127마리의 높은 발생밀도를 나타냈다. 갈색날개매미충의경우 복숭아에서 가지당 최대 10마리의 성충이 발생하였고, 방제를 실시하지 않는 과원주변 수목에서는 7월 상순에약충이 가지당 최대 21마리의 발생밀도를 나타냈다. 총채벌레류는 트랩당 평균 3.9마리가 발생하였고, 그 밀도는춘천에서 6월 하순에 최대로 나타는 것을 확인하였다. 콩을 가해하는 풀색노린재의 약충은 춘천지역에서 콩꼬투리가달리는 9월초에 나타나기 시작하여 최대 20.8%의 피해율을 보였다.

      • KCI등재

        감자 품종 “역강” 중심공동 억제를 위한 처리기술

        김남숙,원헌섭,권세휘,홍세진,김병섭 한국농약과학회 2023 농약과학회지 Vol.27 No.1

        새로운 감자 품종 “역강 ”은 역병에 저항성이 있지만 , 중심공동이 문제가 된다 .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감자 재식간격을 20, 25, 30cm로 파종하는 실험과 boric acid, CaCl2, boric acid + CaCl2, sulfur fertilizer, diniconazole SC, prohexadione-calcium SC 처리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 재식거리에 따른 실험을 고랭지에서 수행한 결과 중심공동 발생률은 20, 25, 30 cm 간격에서 각각 15.7%, 13.7%, 18.4%로 나타났다 . 처리물질에 따른 실험은 평난지실험에서 중심공동 발생률은 무처리에서 15.6%였지만 , diniconazole SC처리에서 1.7% 발생하여 무처리 대비 89.1% 발생을 억제하여 무처리와 통계적 유의성있는 차이가 있었다 . 고랭지 실험 기준 중심공동 발생률은 무처리에서 24.0%였으며 , prohexadione-calcium SC처리에서 14.0%로 처리간 가장 낮은 발생률을 나타냈다 . 위 결과를 통해 감자 파종시재식간격은 25 cm로 하고 , diniconazole SC나 prohexadione-calcium SC를 적절히 사용시 감자 품종 “역강 ” 재배 기간 동안 중심공동을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 강원지역 멜론 및 수박의 주요 병해충 발생양상

        황세정,원헌섭,이재홍,이안수,황미란,정태성,홍대기 한국응용곤충학회 2017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7 No.10

        본 연구는 최근 강원도내 재배면적이 증가한 멜론 및 수박의 주산지별 병해충 분포 특성을 구명하고, 문제가되는 병해충의 발생을 예찰 및 진단을 통해 방제적기를 확립하는데 목표를 두고 있다. 강원지역 멜론 및 수박재배면적은 2010년 76ha에서 2016년 181ha로 약 2배 이상 증가하였다. 멜론과 수박에 공통적으로 발생하는 병해로는바이러스, 흰가루병, 노균병 등이 있었고, 바이러스의 경우 생육중기에서 후기에 최대 발생주율을 보였으며, 박과류에주로 나타나는 CABYV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흰가루병의 경우 생육초기 최대 33.3%의 발병엽율을보였으며, 노균병은 생육말기에 최대 28.0%의 발병엽율이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그 외에도 점무늬병도일부 확인 할 수 있었다. 발생해충으로는 가루이류, 총채벌레류, 굴파리 등이 있었고, 가루이의 경우 시설 내에서작물재배기간 동안 꾸준히 발생하였고, 생육말기인 7월 하순 트랩당 105.3마리의 최대발생밀도를 보였다. 총채벌레의경우 개화기에 발생밀도가 높아지는 양상을 보였으며, 트랩당 최대 206.4마리가 발생하였다. 그 외에도 점박이응애,목화바둑명나방, 진딧물류 등의 해충발생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느타리 봉지재배시 배지질소함량이 수량에 미치는 영향

        이안수,이재홍,원헌섭,황세정,이광재,방경린,김기선,모영문,Lee, An-Soo,Lee, Jae-Hong,Won, Heon-Seop,Hwang, Se-Jeong,Lee, Kwang-Jae,Bang, Kyeong-Rin,Kim, Ki-Sun,Mo, Young-Moon 한국버섯학회 2021 한국버섯학회지 Vol.19 No.1

        We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in chemical properties (pH, total nitrogen content, total carbon content, and CN ratio) of sterilized medium and mushroom yields in 1 kg bag culture of Pleurotus ostreatus. The mushroom yields appeared to be highly correlated with the pH, total nitrogen content, and CN ratio, and were the highest under a total nitrogen content of 2.0-2.2% and a the CN ratio of 20-22.5. However, of the three parameters, total nitrogen content showed the highest correlation with the mushroom yield.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r2) between the total nitrogen content and the sum of the yield was 0.931, while that of the pH and CN ratio was relatively low. The nitrogen content of the medium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determining the yield of oyster mushrooms. 느타리 1 kg 봉지재배를 통해 살균배지의 주요 화학성과 2주기까지의 버섯 수량간 관계를 분석한 결과, 버섯수확량은 pH, 총질소 함량, CN율과 2차 함수식에서 매우 높은 상관을 보였다. pH는 4.9~5.0의 범위에서, 총 질소량은 2.0~2.2%에서, CN율은 20~22.5에서 가장 높은 수량성을 보였다. 1주기 버섯은 pH, 총질소량 및 CN율과 높은 상관을 보였고 2주기 버섯은 CN율 외에는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수량합계가 1주기 수량보다 3종의 화학성과의 관계에서 모두 더 높은 상관이 나타났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 배지의 pH, 총질소 함량 및 CN율은 전 수확기간에 걸쳐서 버섯수량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