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튀니지 조림사업의 SWOT 분석

        우수영 ( Suyoung Woo ),김동준 ( Dongjun Kim ) 한국산림경제학회 2018 산림경제연구 Vol.25 No.1

        이 논문은 아프리카에 있는 튀니지에서의 조림사업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튀니지 산림의 대부분은 지중해성 기후이고 저지대인 북부지역에 분포하고 있다. 이 지역의 토양은 비옥하지 않고, 지역에 따라 답압에 의하여 훼손되어 있으나 강수량이 부족한 다른 지역보다 수목의 생육에 적합하다. 또한 이 지역은 도로의 접근성이 좋으며, 선적 항구까지의 거리가 가깝고, 원목이나 부산물을 가공하기 위해 필요한 전력과 용수를 조달할 수 있는 시설이 지역 내에 있어서 원목이나 부산물을 가공하여 수출하는 사업의 여건은 갖추어져 있다. 튀니지에서 산림부산물을 생산하지 않고 원목 생산만을 하는 경우에는 수익성이 낮은 수준이다. 따라서 비목재임산물 중에 지역사회의 중요 소득원이고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코르크를 생산할 수 있는 코르크참나무를 북부 지역에서 식재하고 이 지역에서 생산한 코르크 수피 또는 가공제품을 유럽시장으로 수출하는 사업은 경쟁력이 있다. This study was done to see whether Tunisia is suitable for overseas forestation investment. Most of the forest is distributed in northern area with Mediterranean climate. In the case of producing by-products in this area, the merit is flat topography, good accessibility to road, close distance to shipment port and securement of industrial water and electricity for manufacturing plant. It is competitive to plant cork oak trees in northern area and produce cork bark or products and export them to Europe. Cork is one of the major income sources in Tunisian local community, and the demand is increasing.

      • 『한국형 ODA 모델』중 농림업 분야 국제협력 프로그램 심화 연구(2차년도)

        이대섭(Lee Daeseob),허장(Heo Jang),이윤정(Lee Yoonjung),김윤정(Kim Yunjung),박성재(Park Sungjae),김관수(Kim Kwansoo),박재홍(Park Jaehong),우수영(Woo Suyoung),이학교(Lee Hakkyo)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5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기본연구보고서 Vol.- No.-

        연구의 배경 2010년 OECD/DAC 가입 이후 우리나라는 기존의 공여국과 차별화되는 우리나라의 비교우위에 입각하여 ‘한국형 ODA 모델’을 도입하였다. 개발협력 대상국의 빈곤퇴치와 지속가능한 농촌 발전을 위하여 국제적 원조규범을 존중하고 우리의 개발협력 여건을 고려하며 개발협력국 실정에 맞는 농림업 분야 국제개발협력의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이 연구는 ‘한국형 ODA 모델’ 중 농림업 분야 협력프로그램의 콘텐츠를 현실성 있게 보완하여 개도국에 적용 시 그 효과성을 제고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는 배경 아래 수행되었다. 연구방법 이 연구는 ‘한국형 ODA 모델’ 중 농림업 분야의 프로그램에 대한 콘텐츠를 심화하기 위하여 2년간 시행한 연구사업의 최종 결과물이다. 이 분야 20개 협력 프로그램 가운데 5개 프로그램(농촌종합개발, 농업기술 개발 및 현장지도 지원 시스템, 농업생산기반, 식량작물 생산성 향상, 농산물 가공)은 첫해인 2014년에 수행되었다. 2015년에는 ‘한국형 ODA 모델’ 의 나머지 14개의 프로그램을 11개의 프로그램으로 통합하여, 이 중 5개의 프로그램은 외부 전문가에게 집필을 의뢰하여 수행하였다. 이 연구는 농림업 분야의 협력 프로그램의 전략서로서 대상국 개발협력에 적용 가능성을 높이기 위하여 과거 우리나라의 농정경험뿐만 아니라 국내외 개발협력 프로그램의 사례 등을 제시하고 이를 통해 개도국 적용 시 고려해야 할 착안점을 제시하고 있다. 연구결과 및 시사점 이 보고서는 11개 프로그램의 총괄보고서로서, 각 프로그램별로 한국의 시대별 농정변화, 한국의 국제협력사례, 국제기구의 협력사례 및 개도국 적용을 위한 착안점을 포함하여 제시하고 있다. 이 보고서와 별도로 작성된 각 프로그램별 보고서는 시대 흐름에 따른 우리나라의 정책적 변화를 기술하고 다양한 정책의 성패를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고 있다. 국내외 개발협력 프로그램 사례를 제공하고 성패요인 분석 및 출구전략, 착안점을 제시함으로써 국제개발협력 시 유관기관에서 참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2014년 5개의 프로그램 보고서를 포함한 16개의 프로그램 보고서는 개발협력 대상국의 농업분야 협력사업의 발굴, 세부사업 선정 그리고 사업의 수행 시 참고자료로서 활용도가 높을 것이며, 농림축산식품부를 비롯한 유관기관에게도 관련 정책 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Background of Research Since Korea became a member of OECD/DAC in 2010, it has introduced so-called “Korean ODA Model” which would serve as a strategic guideline for development cooperation. It is intended to be a unique model differentiated from ones in other countries. There are increasing demands toward agricultural and rural development projects for poverty eradication and sustainability which are right both to the international aid norms and socio-political conditions of Korea. This research tries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through complementing contents of cooperative programs in the Korean ODA Model. Method of Research Under the same background and research purpose, five programs-agricultural R&D and extension system, integrated rural development, agricultural production infrastructure, crop productivity, and agricultural processing- were covered by the research in 2014. The rest fourteen programs are consolidated into eleven programs, which are the topics of this research. It provides not only policy experiences of Korea in the fields of agriculture but implications for application to the context of partner countries. Research Results and Implications As a synthesizing report which sums up all eleven program reports, this research reviews agricultural policy changes in Korea by periods, and development cooperation project cases, and then it offers key points for application to the developing countries. Program reports describe policy changes related with each sector, analyze the factors of success and failure, and derive implications and exit strategies. It will be useful to partner countries which are currently in need of policy transformation, and the project implementing agencies as well. Sixteen program reports from two-year research will serve as basic references for those authorities and organizations concerned such as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MAFRA) in their formulation of cooperative projects, identification of needs and activities, and project implement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