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그래핀 원스텝 전사(Graphene One-Step Transfer) 공정 기반 다층 그래핀 잔여분말 제거 기술 연구

        우채영,조영수,홍순규,이형우,Woo, Chae-young,Jo, Yeongsu,Hong, Soon-kyu,Lee, Hyung Woo 한국분말재료학회 (*구 분말야금학회) 2019 한국분말재료학회지 (KPMI) Vol.26 No.1

        In this study, a method to remove residual powder on a multi-layered graphene and a new approach to transfer multi-layered graphene at once are studied. A graphene one-step transfer (GOST) method is conducted to minimize the residual powder comparison with a layer-by-layer transfer. Furthermore, a residual powder removing process is investigated to remove residual powder at the top of a multi-layered graphene. After residual powder is removed, the sheet resistance of graphene is decreased from 393 to 340 Ohm/sq in a four-layered graphene. In addition, transmittance slightly increases after residual powder is removed from the top of the multi-layered graphene. Optical and atomic-force microscopy images are used to analyze the graphene surface, and the Ra value is reduced from 5.2 to 3.7 nm following residual powder removal. Therefore, GOST and residual powder removal resolve the limited application of graphene electrodes due to residual powder.

      • KCI등재

        보드게임을 활용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부모에게 주는 의미

        우채영 ( Woo Chae-young ),장현정 ( Jang Hyun-jung ),이은영 ( Lee Eun-young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8 아동교육 Vol.2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보드게임을 활용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부모에게 어떠한 의미를 주는지 탐색해 보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D시에 소재한 작은 도서관을 이용하는 학부모를 대상으로 보드게임을 매체로 부모교육을 실시하였다. 자료의 수집은 반구조화 질문지와 전화면담 및 매회 질문을 통해 받은 피드백 자료를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개방코딩으로 분석하였고, 분석결과에 따라 분류된 의미체계는 자기이해 및 성장, 타인이해 및 소통, 행동 및 행동 잠재력의 변화, 보드게임에 대한 인식변화 등 네 가지 범주로 나눌 수 있었다. 각 범주에 따른 주제모음은 첫째, 자기반성 및 자기발견의 기회, 자기표현 및 자신감 회복의 기회를 갖게 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타인에 대한 고정관념이 있음을 인식하고 소통의 중요성을 깨닫게 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드게임을 자녀교육에 즉각적으로 활용하였고, 부모교육에 대한 인식변화가 생긴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보드게임에 대한 해석 및 활용, 적용대상의 다양성을 알게 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hat a parent education program using board games means to parents.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parents' education on board games was provided to parents using small library in D city. The collection of data was made using a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a telephone interview, and a feedback document that was asked each time. The collected materials were analyzed by open-coding, and the semantic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could be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self-understanding and growth, understanding and communicating with others, changes in behavior and behavioral potential, and changes in perceptions of board games. A collection of topics based on each category was first found to have opportunities for self-reflection and self-discovery, self-expression, and confidence recovery. Second, it was revealed that they realized that they had stereotypes about others and realized the importance of communication. Third, board games were used immediately for children's education and the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activity-oriented parent education was revealed. Finally, it has been revealed that they have learned the diversity of interpretation, utilization and application of board games.

      • KCI등재

        성별 및 학교 급별에 따른 청소년의 인간관계, 스트레스, 우울과 자살생각 간의 구조적 관계

        우채영(Chae Young Woo),박아청(Ah Chung Park),정현희(Hyun Hee Jeong) 한국교육심리학회 2010 敎育心理硏究 Vol.24 No.1

        본 연구는 청소년이 상호작용하는 부모, 교사, 또래와의 인간관계와 스트레스, 우울, 자살생각 간의 구조적 관계를 탐색하고, 이러한 관계 구조가 성별 및 중·고등학생 집단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나타내는지 다중집단분석을 통하여 검토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부모, 또래와의 부정적인 인간관계는 스트레스와 우울, 자살생각에 각각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또한 스트레스는 우울에, 우울은 자살생각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으며, 스트레스는 우울을 매개로 자살생각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둘째, 성별에 따라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한 결과, 남학생의 경우 교사와의 부정적 관계가 스트레스와 자살생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여학생의 경우 부모와의 부정적 관계가 스트레스, 자살생각에, 또래 관계는 우울과 자살생각에, 스트레스는 우울에, 우울은 자살생각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중·고등학생에 따라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중학생의 경우 부모와의 부정적 관계가 스트레스에, 또래관계가 우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고등학생의 경우 부모, 또래와의 부정적 관계가 자살생각에, 우울이 자살생각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함의를 논하고,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ttempted to research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relations with parents and peers adolescents recognize, stress,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and to review what differences does the relationship structure show according to genders and groups of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that is moderating effects among groups by multi-group analysis. As a result of research, first, negative relations with parents and peers adolescents recognize had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stress,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Stres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depression, and depress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uicidal ideation. Second, in the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between groups of gender, while negative relation with a teacher in boy students showed a significant effect on stress and suicidal ideation, in case of girl students, negative relation between parents and offspring had a decisive effect on stress and suicidal ideation, and negative peer relation had a decisive effect on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In the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between school levels, negative relation between parents and offspring in middle schools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tress, and negative peer relation present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depression. For high school students, negative relations with parents-offspring and peer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uicidal ideation, and depression present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uicidal ideation.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eoretical implication was discussed and the limit of this study and the way next research goes were showed.

      • KCI등재

        대규모 공연장의 장애인 편의시설 개선을 위한 연구 -휠체어 이용자를 중심으로-

        우채영 ( Woo Chaeyoung ),유준아 ( Yu Jun-ah ),황연숙 ( Hwang Yeosook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7

        (연구배경 및 목적) 본연구는 장애인의 공연 관람 및 문화생활을 도모하기 위해 대규모 공연장 내 장애인 편의시설의 개선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및 범위)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사례조사를 통해 서울시 대규모 공연장의 BF인증 현황을 파악하고 인터뷰조사를 통해 휠체어를 사용하는 지체장애인의 공연장 내 장애인 편의시설에 대한 만족사항과 불편 사항을 분석하여 그에 따른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의 범위는 지체장애인 중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으로 제한하며, 대상의 범위로는 대규모 공연장의 조건인 관람석 1,000석 이상 3,000석 미만의 관람장 중에서 2000년대 이후에 설립된 공연장으로 제한하였다. (결과) 첫째, 대규모 공연장의 장애인 편의시설에 대한 BF인증기준을 관람석, 접수대, 주출입문, 주차장으로 구분하여 평가한 결과 BF인증기준을 모두 충족한 공간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휠체어 이용자를 배려한 접수대 높이, 관람석의 좌석수, 승강기 손잡이 높이, 주차구역의 위치 등 미충족한 비율이 높았다. 둘째, 관람장 내 휠체어 석의 위치는 모두 피난 시 대피하기 쉬운 출입구 부근에 배치되거나 분산배치 되어 휠체어 사용자들의 불만이 높았다. 셋째, 비장애인 동행인과 동석할 수 있는 좌석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인터뷰 조사결과 휠체어사용자들을 가족이나 친구들과 함께 동석하기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대상은 서울에 위치한 인지도가 높은 대규모 공연장으로서 다른 문화시설에 비해 더 좋은 공연환경을 갖추고 있지만 기본적인 BF인증기준을 모두 적용하고 있지 못하다. 대규모 공연장의 경우 휠체어 이용자들이 공연을 더 편안하게 즐길 수 있도록 보다 세심한 디자인 계획이 요구된다. 이를 위한 디자인 제안으로써 후면 출입구 뿐만 아니라 측면 출입구에 있는 관람석 사이의 통로를 넓게 하여 통로석 옆에 휠체어 좌석을 배치하고, 관람석의 일부 좌석을 가변형으로 설치하여 비장애인 동행인과 동석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주출입구의 형태를 자동문으로 설치함으로써 휠체어 이용자의 통행이 편리하도록 제공한다. 이러한 개선방안은 지체장애인의 공연장으로의 접근성을 높이고 나아가 활발한 공연 관람을 도모할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measures to improve facilities for the disabled in large-scale concert halls to watch performances and promote cultural life for the disabled. (Methods and scope)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e BF certification status of large-scale concert halls in Seoul was identified through a case study, and the satisfaction and inconvenience of disabled people using wheelchairs were analyzed through an interview survey, and proposed measures to improve accordingly. The scope of the research was limited to those with wheelchairs among the physically handicapped, and the scope of the target audience was limited to those established after the 2000s among those with 1,000 or less seats, which are conditions for large-scale performance halls. (Results)First, the BF certification standards for facilities for the disabled in large-scale performance halls were evaluated by dividing them into seats, reception desk, main entrance, and parking lot, and found that no space has met all of the BF certification standards. The ratio of unsatisfactory was high, including the height of the reception desk in consideration of wheelchair users, the number of seats in the stands, the height of the elevator handle, and the location of the parking area. Second, the locations of the wheelchair seats in the auditorium were all located or distributed near the entrance that was easy to evacuate during evacuation, which was highly dissatisfied with wheelchair users. Third, there are no seats available for non-disabled companions, so an interview found that wheelchair users wanted to be present with their family or friends.(Conclusion) This research target is a large-scale, well-known concert hall located in Seoul and has a better performing environment than other cultural facilities, but it does not apply all basic BF certification standards. For large-scale venues, more careful design plans are required to help wheelchair users enjoy the performance more comfortably. As a design proposal for this purpose, a wheelchair seat is placed next to the aisle seat by broadening the passage between the seats in the side entrance as well as the rear entrance, and some seats in the seats are installed in a variable manner to enable non-disabled accompanying persons to be seated. It also provides convenient access for wheelchair users by installing automatic doors in the form of main entrance. These improvements will enhance accessibility to the venues for the disabled and further promote active viewing of the performances.

      • 시각적 선호특성에 따른 카페거리의 환경요인 분석 - 연남동, 성수동, 신사동 카페거리를 중심으로 -

        우채영(Woo, Chae Young),문자영(Moon, Ja Young),황연숙(Hwang, Yeon-Sook)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9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1 No.3

        Cafes are no longer a coffee-drinking space, but a community space where you can communicate with various activities, and the activation of various cafes has made it a street with multiple cafes forming into groups. The cafes have their own unique differentiation, attracting customers, and expanding the range of cafes to suit consumer tastes. We want to analyze the visual environmental factors of the café street, which are important factors in choosing a café, which can affect visual preferences. The method of study was conducted through theoretical examination and case studies, and the framework of the analysis was organized by deriving visual environmental factors through prior research. The survey was conducted by selecting the famous café streets in Seoul, and the conclusion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shape and lighting of the building was the visual preference characteristic of the high visual quality of the environmental elements that can be visually beautiful or interesting, due to the design of the building façade and the lighting. Second, landscaping and surroundings are important materials that create a sense of interest and interest to attract the attention of people passing through the café streets. In the case of the east line, the movement was guided by landscaping for the street, which can be somewhat complicated, or through the signs, which led people to find a particular café or explore the café street. Third, factors that affect the degree of perception when a person sees and perceives a person, such as their symbolism or identity, or in the case of the subject of investigation, showed that there is insufficient element to recognize the symbolic part through color.

      • KCI등재

        보드게임을 활용한 게이미피케이션 창직 진로교육 프로그램의 경험이 청소년에게 주는 의미

        우채영 ( Woo Chae-young ),이은영 ( Lee Eun-young ),장현정 ( Jang Hyun-jung ) 한국아동교육학회 2021 아동교육 Vol.30 No.1

        본 연구는 보드게임을 활용한 게이미피케이션 창직 진로교육프로그램의 경험이 청소년에게 주는 의미를 탐색함으로써 청소년진로교육의 방안을 마련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수행하였다. 연구대상은 D광역시에 소재한 H고등학교 2학년 24명으로 8차시에 걸쳐 게임화된 창직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자료의 수집은 개방형 질문지와 관찰 및 면담을 통해 이루어졌다. 수집한 자료는 질적연구 방법인 개방적 코딩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분류된 의미체계는 자기이해, 관계의 중요성 인식, 진로 성숙, 게이미피케이션 교수법의 이해 등 네 가지 범주로 나눌 수 있었다. 범주에 따른 주제모음은 자기발견과 자기성장, 관계의 중요성과 소통의 중요성 인식, 직업세계의 이해와 진로에 대한 태도변화, 게이미피케이션 교수법의 이해와 보드게임에 대한 인식변화이다. 이러한 결과는 진로교육에 있어 게이미피케이션 교수법을 활용한 창직프로그램의 적용가능성을 시사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help provide an idea for adolescent career education by exploring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 of the gamification job-creation career education program using board games to adolescent.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through open questionnaires, observations and interviews with a 8 sessions of program for 24 second graders of H High School in D Cit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open coding,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classified semantic system could be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self-understanding,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relationships, career maturity, and understanding of gamification teaching methods. The thematic collection according to categories is self-discovery and self-growth,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relationships and communication, understanding of the world of work and attitudes toward careers, understanding of gamification teaching methods and change of perception of board games. These results suggest the applicability of the job creation program using gamification teaching methods in career education.

      • KCI등재

        그림책을 활용한 아동문학수업의 경험이 현직 보육교사인 예비유아교사에게 주는 의미 탐색

        우채영 ( Woo Chae-young ),권정해 ( Kwon Jung-hae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7 아동교육 Vol.26 No.3

        본 연구는 그림책을 활용한 아동문학수업의 경험이 현직 보육교사인 예비유아교사들에게 어떠한 의미를 주는지, 또한 교사의 역량개발에 어떠한 도움을 주는지 탐색하고자 하였다. 자료의 수집은 한 학기동안 아동문학 수업에 참여한 예비유아교사 중 현직 보육교사로 재직 중인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반구조화 질문지와 전화면담 등을 통해 이루어졌고, 자료의 분석은 개방적 코딩방법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그림책을 활용한 문학수업을 통해 분류된 의미체계는 자신이해 및 성장, 타인 이해 및 소통, 실무능력향상, 그림책에 대한 인식 변화 등 네 가지 범주로 나눌 수 있었다. 즉 그림책을 활용한 아동문학 수업을 통해 먼저, 자신을 성찰하고 내면의 상처를 치유할 수 있었으며, 자기표현의 기회를 통해 자신감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족의 소중함을 알게 되었고 타인을 이해하고 소통할 수 있게 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수업을 통해 경험한 교수법을 현장에 적용하고 그림책 관련 수업계획안을 작성할 수 있게 되었으며, 매체제작활동을 통해 실무능력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그림책을 다양한 관점에서 접근할 수 있으며 확장활동이 가능하고, 교육의 대상 역시 다양하다는 것을 알게 된 것이다. 이와 같은 결과는 그림책을 활용한 문학수업이 유아뿐 아니라 교사나 부모교육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ed to research the meanings of experience in children`s literature course using picture books to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currently as childcare teachers, and also how it could be helpful to the development of teachers` qualification. The data collection was done through the telephone interviews and the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targeting learners currently working as childcare teachers among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articipating in the children`s literature course for a semester. For data analysis, the open coding method was used. In the results of analysis, the semantic system through the literature course using picture books was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such as self-understanding & growth, understanding of others & communication, improvement of practical work ability, and changes in perception of picture books. In other words, through the children`s literature course using picture books,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first, introspected themselves, cured their inner wounds, and also improved self-confidence through opportunities to express their thinking. Second, on top of learning about the preciousness of family, they were able to understand others and to communicate with them. Third, they were able to write lesson plans related to picture books by applying teaching methods learnt from the course to the site, and also their practical work ability was improved through the media production activity. Fourth, they learnt that picture books could be approached from diverse perspectives, many extensive activities could be done, and picture books could be applied to diverse educational activities. Such results suggest that the literature course using picture books could significantly influence young children and teachers or parental education.

      • KCI등재

        초등학교 고학년의 그릿(GRIT), 온라인 학습 만족도 및 학습전이 간의 관계에서 테크놀로지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우채영(Chaeyoung Woo),박정순(Jeongsoon Park) 한국문화융합학회 2022 문화와 융합 Vol.44 No.6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이 지각하는 그릿, 테크놀로지 자기효능감, 온라인 학습 만족도 및 학습전이 간의관계를 알아보고, 그릿과 온라인 학습 만족도 및 학습전이의 관계에서 테크놀로지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고학년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는SPSS 28.0과 SPSS Process macro 4.1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노력지속성은 흥미일관성, 테크놀로지 자기효능감, 온라인 학습 만족도, 온라인 학습전이와 정적 상관을 보였고, 특히, 온라인 학습 만족도와 학습전이는 가장 높은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그릿의 하위요인 중 노력지속성과 온라인 학습 만족도 및 학습전이 간 테크놀로지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끊임없이 쏟는 노력을 의미하는 그릿, 테크놀로지에 관한 신념, 학습의 만족도가 온라인 학습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하는 요인이 될 수 있음을 의미하며, 이를 증진하기 위한 전략이 요구됨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온라인 학습의 효과를 증진하기 위한 요인을 검증하였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technological self-efficacy and GRIT, online learning satisfaction, and transfer of learning perceived by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It also aim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technological self-efficacy.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300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the SPSS 28.0 and SPSS Process Macro 4.1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ersistence in student effort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persisted interest, technological self-efficacy, online learning satisfaction, and transfer of online learning. In particular, online learning satisfaction and transfer of learning showed the highest positive correlation. Second, among the sub-factors of GRIT, the mediating effect of technological self-efficacy on persistant effort, online learning satisfaction, and transfer of learning was verified. These results imply that GRIT(perseverance of effort), belief in technology, and learning satisfaction are factors that can lead to a positive effect in online learning. It suggests that a strategy to promote these factors is required.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verified the factors for enhancing the effectiveness of online learning in elementary schools.

      • KCI등재

        ZnO 나노 분말 코팅 기반 건식전사 그래핀 전극 제작 및 유기태양전지 응용

        조영수,우채영,홍순규,이형우,Jo, Yeongsu,Woo, Chae Young,Hong, Soon Kyu,Lee, Hyung Woo 한국분말야금학회 2020 한국분말재료학회지 (KPMI) Vol.27 No.4

        In this study, partially dry transfer is investigated to solve the problem of fully dry transfer. Partially dry transfer is a method in which multiple layers of graphene are dry-transferred over a wet-transferred graphene layer. At a wavelength of 550 nm, the transmittance of the partially dry-transferred graphene is seen to be about 3% higher for each layer than that of the fully dry-transferred graphene. Furthermore, the sheet resistance of the partially dry-transferred graphene is relatively lower than that of the fully dry-transferred graphene, with the minimum sheet resistance being 179 Ω/sq. In addition, the fully dry-transferred graphene is easily damaged during the solution process, so that the performance of the organic photovoltaics (OPV) does not occur. In contrast, the best efficiency achievable for OPV using the partially dry-transferred graphene is 2.37% for 4 layers.

      • KCI등재

        중학생이 지각하는 교사의 자율성지지, 조건부 관심, 자기결정성 동기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최헌철 ( Choi Heon-cheol ),우채영 ( Woo Chae-young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8 아동교육 Vol.27 No.3

        본 연구는 중학생이 지각하는 교사의 자율성 지지와 조건부 관심, 그리고 학생의 자기결정성 동기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 자기결정성 동기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대구시 D중학생 51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고, 485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 19.0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및 상관계수를 산출하였고, 회귀분석을 통해 각 변인 간의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첫째, 교사의 자율성 지지는 확인된 조절과 내재적 조절에 다소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고, 조건부관심과 학업성취도와는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또한 교사의 조건부 관심(관심강화, 관심철회)은 외적 조절과 내사된 조절에 다소 높은 상관이 있으며, 학업성취도에는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둘째, 교사의 자율성 지지와 조건부 관심강화 및 관심철회는 학업성취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예측변인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내재적 조절, 내사된 조절, 외적 조절은 학업성취도에 유의미한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의 자율성 지지와 조건부 관심 및 관심철회는 학업성취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는 않았으나, 자기결정성 동기를 매개로 하여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성별에 따른 교사의 자율성 지지와 조건부 관심 강화 및 철회는 학업성취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았다. 하지만, 남학생의 경우에는 통제적 조절(내사된 조절)과 자율적 조절(내재적 조절)이, 여학생의 경우 통제적 조절(외적 조절, 내사된 조절)이 학업성취도에 대한 유의미한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교실수업의 방향을 논의하였고, 향후 연구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teacher's autonomy support, conditional regard, and middle school student's self-deterministic motive to academic achievement. For the purpose, survey was carried out targeting 510 middle school students and 485 questionnaires were used to final analysis. SPSS 19.0 was used to make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The result shows, first, the teacher's autonomy support has a slightly higher correlation with identified regulation and intrinsic adjustment but has negative correlation with conditional interest and academic achievement. Also teacher's positive and negative conditional regard has a slightly higher correlation with external control and internal investigated control and has negative correlation with academic achievement. Second, teacher's autonomy support, conditional regard didn't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redictor in academic achievement. However intrinsic adjustment, internal investigated control and external control were a significant predictor of academic achievement. Third, teacher's autonomy support according to grade and sex, conditional regard were not a significant predictor of academic achievement. But sub-factors of self-deterministic motive were significant predictor of academic achievement according to grade and according to sex, external control, internal investigated control and internal control were significant predictor of academic achievement.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I discussed the direction of the class in classroom and suggested future research pla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