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임진왜란시 소년 柳袗의 피란 경험과 그 전승

        우인수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7 민족문화논총 Vol.66 No.-

        This study set out to analyze the life of Ryu Jin as a refugee based on his Yimjinrok.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broke out when he was an 11 year old boy. He was the son of the first vice-premier and started his refugee journey with his family in Hanseong. He wrote Yimjinrok 29 years after the war, recalling his life as a refugee. His refugee journey began in Hanseong, passed Gyeonggi Province and Gangwon Province, and extended to Pyeongan Province. It took him about two years to return to Hanseong to be together again with his family under one roof. It is usually children that are subjected to the greatest suffering in war, and it is not common for their war experiences and life as refugees to be known. Yimjinrok depicts the life of a boy from a noble family as a refugee and shows the horrors of war and the hardship of refugee life through the eyes of a boy. Ryu Jin first started his refugee journey with the family of Ryu Woon-dong, his uncle. After several days into the journey, his uncle decided to break up the refugee party and asked him to follow a man named Heo Su by himself. When he arrived in Yangju, he met the family of his eldest sister that married into a family in Yangju and started his refugee life with them. Crossing the border between Gyeonggi Province and Gangwon Province, he usually stayed in mountainous areas and escaped from the throes of death about five times. It was at the end of December, eight months into his refugee life, that he had a dramatic encounter with a man sent by his father Ryu Seong-ryong to find him. He then moved to Pyeongan Province under the protection of that man. Meanwhile, the family of his eldest sister, with whom Ryu Jin stayed for a while during his refugee journey, went down to Jeolla Province via Namyang, Gyeonggi Province. The family of his uncle, from whom he parted before, went down to his hometown in Gyeongsang Province safely via Gangwon Province.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his family and relatives started a refugee journey together in Hanseong, stayed in Gyeonggi Province, and eventually left for Pyeongan, Jeolla, and Gyeongsang Province, respectively, to find their connections, separating from one another in search of a place for survival. 이 논문은 류진이 남긴 『임진록』을 바탕으로 하여 그의 피란생활을 분석한 글이다. 류진은 소년시절인 11세 때 임진왜란을 겪었다. 당시 좌의정의 아들이었던 소년 류진도 한성에서 가족들과 함께 피란길에 나섰다. 그는 임란 이후 십수년이 지난 29세 때 지난날의 피란 생활을 회고하면서 『임진록』이라는 기록을 후손에게 남겼다. 류진의 피란 역정은 한성을 출발하여 경기도와 강원도, 평안도를 거치는 먼 길이었다. 한성으로 되돌아 와서 일가족과 한 자리에 모이게 되는 데까지 약 2년이 걸렸다. 전쟁 중 가장 큰 고통에 직면하는 쪽은 어린아이들인데, 그들의 전쟁 체험과 피란 생활이 알려진 경우는 흔치 않다. 여기서는 양반가 소년의 피란 생활의 경험을 통해 소년의 눈에 비친 전쟁의 참상과 피란생활의 고난을 헤아릴 수 있었다. 그는 처음 백부 류운룡 가족을 따라 피란길에 나섰다. 피란에 나선 며칠 뒤 그는 백부의 분산책에 따라 일행과 떨어져 홀로 허수라는 사람을 따라가게 되었다. 양주에 도착하였을 때 시집간 맏누이네를 만나게 되었고, 함께 피란 생활을 하였다. 경기도와 강원도의 접경을 넘나들면서 주로 산악 지역에 머물렀는데, 그 동안 류진은 죽을 고비를 다섯 번 정도 경험하였다. 피란 생활 8개월만인 12월 말에야 아버지 류성룡이 아들을 찾기 위해 보낸 사람을 극적으로 만나게 되었다. 이후 류진은 보호를 받으며 평안도로 향하였다. 한편 류진을 데리고 피란하였던 맏누이네는 경기도 남양을 거쳐 전라도로 내려갔고, 그 전에 헤어졌던 백부네는 강원도를 거쳐 경상도 고향 근처로 무사히 내려갔다. 결국 한성에서 함께 피란을 떠나 경기도 일대에 머물다가 각각 평안도, 전라도, 경상도로 연고를 찾아 뿔뿔이 흩어져서 살 길을 모색하였던 것이다.

      • KCI등재

        조선후기 무과급제자의 義務 赴防制와 그 운영 실태

        우인수 역사교육학회 2022 역사교육논집 Vol.80 No.-

        Tensions intensified in the northern frontier of Joseon in the late 16th century as the Jurchens made growth. Beonho Lee Tang-gae's revolt in Hoiryeong, Hamgyeong Province in 1583 fired a flare for ensuing clashes and collisions. As the northern frontier was in turmoil, the royal court of Joseon felt a need to reinforce its defensive force there. One measure that was implemented was to make those who passed the military service examination fulfill compulsory service at the frontier for a year. An additional condition was created for the successful candidates of the military service examination to meet before they entered the world of bureaucracy. The level of need and utility for the successful candidates of the military service examination to serve at the northern frontier continued to be relatively high during the years of high tension at the northern frontier. This explains why the Joseon government rapidly increased the number of successful candidates of the military service examination to solve the crisis at the northern frontier. The utility of serving at the northern frontier gradually dropped, however, as the international order became stabilized with the tension resolved at the northern frontier. A measure began that exempted successful candidates from service at the northern frontier for goods and rice, which gradually increased in proportion and importance. Jebangmi(除防米) was collected on the premise of service at the northern frontier, and its continuance was related to the importance of service there. In the middle of his reign, King Yeongjo improved the system and freed the successful candidates of the military service examination who were not from the noble class from the compulsory service at the northern frontier. Jebangmi, whose premise was service at the northern frontier, was also removed from the collection list. The compulsory service system at the northern frontier was completely abolished following the period of power politics. This study broadened the understanding of the military service examination and its successful candidates by offering explanations about the compulsory service system at the northern frontier for them. The study also examined the rapid growth of successful candidates of the military service examination in the viewpoints of replenishing manpower to defend the borders and increasing the national defensive force.

      • KCI등재

        조선 선조대 지산 조호익의 유배생활

        우인수 조선시대사학회 2013 朝鮮時代史學報 Vol.66 No.-

        This paper presents an investigation into Jo Ho-ik's life in exile. Jo had a peculiar career involving 17 years in exile from the age of 32 to 48. The study examined how he was sent into exile and how he looked on the journey to exile in many aspects. His life in exile was investigated in terms of suffering of confinement, educational activities, and excursions to mountains. At the age of 32 when he was living in Changwon, Jo was designated as an illegal force in the country, being hated by Choi Hwang, the governor of Gyeongsang Province, who tried to have him sort out the army list. Eventually, he received a cruel punishment of being moved to a remote region with his entire family. Analysis of his Seojeongbu(西征賦) offers some clues to how he looked on his journey of exile from Changwon to Gangdong. He loaded all the household goods in a cart and hit the road on the back of horse, being accompanied by a groom and servant. Some of his brothers and relatives would accompany him on the journey for some distance as long as their circumstances allowed. He had to pay for all the costs to the destination. Arriving in Gangdong-hyeon, Pyeongan Province, his exile destination, he had a temporary house allocated to him. Later he built a house at a proper location and settled down there. His life in exile was a succession of loneliness, yearning, and inconvenience. Despite all that, he managed to accept his situation relatively well and sublimate it to deepen his study as an intellectual that had cultivated his academic quality. In addition, he taught many students gathering from neighboring areas and made them into his pupils. It was a great reward for him to meet and teach such talented scholars as Lee Shi-jik and Kim Yuk. Though he was sentenced to exile, he was allowed to live a relatively free life within the perimeters of the designated area. Since he was from a noble family with knowledge, the local chief administrators in charge of his supervision applied flexibility when dealing with him. He was even permitted a holiday once every several years to visit his hometown and made an excursion to Mt. Myohyang and Mt. Hyangpung in the vicinity. 이 논문은 조호익의 유배생활을 다룬 글이다. 조호익은 32세에서 48세까지 17년간 유배생활을 한 특이한 경력의 소유자였다. 본고에서는 유배를 떠나게 된 경위를 살폈고, 유배길에서의 여러 모습도 아울러 살폈다. 그리고 유배지에서의 생활을 구속의 고통, 교육활동, 산수유람 등의 측면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조호익은 창원에 거주하던 32세 때 그에게 軍籍 정리를 담당케 하려던 경상도 都事 최황의 미움을 사서 향촌의 불법적인 세력가로 지목되었다. 결국 변방지역으로 가족 모두를 이주시키는 가혹한 형벌에 처해졌다. 창원에서 강동에 이르는 유배길의 모습은 그가 쓴 「西征賦」의 분석을 통하여 어느 정도 파악할 수 있었다. 수레에 가재도구를 모두 싣고 말을 타고 길을 떠났다. 마부와 종자를 대동하였으며, 형제와 친척이 자신의 형편에 맞추어 일정 거리를 동행하다가 돌아가곤 하였다. 목적지까지 이르는 길에서의 모든 경비는 본인이 부담하여야 하였다. 목적지인 평안도 강동현에 도착하여서는 임시 거처를 배정받았다. 그 후 적당한 곳에 집을 짓고 정착하였다. 외로움과 그리움, 그리고 불편함의 연속이었다. 그런 가운데 그는 학문을 닦은 지식인답게 자신의 처지를 비교적 잘 수용하면서 그것을 학문을 깊이 하는 기회로 승화시켰다. 그리고 주변 지역에서 몰려드는 많은 학생들을 제자로 길러내었다. 이시직이나 김육 같은 인재를 만나 가르친 것도 큰 보람이었다. 한편 전가사변형에 처해졌다고는 하지만 해당 현의 범위를 벗어나지만 않으면 비교적 자유롭게 살 수가 있었다. 그리고 학식이 있는 사족의 신분이었기 때문에 감독 책임을 진 수령들도 대개 융통성있게 대해 주었다. 수년에 한 번 정도씩은 휴가를 받아 고향에도 다녀왔으며, 인근 지역에 소재한 묘향산과 향풍산을 유람하기도 하였다.

      • 塤搜 鄭萬陽(1664~1730)의 土地制度 改革論

        우인수 慶北大學校 退溪硏究所 2004 退溪學과 韓國文化 Vol.- No.35-2

        본고는 정만양이 제시한 토지제도 개혁안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그는 중국과 우리나라의 토지제도를 면밀히 검토한 위에서 자신의 토지제도 개혁안을 주장하였다. 그가 주장한 토지제도 개혁안은 토지 소유의 상한선을 제한하는 한전제였다. 그는 한대 동중서에 의해 제기된 한전제에서 그 이념을 가져왔으며, 중국의 여러 토지제도 개혁안을 참고하여 조선후기의 실정에 맞게 변용하였다. 이는 국가 차원의 토지 지급이 불가능한 현실을 고려한 방안이었다. 그만큼 가능성이 희박한 이상에 치우친 주장이 아니라 현실을 충분히 감안한 상태에서 실현 가능성을 높인 주장인 것이다. 그의 토지 개혁 구상의 핵심 내용은 개인의 소유권을 극도로 축소시키고, 국가의 토지에 대한 관리 권한을 대폭 강화하는 것이었다 그가 한전제를 통해 실현하고자 한 것은 분배를 감안한 평준화된 서민들의 생활, 사족의 특권이 인정되는 사회, 토지에 대한 통제력이 강한 국가 등이었다. 한전제는 토지개혁을 구상한 많은 당시의 학자들이 제기한 것이었는데, 그의 주장은 다른 학자들에 비해 상당히 빠른 시기에 나온 것이어서 선구적인 의미가 있었다. 그리고 그의 개혁안은 어느 다른 학자의 한전제보다도 자세하고 구체적이었던 점에 의의가 있었다. 그리고 현실에 적용할 수 있는 실현 가능성을 중시하면서 점진적이지만 확실한 방안을 제시한 점도 큰 특징으로 지적할 수 있다. 아울러 그가 영남 지역의 남인이었다는 점에서 그동안 별다른 주목을 받지 못하였던 영남 남인의 개혁성향을 살피는 데도 도움이 된다. 영남 남인 학자 가운데서 토지제도에 대한 개혁안을 지식인이 가져야할 관심사로 삼아 깊이 연구한 점은 높이 평가할 부분이라 하겠다. This thesis studied on Jeong Mahn-yang(鄭萬陽)'s land reform bill. He asserted his reform bill after he made comparative studies between China's land system and Korea's. His reform bill was called 'Hanjeonjae'(限田制) which limited the maximum of land possessions. His theory was based on Han dynasty's reform bill, Hanjeonjae introduced by Deng Jung-seo. He readjusted the theory into late Joseon dynasty's realistic situation. His reform bill was not ideal but realistic. The heart of his reform bill was to minimize one's land possessions and to maximize the right of the country on land. He wanted to make common people's equalized life, a society which authorized the privilege of the literati and a country which has a strong management about land. There were many scholars who insisted Hanjeonjae at that time. But it is meaningful that he was the man who insisted Hanjeonjae earlier than any other person and that his reform bill was more concrete and detailed than that of other scholars. He was one of scholars of the Youngnam Namin(嶺南 南人) scholastic mantle which could not noticed at that time. So we can understand the point of the inclination for reform bill of the Youngnam Namin scholastic mantle through his reform bill. Also his reform bill and study on the land system deserved to be praised in some ways which he studied and concerned about the land system as one of the intellectuals at that time.

      • 塤? 鄭萬陽(1664~1730)의 土地制度 改革論

        우인수 慶北大學校 退溪硏究所 2004 퇴계학과 유교문화 Vol.35 No.-

        본고는 정만양이 제시한 토지제도 개혁안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그는 중국과 우리나라의 토지제도를 면밀히 검토한 위에서 자신의 토지제도 개혁안을 주장하였다. 그가 주장한 토지제도 개혁안은 토지 소유의 상한선을 제한하는 한전제였다. 그는 한대 동중서에 의해 제기된 한전제에서 그 이념을 가져왔으며, 중국의 여러 토지제도 개혁안을 참고하여 조선후기의 실정에 맞게 변용하였다. 이는 국가 차원의 토지 지급이 불가능한 현실을 고려한 방안이었다. 그만큼 가능성이 희박한 이상에 치우친 주장이 아니라 현실을 충분히 감안한 상태에서 실현 가능성을 높인 주장인 것이다. 그의 토지 개혁 구상의 핵심 내용은 개인의 소유권을 극도로 축소시키고, 국가의 토지에 대한 관리 권한을 대폭 강화하는 것이었다. 그가 한전제를 통해 실현하고자한 것은 분배를 감안한 평준화된 서민들의 생활, 사족의 특권이 인정되는 사회, 토지에 대한 통제력이 강한 국가 등이었다. 한전제는 토지개혁을 구상한 많은 당시의 학자들이 제기한 것이었는데, 그의 주장은 다른 학자들에 비해 상당히 빠른 시기에 나온 것이어서 선구적인 의미가 있었다. 그리고 그의 개혁안은 어느 다른 학자의 한전제보다도 자세하고 구체적이었던 점에 의의가 있었다. 그리고 현실에 적용할 수 있는 실현 가능성을 중시하면서 점진적이지만 확실한 방안을 제시한 점도 큰 특징으로 지적할 수 있다. 아울러 그가 영남 지역의 남인이었다는 점에서 그동안 별다른 주목을 받지 못하였던 영남 남인의 개혁성향을 살피는 데도 도움이 된다. 영남 남인 학자 가운데서 토지제도에 대한 개혁안을 지식인이 가져야할 관심사로 삼아 깊이 연구한 점은 높이 평가할 부분이라 하겠다. This thesis studied on Jeong Mahn-yang(鄭萬陽)'s land reform bill. He asserted his reform bill after he made comparative studies between China's land system and Korea's. His reform nill was called 'Hanjeonjae'(限田制) which limited the maximum of land possessions. His theory was based on Han dynasty's reform bill. Hanjeonjae introduced by Dong Jung-seo. He readjusted the theory into late Joseon dynasty's realistic situation. His reform bill was not ideal but realistic. The heart of his reform bill was to minimize one's land possessions and to maximize the right of the country on land. He wanted to make common people's equalized life, a society which authorized the privilege of the literati and a country which has a strong management about land. There were many scholars who insisted Hanjeonjae at that time. But it is meaningful that he was the man who insisted Hanjeonjae earlier than any other person and that his reform bill was more concrete and detailed than that of other scholars. He was one of scholars of the Youngnam Namin(嶺南 南人) scholastic mantle which could not noticed at that time. So we can understand the point of the inclination for reform bill of the Youngnam Namin scholastic mantle through his reform bill. Also his reform bill and study on the land system deserved to be praised in some ways which he studied and concerned about the land system as one of the intellectuals at that time.

      • KCI등재후보
      • KCI등재

        愚伏 鄭經世의 정치사회적 위상과 현실대응

        우인수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011 퇴계학과 유교문화 Vol.49 No.-

        Jeong Kyung-se was an excellent scholar and official in Youngnam district during the first half of 17th century. He was taught by Ryu Seong-ryong(柳成龍) who were Lee Hwang's best pupil. He was the leading pupil among Lee Hwang's school. Especially, he entered upon a political career as a member of deputations representing Youngnam(嶺南) Nam-in(Southern faction) during the King Injo's period and made the most of one's ability. During his tenure of office, he fulfilled his obligation with selfesteem and a sense of mission about his work. But he could not keep clear of engaging in party strife. Therefore he had ups and downs in his political path and public office by the party strife. He was disgraced with Nam-in(Southern faction) because of political attack of Buk-in(Northen faction) after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He had his best days again in the King Injo's time through a long period of an inactive political life. He helped and advised Kings using his knowledge and a noble character with all his hearts. During the process, he had been stripped from a government office because he advised King Kwanghaegun what somebody else hardly dared to advise to the king. For instance, he strongly advised bringing some new measures against current affairs and put the brakes on increasing King's own possessions. He also knew many things about the basic decencies of those civilized society and tried to apply the guidelines on upgrading the title of the King Wonjong, father of King Injo. Meanwhile he suffered two big wars in his life. He raised an army in the cause of loyalty when Japanese invaded Joseon in 1592. After that, he came back to Royal Court and provided support. He was appointed Youngnam hososa(嶺南號召使) in the Chinese Invasion of Joseon in 1627. He undertook tasks gathering provisions and army. Through such efforts we can make sure that he was a man of high prestige and confidence who could take the responsibility of the defense of the Youngnam district. 우복 정경세는 17세기 조선조 영남 남인 출신의 뛰어난 학자적 관료였다. 그는 퇴계의 수제자인 서애 류성룡에게 수학한 후 출중한 학문적 능력으로 퇴계 재전의 제자 중 선두의 위치를 점하여 일세를 풍미하였다. 특히 정경세는 서인이 주도한 인조반정이후 영남 남인을 대표하는 관료로 정계에 진출하여 커다란 존재감을 과시한 바 있었다. 그다지 많지 않는 퇴계학파 문과 출신 고위 관료의 처지를대표하는 존재로서 부각할 필요성이 충분하다고 생각하였다. 이에 정경세의 정치사회적 위상과 그의 현실대응이라는 하나의 인식 틀 속에서 종합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는 관료로서의 자부심과 사명감을 가지고 관직생활에 임하였는데, 당쟁기를살아간 당인이었기 때문에 당쟁의 소용돌이를 피할 수는 없었다. 따라서 그의 정치적 행로와 사환도 당쟁의 추이에 따라 부침하였다. 임진왜란 이후 류성룡을 비롯한 남인이 북인의 공격을 받았을 때 함께 실각하였다. 오랜 정체와 침체의 시간을 거쳐 인조대에 그의 전성기를 맞이하였다. 그는 뛰어난 학문적 실력과 자질을바탕으로 군주를 계옥하는 데 정성을 다한 관료였다. 남이 하기 어려운 말을 하여삭탈 관작되는 지경에까지 이른 것도 실천이라는 측면에서 높이 평가될 부분이다. 수차에 걸쳐 시무책을 아뢴 바 있었으며, 궁중의 사사로운 재산 증식에 제동을 거는 발언도 수차례 올린 바 있었다. 예학에도 일가견을 가져 당시 원종 추숭을 둘러싸고 10년간 수차에 걸쳐 전개된 일련의 전례 논쟁에서 올바른 예의 적용을 위해 많은 노력을 하였다. 한편 그는 그의 생애에 큰 국난을 두 차례나 겪었다. 30세에 임진왜란을 당하여서는 의병을 일으켜 몸을 돌보지 않고 죽을 고비를 겨우 넘기면서 치열하게 대응한 바 있었다. 그 후에는 조정에 복귀하여 임난의 극복에 힘을 보태었으며, 임난의 막바지에는 경상도관찰사로서 마무리 업무를 담당하였다. 65세의 나이에 맞이한 정묘호란 때는 영남호소사에 임명되어 군량과 의병을 모우는 책임자로 활약한 바 있었다. 국가적 위기를 맞이하여 조정이 믿고 영남 한 지역을 맡길 수 있을정도의 높은 위상과 신망을 가진 존재였음을 이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요컨대 정경세는 이황의 적통을 류성룡을 통해 이어받은 학자적 관료로서 영남 남인의 지도자로 활약한 인물이었다. 높은 학문적 자질을 바탕으로 군주의 계옥에 힘쓴 관료였으며, 예학에 밝아 국가적 전례 문제에 적극적으로 임한 예학자였다. 그리고 국가적 위기에 처하여서는 자신의 한 몸을 던진 실천하는 지식인이었다. 이로써 그는 영남을 대표하는 위상을 확보하였음은 물론 영남과 남인에 국한되지 않는 명성과 신망을 얻은 존재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