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휴머니즘과 교육에 관한 소고(小考) :: 슬로터다이크의 『인간 농장을 위한 규칙』(1999)을 중심으로

        우정길(Jeong,Gil Woo)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8 敎育問題硏究 Vol.31 No.4

        This study investigates the question of humanism and education in the speech “Rules for the Human Park” by Peter Sloterdijk, a German philosopher, at the Castle Elmau in Bayern 1999. In this speech he insisted that the traditional concept of humanism as “letterwriting and bookreading” has now come to an end and he suggests that a new concept of humanism (“posthumanism”) for a new era is needed. However the press and the intellectual society has shown a deep concern and skepsis on his idea, as he refers the “clever connection of ethics and genetics” and Zarathustra and Übermensch by Nietzsche. The so called Sloterdijkscandal or scandalization is reported briefly in the first half of this article. In the following part of this article, we will take one step further towards Sloterdijk’s suggestion for a conceptualization of education. The same skepsis of the press of two decades ago is also shared in the area of education, considering his statements on education. Basically he understands education as breeding, which is one of the mainstream ideas of the traditional pedagogy. But if his new humanism, namely posthumanism, includes the genetic intervention, and if the new concept of education is based on or combined with it, then we cannot guarantee the traditional or essential quality both of the human and education. 본고는 1999년 독일 지성계 최대 화두였던 철학자 슬로터다이크(P. Sloterdijk)의 엘마우城강연을 중심으로 그가 던진 휴머니즘과 교육의 문제를 고찰하고 있다. “인간 농장을 위한 규칙”이라는 제목으로 행해진 이 강연은 전통적 개념의 휴머니즘, 즉 “독서사회로서 휴머니즘”이 이제 종언을 고하고 있다는 주장과 아울러 새로운 시대에 어울릴 새로운 휴머니즘이 필요하다는 제안을 담고 있다. 우생학적 발상과 관련이 있어 보이는 이 새로운 휴머니즘 구상에 대해 당시의 언론계와 지성계는 심각한 우려와 비판을 보였다는 사실이 본고의 전반부에서 보고되고 있다. 여기서 한 걸음 더 나아가, 본고의 후반부에서는 슬로터다이크가 제안한 이른바 포스트휴머니즘의 기획에 기반한 교육, 즉 “사육으로서 교육”이 전통적 교육 개념의 대안으로 혹은 미래교육의 방향으로 적절한가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진다.

      • KCI등재

        교실 - 탄생성의 공간

        우정길 ( Jeong Gil Woo ) 한국교육철학학회 2015 교육철학연구 Vol.37 No.3

        본고는 교실 현장에서 일상적으로 관찰되는 현상, 즉 교사의 교육적 의도성으로 환원되지 않는 관계적 현상들의 이해를 위한 사유의 틀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칸트의 공학적 교육관, 고전적·현대적 조직이론들 그리고 아렌트의 탄생성 개념을 고찰의 대상으로 삼고 있다. 우선 “주형장(鑄型場moulding place)으로서 교실”로 표현될 만한 칸트의 교육 구상은 교육에 대한 가장 일반적인 이해이기는 하지만, 그 속의 교육적 관계는 철저히 교사중심적·일방향적이다. 칸트의 교육은 가소성과 계획성 및 예측가능성을 특징으로 하며, 따라서 교사의 교육적 노력으로 환원되지 않는 교육적 현상은 고려의 대상에서 제외된다. “강철 새장(iron cage)으로서 교실”로 은유되는 베버의 관료제론 역시 기계적 합리성을 기초로 하기에, 칸트의 경우와 크게 다르지 않다. 그러나 현대적 관료제이론들에서 보이는 교실의 “탈관료제성”(Hoy & Miskel), “느슨한 결합체성”(Weick) 그리고 이른바 “쓰레기통이론”이 시사하는 “조직된 카오스”의 공간으로서 교실은 본고가 모색하고자 하는 사유의 틀로서 상당히 유의미하다. 이에서 한걸음 더 나아가 우리는 아렌트의 탄생성 개념에 근거하여 “산실(産室birth place)로서 교실”을 제안하려 한다. 우선 탄생성의 계기를 다원성, 관계성, 우연성으로 구조화한 후, 이러한 계기들로 구성되는 교실의 역동성에 대해 그리고 이것이 교육과 교육학에 어떤 새로운 시사점을 남기는가에 대한 사유를 공유하고 있다. 교실은 인간이 만들어지는 주형장이나 기계적 합리성에 의해 조직·운영되는 “강철 새장”이 아니라, 인간이 늘 새롭게 탄생하는 산실이라는 것이 본고의 주장이다. This article aims to investigate the classroom phenomenon which is not reduced to pedagogical intentionality of teacher according to Kant’s concept of education presented in his lecture Uber Padagogik (1803) theories on school organization from bureaucracy theory by Weber to Hoy & Miskel (“de-bureaucracy“), Weick (“loosely coupled organization) and “garbage can theory” by Cohen, et. al, and lastly Arendt’s concept of natality. Kant’s concept of education, which can be metaphorically described as “classroom as a moulding place,” is teacher oriented and one sided. It can be characterized with plasticity, planability and predictability, however it does not provide a theoretical space for phenomenon beyond the teachers pedagogical efforts. The similar case is the classical organization theory, namely Weber’s bureaucracy theory in which classroom can be described as an “iron cage”. This theory is based on the strong mechanical concept of rationality, and as a consequence of it, there is no room for explanation for arising of unprecedented idea and phenomenon. In contrast to it, a few modern organization theories imply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school classroom; for instance, Hoy & Miskel refer to de-beaurocratic attribute of school classroom, Weick defines it as a “loosely coupled system” and garbage can theory regard it as an “organised chaos.” These findings show consistently that school classroom is neither a place of the teacher-reductionism nor a space of teleological and mechanical rationality. School classroom is a space where a new idea and a new person is born, not by a teacher alone, but continuously in the dynamic relationship between school classroom participants. This idea will be extended and concretized from pedagogical perspective in the last chapter according to the concept of natality by Arendt, which is constructed into three elements (plurality, relationality, contingency) and “school classroom as a birth place” will be suggested.

      • KCI등재

        Forschungstendenzen der Bildungs- und Erziehungsphilosophie im internationalen Vergleich - USA, Großbritannien, Südkorea, Deutschland (2005-2009)

        Woo, Jeong-Gil(우정길) 한독교육학회 2011 교육의 이론과 실천 Vol.16 No.1

        본 논문에서 저자는 2005년에서 2009년 사이 미국, 영국, 한국 그리고 독일의 교육철학 연구동향을 비교고찰하고 있다. 미국과 영국 그리고 한국의 경우는 각국의 교육철학회에서 출간하는 학술지를 대상으로 하였고, 독일의 경우는 해당 기간 연차학술대회 주제선정의 배경 및 과정에 관련된 문헌을 고찰하는 방식으로 연구는 진행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교육철학 연구동향의 공통점은 “교육철학의 자기성찰과 사회참여”라 할 수 있다. 즉 해당시기에 국한하여 볼 때 교육철학은 당면한 사회적 과제 또는 교육사회의 문제(해결)에 대해 적극적인 관심을 표출하였으며, 아울러 경험연구 또는 실천학으로서 교육철학에 대한 논의가 심화된 가운데 교육철학의 학문적 정체성에 대한 자기성찰 역시 그 빈도가 높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대내적으로는 교육철학이 교육학 내에서 갖는 의의와 위상에 대한 성찰의 필요성을 그리고 대외적으로는 교육철학이 교육과 관련된 사회현상에 적극 관여하여 그 이론적 실천적 진단과 대안을 내어 놓아야 한다는 사회적 요구를 반영한 것으로 해석된다. 이와 아울러 아시아 연구가 공통적으로 전무하거나 부진하다는 사실 또한 이후의 연구를 위해 유의미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공통점과 아울러 각국의 학문풍토와 문화적 배경에 따른 상이한 연구경향과 중점들이 있다는 점 역시 비교교육학 연구를 위해 흥미로운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Der Artikel untersucht die internationale Forschungstendenz der Bildungs- und Erziehungsphilosophie der letzten fünf Jahre am Beispiel der Länder USA, Großbritannien, Südkorea und Deutschland. Für einen internationalen Vergleich wurden Zeitschriftenartikel(USA, Großbritannien, Südkorea) und Themen der jährlichen Kommissionstagungen (Deutschland) herangezogen. Die internationale Forschungstendenz lässt sich zusammenfassen als hohes Interesse an der Gesellschaftsproblematik und der Sozialphilosophie, als starkes Bedürfnis nach Neuidentifizierung des wissenschaftlichen Charakters und der Methodologie der Bildungs- und Erziehungsphilosophie. Die Bildungs- und Erziehungsphilosophie wird parallel zu dem Anspruch von außen auf Interessenserweiterung und gesellschaftlicher Relevanz von innen her mit der Aufgabe der Neuidentifizierung konfrontiert. Außerdem findet man länderspezifische Akzentuierungen in der Themenauswahl und den Forschungsmethoden, die in Bezug auf die unterschiedlichen Forschungstraditionen und -kulturen relevant sind.

      • KCI등재

        대화교육학의 주체철학적 이해에 대하여

        우정길(Woo, Jeong-Gil) 한독교육학회 2011 교육의 이론과 실천 Vol.16 No.2

        마틴 부버의 대화철학은 주체철학과 어떻게 다른가? 그리고 그의 대화교육학은 주체철학의 주객분리의 한계와 위험성을 극복하였는가? 본고는 이러한 두 가지 질문에 대한 당대 학자들의 대응과 수용에 관한것이다. 우선 제 I장에서는 본고의 중심 주제로 삼고 있는 인간관계 일반 및 교육적 관계와 관련하여 부버의 대화철학적 입장을 간략히 확인하였다. 제 II장에서는 전통적 주체철학의 주객분리현상을 극복한 것으로 평가되는 부버의 대화철학이 여전히 주체철학의 관점에서 독해되고 주객분리의 틀에서 적용되는 사례들을 살펴봄으로써, 부버 철학에 대한 의도하지 않은 오해와 왜곡의 발생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이어지는 제 III장에서는 부버의 대화철학과 대화교육학에 대한 오해의 원인을 크게 세 가지(철학언어와 일상언어의 혼동, 부버의 포용개념에 대한 피상적 이해, 대화교육학의 가능성 ․ 한계에 대한 부버 스스로의 사후적 교정) 측면에서 진단해 보았다. 이를 통해 저자는 부버의 대화교육학에 대한 오해의 감소를 도모하고, 대화교육학의 이론적 한계의 교정적 보완 및 현대화의 가능성을 제안한다. Wie unterscheidet sich das neue Denken der Dialogphilosophie von der alten Denkweise der Subjektphilosophie? (Theunissen, 1977) Und hat die Dialogpädagogik mit Ihrer Ich- Du-Logik die heutzutage häufig kritisierte Gefahr des Subjekt-Objekt-Dualismus überwunden? Es handelt sich in diesem Artikel um diese Fragestellungen und systematische Betrachtung der Reaktionen in der Pädagogik. In dem einführenden Kapitel soll die dialogphilosophische Position Bubers in Bezug auf das zwischenmenschliche und pädagogische Verhältnis festgestellt werden. Im nächsten Kapitel sollen einige Forschungsbeispiele genannt und analysiert werden. Sie halten die Dialogpädagogik Bubers grundsätzlich für eine gelungene Alternative für das subjektphilosophische Gewaltmodell in der Pädagogik. Trotz dieser Absicht der positiven Bewertung und Bemühungen um die theoretische sowie praktische Rezeption dialogpädagogischer Idee, zeigen diese Untersuchungen, dass sie sich von der subjektphilosophischen Denkweise immer noch nicht ganz verabschiedet haben, indem sie -paradoxerweise gegen ihrer eigenen Forschungsabsicht - die neue Bestimmung von Ich-Du mit dem traditionellen Subjekt-Objekt-Verhältnis assoziieren und zur Geburt einer neuen Ich-zentrierten Subjektivität mit noch stärkerer Autorität und Normativität bringen. Im folgenden Kapitel sollen die Gründe für diese paradoxe Situation aus verschiedenen Perspektiven, nämlich Misverständnis zwischen Philosophie- und Alltagssprache, oberflächliche Untersuchung des Begriffs Umfassung Bubers und nachträgliche Korrektur der Dialogpädagogik Bubers, genannt werden. Anhand dieser Analyse und Diagnose sollen die Möglichkeit und Grenze der Dialogpädagogik Bubers zur Revision gestellt werden und schließlich Möglichkeit der Modernisierung der dialogpädagogischen Idee vorgeschlagen werden.

      • KCI등재

        Niklas Luhmann의 체계이론과 교육적 관계에 대한 소고

        우정길(Woo, Jeong-Gil) 한독교육학회 2015 교육의 이론과 실천 Vol.20 No.3

        본고는 Luhmann의 체계이론의 교육학적 수용가능성과 한계에 관한 연구이다. 구체적으로는 Luhmann의 체계이론이 표방하는 인간학적 전제의 검토, 그리고 교육적 관계의 성격 규명 그리고 이러한 새로운 이론적 시도가 현대 교육학에 시사하는 의미의 검토 등이 본고가 목적하는 바이다. 이를 위해 제 II장에서는 체계존재론, 체계존재의 양상, 체계관계론 등 세 가지 범주로 나누어 Luhmann의 체계이론이 표방하는 ‘체계’의 구조와 체계관계론의 특성을 고찰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본고에서는 이른바 체계이론적 교육관계론의 양상과 함의를 다음과 같이 정리하고 있다. 첫째, 체계이론은 교육의 전통적 주체인 인간을 자기준거성과 폐쇄성을 특징으로 하는 체계로 대체하였다. 체계이론적 교육관계는 ‘주체 - 객체’나 ‘주체 - 주체’가 아니라 ‘주체 - 구성된 주체’의 관계이다. 둘째, 그 결과로 교육은 인간과 인간의 관계가 아닌 체계와 체계의 관계로 규정되었고, 체계이론적 교육관계는 기계적 자기중심성을 그 특징으로 삼게 되었다. 셋째, 이러한 체계의 자기중심성은 교육적 지향성과 인과성의 실현이라는 교육의 전통적 개념과 양립하기 어려우며, 넷째, 아울러 교육적 관계의 참여가 사이의 공동의 이해와 인 식 그리고 가치의 공유 등은 교육적 관계에서 기대하기 어려운 요소들이 되었다. 다섯째, 체계이론의 교육학적 수용의 위와 같은 난점과 아울러 이중의 우연성 개념을 통해 전통적 교육학에서 설명할 수 없었던 우연적 발생 또는 교수학습의 비인과적 결과 등에 대한 해명의 실마리를 체계이론이 제공한다는 점은 분명 체계이론의 기여라 할 수 있다.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possibility of pedagogical reception of System-theory by Niklas Luhmann. Specifically, in terms of pedagogical relationship, it deals with the anthropological premise of System-theory, defini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concept of system-theoretical pedagogical relationship and its implication as well as challenges for the contemporary pedagogy. For this purpose we firstly investigated the System-theory with three questions: who does exist? How does it exist? And in what kind of relationship do the Systems stand to each other? The pedagogical implication and challenge of the System-theory induced through these inquiries can be summarized as follow: A) According to the System-theory, the subject of traditional pedagogy or even human being as a major anthropological premise should be replaced by the concept of system which is marked with self-referentiality and operational closedness. B) As a consequence of it, system-theoretical educational relationship not as a relationship between man and man but as one between system and system is characterized with mechanical closedness and self-centeredness. In this sense, educational relationship from a System-theoretical perspective can be characterized not as ‘subject - object’ or ’subject - subject’, but as ’subject -constructed subject’. C) The concept of System as such is not compatible with the traditional pedagogy which is built on the principle of pedagogical intentionality and causuality. D) Common understanding and recognition as well as sharing of value between the participants of educational relationship is not possible. E) In spite of all these limitations, contingency or non-causal occurrence as an embeded phenomenon of educational activity and educational relationship, which has been regarded as a problem in the traditional pedagogy, can be partly brought to an explanation.

      • KCI등재

        탄생적 상호주관성과 교육- 비에스타(G. Biesta)의 아렌트(H. Arendt) 수용을 중심으로

        우정길 ( Jeong Gil Woo ) 한국교육철학학회 2014 교육철학연구 Vol.36 No.1

        본고는 아렌트의 이른바 탄생적 상호주관성이 교육학과 맺는 관련성을 비에스타의 논의를 중심으로 고찰하고 있다. 우선 제I장에서는 아렌트 탄생적 상호주관성의 교육학적 수용과 논의의 지형을 마스켈라인과 비에스타를 중심으로 간략히 살펴보고, 동시에 비에스타의 교육학 연구에서 아렌트의 탄생성이 차지하는 비중에 대해 소개한다. 제II장에서는 상호주관성의 관점에서 아렌트의 탄생성을 대화적 관계성, 역설적 다원성, 타자와의 공존으로 인한 우연성의 발생, 응답적 윤리성 등으로 해석하고 각각의 의미를 밝힌다. 이어지는 제III장에서는 아렌트의 탄생적 상호주관성을 교육학적 사유 속으로 가장 지속적으로 수용해 온 비에스타의 교육주체성의 재개념화, 즉 “현전-속으로-옴” 또는 “세계-속으로-옴”의 의미를 소개·해석하고, 이에 근거하여 전통적 교육학과는 다른 방식의 교육 이해를 고찰한다. 특히 탄생적 상호주관성의 이접성, 해체성, 파괴적 생성성 등에 근거하여 비에스타가 제안하고 있는 “교육의 아름다운 위험부담, 교육의 불가능성, 망설임 없는 교육의 지양” 등이 이론적·실천적으로 어떤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지에 대해 탐구한다. 아울러 제IV장에서는 이상의 논의의 정리와 아울러, 탄생적 상호주관성의 교육학적 수용이 교실현장의 상황과 어떤 관련을 맺으며, 전통적 교육의 재고와 행위로서 재개념화를 위해 어떤 새롭고 유용한 관점을 제공할 수 있는지에 대해 간략한 범례적 고찰을 제시하고 있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relevance of the so called intersubjectivity of natality by H. Arendt to the contemporary pedagogy according to G. Biesta who is one of the main recipients and interpreters of Arendt`s thought in pedagogy. In the first chapter, a brief topography of Arendt research in pedagogy is presented with focus on the concept of intersubjectivity of natality. In the next chapter, motives of this special concept are characterized as “dialogical relationship, paradoxical plurality, contingency based on alterity and responsive ethics.” According to Biesta, education in this space of intersubjectivity of natality distinguishes itself from the intentionality based and subject centered modern pedagogy in that (A) this new concept of education suggests another way of defining the educational subject as “coming-into-presence or coming-into-the-world” which denies a predetermined-transcendental identity and advocates a coexistential-dynamic process in the space of intersubjectivity, and (B) it has to do with disjunctive, deconstructive and violent nature due to the plurality, relationality, alterity and contingency in the intersubjective space of natality. Education in this sense, seen from a traditional perspective of the modern pedagogy, seems to be a “risky and even impossible” business, even though it could be a “beautiful” one as Biesta suggests. Biesta`s positive reception of the Arendt`s ‘natality’ into the theory of educational relationship can show a new way to redefine education as action instead of making, to reidentify the participants of educational practice and to reevaluate the meaning of educational practice.

      • KCI등재

        학회지를 통해 본 교육철학 연구 동향: JPE, ET, KJPE를 중심으로

        우정길 ( Jeong Gil Woo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2011 교육철학연구 Vol.33 No.2

        본고는 2005-2010년 사이 Journal of Philosophy of Education(영국교육철학회), Educational Theory(미국교육철학회 & 미국J.Dewey학회) 및 The Korean Journal of Philosophy of Education(한국교육철학회)에 게재된 550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교육철학 연구동향을 고찰하였다. 특히 시험연구를 통해 도출된 "교육철학의 자기성찰과 변혁"이라는 관점은 본 연구의 틀과 논지 형성에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발견하게 된 교육철학 연구의 동향은 다음과 같이 서술할 수 있다. 즉, 교육철학은 대외적으로는 사회문제의 진단 및 해결 그리고 시대적응이라는 도전에 직면해 있고, 대내적으로는 교육철학 학문성의 현대적 재개념화라는 과제에 직면해 있다. 전자를 통하여서는 교육철학의 기능과 의의가 사회적으로 확인될 필요가 있으며, 후자를 통하여서는 교육학의 모 학문이자 분과학문인 교육철학의 의의와 위상이 재확인 될 필요가 있다. 현재 교육철학은 교육사회 문제로 눈을 돌림으로써 교육철학의 외연을 확대하고, 교육철학의 학문적 정체성에 대한 자기성찰을 통해 내적 타당성을 공고히 해 나가는 과정에 있다고 여겨진다. This article tries to give an overview on the international tendency of research in the contemporary philosophy of education. The author analyses recent journal articles in the last six years, which belong to the societies of philosophy of education - Journal of Philosophy of Education (UK), Educational Theory (USA), The Journal of Philosophy of Education (South Korea) - and brings them to an international comparision. Focussing on the perspective "self-reflection and transformation of philosophy of education", which was developed through a pilot test, the author shows, in what subjects the philosophers of education of these journals the most interested. The international tendency of research in the philosophy of education can be summarized as "social engagement and the need for self-reflection with reorientation of this discipline"; in other words, active participation in the social problem through social-philosophical orientation, and need for revision and redefinition of the identity of the philosophy of education and emphasis on empirical research. Moreover this article shows specific features of each research group, which are related to the different cultures and traditions of the philosophies of education.

      • KCI등재

        교육학과 포스트휴머니즘 담론의 임계점에 관한 고찰

        우정길 ( Woo¸ Jeong-gil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2020 교육철학연구 Vol.42 No.4

        포스트-휴머니즘과 포스트휴먼-이즘을 개념적으로 구분하면서 포스트휴머니즘 담론의 지형을 제시하는 데서 시작하는 본 연구는 근래 인문과학 사회과학계의 관심사로 부상한 포스트휴머니즘 담론이 교육학의 논리와 어떻게 유사하고 또한 상이한지를 검토함으로써, 이 새로운 담론을 대하는 교육학의 관점들을 점검하고 있다. 교육학과 포스트휴머니즘 담론 사이의 표면적 유사성은 이 두 가지가 공히 인간의 개선을 목적으로 한다는 사실 그리고 결핍존재론과 이원적 인간론을 그 논거로 활용하고 있다는 데 있다. 아울러 교육학은 광의의 휴머니즘에 기반한 계몽주의를, 그리고 포스트휴머니즘 담론은 미완창조론과 자유의지론, 계몽주의와 진화론, 자유주의 우생학과 기술낙관주의의 자의적 조합을 사상적 배경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교육학이 추구하는 인간의 개선이 인간다움의 실현 또는 인간적인 인간의 구현에 있다면, 포스트휴머니즘의 목적은 인간을 초월한 인간의 추구에 있다는 점에 있으며, 아울러 이러한 목적의 실현을 위하여 교육학은 교육이라는 전통적 방법론을 그리고 포스트휴머니즘은 향상(enhancement)이라는 이름으로 총칭되는 현대의 공학기술적 방법들을 활용하는 데 그 차이가 있다. 이상의 비교에 근거하여, 본고는 이 둘의 차이의 의미가 교육학의 관점에서 진지한 성찰의 대상이 되어야 한다는 주장을 피력한다. 아울러 포스트휴머니즘이라는 새로운 담론을 마주하는 교육학이 포스트모더니즘 논쟁 이후 교육학의 주요한 패러다임 중 하나로 주목받았던 관계중심성 논의들에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 그리고 더 개방적 포용적이면서도 전통적 인간성 인류성 개념에 충실한 교육의 개념을 새롭게 디자인해 나가야 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Beginning from the differentiation between Post-humanism and Posthuman-ism to make an overview on the topography of the discourses of posthumanism, this study investigates the similarity and difference in its ground and argument between the traditional science of education and posthumanism which has become one of the major concerns in the field of human science and social science in the last decade. It also examines the basic perspectives of the traditional science of education confronting with these new discourses. The superficial similarity is that they both aim at an improvement of human being and that they use the theory of deficit being (Defizitwesen, Mangelwesen) as well as the dualistic anthropology as a ground for their argument. However, the science of education is deeply rooted in the spirit of humanism and enlightenment in a broad sense, while posthumanism is rather a combination of the theory of unfinished creation and a doctrine of the free will, and a mixture of the evolution theory, eugenics, and techno-utopianism. Critical differences can be found in their goals. In case of education, the goal is the realization of humanity, namely being and becoming fully-human; in the case of posthumanism, it is the pursuit of the betterment of humanity in the sense of making human better than human, i.e. beyond human through the NBIC-methods of enhancement. On this ground, this study stresses the view that these differences need to be the object of the serious reflection from the educational perspective. And it proposes that the contemporary science of education should pay more attention to the objects between education and enhancement, namely the areas of supplement, correction and therapy which have been marginalized in the traditional education. It is time for the contemporary science of education to have more eye on the relationship-centered paradigm which has been the main issue after the era of postmodernism. It also needs to redesign the concept of education in ways to be more open and inclusive towards the objects of supplement, correction and therapy, as well as still to remain faithful to the main idea of humanity at the same time.

      • KCI등재

        “기계로서 인간”: 교육적 인간의 기계적 환원 사례 연구

        우정길(Jeong Gil Woo)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8 敎育問題硏究 Vol.31 No.2

        본고는 교육적 인간의 자기이해의 역사 속에서 포착되는 기계론적 인간이해 혹은 인간의 기계론적 환원의 사례들을 고찰한다. 본고에서 선별된 사례들은 인간의 인간임 혹은 인간의 인간됨을 규정함에 있어서 ‘기계로서 인간’을 명시적으로 전제하거나(코메니우스, 데카르트) 혹은 기계적 도구와 장치를 교육의 수단으로 동원하고(슈레버), 그 바탕 위에 교육 이론이 구상되고 실천된 경우들이다. 제II장에서 고찰하게 될 코메니우스와 데카르트는 중세로부터 근대로 이행되던 문명사적 전환기를 배경으로 근대 과학문명의 태동을 목도하고 주도했던 인물들로서, 이들의 논의 가운데 자주 거론되는 시계와 해부학은 근대 기계적 인간관과 기계론적 교육을 이해하고 규정하는 핵심적 키워드들이다. 제III장은 교육학의 역사에서 거의 다루어진 적 없는 인물인 슈레버를 고찰한다. 본고에서는 그가 시연해 보인 아주 독특한 방식의 혹은 극단적 방식의 기계적 인간이해와 교육실천의 단면, 그리고 그 교육적 영향과 관련된 내용들을 다루고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s historical examples of mechanistic understanding or mechanistic reduction of human and education in the history of education. In their theories human being was conceptualized as a sort of machine, in a metaphorical meaning (Comenius: Ch.II-1) or in a literal meaning (Descartes: Ch.II-2), or on the basis of this understanding mechanical instruments were in use to realize their ideal image of human being (Schreber: Ch.II). Comenius and Descartes were the leading figures who witnessed the birth of the new culture and technologies in the transition era from the Middle Age to the modern times. Clock and anatomy are two important keywords for them to describe their understanding of human being and human education. The last chapter is devoted to Moritz Schreber who has been scarcely inquired in the history of education. His theory and practice in education, which are strongly based on anatomy, physiology and orthopedics on one side, and very authoritative on the other side, shows an extreme example of mechanistic version of education as human making.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